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암하라어(語)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암하라어(語)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암하라어(語)
아(亞)마른냐 ( IPA : [amar??ːa] )
사용(使用) 국가(國家) 에티오피아 , 이스라엘
언어(言語) 인구(人口) 약(約) 2200만(萬) 명(名)
( 모어 : 약(約) 1740만(萬) 명(名))
문자(文字) 그으즈 문자(文字)
언어(言語) 계통(系統) 아프리카아시아어족(語族)
  셈어파(語派)
   서(鉏)셈어군(群)
    서남(西南)셈어(語)
     에티오피아어군(語軍)
     남에티오피아어(語)
      남에티오피아 중부제어(中部制御)
       암하라아르고바어
         암하라어(語)
공용어(公用語) 및 표준(標準)
공용어(公用語)로 쓰는 나라 에티오피아의 기 에티오피아
언어(言語) 부호(富豪)
ISO 639-1 am
ISO 639-2 amh
ISO 639-3 amh 암하라어(語)
좌측(左側)은 암하라어(語)로 작성(作成)되어 있다.

암하라어(語) ( ???? 아(亞)마른냐 )는 셈어파(語派) 에티오피아 셈어군(群) 에 속(屬)하는 언어(言語)이다. 역사적(歷史的)으로 에티오피아 에서 지배적(支配的)이던 암하라족(族) 의 모어이자, 에티오피아 전역(全域)에서 정부(政府) 업무(業務) 등(等)에 사용(使用)되는 공식(公式) 언어(言語)이다. [1] [2] 민족(民族)과 언어(言語)가 다양한 에티오피아의 도시(都市) 지역(地域)에서도 공용어(公用語) (lingua franca)로 쓰인다. [3]

모어 화자(話者) 수(數)는 약(約) 3,240만(萬) 명(名), 제(第)2언어(言語) 화자(話者) 수(數)는 약(約) 2,510만(萬) 명(名)으로 추산(推算)되어 총(總) 구사자(九使者)는 5,750만(萬) 명(名) 가량(假量)이 되는데 이는 셈어(語) 중(中) 아랍어(아랍語) 다음으로 많은 화자(話者) 수(數)이다. 암하라어(語)는 음절(音節) 문자(文字) 자모(姿貌) 문자(文字) 의 형색(形色)을 모두 가지고 있는 아부기다 (????)형(型) 문자(文字) 체계(體系)인 그으즈 문자(文字) 로 표기(表記)되며, [4] 왼쪽에서 시작(始作)하여 오른쪽으로 쓴다. 아직 정확(正確)한 로마자(로마字) 표기법(表記法) 이 정립(定立)되지 않았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암하라어(語)는 에티오피아 북서부(北西部) 에티오피아 고원(高原) 에 뿌리를 둔 암하라족(族) 의 민족(民族) 언어(言語)로서, 예쿠노 암(癌)라크 에티오피아 제국(帝國) 의 솔로몬 왕조(王朝)를 성립시킨 12세기(世紀) 말(末)부터 암하라 출신(出身) 귀족(貴族)들이 주류(主流)이던 궁정(宮廷)에서 쓰이게 되었고, 제국(帝國) 내(內)에서 공용어(公用語)의 지위(地位)를 갖추게 되었다. 암하라어(語)는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正敎會) 에서 사용(使用)된 고대(古代) 언어(言語)인 그으즈어 와도 가까운 언어(言語)이나 그 직계(直系) 후손(後孫)에 해당(該當)하는지는 불확실(不確實)하다. 현재(現在)도 에티오피아의 공용어(公用語)로서 공적(公的) 업무(業務)·방송(放送)·신문(新聞) 등(等)에서 쓰인다.

문자(文字) [ 편집(編輯) ]

암하라 문자(文字) (그으즈 문자(文字))는 피덜(???) 문자(文字)라고도 하는데, 남부(南部)셈어(語) 문자(文字)의 일종(一種)인 그으즈어 (게즈어(語))를 표기(表記)하던 문자(文字)에서 발달(發達)하였다. 본래(本來) 자음(子音)만을 나타내던 그으즈어 문자(文字)에 비교적(比較的) 규칙적(規則的)인 모음부호(母音符號)가 붙은 아부기다 의 형태(形態)이다.

암하라 문자(文字) 표(票)
  a u i a e ? o
h ? ? ? ? ? ? ?
l ? ? ? ? ? ? ?
h ? ? ? ? ? ? ?
m ? ? ? ? ? ? ?
s ? ? ? ? ? ? ?
r ? ? ? ? ? ? ?
s ? ? ? ? ? ? ?
? ? ? ? ? ? ? ?
q ? ? ? ? ? ? ?
b ? ? ? ? ? ? ?
t ? ? ? ? ? ? ?
? ? ? ? ? ? ? ?
h ? ? ? ? ? ? ?
n ? ? ? ? ? ? ?
n ? ? ? ? ? ? ?
? ? ? ? ? ? ? ?
k ? ? ? ? ? ? ?
h ? ? ? ? ? ? ?
w ? ? ? ? ? ? ?
? ? ? ? ? ? ? ?
z ? ? ? ? ? ? ?
? ? ? ? ? ? ? ?
y ? ? ? ? ? ? ?
d ? ? ? ? ? ? ?
? ? ? ? ? ? ? ?
g ? ? ? ? ? ? ?
t’ ? ? ? ? ? ? ?
?’ ? ? ? ? ? ? ?
p’ ? ? ? ? ? ? ?
s’ ? ? ? ? ? ? ?
s’ ? ? ? ? ? ? ?
f ? ? ? ? ? ? ?
p ? ? ? ? ? ? ?

음운(音韻) [ 편집(編輯) ]

닿소리 [ 편집(編輯) ]

순음(純音) 치경음(齒莖音) 경구개음(硬口蓋音) 연구개음(軟口蓋音) 양순(良順) 연구개음(軟口蓋音) 성문음(聲門音)
비음 m n ?
파열음(破裂音) /
파찰음(破擦音)
무성음(無聲音) p t t?? k k? ?
유성음(有聲音) b d d?? ? ??
방출음(放出音) p’ t’ t??’ k’ k??
마찰음(摩擦音) 무성음(無聲音) f s ? h
유성음(有聲音) z ?
방출음(放出音) s’
유음(流音) 설측음(舌側音) l
R음(音) r
반모음(半母音) j w

홀소리 [ 편집(編輯) ]

전설(傳說) 중설(中說) 후설
고모음(高母音) i ?(?) u
중모음(中母音) e ?(a) o
저모음(低母音) a

문법(文法) [ 편집(編輯) ]

어순(語順) 은 기본적(基本的)으로 주어(主語) - 보족어(補足語)(목적어(目的語) 등(等)) - 서술어(敍述語) ( SOV형(型) )의 순서(順序)를 나타내며, 서술어(敍述語)에는 인칭(人稱) 성(性) , 에 따라 인칭어미(人稱語尾) 가 붙는다.

예제 [ 편집(編輯) ]

기본(基本) 회화(會話) [ 편집(編輯) ]

  • 안녕(安寧)하십니까?: ??? / ??? 살람
  • 미(美) 어서오십시오: ????? ??? ?? 은(銀)콴 데나 메따츄
  • 고맙습니다: ??????? 아(亞)메세그날레후(後)
  • 에티오피아: ????? 이띠오쁘야
  • 예: ?? 아오
  • 아니요: ????? 아이델름 / ?? 아이
  • 안녕히(安寧히) 가십시오: ??? ?? 데나 훈(勳) / ??? ?? 데나 후니

숫자(數字) [ 편집(編輯) ]

숫자(數字) [5] 기수(期數) (Cardinal) 암하라어(語) 발음(發音) 서수(瑞獸) (Ordinal) 암하라어(語) 발음(發音)
1 영어(英語) : one ??? [ ?an?d? ] 안드 영어(英語) : first ???? [ ?an?dana ] 안댕냐
2 영어(英語) : two ??? [ hulat? ] 훌레트 영어(英語) : second ???? [ hulatana ] 훌렛탱냐
3 영어(英語) : three ??? [ sos?t? ] 소(小)스트 영어(英語) : third ???? [ sos?tana ] 소스탱냐
4 영어(英語) : four ??? [ ?arat? ] 아라트 영어(英語) : fourth ???? [ ?aratana ] 아랏탱냐
5 영어(英語) : five ???? [ ?am?s?t? ] 암(癌)므스트 영어(英語) : fifth ????? [ ?am?s?tana ] 암(癌)무스탱냐
6 영어(英語) : six ???? [ s?d?s?t? ] 슷드스트 영어(英語) : sixth ????? [ s?d?s?tana ] 스드스탱냐
7 영어(英語) : seven ??? [ sabat? ] 서(鉏)바트 영어(英語) : seventh ???? [ sabatana ] 서(鉏)밧탱냐
8 영어(英語) : eight ???? [ s?m?n?t? ] 슴믄트 영어(英語) : eighth ????? [ s?m?n?tana ] 슴믄탱냐
9 영어(英語) : nine ??? [ zat'an? ] 저턴느 영어(英語) : ninth ???? [ zat'anana ] 저땡냐
10 영어(英語) : ten ??? [ ?as?r? ] 아스르 영어(英語) : tenth ???? [ ?as?rana ] 아스릉냐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Ethiopia to Add 4 More Official Languages to Foster Unity” . 《Ventures Africa》. Ventures . 2021년(年) 2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2. Gebremichael, M. (2011). 《Federalism and conflict management in Ethiopia: case study of Benishangul-Gumuz Regional State》 (PhD).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Bradford. hdl : 10454/5388 .  
  3. Meyer, Ronny (2011). 〈The Role of Amharic as a National Language and an African lingua franca〉. Stefan Weninger. 《The Semitic Languages》. Berlin: De Gruyter Mouton. 1212?1220쪽.  
  4. Adugna, Gabe. “Research: Language Learning ? Amharic: Home” . 《library.bu.edu》 (영어(英語)) . 2021년(年) 1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5. http://learn101.org/amharic_numbers.php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암하라어(語)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