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안동혁 (1906년(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안동혁 (1906년(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안동혁 (安東赫, 1906년(年) 3월(月) 11일(日) ~ 2004년(年) 10월(月) 14일(日) , 서울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정치인(政治人), 과학자(科學者), 대학(大學) 교수(敎授)이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 1923.04 ~ 1926.03 경성고등공업학교(京城高等工業學校) 응용화학(應用化學)

약력(略歷) [ 편집(編輯) ]

  • 경성고등공업학교(京城高等工業學校) 화학과(化學科) 교수(敎授)
  • 1929.04 ~ 1946.09 경성공업전문학교(京城工業專門學校) 교수(敎授) 및 교장(校長)
  • 1933년(年): 과학협회(科學協會) 와 공동(共同)으로 잡지(雜誌) 과학조선(科學朝鮮) (科學朝鮮)을 간행(刊行)하였으나 1944년(年) 1월(月) 폐간(廢刊)되었다.
  • 1934년(年) 7월(月) 5일(日): 이만규 , 윤치호 , 김창제 등(等)과 함께 과학지식보급회(科學知識普及會) (科學知識普及會) 설립(設立)에 참여(參與)
  • 경성공업전문학교(京城工業專門學校) 교장(校長)
  • 중앙공업연구소(中央工業硏究所) 소장(所長)
  • 1946년(年) 7월(月): 조선화학회(朝鮮畫學會) ( 대한화학회(大韓化學會) 의 전신(前身))의 설립(設立)에 참여(參與)
  • 1946.09 ~ 2004 조선요업협회(朝鮮要業協會)(현(現) 대한요업총협회(大寒窯業總協會)) 초대회장(初代會長)
  • 대한화학회(大韓化學會) 회장(會長)
  • 1947년(年): 잡지 과학시대(科學時代)(科學時代)를 창간(創刊)하여 1950년(年) 3월(月)까지 발행(發行)하다.
  • 1953.10 ~ 1954.06 대한민국(大韓民國) 상공부(商工部) 장관(長官)
  • 1958.04 ~ 1976.03 한양대학교 공과대학(工科大學) 화학공학과(化學工學科) 교수(敎授)
  • 1971년(年) 3월(月) 6일(日): 한국부식학회(韓國腐蝕學會)(韓國腐蝕學會) 창립(創立) 발기인(發起人)
  • 1971년(年) 3월(月) ~ : 한국부식학회(韓國腐蝕學會) 고문(顧問)
  • 1976.03 ~ 2004 한양대학교(學校) 명예교수(名譽敎授)
  • 1966.09 ~ 2004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名譽會長)
  • 1971.01 ~ 2004 재단법인(財團法人) 한국화학회관(會館) 이사장(理事長) (초대(初代)~)
  • 1972.01 ~ 2004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韓國科學技術振興財團) 이사(理事)

생애(生涯) 및 업적(業績) [ 편집(編輯) ]

1906년(年) 3월(月) 14일(日) 한성부(漢城府)(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성동구 상왕십리동)에서 태어났다.

1929년(年) 규슈제국대학(帝國大學)을 졸업(卒業)한 안동혁은 모교(母校)의 적극적(積極的)인 요청(要請)에 힘입어 경성공업전문학교(京城工業專門學校) 교사(敎師)로 부임(赴任)했다. 1933년(年) 교편(敎鞭)을 잡으며 중앙시험소(中央試驗所) 화학공업부(化學工業部) 기수(期數) 업무(業務)도 겸임(兼任)했다.

경성공전(京城空轉)과 중앙시험소(中央試驗所)를 오가며 화학공학(化學工學) 강의(講義)와 연구(硏究)에 매진(邁進)했으며, 전문인(專門人) 유지공업(油脂工業) 분야(分野)에서 6가지 특허(特許)를 냈고 10여(餘) 편(篇)의 논문(論文)을 발표(發表)했다. [1]

대한화학회(大韓化學會), 대한요업총협회(大寒窯業總協會), 한국식품(韓國食品) 과학회(科學會) 회장(會長)을 역임(歷任)하며 학술(學術) 활동(活動)에도 크게 공헌(貢獻)했고 학술원(學術院) 초대(初代) 회원(會員) 및 부회장(副會長)을 거쳐 한국과학회(韓國科學會) 이사회의(理事會議) 1, 2대(代) 이사장(理事長) 등(等) 여러 학회(學會)의 회장(會長)을 역임(歷任)하며 대한민국(大韓民國) 화학공합(化學工合) 학술(學術) 활동(活動)의 기틀을 다졌다.

1953년(年)에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상공부(商工部) 장관(長官) 으로 임명(任命)되어 전쟁(戰爭) 중(中) 국가(國家)가 당면(當面)한 건재(健在) 복구(復舊) 물자(物資) 생산(生産), 기간산업(期間産業) 건설(建設) 착수(着手)에 힘쓰는 한편(한便) 삼척(三陟), 마산(馬山), 당인리 발전소(發電所) 건설(建設), 문경(聞慶)시멘트, 인천판유리(仁川板琉璃) 공장(工場), 충주요소비료공장(忠州要素肥料工場) 건설(建設) 착수(着手) 등(等) 기반시설(基盤施設)을 확립(確立) 및 건설(建設)했다.

1954년(年)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를 비롯해 수도권(首都圈) 주요(主要) 대학(大學)의 강사(講師)로 활동(活動)을 시작(始作), 1958년(年) 한양대학교 화학공학(化學工學) 과(科) 교수(敎授)로 부임(赴任)해 2004년(年) 작고(作故)할 때까지 일평생(一平生)을 교육자(敎育者)로 지내며 후학양성(後學養成)에 힘썼고,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수질(水質)과 수원(水原)에 궁금증(궁금症)을 가지고 이에 대(對)해 오랜 시간(時間) 연구(硏究)했으며, 특히(特히) 북한(北韓) 수원지(水源池)에 대(對)한 심층적(深層的) 연구(硏究)를 진행(進行)해 대한민국(大韓民國) 전역(全域)의 수원(水原) 및 수질(水質), 공업용수(工業用水) 등(等)에 대(對)한 연구(硏究) 실적(實績)을 쌓았다.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韓國科學技術振興財團), 서울국제(國際)사이언스클럽, 한국화학회관(會館) 등(等)을 설립(設立)·운영(運營)하는데 기여(寄與)했고, 국제과학연맹(國際科學聯盟) 이사회(理事會) 한국대표(韓國代表), 미국화학회(美國化學會) 위원(委員) 등(等)을 맡았다.

저서(著書) 및 연구결과(硏究結果) [ 편집(編輯) ]

1941년(年) ‘조선(朝鮮)의 水質’(日文, 조선화학회지(朝鮮畫學會誌)), 1944년(年) 9월(月)에는 ‘북한(北韓)의 수질(水質) 및 수원(水原)’에 대(對)한 논문(論文)을 조선화학협회지(朝鮮化學協會誌)에 게재(揭載)했고, 한국전쟁(韓國戰爭) 직전(直前)에는 남북한(南北韓) 전역(全域)에 걸쳐 공업용수(工業用水)를 조사(調査)·연구(硏究)하며 1948년(年) ‘공업용수(工業用水) 조사(調査) 원산지역(元山地域)’(중앙공업연구소(中央工業硏究所) 보고), 1949년(年) ‘북조선(北朝鮮)의 공업용수(工業用水)’(중앙공업연구소(中央工業硏究所)) 등(等) 관련(關聯) 논문(論文)을 13회(回)나 중앙공업연구보고(中央工業硏究報告)에 발표(發表)했다.

학생(學生)들을 위한 기초(基礎) 과학학문(科學學問) 전파(傳播)를 위해 1971년(年) ‘자연과학개론(自然科學槪論)(공저(共著))’(한양대출판부(漢陽大出版部))와 1971년(年) ‘과학(科學)과 경제발전(經濟發展)(감수(減數))’(한양대출판부(漢陽大出版部))를 저서(著書)로 남겼다.

그 외(外)의 연구결과(硏究結果)를 1946년(年) ‘과학기술(科學技術)의 건설(建設)’(제일출판사(第一出版社)), 1947년(年) ‘과학신화(科學神話)’ (조선공업도서출판사(造船工業圖書出版社)), 1947년(年) ‘화학공업개론(化學工業槪論)(편저(編著))’(문운당(文運當)) 등(等)의 저서(著書)로 남겼다.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부인(否認) : 이정자(二程子), 이규완 의 딸
  • 부인(否認) : 김신애((金信愛, 1923년(年) ~ )
    • 딸 : 안효영(安孝英, 아세아연합(亞細亞聯合)신학대 교수(敎授))
    • 딸 : 안규리 (서울대병원(서울大病院) 내과(內科) 교수(敎授))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안동혁” . 2019년(年) 12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전임(前任)
이재형
제(第)6대(代) 상공부(商工部) 장관(長官)
1953년(年) 10월(月) 7일(日) ~ 1954년(年) 6월(月) 30일(日)
후임(後任)
박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