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1985년(年) 5월(月) 4일(日) ~ 10월(月) 13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토(土)·일요일(日曜日) 밤 8시(時) ~ 9시(時)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방송(放送) 횟수(回數) 47부작(部作)
연출(演出) 최종수
각본(脚本) 임충
출연자(出演者) 이미숙 , 김용선 , 이기선 , 현석 외(外)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는 1985년(年) 5월(月) 4일(日) 부터 같은 해 10월(月) 13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MBC 주말연속극(週末連續劇) 이며, 조선왕조(朝鮮王朝) 오백년(五百年) 시리즈 중(中) 하나인 《 풍란(風蘭) 》의 인기(人氣)에 힘입어 내보낸 주말(週末)드라마 최초(最初)의 사극(史劇)으로 편성(編成)되었다. [1]

줄거리 [ 편집(編輯) ]

노비(奴婢)의 딸 옥섬, 양반가(兩班家)의 수절과부(守節寡婦) 이화, 부유(富裕)한 상인(商人)의 딸 보옥(寶玉) 등(等) 신분(身分)과 성격(性格)이 각기(各其) 다른 세 여인(女人)의 인생(人生) 역정(歷程)을 담아 역사(歷史) 뒤편(뒤便)에서 사는 사람들의 사랑과 갈등(葛藤)이 어떠했는지가 감동(感動)있게 펼쳐져 서민(庶民) 사극(史劇)으로서의 성격(性格)을 띤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양반집(兩班집) 아들이 아이를 낳지 못해 길거리에서 만난 상민(常民) 칠성(七星)을 위하여 양반집(兩班집) 며느리와 동침(同寢)토록 했던 것, 처녀(處女)의 몸기운으로 마비(痲痹)되어 가는 칠순노인(七旬老人)의 하반신(下半身)읕 회복시키기 위해 여종(餘種) 옥섬을 매수(買收)하는 내용(內容) 등(等)이 지나치게 에로티시즘을 추구(追求)한 나머지 시대극(時代劇)의 역사적(歷史的) 의미전달(意味傳達)과 재조명(再照明)보다는 흥미본위(興味本位)의 제작(製作)이라는 지적(指摘)을 사 방송위원회(放送委員會)로부터 '주의(注意)' 조치(措置)를 받았다. [2]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양재찬 (1985년(年) 6월(月) 4일(日)), 《조선조(朝鮮朝)에서 현대(現代)까지…TV에 사극(史劇)붐》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8년(年) 11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2. “주말극(週末劇)『아무렴 그렇지...』「주의」” . 중앙일보(中央日報). 1985년(年) 6월(月) 21일(日) . 2018년(年) 11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문화방송 주말연속극(週末連續劇)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사랑과 진실(眞實)
(1984년(年) 5월(月) 26일(日) ~ 1985년(年) 4월(月) 28일(日))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1985년(年) 5월(月) 4일(日) ~ 1985년(年) 10월(月) 13일(日))
남자(男子)의 계절(季節)
(1985년(年) 10월(月) 19일(日) ~ 1986년(年) 6월(月) 29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