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녀석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아들녀석들 에서 넘어옴)

아들 녀석들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2년(年) 9월(月) 22일(日) ~ 2013년(年) 3월(月) 24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토(土) , 일(日) 8시(時) 40분(分) ~ 9시(時) 50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1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0부작(部作)
추가(追加) 채널 MBC 드라마넷
기획(企劃) 신현창
제작(製作) 투비(投畀)엔터프라이즈(김홍기,

홍윤기, 반광준 )

연출(演出) 김경희, 최준배
조연출(助演出) 김성욱, 곽정환, 오재우
각본(脚本) 김지수 (1회(回) ~ 20회(回))
오상희 (21회(回) ~ 50회(回))
출연자(出演者) 이성재 , 명세빈 , 류수영 외(外)
여는 곡(曲) 타루(柁樓) - 찌릿찌릿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자막(字幕) 폐쇄(閉鎖)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MBC 아들 녀석들 공식(公式) 홈페이지

아들 녀석들 》은 2012년(年) 9월(月) 22일(日) 부터 2013년(年) 3월(月) 24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週末連續劇) 이다.

소개(紹介) [ 편집(編輯) ]

각기(各其) 다른 개성(個性)을 가진 아들들의 이야기를 중심(中心)으로 하는 가족(家族) 드라마로 결혼(結婚)과 이혼(離婚)에 대(對)한 이야기를 다뤄 결혼(結婚)의 정의(正義)를 찾아보는 드라마

기획(企劃) 의도(意圖) [ 편집(編輯) ]

사돈총각(査頓總角), 사돈처녀(査頓處女)와 결혼(結婚)을 하고, 동성동본(同姓同本)도 상관(相關)이 없고, 총각(總角)과 연상(年上)의 이혼녀(離婚女)가 결혼(結婚)을 하는 세상(世上)이지만, 누구도 ‘결혼(結婚)’ 그 자체(自體)를 부정(否定)하거나 부인(否認)하지는 못 한다. 발전(發展)을 위해 혹은(或은) 자유(自由)를 위해 수많은 제도(制度)와 관습(慣習)을 고치고 바꾸고 깨트려온 우리가 왜 ‘결혼(結婚)’만큼은 그러지 못 하는 걸까? 아니, 왜 그러지 않는 걸까?

이 드라마는 어쩌다 보니 구성원(構成員) 모두가 다 그 기본(基本)과 시작(始作)이 어긋나버린 한 가족(家族), 다 늙어 축(軸)! 해방(解放)을 외치며 별거(別居)에 들어간 아버지, 오래 전(前) 상처(傷處)를 하고도 재혼(再婚)은 꿈도 꾸지 않는 큰 아들, 친구(親舊)의 여자(女子)를 사랑하는 탓에 어쩔 수 없이 독신(獨身)을 고수(固守)하는 작은 아들, 이혼(離婚)을 당(當)하고 총각(總角) 행세(行世)를 하는 막내아들 등(等) 네 부자(富者)가 어긋나버린 기본(基本)과 시작(始作)을 바로잡으며 반쪽(半쪽)이 다시 온전(穩全)한 하나가 되기까지의 과정(過程)을 들여다봄으로써 ‘결혼(結婚)’… 이 난해(難解)한(?) 명제(命題)에 대(對)한 긍정적(肯定的)이고도 기분(氣分) 좋은 정의(正義)를 함께 찾아보고자 한다.

등장인물(登場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이성재  : 유현기 역(驛) - 장남(長男), 치과의사(齒科醫師)
  • 명세빈  : 성인옥 역(驛) - 미망인(未亡人), 다빈의 엄마
  • 류수영  : 유민기 역(驛) - 차남(次男)
  • 서인국  : 유승기 역(驛) - 막내

삼형제(三兄弟)의 집 [ 편집(編輯) ]

  • 박인환  : 유원태 역(驛) - 3형제(兄弟)의 아버지, 유원 부동산(不動産) 주인(主人)
  • 나문희  : 우정숙 역(驛) - 3형제(兄弟)의 어머니

현기(眩氣)의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황채원 : 유아람 역(驛) - 현기(眩氣)의 딸
  • 김영란(金英蘭)  : 장(腸) 여사(女史) 역(役) - 현기(眩氣)의 장모(某), 강진(康津)의 어머니

인옥(隣屋)의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홍현택  : 한다빈 역(驛) - 아람의 친구(親舊), 인옥(隣屋)의 아들
  • 김용건  : 한병국 역(驛) - 인옥(隣屋)의 시아버지(媤아버지)
  • 신다은  : 한송희 역(驛) - 인옥(隣屋)의 시누이(媤누이), 병국의 딸

민기(閔箕)의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한혜린  : 이신영 역(驛) - 강진(康津)의 약혼녀(約婚女), 민기(閔箕)의 친(親)한 동생
  • 김영훈  : 강진(强震) 역(驛) - 민기(閔箕)의 친구(親舊), 신영의 약혼(約婚)남

승기의 주변(周邊)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윤세인  : 박미림 역(驛) - 승기의 아내
  • 홍은택  : 유(有)보람 역(驛) - 승기의 아들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형자  : 배덕순 역(驛) - 유원 부동산(不動産) 옆 이모(姨母)네 백반(白飯) 주인(主人)
  • 허영란  : 윤강희 역(驛) - 출판사(出版社) 편집장(編輯長)
  • 서승만  : 스크린 골프장(골프場) 사장(社長) 역(役)
  • 정지순  : 유원 부동산(不動産) 직원(職員) 역(驛)
  • 유세례(遊說例)  : 하선주 역(驛) - 현기(眩氣) 치과(齒科) 간호사(看護師)
  • 허미영  : 이소영 역(驛) - 현기(眩氣) 치과(齒科) 간호사(看護師)
  • 채민희  : 선미 역(驛) - 이모(姨母)네 백반(白飯) 직원(職員)
  • 박수영  : 진유리 역(驛) - 시골 민박(民泊)집 주인(主人)
  • 이주석  : 의사(醫師) 역(役) - 현기(眩氣)의 친구(親舊)
  • 김하연  : 민지 역(驛)
  • 전현태  : 페인트 업자(業者) 역(驛)
  • 이아린  : 미림(味淋)의 선배(先輩)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편집(編輯) ]

  • 고정민  : 현기(眩氣)의 아내 역(役) (사진(寫眞) 등장(登場)) - 10년(年) 전(前) 죽음
  • 안해숙  : 인옥(隣屋) 모(某) 역(驛) - 인옥(隣屋)의 어머니
  • 이현욱  : 윤석진 역(驛) - 미림(味淋)의 라면 가게 단골손님
  • 신우철  : 인옥(隣屋)의 남편(男便) 역(役) (사진(寫眞) 등장(登場)) - 인옥(隣屋)의 남편(男便)
  • 이민우(李珉雨)  : 김태주 역(驛) - 강희(康熙)의 전(前) 남편(男便)
  • 왕(王)빛나  : 세라 역(驛) - 현기(眩氣)의 후배(後輩), 치과(齒科) 의사(醫師)
  • 한(恨)그림  : 유치원(幼稚園) 교사(敎師) 역(役) - 보람의 유치원(幼稚園) 교사(敎師)
  • 선우용여  : 장명자 역(驛) - 태주의 어머니, 정숙의 친구(親舊)
  • 신강우  : 매장(賣場) 동료(同僚) 직원(職員) 역(驛)
  • 이채민 : 집주인(主人) 역(役)
  • 최찬숙 : 정숙의 친구(親舊) 역(役)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2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1] AGB 시청률(視聽率) [2]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9월(月) 22일(日) 8.5% 9.4% 7.7% 8.2%
제(第)2회(回) 9월(月) 23일(日) 8.9% 10.8% 7.2% 7.9%
제(第)3회(回) 9월(月) 29일(日) 7.3% 8.4% 6.2% 6.4%
제(第)4회(回) 9월(月) 30일(日) 6.5% 7.8% 6.6% 7.8%
제(第)5회(回) 10월(月) 6일(日) 7.2% 7.8% 7.2% 7.7%
제(第)6회(回) 10월(月) 7일(日) 7.9% 9.7% 8.1% 9.1%
제(第)7회(回) 10월(月) 13일(日) 8.6% 9.7% 9.1% 9.9%
제(第)8회(回) 10월(月) 14일(日) 8.3% 10.5% 7.8% 8.5%
제(第)9회(回) 10월(月) 20일(日) 9.6% 11.2% 8.9% 9.4%
제(第)10회(回) 10월(月) 21일(日) 8.3% 9.8% 8.2% 8.6%
제(第)11회(回) 10월(月) 27일(日) 8.9% 10.1% 8.4% 9.1%
제(第)12회(回) 10월(月) 28일(日) 7.5% 8.7% 7.4% 8.1%
제(第)13회(回) 11월(月) 3일(日) 7.6% 8.4% 7.9% 9.2%
제(第)14회(回) 11월(月) 4일(日) 8.7% 10.3% 7.5% 8.3%
제(第)15회(回) 11월(月) 10일(日) 7.6% 8.4% 7.9% 9.2%
제(第)16회(回) 11월(月) 11일(日) 8.7% 10.3% 7.4% 8.3%
제(第)17회(回) 11월(月) 17일(日) 8.5% 9.3% 7.4% 7.9%
제(第)18회(回) 11월(月) 18일(日) 7.5% 8.5% 7.5% 8.3%
제(第)19회(回) 11월(月) 24일(日) 8.2% 9.4% 6.8% 7.5%
제(第)20회(回) 11월(月) 25일(日) 7.4% 8.7% 6.7% 7.8%
제(第)21회(回) 12월(月) 1일(日) 7.8% 8.8% 7.7% 8.4%
제(第)22회(回) 12월(月) 2일(日) 8.4% 9.3% 6.9% 7.7%
제(第)23회(回) 12월(月) 8일(日) 8.5% 9.9% 7.1% 7.2%
제(第)24회(回) 12월(月) 9일(日) 8.8% 10.1% 7.6% 8.8%
제(第)25회(回) 12월(月) 15일(日) 7.6% 9.3% 6.4% 7.3%
제(第)26회(回) 12월(月) 22일(日) 7.4% 8.8% 6.2% 7.1%
제(第)27회(回) 12월(月) 23일(日) 7.4% 8.8% 6.7% 7.0%
2013년(年)
제(第)28회(回) 1월(月) 5일(日) 7.4% 8.7% 5.9% 6.6%
제(第)29회(回) 1월(月) 6일(日) 6.4% 6.7% 5.5% 5.6%
제(第)30회(回) 1월(月) 12일(日) 6.2% 6.7% 5.6% 6.4%
제(第)31회(回) 1월(月) 13일(日) 6.1% 6.4% 6.1% 7.1%
제(第)32회(回) 1월(月) 19일(日) 6.0% 6.7% 5.5% 5.7%
제(第)33회(回) 1월(月) 20일(日) 7.1% 8.6% 6.3% 6.7%
제(第)34회(回) 1월(月) 26일(日) 7.1% 7.2% 6.1% 6.2%
제(第)35회(回) 1월(月) 27일(日) 7.0% 7.8% 6.1% 6.9%
제(第)36회(回) 2월(月) 2일(日) 7.0% 8.4% 7.4% 8.1%
제(第)37회(回) 2월(月) 3일(日) 7.0% 7.3% 6.3% 6.6%
제(第)38회(回) 2월(月) 10일(日) 5.1% 6.1% 5.1% 6.1%
제(第)39회(回) 2월(月) 16일(日) 7.8% 9.4% 6.0% 6.4%
제(第)40회(回) 2월(月) 17일(日) 6.9% 7.5% 6.0% 6.6%
제(第)41회(回) 2월(月) 23일(日) 6.4% 6.7% 5.4% 5.7%
제(第)42회(回) 2월(月) 24일(日) 6.6% 7.3% 6.0% 6.7%
제(第)43회(回) 3월(月) 2일(日) 7.1% 7.9% 6.5% 7.5%
제(第)44회(回) 3월(月) 3일(日) 6.6% 7.5% 6.2% 7.1%
제(第)45회(回) 3월(月) 9일(日) 8.3% 9.4% 7.6% 8.6%
제(第)46회(回) 3월(月) 10일(日) 8.1% 9.2% 6.9% 7.0%
제(第)47회(回) 3월(月) 16일(日) 8.0% 8.9% 7.7% 8.7%
제(第)48회(回) 3월(月) 17일(日) 7.5% 8.9% 8.1% 9.2%
제(第)49회(回) 3월(月) 23일(日) 8.1% 10.1% 7.8% 8.2%
제(第)50회(回) 3월(月) 24일(日) 9.1% 10.4% 9.2% 10.9%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7.6% 8.7% 7.0% 7.7%

결방(決放) [ 편집(編輯) ]

경쟁(競爭) 프로그램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지상파(地上波) 드라마 최초(最初)로 종합편성(綜合編成)채널 드라마( 무자식(無子息) 상팔자(上八字) )에 시청률(視聽率)을 역전(逆轉)당하여 방송가(放送街)에 큰 충격(衝擊)을 주었다. [3]
  • 이 때문에 기존(旣存)에 집필(執筆)하던 김지수 작가(作家)가 프로그램에서 빠지고, 2011년(年) 아침드라마 < 당신(當身) 참 예쁘다 >를 집필(執筆)한 오상희 작가(作家)가 투입(投入)되었다. [4]
  • MBC 측(側)에서 정(定)해진 금액(金額)을 지급(支給)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제작사(製作社) 투비(投畀)엔터프라이즈는 지난 3월(月) 드라마 종영(終映) 뒤 출연료(出演料) 지급(支給)을 미루어왔고, 결국(結局) 배우(俳優) 출연료(出演料) 및 홍보(弘報) 대행료(代行料) 미지급(未支給) 사태(事態)가 불거지면서 한바탕 홍역(紅疫)을 치뤄야 했다. [5]
  • 총(總) 미지급금(未支給金)은 7억여(億餘) 원이었는데, 주인공(主人公) 유현기 역(役)의 이성재 는 가장 많은 1억(億) 1000만(萬) 원을 받지 못했다. 나문희 는 7900만(萬) 원, 명세빈 은 5000만(萬) 원, 김영란(金英蘭) · 신다은 · 서인국 은 4800만여(萬餘) 원을 수령(受領)하지 못했다. [6]
  • 결국(結局), MBC 측(側)에서 보증금(保證金)으로 출연료(出演料)를 지급(支給)하였지만 전체(全體) 금액(金額)의 66% 정도(程度) 밖에 주지 못하였다. [7]
  • 오상희 작가(作家) 또한 30회(回) 중(中) 23회분(回分)의 원고료(原稿料)(2억(億) 3000만(萬) 원)를 받지 못하였지만, MBC 측(側)에서는 법적(法的) 책임(責任)이 없다고 일관(一貫)하여 논란(論難)이 되었다. [8]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문화방송(文化放送) 주말연속극(週末連續劇)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