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니루 콘테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아니루 콘테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아니루 콘테
아니루 콘테
아니루 콘테
출생(出生) 1942년(年) 8월(月) 6일(日) ( 1942-08-06 )
Jawi Folu, 동부주(東部週) , 시에라리온 , 영국령(英國領) 시에라리온
사망(死亡) 2004년(年) 4월(月) 4일(日) ( 2004-04-04 ) (61세(歲))
케네마 , 시에라리온

Aniru Sahib Sahib Conteh (1942년(年) 8월(月) 6일(日) - 2004년(年) 4월(月) 4일(日))은 시에라리온의 의사(醫師)였다. 그는 서아프리카(西아프리카)에서 유행(流行)하는 출혈열(出血熱)의 일종(一種)인 라싸열(熱) 의 임상적(臨床的) 치료(治療)에 대(對)한 전문가(專門家)였다. 콘테는 나이지리아의 이바단 대학(大學)에서 의학(醫學)을 전공(專攻)하였고, 이바단 의과대학(醫科大學)에서 학생(學生)들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그는 1979년(年) 시에라리온으로 귀국(歸國)하여, Segbwema의 Nixon Methodist Hospital에서 미국(美國) 질병통제예방(疾病統制豫防)센터 (CDC)의 라싸열(熱) 연구(硏究) 프로그램의 임상(臨床) 관리자(管理者)로 합류(合流)하였다.

1991년(年)에 시에라리온 내전(內戰) 이 시작(始作)된 후(後) CDC는 Segbwema에서 프로그램을 철수(撤收)했다. 콘테와 그의 의료진(醫療陣)은 Segbwema에서 Kenema Government Hospital (KGH)로 옮겨 세계(世界)에서 유일(唯一)한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을 20년간(年間) 운영(運營)하였다. 콘테는 영국(英國)의 자선(慈善) 단체(團體)인 Merlin과 협력(協力)하여 시에라리온에서 라싸열(熱)을 예방(豫防)하기 위한 공중(公衆) 보건(保健) 활동(活動)을 펼쳤다. 자금(資金)과 장비(裝備)의 지원(支援)이 적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콘테는 라싸열의(熱意) 치료(治療)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지속(持續)하여 치명률(致命率)을 낮추고, 수많은 생명(生命)을 구(求)했다. 하지만 그는 2004년(年)에 일어난 주사(注射)바늘 사고(事故)로 인해 라싸열에 걸려 숨졌다.

콘테는 2009년(年) Ross I. Donaldson의 회고록(回顧錄) The Lassa Ward 의 주인공(主人公)으로 다시 주목(注目)을 받았다.

초기(初期) 생애(生涯) [ 편집(編輯) ]

Aniru Sahib Sahib Conteh는 1942년(年) 8월(月) 6일(日), 시에라리온 동부주(東部週) 의 Jawi Folu에서 마을 이장(里長)의 아들로 태어났다. [1] 그는 십대(十代) 때 그의 어머니가 죽은 후(後) 시에라리온의 수도(首都)인 프리타운 으로 이사(移徙)했다. Fourah Bay College에서 화학(化學)과 생물학(生物學) 학위(學位)를 받은 후(後) 학생(學生)들을 가르치기 시작(始作)했다. 1968년(年)부터 1974년(年) 졸업(卒業) 때까지 그는 나이지리아의 Ibadan 대학(大學)에서 의학(醫學)을 공부(工夫)했고, 이후(以後) 이바단 의과대학(醫科大學)에서 강사(講師)로 4년(年) 간(間) 근무(勤務)했다. 그는 1979년(年) 시에라리온으로 귀국(歸國)하여, [2] 아내 Sarah와 결혼(結婚)했다. [3]

의사(醫師)로서의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콘테는 서아프리카(西아프리카)에서 유행(流行)하는 바이러스성(性) 출혈열인(出血熱人) 라싸열(熱) 환자(患者)를 치료(治療)하면서 전문적(專門的)인 경력(經歷)을 쌓았다. 라싸열(熱)은 1969년(年) 나이지리아에서 발생(發生)했을 때 대중(大衆)의 관심(關心)을 받기 시작(始作)했고, [4] 1972년(年)에 나탈다유방(多乳房)쥐 ( Mastomys natalensis )를 통해 전염(傳染)되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現在) 약(約) 300,000명(名)의 감염자(感染者)가 있고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기니 에서 매년(每年) 5000명(名)이 라싸열(熱)로 사망(死亡)한다. [5] 이에 대응(對應)하여 미국(美國) 질병통제예방(疾病統制豫防)센터 (CDC)는 라싸열(熱)을 연구(硏究)하기 위해 Segbwema, Kenema 및 Panguma에 연구(硏究) 프로그램을 설립(設立)했다. [6]

닉슨 감리교(監理敎) 병원(病院)(Nixon Methodist Hospital) [ 편집(編輯) ]

라싸열에 관(關)한 1989년(年) CDC 다큐멘터리의 콘테

1979년(年)에 콘테는 케네마 의 Nixon Methodist Hospital에서 라싸열(熱) 관련(關聯)한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했고, 1980년(年) 병원(病院)의 관리자(管理者)가 되었다. [7] 시에라리온 내전(內戰) 으로 인해 1991년(年)에 CDC가 시에라리온의 연구(硏究) 프로그램을 종료(終了)하고 기니로 이전(移轉)했다. 전쟁(戰爭)으로 병원(病院)이 파괴(破壞)되자 라싸열의(熱意) 확산(擴散)은 더욱 심해졌다. 내전(內戰) 기간(期間) 동안 바이러스의 숙주(宿主)인 쥐는 버려진 집에 서식(棲息)하며 개체(個體) 수(數)가 증가(增加)해 라싸열(熱) 발생률(發生率)이 치솟았다.

케네마 정부(政府) 병원(病院) (Kenema Government Hospital) [ 편집(編輯) ]

콘테는 전쟁(戰爭)으로 인해 집, 직업(職業) 등(等) 모든 것을 잃었다. [8] 그는 몇 달 동안 방황(彷徨)하다가 케네마 에서 병자(病者)를 치료(治療)하기 시작(始作)했다. 그는 해외(海外)에 친구(親舊)가 있었고, 유능(有能)한 의사(醫師)였으므로 시에라리온 밖에서 얼마든지 일자리를 구(求)할 수 있었지만 시에라리온 국민(國民)을 돕기로 결정(決定)했다. [2] 전쟁(戰爭)으로 인해 라싸열(熱) 전문가(專門家)들이 나라를 떠났으므로 라싸열(熱) 환자(患者)들은 콘테에게 치료(治療)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콘테는 Kenema Government Hospital (KGH)에서 세계(世界)에서 유일(唯一)한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의 총책임자(總責任者)가 되었다. [1] 내전(內戰)을 일으킨 반란군(叛亂軍)은 1997년(年)과 1999년(年)에 케네마를 점령(占領)했지만 콘테는 그의 병원(病院)을 버리지 않고 환자(患者)들을 치료(治療)했다. [9]

의학(醫學)에 대(對)한 기여(寄與) [ 편집(編輯) ]

콘테는 CDC가 시에라리온 내전(內戰)으로 인해 기니로 시설(施設)을 이전(移轉)한 후(後) Kenema Government Hospital에 세계(世界) 유일(唯一)의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를 설립(設立)했다. [10]

내전(內戰) 당시(當時) 콘테는 라싸열(熱) 환자(患者)를 관리(管理)할 수 있는 기술(技術)과 자격(資格)을 갖춘 유일(唯一)한 임상의(臨床醫)였다. [11] CDC가 없을 때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은 영국(英國)에 기반(基盤)을 둔 의료(醫療) 구호(救護) 기관(機關)인 Merlin의 지원(支援)을 받았다. [12] 그는 라싸열(熱) 치료(治療)를 위한 의료(醫療) 인력(人力) 양성(養成)과 라싸열(熱)을 대중(大衆)에게 알리는 켐ㅁ페인을 시행(施行)했다. 또한 그의 연구(硏究) 자료(資料)는 라싸열(熱)을 연구(硏究)하는 CDC와 많은 전문가(專門家)들에게 "청사진(靑寫眞)을 제공(提供)"했다.

콘테는 2000년(年)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에 게재(揭載)된 라싸열(熱) 환자(患者) 진단(診斷)의 효능(效能)과 결과(結果)를 간접(間接) 형광(螢光) 항체(抗體) (IFA) 검사(檢査)와 효소(酵素) 결합(結合) 면역(免疫) 흡착(吸着) 분석(分析) (ELISA)으로 비교(比較)한 연구(硏究)를 공동(共同) 집필(執筆)했다. Iruka N. Okeke 에 따르면 이 연구(硏究)는 "라싸열에 대(對)한 진단(診斷) 테스트 개발(開發)에 초점(焦點)을 맞추었"다. [13] 2001년(年) 콘테는 라싸열에 관(關)한 국제(國際) 회의(會議)에 참석(參席)하기 위해 영국(英國) 런던을 방문(訪問)하여 질병(疾病) 관리(管理)에 관(關)한 논문(論文)을 발표(發表)했다. [14] 콘테는 2003년(年) 9월(月) 런던으로 돌아와 "인명(人命)을 구(救)하고 고통(苦痛)을 덜어주는"에 대(對)한 그의 뛰어난 역할(役割)로 "Spirit of Merlin"상(賞)을 받았다. [15]

죽음 [ 편집(編輯) ]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은 직원(職員)이 부족(不足)했고 콘테는 종종(種種) 사람들로부터 직접(直接) 채혈(採血)을 했다. [16] 2004년(年) 3월(月) 17일(日), [17] 콘테는 라싸열(熱)을 앓고 있는 젊은 간호사(看護師)로부터 채혈(採血)을 하던 중(中) 주사(注射)바늘에 찔리게 되었다. 그 간호사(看護師)는 다음날 사망(死亡)했고, 콘테는 3월(月) 23일(日)에 라싸열(熱) 확진(確診) 판정(判定)을 받았다. 리바비린 정맥(靜脈) 주사(注射)로 치료(治療)를 받아 라싸열의(熱意) 최대(最大) 고비는 넘겼지만 그는 4월(月) 4일(日) 신부전(腎不全) 으로 사망(死亡)하였다. [1] 콘테의 죽음 이후(以後) 케네마 주민(住民)들은 모두 충격(衝擊)에 빠지고 그의 죽음을 애도(哀悼)하였다. 그의 장례식(葬禮式)은 Daru에서 열렸다.

유산(遺産) [ 편집(編輯) ]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에서의 콘테의 활동(活動)은 25년(年)에 걸쳐 수천(數千) 명(名)의 생명(生命)을 구(求)했다. [18] 그는 Merlin의 시에라리온 라싸열(熱) 대응(對應) 프로그램에서 핵심적(核心的)인 역할(役割)을 하였고, 그의 기술(技術)과 헌신(獻身) 덕분(德分)에 라싸열(熱) 사망률(死亡率)은 20 %p 감소(減少)했다. [19] 콘테가 사망(死亡) 한 후(後) Merlin과 시에라리온 UN 사절단(使節團)(UNAMSIL)의 평화(平和) 유지군(維持軍)은 시에라리온을 떠났고, 케네마(魔)의 라싸열(熱) 격리(隔離) 병동(病棟)은 문(門)을 닫았다. 2004년(年)에 Tulane University가 세계(世界) 보건기구(保健機構) 와 협력(協力)하여 Mano River Union Lassa Fever Network (MRU-LFN)를 통해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및 기니의 라싸열(熱) 환자(患者)를 모니터링하기 시작(始作)했고, [20] 라싸 격리(隔離) 병동도(病棟度) 부활(復活)되어 현재(現在) 시에라리온 정부(政府)가 "치료(治療), 격리(隔離), 예방(豫防) 및 연구(硏究)"에 중점(重點)을 두며 관리(管理)하고 있다. [10]

콘테는 2003년(年) 여름 UCLA 의대(醫大) 교수(敎授) Ross I. Donaldson을 지도(指導)했으며 Donaldson의 2009년(年) 회고록(回顧錄) Lassa Ward 의 주인공(主人公)이다. [21]

발행물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Wright 2004
  2. Donaldson 2009
  3. Some sources report four sons, others report three; Mellor 2004b , "four sons, two daughters"; Mellor 2004a : "three sons and two daughters"; Wright 2004 , "four sons, and two daughters"; Bausch, Sesay & Oshin 2004 , "three sons, and two daughters".
  4. Keane & Gilles 1977 ; Bausch, Sesay & Oshin 2004
  5. Lives in Brief 2004 ; Khan 등(等). 2008
  6. Mellor 2004a ; Bausch, Sesay & Oshin 2004
  7. Bausch, Sesay & Oshin 2004
  8. Donaldson 2009 : "I was so shocked. I had no idea what to do. There was no food or even a safe place to sleep." Hungry and in a state of perpetual danger, he wandered for months around the countryside. "At some point," he said, "I even became numb to the fear."
  9. Obituary: Dr Aniru Conteh 2004 ; Mellor 2004b
  10. Kenema Government Hospital 2011
  11. Gayer, Gopal & Salter 2003
  12. Bausch, Sesay & Oshin 2004 ; Khan 등(等). 2008 ; Morris & Calisher 1997 ; Wright 2004
  13. Okeke 2011 ; Bausch, Sesay & Oshin 2004 ; Bausch et al. 2000
  14. Mellor 2004b
  15. Mellor 2004b ; Merlin's 10th Year Anniversary Awards Event 2003
  16. Donaldson 2009 ; A 2003 WHO/UNHCR report recommended the hiring of additional support staff for Conteh in 2003. See Gayer, Gopal & Salter 2003
  17. Mellor 2004a
  18. Bausch, Sesay & Oshin 2004 ; Wright 2004 : "He spent much of his professional life fighting the disease, and saved thousands of lives by developing a regimen of intensive medical care."
  19. Mellor 2004b : "His skill in diagnosis and treatment was unparalleled, and resulted in a reduction in mortality of suspected Lassa fever cases to around 20 per cent." However, Okeke reports that Conteh's "clinical research and treatment advances contributed greatly to an 80 percent reduction in mortality from the disease by 2000." See Okeke 2011
  20. Kenema Government Hospital 2011 ; Melone 2009
  21. Thomas 2009 ; Heim 2009 ; Soderburg 2009 ; Zuger 2009


  1. Bausch, Sesay & Oshin 2004, pp. 1889?1890
  2. ^ Khan et al. 2008, pp. 111?112
  3. ^ a b c d Wright 2004, p. 1831
  4. ^ a b c Donaldson 2009, pp. 66?68
  5. ^ 아들이 세명(名)이라는 문헌(文獻)과, 네명(名)이라는 문헌(文獻)이 있다.; Mellor 2004b, "four sons, two daughters"; Mellor 2004a: "three sons and two daughters"; Wright 2004, "four sons, and two daughters"; Bausch, Sesay & Oshin 2004, "three sons, and two daughters".
  6. ^ Keane & Gilles 1977, p. 1399; Bausch, Sesay & Oshin 2004, pp. 1889?1890
  7. ^ Lives in Brief 2004; Khan et al. 2008
  8. ^ Mellor 2004a, p. 1078; Bausch, Sesay & Oshin 2004, p. 1889
  9. ^ Wright 2004, p. 1831; Melone 2009: 쥐고기는 이 지역(地域)에서 단백질(蛋白質)의 중요(重要)한 공급원(供給源)이며, 만약(萬若) 그 동물(動物)이 질병(疾病)을 옮기고 있다면, 그 바이러스는 고기를 삶는다면 죽일 수 있다. 그러나, 쥐를 발견(發見)하고 섭취(攝取)할 수 있도록 준비(準備)하는 과정(過程)에서 감염(感染)이 발생(發生)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쥐의 소변(小便)과 대변(大便)을 통해 전염(傳染)되는데, 흡입(吸入), 배설물(排泄物)로 오염(汚染)된 음식(飮食) 섭취(攝取) 또는 피부(皮膚)를 통한 흡수(吸收)를 경로(經路)로 사람의 체내(體內)로 들어올 수 있다.
  10. ^ Donaldson 2009, p. 67: "I was so shocked. I had no idea what to do. There was no food or even a safe place to sleep." Hungry and in a state of perpetual danger, he wandered for months around the countryside. "At some point," he said, "I even became numb to the fear."
  11. ^ Obituary: Dr Aniru Conteh 2004; Mellor 2004b
  12. ^ MHIRT 2009
  13. ^ a b Kenema Government Hospital 2011
  14. ^ Gayer, Gopal & Salter 2003, pp. 6, 8
  15. ^ Bausch, Sesay & Oshin 2004, p. 1889; Khan et al. 2008, p. 104; Morris & Calisher 1997, p. 1458;Wright 2004, p. 1831
  16. ^ a b c Mellor 2004a, p. 1078
  17. ^ Mellor 2004a, p. 1078;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important role of Kenema Government Hospital (KGH), see Okeke 2011, p. 85
  18. ^ Okeke 2011, p. 87; Bausch, Sesay & Oshin 2004, pp. 1889?1890; Bausch et al. 2000, pp. 2670?2677
  19. ^ Mellor 2004b
  20. ^ Mellor 2004b; Merlin's 10th Year Anniversary Awards Event 2003
  21. ^ a b Donaldson 2009, pp. 261?262; A 2003 WHO/UNHCR 보고서(報告書)는 콘테를 위(爲)해 더 많은 인력(人力)을 고용(雇用)할 것을 2003에 권고(勸告)하였다. See Gayer, Gopal & Salter 2003, pp. 6, 8
  22. ^ a b Momodu 2004; Mirza et al. 2005
  23. ^ Bausch, Sesay & Oshin 2004, p. 1889; Wright 2004, p. 1831: "He spent much of his professional life fighting the disease, and saved thousands of lives by developing a regimen of intensive medical care."
  24. ^ Mellor 2004b: "His skill in diagnosis and treatment was unparalleled, and resulted in a reduction in mortality of suspected Lassa fever cases to around 20 per cent." However, Okeke reports that Conteh's "clinical research and treatment advances contributed greatly to an 80 percent reduction in mortality from the disease by 2000." See Okeke 2011, p. 86
  25. ^ Kenema Government Hospital 2011; Melone 2009
  26. ^ Thomas 2009, p. M6; Heim 2009; Soderburg 2009; Zuger 2009, p. D5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추가(追加) 정보(情報) [ 편집(編輯) ]

  • Jalloh, T. (2004년(年) 9월(月) 28일(日)). “Kenema and the Lassa Fever Menace” . 《Concord Times》 . 2011년(年) 9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 Okeke, Iruka N.; Wain, John (November 2008). “Post-genomic challenges for collaborative research in infectious disease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6 (11): 858?64. doi : 10.1038/nrmicro1989 . PMID   18711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