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심우성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심우성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심우성 (沈雨晟, 1934년(年) 6월(月) 28일(日) ~ 2018년(年) 8월(月) 23일(日) )은 충남(忠南) 공주(公州)에서 태어난 민속학자(民俗學者)이자 1인극(人劇) 배우다. [1] 호(號)는 남천이다.

[ 편집(編輯) ]

1934년(年) 충남(忠南) 공주(公州)에서 태어났으며, 대학생(大學生) 시절(時節)인 1954년(年) 부터 1958년(年) 까지 서울중앙방송국(KBS의 전신(前身))에서 아나운서로 일하다가 민속학자(民俗學者) 임석재 선생(先生)의 제안(提案)을 받고 민요(民謠) 채록(採錄)의 길에 뛰어들었다.
탈춤과 농악(農樂), 민요(民謠) 등(等)을 수집(蒐集)해 연구(硏究)했으며 특히(特히) 남사당패(男사당牌) 연구(硏究)에 깊이 파고 들었다. 그 결과(結果) 과거(過去) 광대·백정(白丁)보다도 천시(賤視)받던 유랑집단(流浪集團) '남사당(男사당)'을 예인(曳引)(藝人)으로 격상(格上)시킨 최대(最大) 공로자(功勞者)로서 연희(演戱) 분야(分野) 민속학(民俗學) 개척자(開拓者)라는 평가(評價)를 받는다. [2]
거의 명맥(命脈)이 끊겼던 ' 꼭두각시놀음 '을 1959년(年) 재연(再演)했고, 1965년(年) 인형극회(人形劇會) 남사당(男사당)을 창단(創團)해 이끌었으며, 1966년(年) 한국민속극연구소(韓國民俗劇硏究所)를 설립(設立)했다. 1977년(年)에는 극단(極端) 서낭당(서낭堂)을 창단(創團)해 활동(活動)하는 한편(한便), 1978년(年) 2월(月) 22일(日) 대학로(大學路) 소극장(小劇場) '공간(空間)사랑'에서 열린 ‘제(第)1회(回) 공간(空間) 전통음악(傳統音樂)의 밤’에서 공연기획자(公演企劃者) 겸(兼) 연출가(演出家)로 나서 처음 사물놀이(四物놀이)를 무대(舞臺)에 올렸다. 당시(當時) 공연(公演)에는 이광수(李光洙), 김용배(金容培), 최종실, 김덕수 등(等)이 참여(參與)했다. [3]
1987년(年) 에 ' 아시아1인극협회(人劇協會) '를 만들어 이듬해 1988년(年) 서울 바탕골예술회관(藝術會館) 소극장(小劇場)에서 제(第)1회(回) 아시아1인(人)극제 를 열었다. 그리고 1995년(年) 에는 여러 나라를 돌며 열던 '아시아1인(人)극제'를 공주시(公州市) 에 뿌리내리고자 '공주(公州)아시아1인(人)극제 추진위원회(推進委員會)'를 세워 이듬해 1996년(年) 에 첫 번째(番째) ' 공주(公州)아시아1인(人)극제 '를 시작(始作)하였다. [4]
‘사물놀이(四物놀이)’라는 명칭(名稱)을 창안(創案)한 이로도 알려져 있으며, 역시(亦是) 명맥(命脈)이 거의 끊긴 '발탈' 연구(硏究)에도 1인자(人者)로 손꼽힌다. 그 때문에 '남사당(男사당)놀이'가 2009년(年) 유네스코 인류(人類) 구전(口傳) 및 무형유산(無形遺産) 걸작(傑作)으로 등재(登載)되는 데에 큰 공헌(貢獻)을 한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2] .

약력(略歷) [ 편집(編輯) ]

  • 1953년(年), 공주고등학교 졸업(卒業)
  • 1960년(年), 홍익대(弘益大) 신문(新聞)과 수학(數學)
  • 1966년(年), 극단(極端) '서낭당(서낭堂)' 창단(創團)
  • 1988년(年), 제(第)1회(回) 아시아 1인(人)극제 개최(開催)
  • 2003년(年), 보관문화훈장(寶冠文化勳章) 추서(追敍)
  • 공주민속극박물관(公主民俗劇博物館)(초대(初代) 관장(館長)) 재직(在職)
  •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지도위원(指導委員) 역임(歷任)
  • 한국예술종합학교(韓國藝術綜合學校) 객원교수(客員敎授) 역임(歷任)

저서(著書) [ 편집(編輯) ]

  • 《통일(統一)아리랑》 (2014)
  • 《한국민속학(韓國民俗學)의 기억(記憶)과 기록(記錄)》 (2013)
  • 《한국전통예술개론(韓國傳統藝術槪論)》 (2001)
  • 《한국(韓國)의 민속(民俗)놀이 : 그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2000)
  • 《민속문화(民俗文化)론 서설(序說)》 (1998)
  • 《우리나라 민속(民俗)놀이》 (1996)
  • 《남사당패(男사당牌) 연구(硏究)》 (1994)
  •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총람(總覽)》
  • 《한국(韓國)의 민속극(民俗劇)》
  • 《전통무용용어(傳統舞踊用語)의 연구(硏究)》
  • 《마당굿 연희본(演戱本)》
  • 《민속문화(民俗文化)와 민중의식(民衆意識)》 등(等)

번역서(飜譯書) [ 편집(編輯) ]

  • 《조선무속(朝鮮巫俗)의 연구(硏究)》
  • 《조선민속지(朝鮮民俗地)》
  • 《조선공예(朝鮮工藝) 개관(開館)》

대표(代表) 작품(作品) [ 편집(編輯) ]

《심우성일인극장(日人劇場):쌍두아(雙頭兒)》, 《문(門)》, 《장안산조(長安散調)》, 《무등산조(無等山兆)》, 《남도(南道)들노래》, 《판문점별신굿(板門店別神굿)》, 《넋이야넋이로구나》, 《새야새야》, 《거창별신굿(居昌別神굿)》, 《결혼굿(結婚굿)》, 《 빈센조 》 등(等)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 《서울시문화상(서울市文化相)》(1979년(年))
  • 《보관문화훈장(寶冠文化勳章)》(2003년(年)) 등(等)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승욱 (2018년(年) 8월(月) 23일(日)). “사물놀이(四物놀이) 이름 붙인 1인극(人劇) 거장(巨匠) 심우성 선생(先生) 별세(別世)(종합(綜合))” . 《연합뉴스(聯合뉴스)》 (서울). 2018년(年) 8월(月) 2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8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사물놀이(四物놀이) 이름 붙인 1인극(人劇) 거장(巨匠) 심우성 선생(先生) 별세(別世)
  3. 민속학(民俗學) 거장(巨匠) 심우성 선생(先生) 별세(別世)
  4. 우여곡절(迂餘曲折) 끝에 2007년(年) 부터 거창(巨創)으로 옮겨 지금(只今)은 한대수 씨(氏)에 의(依)해 '거창(居昌) 아시아1인(人)극제'로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