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심권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심권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심권호
기본(基本) 정보(情報)
본명(本名) 심권호
로마자(로마字) 표기(表記) Sim Kwon-ho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출생일(出生日) 1972년(年) 10월(月) 12일(日) ( 1972-10-12 ) (51세(歲))
출생지(出生地) 대한민국(大韓民國) 경기도(京畿道) 광주군(廣州郡)
160cm
스포츠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종목(種目) 레슬링
세부종목(細部種目) 그레코로만형
소속(所屬)팀 주택공사(住宅公社)
코치 방대두
성적(成績)
올림픽 금(金) 1996
금(金) 2000
메달 기록(記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선수(選手)
남자(男子) 레슬링
올림픽
금(金) 1996 애틀랜타 그레코로만형 -48kg
금(金) 2000 시드니 그레코로만형 -54kg
세계(世界)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금(金) 1995 프라하 그레코로만형 -48kg
금(金) 1998 예블레 그레코로만형 -54kg
동(桐) 1993 스톡홀름 그레코로만형 -48kg
아시안 게임
금(金) 1994 히로시마 그레코로만형 -48kg
금(金) 1998 방콕 그레코로만형 -54kg
아시아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금(金) 1995 마닐라 그레코로만형 -48kg
금(金) 1996 항저우 그레코로만형 -48kg
금(金) 1999 타슈켄트 그레코로만형 -54kg
1993 히로시마 그레코로만형 -48kg
동(桐) 1992 테헤란 그레코로만형 -48kg
세계(世界) 주니어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1990 이스탄불 그레코로만형 -46kg
심권호
한글 표기(表記) : 심권호
한자(漢字) 표기(表記) : 沈權虎
개정(改正) 로마자(로마字) 표기(表記) : Sim Gwonho
매큔-라이샤워 표기(表記) : Sim Kw?nho
예일 표기(表記) : Sim Kwenho
공식(公式) 로마자(로마字) 표기(表記): Sim Kwon-ho

심권호 (沈權虎 [1] , 1972년(年) 10월(月) 12일(日)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레슬링 선수(選手), 지도자(指導者)이다. 그레코로만형 선수(選手)로 활동(活動)한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대표적(代表的)인 경량급(輕量級) 레슬링 선수(選手)로 1996년(年) 2000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에서 금메달(金메달)을 획득(獲得)했다. 현재(現在)는 한국토지주택공사(韓國土地住宅公社) (LH)의 부장(部長)으로 재직(在職) 중(中)이다. [2]

초기(初期)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972년(年) 현재(現在)의 경기도(京畿道) 성남시(城南市) 수정구(壽井區) 수진동 에 해당(該當)하는 경기(競技)도 광주군(廣州郡) 중부면 수진리에서 심귀남과 이화순 부부(夫婦)의 아들로 태어났다. 1985년(年) 경기도(京畿道) 성남(城南)문원중학교 2학년(學年) 때부터 레슬링을 시작(始作), 1986년(年) 중학교(中學校) 3학년(學年) 때에 경기(競技)도 소년체전(少年體典)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레슬링 금메달(金메달)을 안겨줬다. [3]

선수(選手) 시절(時節) [ 편집(編輯) ]

1990년(年)에 청소년(靑少年) 대표(代表)팀으로 발탁(拔擢)되었고 그 해 7월(月) 튀르키예 이스탄불 에서 열린 1990년(年) 세계(世界) 주니어 선수권(選手權) 대회(大會) 에서 준우승(準優勝)을 차지했다. 1992년(年)에 처음으로 성인(成人) 국가대표(國家代表)로 발탁(拔擢)되었고 1994년(年) 아시안 게임 때에는 한국(韓國)에 첫 금메달(金메달)을 안겨주었다. [3] 1996년(年) 2000년(年) 올림픽 레슬링 에서 각각(各各) 금메달(金메달) 을 획득(獲得), 단체(團體) 종목(種目)을 제외(除外)하면, 대한민국(大韓民國) 하계(夏季) 올림픽 사상(史上) 최초(最初), 대한민국(大韓民國) 하계(夏季) 올림픽 남자(男子) 선수(選手)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올림픽 2연패(連霸)를 기록(記錄)하였다. [3] [4] [5] 또한, 그레코로만형 48kg급(級)과 54kg급(級)에서 모두 금메달(金메달)을 획득(獲得), 대한민국(大韓民國) 올림픽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2체급(體級) [6] 을 석권(席卷)하였다. [3] 또한,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로, 올림픽 , 세계선수권대회(世界選手權大會) , 아시안 게임 , 아시아선수권대회(選手權大會)를 모두 제패(制霸)한 그랜드 슬램 을 체급(體級)을 달리하여 두 번(番) 달성(達成)하였다. [3] [7] 2001년(年) 최고등급(最高等級)(1등급(等級)) 체육훈장인(體育勳章人) 청룡장(靑龍狀) 을 수훈(授勳)하였다. [8]

스포츠 해설자(解說者) 시절(時節) [ 편집(編輯) ]

2004년(年) 선수(選手) 은퇴(隱退)하며 레슬링 코치를 맡았고, 2004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2008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에서 SBS 레슬링 해설위원(解說委員)으로 활동(活動)했다. 2004년(年) 첫 해설(解說) 때는 솔직(率直)하고 소탈(疏脫)한 해설(解說)로 인터넷에서 인기(人氣)를 얻어 '심권호 어록(語錄)' 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9] [10] 2008년(年) 해설(解說) 때는 막말 해설(解說)로 일부(一部) 언론(言論)에서 비판(批判)을 받기도 했다. [11] 2008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때, 올림픽조직위원회(組織委員會) 선정(選定) 레슬링 명예(名譽)의 전당(殿堂) 에 헌액(獻額)되었다. [7]

선수(選手) 시절(時節) 이후(以後)의 활동(活動) [ 편집(編輯) ]

한국토지주택공사(韓國土地住宅公社) (LH) 위례사업본부(慰禮事業本部) 부장(部長)으로 재직(在職) 중(中)이며, KBS 출발(出發) 드림팀 시즌2 등(等) 다양한 방송(放送) 활동(活動)도 병행(竝行)하고 있다. [12] 또한, 대한(大韓)레슬링협회(協會) 이사(理事)로도 활동(活動)하고 있다. [13] 2014년(年) 9월(月) 국제(國際) 레슬링 연맹(聯盟) (FILA) 선정(選定) 명예(名譽)의 전당(殿堂) 에 헌액(獻額)되었다. 이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이며, 그레코로만형 선수(選手)로는 아시아 최초(最初)이다. [14] [15]

학력(學歷) [ 편집(編輯) ]

수상(首相) 및 수훈(垂訓) [ 편집(編輯) ]

뮤직비디오 [ 편집(編輯) ]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아버지: 심귀남(1942년(年) ~ 2022년(年) 6월(月) 3일(日))
  • 어머니: 이화순(1950년(年) ~ )
  • 형제(兄弟)동생: 심장현, 심은순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세계(世界)레슬링선수권(選手權) 沈權虎 첫 동메달(銅메달)” . 연합뉴스(聯合뉴스). 1993년(年) 9월(月) 18일(日) . 2017년(年) 1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2. 한겨레
  3. 올림픽 영웅(英雄) 작은 거인(巨人) 심권호
  4. 단체(團體) 종목(種目)은 제외(除外)하고 개인(個人) 종목(種目)만 따진다면, 1992년(年)과 1994년(年) 쇼트트랙 김기훈 이 대한민국(大韓民國) 올림픽 사상(史上) 최초(最初), 대한민국(大韓民國) 동계(冬季) 올림픽 사상(史上) 최초(最初), 대한민국(大韓民國) 올림픽 남자(男子) 선수(選手) 사상(史上) 최초(最初), 대한민국(大韓民國) 동계(冬季) 올림픽 남자(男子) 선수(選手)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올림픽 2연패(連霸)를 달성(達成)하였다. 1994년(年)과 1998년(年) 쇼트트랙 전이경 이 대한민국(大韓民國) 동계(冬季) 올림픽 여자(女子) 선수(選手)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올림픽 2연패(連霸)를 달성(達成)하였다. 1996년(年)과 2000년(年) 레슬링 의 심권호는 대한민국(大韓民國) 하계(夏季) 올림픽 사상(史上) 최초(最初), 대한민국(大韓民國) 하계(夏季) 올림픽 남자(男子) 선수(選手)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올림픽 2연패(連霸)를 달성(達成)하였다. 2008년(年)과 2012년(年) 태권도(跆拳道) 황경선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하계(夏季) 올림픽 여자(女子) 선수(選手)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올림픽 2연패(連霸)를 달성(達成)하였다.
  5. 스포츠서울
  6. 육상(陸上) (100M, 200M, 400M, 800M, 1500M, 3000M, 5000M, 10000M, 계주(契主), 멀리뛰기, 마라톤 등(等)) ? 수영(水營) (50M, 100M, 200M, 400M, 계영(繼泳) 등(等)) ? 스피드 스케이팅 (500M, 1000M, 1500M, 3000M, 5000M, 10000M, 팀추월(追越) 등(等)) ? 쇼트트랙 (500M, 1000M, 1500M, 계주(契主))은 한 선수(選手)가 한 대회(大會)에서 여러 종목(種目)에 한꺼번에 동시(同時)에 출전(出戰)할 수 있기 때문에 다관왕(多冠王)이 많이 나오지만, 레슬링 ? 유도(誘導) ? 태권도(跆拳道) ? 권투(拳鬪) 는 체급(體級)이 규제(規制)되어 있으므로, 한 선수(選手)가 한 대회(大會)에서 한 종목(種目)밖에 출전(出戰)하지 못 한다. 그러므로, 레슬링 ? 유도(誘導) ? 태권도(跆拳道) ? 권투(拳鬪)는 애초(애初)에 다관왕(多冠王)이 불가(不可)하다.
  7. 올림픽이 낳은 韓 역대(歷代) 올림픽 스타
  8. 주간한국 - 히딩크에서 이봉주(李鳳柱)까지… 김연아(金姸兒) 청룡장(靑龍狀) 수여(授與)로 본 역대(歷代) 체육인(體育人)
  9. “″배꼽잡는 심권호″ 솔직(率直)·소탈(疏脫) 해설(解說)에 인기폭발(人氣暴發)”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04년(年) 8월(月) 27일(日).  
  10. “<인터넷 유머>심권호 어록(語錄)”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04년(年) 8월(月) 28일(日).  
  11. “심권호, 막말·반말(半말) 해설(解說)에 비난(非難) 쏟아져” . 마이데일리 . 2008년(年) 8월(月) 12일(日).  
  12. 건설경제(建設經濟)
  13. 동아일보(東亞日報)
  14. “‘명예(名譽)의 전당(殿堂)’ 첫 문(門) 연 ‘작은 거인(巨人)’ 심권호 화이팅” . 채널A . 2014년(年) 9월(月) 4일(日).  
  15. “심권호, 한국인(韓國人) 최초(最初)로 레슬링 명예(名譽)의 전당(殿堂) 입회(立會)”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4년(年) 9월(月) 4일(日).  
  16. 스포츠조선 - 코카콜라 체육대상(體育對象) 역대(歷代) 수상자(受賞者) 명단(名單)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