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신약성경(新約聖經)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신약성경(新約聖經)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신약성서(新約聖書) 에서 넘어옴)

신약성경(新約聖經) (新約聖經, 그리스어 : Καιν? Διαθ?κη 카이네 디아테케 [1] [ * ] , 라틴어(語) : Novum Testamentum 노붐 테스타멘툼 [ * ] , 영어(英語) : New Testament, NT ) 또는 신약성서(新約聖書) (新約聖書)는 기독교(基督敎) 경전(經典) 이다. 구약성경(舊約聖經) (OT)을 구약(舊約) 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비(對備)하여 신약(新藥) 이라고 부르며, 총(總) 27권(卷)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내용(內容) 신약성경(新約聖經) 일리어드
사본의수(寫本義手) 24,643 643
원본(元本) 기록연대(記錄連帶) A.D. 40-100 B.C. 900
최초(最初) 사본(寫本) 연대(連帶) A.D. 125 B.C. 400
원본(元本)-최초(最初) 사본(寫本) 시간(時間) 차이(差異) 25년(年) 500년(年)
사본간(寫本間) 오류(誤謬) 0.5% 5%

신약(新約) 성경(聖經)의 일부(一部) 또는 전부(全部)를 포함(包含)한 현존(現存)하는 사본(寫本)은 약(約) 5,000여(餘) 개(個), 번역(飜譯) 사본(寫本)은 약(約) 18,000여(餘) 개(個)로 모두 25,000여(餘) 개(個)의 사본(寫本)이 남아 있다. 신약(新約) 성경(聖經)과 비교(比較)하는 데 가장 좋은 대조(對照) 서적(書籍)으로는 호메로스 일리어드 (Illiad)가 이용(利用)되고 있는데, 그 이유(理由)는 신약(新約) 성경(聖經)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암기(暗記)되고 또 비문(碑文)에 적(敵)히기도 하면서 후세(後世) 사람들에게 문자(文字)와 구두로 전(傳)해졌듯이 호메로스 일리어드 (Illad)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애송(愛誦)되어 지금(只今)까지 전(傳)해 내려왔고 성경(聖經)을 제외(除外)한 고대(古代) 문서(文書) 중(中) 일리어드 (Illad)가 사본(寫本)의 수(數)와 정확도(正確度)에 있어서 고고학적(考古學的)으로 가장 신뢰도(信賴度)가 높기 때문이다

신약성경(新約聖經)의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현재(現在) 일반적(一般的)인 기독교(基督敎) 에서 신약성경(新約聖經)은 4편(篇) 복음서(福音書) 와 사도 행적(行跡)을 기록(記錄)한 1편(篇)의 사도행전(使徒行傳) , 바울로 와 여러 저자(著者)가 각(各) 지방(地方)의 교회(敎會) 공동체(共同體)에 보낸 편지(便紙)와 그리고 종말(終末)에 대(對)한 사도(使徒) 요한 의 예언서(豫言書)인 요한 묵시록(默示錄) 을 한데 모은 것을 가리킨다. 신약성경(新約聖經) 글은 당시(當時) 예수를 믿고 따르던 기독교인(基督敎人)이 서로 다른 지방(地方)에 따른 언어(言語) 차이(差異)를 해소(解消)하기 위한 수단(手段)으로 고대(古代) 그리스어의 범용(汎用) 형태(形態)인 헬레네즘 그리스어 또는 헬라어(語)로 불리는 코이네 그리스어 로 기록(記錄)했다.

신약(新約) 성경(聖經)의 형태(形態)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같은 저자(著者)로 알려진 루(壘)가 복음서(福音書) (누가라고 발음됨)와 사도행전(使徒行傳) 및 마태오, 마르코, 요한 복음서(福音書) 부분(部分)이다. 이 부분(部分)의 글들은, 예수 와 사도(使徒)들의 행적(行跡)을 기록(記錄)함에 초점(焦點)을 맞춘다. 둘째로. 복음서(福音書) 및 사도행전(使徒行傳)을 제외(除外)한 나머지 글은 편지(便紙) 글로서, 이는 예수 승천(昇天) 혹은(或은) 사후(事後) 예수의 제자(弟子)인 사도 들, 즉(卽) 이스가리옷 유다를 제외(除外)한 열두 제자(弟子) 및 파울로스, 기타(其他) 권위(權威)있는 사람(히브리서의 경우(境遇))이(李) 공동체(共同體)에 문제(問題)가 생겼거나 복음(福音)을 정립(定立)할 필요(必要)가 있을 때 쓴 편지글(便紙글)들이다. 이 편지(便紙)들이 성경(聖經)으로 인정받기 전(前)에도, '신앙(信仰)을 올바로 전(傳)하는 글'이라 하여 참고(參考) 문헌(文獻)처럼 널리 읽혀졌다.

2세기(世紀) 중엽(中葉), 마르키온 의 등장(登場)은 초대교회(初代敎會)가 체제(體制)를 정립(正立)하는데 큰 영향(影響)을 미쳤다. 마르키온 은 유대교(유대敎)(구약(舊約))와 기독교(基督敎)(신약(新藥))의 하느님은 전혀(全혀) 다르다고 이해(理解)하여, 초대교회(初代敎會)의 공식적(公式的)인 경전(經典)( 구약성경(舊約聖經) )을 부인(否認)하고, 루카 복음서(福音書) 와 몇가지 파울로스 서신(書信)들을 묶어 새로운 경전(經典)을 주장(主張)하였다. 비록 그의 주장(主張)은 이단(異端)으로 배척(排斥)되었으나, 그의 시도(試圖)로 말미암아 기존(旣存)의 성경(聖經)(구약성서(舊約聖書))만이 아닌 독자적(獨自的)인 새로운 경전(經典) 즉(卽) 신약성경(新約聖經)이 확립(確立)되는 결정적(決定的)인 계기(契機)를 마련하게 되었다. 당시(當時) 초대교회(初代敎會) 내부(內部)의 이단세력(異端勢力) 발흥(發興)에 저항(抵抗)하여 보편교회(普遍敎會)의 직제(職制)를 창시(創始)한 이레네우스 는 4대(大) 복음서(福音書)의 권위(權威)를 강조(强調)하기도 하였다.

정경(情景)의 어원(語源)은 캐논(canon)이다. 캐논(καν?ν, ???)은 ‘곧은 막대(莫大)’인데 규칙(規則), 측정(測定) 혹은(或은) 표준(標準)이라는 의미(意味)가 있다(straight rod, meaning- rule, measure, or standard). [2]

  1. 사도적(使徒的) 저작권(著作權)과 사도적(使徒的) 입증(立證)이다(apostolic authorship or authentication). “곧 거룩한 선지자(先知者)들이 예언(豫言)한 말씀과 주(主) 되신 구주(舊株)께서 너희의 사도(使徒)들로 말미암아 명(命)하신 것을 기억(記憶)하게 하려 하노라.”(벧후 3: 2) “또 모세가 이 율법(律法)을 써서 여호와의 언약궤(言約櫃)를 메는 레위 자손(子孫) 제사장(祭祀場)들과 이스라엘 모든 장로(長老)에게 주고.”(신 31: 9)
  2. 잘 알려진 다른 사도(使徒)들의 기존(旣存) 가르침과 일차(日次)하며 그리스도가 존중(尊重)되는 교리적(敎理的) 내용(內容)(Christ-honouring doctrinal content, in line with the known teaching of other apostles)이다. “너희가 성경(聖經)에서 영생(永生)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聖經)을 연구(硏究)하거니와 이 성경(聖經)이 곧 내게 대(對)하여 증언(證言)하는 것이니라.”(요 5: 39) “또 이르시되 내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너희에게 말한바 곧 모세의 율법(律法)과 선지자(先知者)의 글과 시편(詩篇)에 나를 가리켜 기록(記錄)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한 말이 이것이라 하시고.”(눅 24: 44)
  3. 사도(使徒) 시대(時代)부터 교회(敎會) 안에서 지속적(持續的)으로 인정(認定)되며 영적(靈的) 유익(有益)을 가지고 사용(使用)된 책(冊)들이다(continuous acknowledgment and spiritually fruitful use of the books within the church from the apostolic age). “그러므로 우리는 들은 것에 더욱 유념(留念)함으로 우리가 흘러 떠내려가지 않도록 함이 마땅하니라 천사(天使)들을 통하여 하신 말씀이 견고(堅固)하게 되어 모든 범죄함과 순종(順從)하지 아니함이 공정(公正)한 보응(報應)을 받았거든 우리가 이같이 큰 구원(救援)을 등한히(等閑히) 여기면 어찌 그 보응(報應)을 피(避)하리요 이 구원(救援)은 처음에 주로(主로) 말씀하신 바요 들은 자(者)들이 우리에게 확증(確證)한 바니 하나님도 표적(標的)들과 기사(記事)들과 여러 가지 능력(能力)과 및 자기(自己)의 뜻을 따라 성령(聖靈)이 나누어 주신 것으로써 그들과 함께 증언(證言)하셨느니라.”(히 2: 1-4) “이러므로 우리가 하나님께 끊임없이 감사(感謝)함은 너희가 우리에게 들은 바 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때에 사람의 말로 받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음이니 진실로(眞實로) 그러하도다 이 말씀이 또한 너희 믿는 자(者) 가운데에서 역사(歷史)하느니라.”(살전 2: 13)

이에 따른 당시(當時)의 결론(結論)을 유세비우스의 분류(分類)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호모루구메나(Homolo-goumena)(경전성에 의심(疑心)이 없는 문서(文書)) - 4복음서(福音書), 바울로의 편지(便紙), 베드로가 보낸 첫째 편지(便紙), 요한이 보낸 첫째 편지(便紙)
  2. 안티레고메나(antilegomena, αντιλεγ?μενα)(경전성(經典城)에 논란(論難)의 여지(餘地)가 있는 문서(文書)) - 베드로가 보낸 둘째 편지(便紙), 요한의 둘째, 셋째 편지(便紙), 유다의 편지(便紙), 야고보의 편지(便紙)
  3. 노타(Nota)(경전성(經典性) 인정(認定)은 어려우나, 잘 알려진 문서(文書)) - 베드로 묵시록(默示錄), 요한 묵시록(默示錄) , 디다케 , 바나바의 편지(便紙), 헤르마스의 목자(牧者) 등(等)

유세비우스(Ε?σ?βιο?)가 자신(自身)의 책(冊)(?κκλησιαστικ? ?στορ?α)에서 초대(初代) 교회(敎會)에서 논쟁(論爭)이 되는 성경(聖經) 의 책(冊)들이라고 언급(言及)하면서 시작(始作)되었다. 키릴루스 는 이 중(中)에서 호모루구메나와 안티레고메나를 합(合)쳐 26권(卷)의 목록(目錄)을 만들었는데, 이는 363년(年)의 라오디케아 공의회(公議會)에서 추인(追認)되며 현재(現在)의 신약성경(新約聖經) 구성(構成)을 결정(決定)하는데 뼈대 역할(役割)을 하였다. 이에 아타나시우스 키릴루스 가 '노타'로 분류(分類)했던 요한 묵시록(默示錄) 을 호모루구메나로 보아야 하며 총(銃) 27권(卷)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主張)했고, 결국(結局) 아타나시우스 의 주장(主張)이 관철(貫徹)된 27권(卷)의 신약성서(新約聖書) 구성(構成)은 382년(年) 로마 공의회(公議會)에서 확정(確定)되었다. 397년(年) 카르타고 공의회(公議會) 에서는 44권(卷)(현재(現在) 분류(分類)로는 46권(卷))의 기존(旣存) 구약성경(舊約聖經) 목록(目錄)과 더불어 27권(卷)을 신약정경(新約正經)으로 최종(最終) 인정(認定)하였다.

이러한 결정(決定)에 논란(論難)이 없지는 않았다. 일부(一部) 동방지역(東方地域) 교회(敎會) 보편교회(普遍敎會) 의 일방적(一方的)인 경전(經典) 확정(確定)에 반발(反撥)하였다. 그들은 구약성경(舊約聖經)의 아포크리파 와 신약성경(新約聖經)의 안티레고메나가 제외(除外)되어야 한다고 주장(主張)하기도 하였으나, 결국(結局) 트룰란 에큐메니컬 공의회(公議會)(692)에서 동방교회(東方敎會)는 서방교회(西方敎會) 의 결정(決定) 일부(一部)를 수용(受容)하여 신약성경(新約聖經) 목록(目錄)을 공유(共有)하고, 구약성경(舊約聖經)의 아포크리파 는 일단(一旦) 정경(情景)으로 간주(看做)하되 경독서(警讀書)(아나기그노스코메나, ?ναγιγνωσκ?μενα)로 인정(認定)하여 교리(敎理) 도출(導出)에서 유보적(留保的)인 개선(改善)된 태도(態度)를 택(擇)하였다.

신약성서(新約聖書)와 종교개혁(宗敎改革) [ 편집(編輯) ]

서방교회(西方敎會) 의 변화(變化)를 위해 종교(宗敎) 개혁(改革) 의 기치(旗幟)를 들었던 재야(在野)의 신학자(神學者)들이 기존(旣存) 서방교회(西方敎會) 에서 인정(認定)하는 경전(經典)들의 경전성(經典性)을 비판적(批判的)으로 재검토(再檢討)하는 과정(過程)에서, 구약성경(舊約聖經) 제(第)2 경전(經典) 부분(部分)에서 강(强)한 논쟁(論爭)이 일어나는 바람에 신약성경(新約聖經)은 비교적(比較的) 논란(論難)의 중심(中心)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다만, '오직 믿음'(Sola Fide)을 신봉(信奉)하던 루터 로서는 '행동(行動)하는 믿음'을 강조(强調)하는 야고보서 를 "지푸라기"에 비유(比喩)하고 불에 태우는 등(等) 강도(强度)높게 비난(非難)하기도 하였으나, 최종적(最終的)으로 루터교 를 포함(包含)한 개신교계(改新敎界)에서 그 경전성(經典性)이 부정(否定)되는 결과(結果)까지 이르지는 않았다. 다만 루터 는 성경(聖經)의 각(各) 문헌(文獻) 사이 차등적(差等的)인 권위(權威)를 부여(附與)하는 식(式)으로(Kanon im Kanon) 야고보서 등(等) 그가 배척(排斥)했던 일부(一部) 문헌(文獻)의 영향력(影響力) 약화(弱化)를 유도(誘導)하기 위한 시도(試圖)를 했었다.

이후(以後) 개신교(改新敎) 학자(學者)들 중(中)에서 일부(一部)는 이 야고보서를 ‘문제(問題)의 서‘라 불렀고, 루터 신학자(神學者) 요한 브렌즈는 이것을 외전(外殿)으로, 데이비드 스캐어(David P. Scaer)는 교회(敎會)가 보편적(普遍的)으로 정경(情景)으로 승인(承認)하기에 결핍(缺乏)이 있는 책(冊)들이라 주장(主張)했다.

그렇게 다른 종교개혁자(宗敎改革者)들에게도 구약(舊約) 외전(外電)의 논쟁(論爭)의 비중(比重)이 너무 컸던 나머지, 신약성경(新約聖經) 27권(卷)의 정경화에 대(對)한 논란(論難)은 공론화(公論化)되지 않았다.

신약성경(新約聖經)의 목록(目錄) (총(銃) 27권(卷)) [ 편집(編輯) ]

목록편집(目錄編輯)에 인용(引用)된 성경번역본(聖經飜譯本)은 공동번역성서(共同飜譯聖書) (1977년(年), 대한성서공회(大韓聖書公會))을 기준(基準)으로, 사용자(使用者)가 많은 순서(順序)로 개역개정판(改譯改訂版) (1998년(年), 대한성서공회(大韓聖書公會))과 성경(聖經) (2005년(年), 한국천주교주교회(韓國天主敎主敎會)의)으로 정리(整理)하였다.

복음서(福音書) [ 편집(編輯) ]

사도(四都)의 활동(活動) [ 편집(編輯) ]

바오로 서신(書信) [ 편집(編輯) ]

바울로 서신(書信)에서 골로사이인 편지(便紙), 에페소인(人) 편지(便紙), 데살로니카 둘째 편지(便紙)는 바울로와 타 신학자(神學者)들의 공동(共同) 저작(咀嚼)이거나 차명본(借名本)으로 보며, 디모테오 첫째 편지(便紙), 디모테오 둘재 편지(便紙), 디도 편지(便紙)는 바울로 학파(學派)의 학자(學者)들이 초대교회(初代敎會)를 조직(組織)하기 위한 과정(過程)에서 썼다고 보고, 그 외(外) 서신(書信)들은 바울로의 직접(直接) 저작(著作)으로 본다. 이러한 바울로 서신(書信)의 세가지 분류(分類) 방법(方法)은 대체로(大體로) 지지(支持)를 받고 있다. [3] [4]

발신자(發信者) 불명(不明)의 서간(書簡) [ 편집(編輯) ]

야고보의 서간(書簡) [ 편집(編輯) ]

베드로의 서간(書簡) [ 편집(編輯) ]

성경학자(聖經學者)들은 베드로의 첫째, 둘째 편지(便紙)를 베드로 의 작품(作品)이 아니라, 베드로를 추종(追從)하는 이들이 쓴 문서(文書)로 이해(理解)한다.

요한의 서간(書簡) [ 편집(編輯) ]

유다의 서간(書簡) [ 편집(編輯) ]

묵시록(默示錄) [ 편집(編輯) ]

기독교(基督敎) 종파별(宗派別) 분류(分類) [ 편집(編輯) ]

개신교(改新敎) [ 편집(編輯) ]

1998년(年) 개역개정판(改譯改訂版) (대한성서공회(大韓聖書公會))

천주교회(天主敎會) [ 편집(編輯) ]

2005년(年) 성경(聖經)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 주교회의(主敎會議))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안명준, 한 눈에 보는 성경(聖經) 조직신학(組織神學), 기쁜날, 2014,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코이네 그리스어 발음(發音)을 따름
  2. 안명준, 한 눈에 보는 성경(聖經) 조직신학(組織神學), 기쁜날, 2014, 157-158
  3. 마커스 J. 보그, 존 도미닉 크로산(山). 《첫 번째(番째) 바울의 복음(福音)》 김준우 역(驛). 한국기독교연구소(韓國基督敎硏究所), 2010.
  4. Lightfoot, Joseph Barber (1866). 《St Paul's Epistle to the Galatians》 2판(板). MacMillan & Co. 217쪽.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신약성경(新約聖經)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
  • 소금성경(聖經) - 유튜브를 통해 헬라어(語)와 영어(英語) 성경(聖經)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