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루도비쿠스 2세(歲) 이우니오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루도비쿠스 2세(歲) 이우니오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루도비쿠스 2세(歲) 이우니오르
Ludovicus II Iunior
로마인의 황제(皇帝)
재위(在位) 850년(年)-875년(年) 8월(月) 12일(日)
전임(前任) 로타리우스 1세(歲)
후임(後任) 카롤루스 2세(歲) 칼부스
이탈리아 국왕(國王)
재위(在位) 844년(年) 6월(月) 15일(日)-875년(年) 8월(月) 12일(日)
전임(前任) 로타리우스 1세(歲)
후임(後任) 카롤루스 2세(歲) 칼부스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825년(年) 11월(月) 1일(日)
출생지(出生地) 롬바르디아 브레시아 , 게디
사망일(死亡日) 875년(年) 8월(月) 12일(日)
사망지(死亡地) 롬바르디아 브레시아 , 게디
왕조(王朝) 카롤루스조(兆)
부친(父親) 로타리우스 1세(歲)
모친(母親) 투아르 사람 이르민가르드
배우자(配偶者) 낭트의 엔겔베르가
종교(宗敎) 천주교(天主敎)
묘소(墓所) 밀라노 성(聖) 암브로시우스 교회(敎會)

루도비쿠스 2세(歲) 이우니오르 ( 라틴어(語) : Ludovicus II Iunior , 독일어(獨逸語) : Ludwig II , 이탈리아어(語) : Ludovico II il Giovane , 825년(年) 11월(月) 1일(日) ? 875년(年) 8월(月) 12일(日) )는 845년(年)부터 약(約) 30년(年) 동안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였다. 처음 10년간(年間)은 아버지 로타르 1세(歲) 와 공동(共同) 통치(統治)하였다. 839년(年)에는 이탈리아 군주(君主)라는 직함(職銜)을 갖고, 844년(年)부터는 실제로(實際로) 롬바르디아의 왕(王)이었으며, 850년(年)에는 공동(共同) 황제(皇帝)가 되었다. 855년(年) 9월(月) 부왕(父王)의 은퇴(隱退)로 단독(單獨) 황제(皇帝)가 되었다.

루도비쿠스 1세(歲) 피우스 의 손자(孫子)이자 황제(皇帝) 로타리우스 1세(歲) 의 맏아들로 839년(年)부터는 이탈리아 왕(王) 으로 봉(封)해졌고 844년(年) 6월(月) 15일(日) 로마 에서 교황(敎皇) 세르지오 2세(歲) 에 의(依)해 롬바르디아의 왕(王) 으로 정식(正式) 대관식(戴冠式)을 치렀다. 루트비히 2세(世)는 막강(莫强)한 권력(權力)을 소유(所有)한 채 그리스와 사라센 그리고 해적(海賊)들을 물리쳤다. [1] 그는 사라센 의 침략(侵略)으로 무정부상태(無政府狀態)가 된 이탈리아 정부(政府)의 혼란(混亂)을 수습(收拾)하고, 독자적(獨自的) 정권(政權)을 수립(樹立)하려 했으나 실패(失敗)한다. 그는 재위기간(在位期間) 내내 사라센 족(族)에 시달림을 당(當)해 동(東)로마 제국(帝國) 에 도움을 청(請)하기도 했다. 그러나 동(東)로마 제국(帝國)에서는 그의 황제(皇帝) 칭호(稱號) 사용(使用)에 대(對)해 문제(問題)삼아 외교(外交) 갈등(葛藤)으로 비화(飛火)되었다. 끝내 남자(男子) 후계자(後繼者)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死亡)하여, 그의 사후(死後) 이탈리아 의 영유권(領有權) 및 황제(皇帝) 칭호(稱號)를 놓고 분쟁(紛爭)의 원인(原因)이 된다. 같은 이름을 가진 동프랑크의 국왕(國王) 인(人) 삼촌(三寸)과 구분(區分)을 위해 삼촌(三寸)을 독일왕(獨逸王) 루트비히 , 조카를 이탈리아왕(王) 루트비히로 구별(區別)하기도 한다.

살아생전(살아生前) 그는 로마인의 황제(皇帝)라 칭(稱)했지만, 실제로(實際로) 그는 이탈리아의 황제(皇帝)로 불렸다. [2] 그는 끝까지 자신(自身)을 로마인의 황제(皇帝)(Imperator Romaorum)라 하였지만, 동(東)로마 제국(帝國)에서는 그를 인정(認定)하지 않아 프랑크의 황제(皇帝)(Basileus Phrangias)라 칭(稱)하였다. 서프랑크 왕국(王國)에서도 그를 이탈리아의 황제(皇帝)로 불렀다. 베르가모 의 역사(歷史)가 안드레아스는 "그의 죽음 이후(以後) 이탈리아에 큰 환란(患亂)이 왔다."고 평(評)하기도 했다. [3]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초기(初期) 생애(生涯) [ 편집(編輯) ]

871년(年) 바리 전투(戰鬪)에 출정(出征)한 루트비히 2세(歲)

루트비히 2세(世)는 825년(年) 11월(月) 1일(日) 이탈리아 북서부(北西部) 게디 (Ghedi)에서 로타르 1세(歲) 와 투르 백작(伯爵) 후고(後顧)의 딸 투르의 이르멘가르트 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에게는 친형제(親兄弟)인 로타르 2세(歲) , 프로방스의 샤를 , 그리고 일찍 요절(夭折)한 카를로만 등(等)의 남자(男子) 형제(兄弟)들이 있었다. 그는 같은 이름의 삼촌(三寸)과 구별(區別)하여 황제(皇帝) 루트비히,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로도 부른다. 또한 청년(靑年) 루트비히라는 별칭(別稱)으로도 부르지만, 같은 별명(別名)의 사촌(四寸) 작센 군주(君主) 루트비히 3세(歲) 와의 구별(區別)을 위해 통상(通商)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라 칭(稱)하기도 한다.

유년(幼年) 시절(時節) 그는 할아버지인 경건왕 루트비히의 궁정(宮廷)에서 성장(成長)한 것을 제외(除外)하고는 839년(年) 이전(以前)의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의 행적(行跡)에 대(對)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그는 루트비히 1세(歲) 의 손자(孫子)이자 황제(皇帝) 로타르 1세(歲) 투르의 이르멘가르트 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동생인 샤를은 프로방스와 부르군드를, 동생 로타르는 로렌 지방(地方)을 분봉(分封)받았다. 언젠가 그는 아버지 로타르 1세(歲) 에 의(依)해 롬바르드 공작(工作) 직(職)에 임명(任命)되었다. 839년(年)부터는 부왕(父王) 로타르 1세(歲) 에 의(依)해 이탈리아의 공동(共同) 국왕(國王) 으로 봉(封)해졌다. 즉위(卽位) 초(初), 840년(年) 이탈리아 내(內)의 무슬림과 연합(聯合)한 사라센 인(人)들의 공격(攻擊)을 받았다.

840년(年) 사라센인들은 이탈리아 남부(南部) 풀리아 를 공략(攻略)하여 타란토 를 함락(陷落)시켰다. 타란토는 주민(住民)들 전원(全員)이 이미 다른 지역(地域)으로 대피(待避)한 상태(狀態)였고, 타란토는 이후(以後) 당분간(當分間) 지도상(地圖上)에서 사라졌다.

이탈리아 왕(王) [ 편집(編輯) ]

알자스 스트라스부르크 노트르담 성당(聖堂) 의 북쪽(北쪽) 통로(通路)의 스테인드 글라스에 새겨진 루트비히 2세(歲) (1210년(年)~1270년경(年頃) 사이에 제작(製作))

그는 로마에서 황제(皇帝)의 권리(權利)를 주장(主張)했으나 교황(敎皇) 세르지오 는 단호히(斷乎히) 거절(拒絶)했고, 844년(年) 6월(月) 15일(日) 롬바르드 의 왕(王)으로 즉위(卽位)하였다. 이후(以後) 세르지오가 죽고 후임(後任)이 된 교황(敎皇) 레오 4세(歲) 에 의(依)해 850년(年) 4월(月) 6일(日) 로마 에서 황제(皇帝) 로서의 대관식(戴冠式)을 치러, 아버지 로타르 1세(世)와 공동황제(共同皇帝)가 되었다. 이듬해에는 스폴레토 공작(工作) 아델히스 1세(歲) 의 딸 엥겔베르가(Engelberga)와 결혼(結婚)했고, 엥겔베르가 사후(事後) 851년(年) 삼촌(三寸)인 독일왕(獨逸王) 루트비히 의 딸 이(李)르멘가르트와 결혼(結婚)하였으나 아들이 없었다. 이르멘가르트에게서 얻은 같은 이름의 딸 이(李)르멘가르트는 프로방스 의 유력(有力) 귀족(貴族)인 보(洑)소 (Boso V)에게 출가(出嫁)하였다. 그밖에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낭트의 엥겔베르가 와 사실혼(事實婚) 관계(關係)였지만 아버지 로타르 1세(歲) 의 반대(反對)로 결국(結局) 결혼(結婚)하지 못했다. 루트비히는 851년(年) 10월(月) 5일(日) 스폴레토 공작(工作) 아델히스 의 딸 이(李)르멘베르가와 재혼(再婚)하였다.

그가 롬바르드에서 결혼식(結婚式)을 올리는 동안 시코눌프의 영향력(影響力) 하(下)에 있던 칼라브리아 가 다시 무슬림 군대(軍隊)에 의(依)해 함락(陷落)되었다.

845년(年)부터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자신(自身)이 이탈리아를 직접(直接) 경영(經營)하기 위해 원정(遠征)을 나섰다. 850년(年) 그는 남 이탈리아로 진격(進擊)하여 849년(年)부터 서로 다투던 베네벤토의 공작(工作) 라델히스 1세(歲) (Radelchis I)와 경쟁자(競爭者) 살레르노 의 공작(工作) 사이코눌프 (Siconulf) 사이의 평화협상(平和協商)을 강제(强制)로 하게 했다. 850년(年) 공동황제(共同皇帝)로 즉위(卽位)한 직후(直後), 루트비히는 다시 베네벤토 롬바르드인(人) 공작(工作) 라델히스 1세(歲) , 살레르노 의 공작(工作) 사이코눌프 와 평화협정(平和協定)을 체결(締結)하였다. 루트비히의 중재(仲裁)는 롬바르디아 공국(公國)을 분할(分割)하여 베네벤토의 라델히스 1세(世)와 사이코눌프가 나눠 갖고, 살레르노를 독립(獨立) 공국(公國)으로 인정(認定)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루트비히의 중재(仲裁)를 거부(拒否)했고, 라델히스 1세(歲) 에게는 당시(當時) 사라센 인(人) 용병(傭兵)이 없었다. 이 무렵 시칠리아 에는 사라센 군(軍)이 쳐들어왔지만 시칠리아는 겨우 사라센 군(君)을 격퇴(擊退)하였다.

북부(北部) 이탈리아 제어(制御) [ 편집(編輯) ]

851년(年) 루트비히는 이탈리아 에 독립(獨立) 정부(政府) 수립(樹立)을 계획(計劃)하였다. 850년(年)부터 866년(年) 그는 사라센 의 침입(侵入)으로 사실상(事實上) 무정부상태화(無政府狀態火) 된 롬바르디아 왕국(王國)의 정국혼란(政局混亂)을 수습(收拾)하고 독자적(獨自的) 정권(政權)을 수립(樹立)하려 했다. 그 첫 시작(始作)으로 850년(年) 그는 이탈리아 남부(南部) 풀리아 를 공략(攻掠)하였으나 실패(失敗)하였다. 그는 즉위(卽位) 기간(期間) 내내 로마 지역(地域) 문제(問題)에 신경(神經)써야 했고, 다른 프랑크 지역(地域)의 주권(主權)은 사실상(事實上) 포기(抛棄)하게 되었다.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바로 이탈리아 남부(南部) 지방(地方)의 갈등(葛藤)을 해결(解決)하고자 남부(南部)로 내려가 베네벤토 공작(工作) 라델히스 1세(歲)(Radelchis I)와 살레르노 공작(工作) 시코눌프(Siconulf) 사이에 협상(協商)을 요구(要求)했다.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의 중재(仲裁)로 롬바르디아 지역(地域)이 분할(分轄)되었고 라델히스 1세(歲)(Radelchis I)에게는 그의 베네벤토 영지(領地) 이외(以外)에 롬바르디아를 분할(分割)한 일부(一部) 영지(領地)를 그의 몫으로 주고, 살레르노 공작(工作) 시코눌프에게는 살레르노를 독립(獨立) 공국(公國)으로 승인(承認)한다는 조건(條件)을 제시(提示)하여 양자간(兩者間) 갈등(葛藤)을 봉합(縫合)하였다.

851년(年) 10월(月) 5일(日) 수포(水泡)니드 가문(家門) 출신(出身) 스폴레토 공작(工作) 아델히스 1세(歲)의 딸인 낭트의 엔겔베르가와 결혼(結婚)하였다. 그의 처가(妻家)인 수포(水泡)니드 가문(家門)과, 그밖에 이탈리아의 다른 귀족가문인(貴族家門人) 운(韻)로키데스 가문(家門)은 이탈리아 내(內) 카롤링거 왕조(王朝) 의 주요(主要) 가신(家臣) 가문(家門)들이었다. 그밖에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프랑크의 귀족(貴族) 가문(家門)을 북부(北部)와 중부(中部) 이탈리아로 일부(一部) 이주시켰다.

851년(年)부터 852년(年) 사라센 족(族)들은 계속(繼續) 이탈리아로 쳐들어왔고, 몬테 카시노 생(生) 빈센초(初) 의 수도원(修道院)을 약탈(掠奪)했다. 그는 바리 지역(地域)을 겨우 탈환(奪還)하였다. 루트비히는 베네벤토 공국(公國)과 수도원(修道院) 인질(人質)에 대(對)한 몸값을 사라센인들에게 지불(支拂)하고, 되찾아와야 했다. 그러나 866년(年)부터 871년(年) 사라센군(軍)은 다시 쳐들어온다. 853년(年) 12월(月) 루트비히는 교황(敎皇) 레오 4세(歲)의 비난(非難)을 피(避)해 파비아 에서 제국의회(帝國議會)를 개최(開催)하였다. 루트비히는 이탈리아에서 분쟁(紛爭)을 조정(調整)하고 853년(年) 반란(叛亂)을 일으킨 살레르노 의 섭정(攝政) 페트로를 살레르노의 공작(工作)으로 인정(認定)해 주었고, 사라센 용병(傭兵)들의 반란(叛亂)을 무자비(無慈悲)하게 진압(鎭壓)하였다.

853년(年) 12월(月) 살레르노 공작(工作) 페트로의 섭정(攝政)이 되었다.

루트비히는 이탈리아의 북부(北部)와 중부(中部)에서 자신(自身)의 존재(存在)를 재확인(再確認)시키고, 북부(北部) 지역(地域)을 제어(制御)하려 하였다. 이브레아 의 후작(後作)인 베렝가르 나 스폴레토의 수포(水泡)니드 가문(家門) 출신(出身) 공작(孔雀)들, 토스카나의 아달베르트 1세(歲) 등(等)은 카롤링거 왕가(王家)의 봉신임을 고백(告白)하고, 그에게 충성(忠誠)을 맹약(盟約)하였다.

황제(皇帝) 즉위(卽位) 이후(以後) [ 편집(編輯) ]

루트비히 2세(歲)
아델히스 에서 발견(發見)된 루도비쿠스 2세(世) 시대(時代)의 데나리온 동전(銅錢)

855년(年) 아버지 황제(皇帝) 로타르 1세(歲) 가 사퇴(辭退)하고 프륌 의 수도원(修道院)에 들어가면서 [4] 그는 단독황제(單獨皇帝)가 되었으나, 그는 다른 프랑크 왕국(王國)들에 대(對)한 종주권(宗主權) 포기(抛棄)를 선언(宣言)하였다. 그러나 루트비히는 자신(自身)의 영토(領土)가 이탈리아에 한정(限定)되어 불만(不滿)이 많았고 삼촌(三寸) 독일왕(獨逸王) 루트비히 와 연합(聯合)하여 친동생(親同生)인 로타링기아(起亞) 의 왕(王) 로타르 2세(歲) 와 또 다른 삼촌(三寸)인 대머리왕(王) 카를 에 대항(對抗)하였다. 그러나 858년(年) 니콜라오 를 새로운 교황(敎皇)에 임명하는 데 성공(成功)하자 동생 로타르와 화해(和解)하고 동생의 이혼(離婚)을 도와주는 조건(條件)으로 영토(領土)의 일부(一部)를 양도(讓渡)받았다.

863년(年) 셋째 동생 샤를 이 죽자 루트비히는 프로방스 를 자신(自身)의 영토(領土)로 만들었고, 프로방스의 국왕(國王) 직책(職責)과 부르고뉴, 리옹, 비엔나 등(等)을 차지했다. 샤를 은 자신(自身)의 후계자(後繼者)로 둘째 형(兄) 로타르 2세(歲)를 지목(指目)하고 죽었으므로 로타르는 반발(反撥)했다.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와 로타르 2세(歲)의 갈등(葛藤)은 루트비히가 부르고뉴 의 일부(一部)를 받는 선(線)에서 합의(合意)롤 보고 종결(終結)되었다. 이듬해에는 동생 로타르 2세(歲)의 이혼(離婚)과 관련(關聯)하여 동생 로타르 2세(世)의 편(便)을 들어 교황(敎皇) 니콜라오 1세(歲) 와 충돌(衝突)을 빚었다.

프로방스에 갈 수 없었던 루트비히는 대리인(代理人)으로 아달베르트 백작(伯爵)을 파견(派遣)하여 프로방스를 통치(統治)하게 했다.

그는 로타르 2세(歲)의 이혼(離婚)을 합법화(合法化)한 독일(獨逸) 대주교(大主敎) 들을 지지(支持)하였고, 이를 반대(反對)하는 교황(敎皇) 니콜라오 1세(歲) 를 응징(膺懲)하기 위해 864년(年) 2월(月) 군대(軍隊)를 이끌고 교황(敎皇) 니콜라오 1세(世)에게 면직(免職)된 대주교(大主敎)들과 로마 를 방문(訪問)했다. 그러나 곧 루트비히는 열병(熱病) 에 걸리는 바람에 교황(敎皇)과 휴전(休戰)하고 로마를 떠나야 했다. 루트비히는 이탈리아의 질서(秩序)를 회복(回復)하고자 했지만 이탈리아의 귀족(貴族)들의 다툼과 사라센의 침략(侵略)으로 고전(苦戰)을 면(免)치 못했다. 이후(以後) 로타르와 화해(和解)하고 로타르는 그에게 쥐라산맥 남쪽(南쪽)의 땅을 선물(膳物)로 주었다. 864년(年) 로타르 2세(世)는 루트비히에게 샤를 의 영지(領地) 일부(一部)를 요구(要求)했다. 그는 로타르 2세(歲)의 요구(要求)를 받아들여, 샤를의 영토(領土) 중(中) 부르고뉴를 로타르에게 넘겨주었다.

로타르 2세(世)가 자신(自身)의 아들을 낳아준 발트라다 와 재혼(再婚)하려 하자, 864년(年) 로타르 2세(歲)의 재혼(再婚)에 찬성(贊成)하여 로마를 방문(訪問), 교황(敎皇) 니콜라스 1세(歲) 에게 로타르 2세(歲)의 결혼(結婚)을 허락(許諾)해달라고 강요(强要)하였다.

그러나 869년(年) 로타르 2세(世)가 죽었을 때는 병(病)을 앓고 있어 루트비히는 결국(結局) 로타르의 영토(領土) 처리문제(處理問題)에 개입(介入)하지 못했고, 삼촌(三寸) 루트비히 독일인(獨逸人)과 대머리 카를이(二) 나눠갖게 된다. 대머리 카를은 로타링기아(起亞)의 동쪽(東쪽) 베스트팔리아 를, 독일인(獨逸人) 루트비히는 프랑코니아(프랑켄)을 차지했다.

사라센의 침공(侵攻) [ 편집(編輯) ]

루트비히 2세(歲)의 묘비(墓碑) ( 밀라노 )

866년(年)부터 871년(年) 사라센 족(族)은 다시 이탈리아 를 침공(侵攻)하였다. 바리 일대(一帶)에 정착(定着)하기 시작(始作)한 사라센인들은 아드리아만 까지 영향력(影響力)을 확장(擴張)했고, 이후(以後) 이탈리아 남부(南部) 및 지중해(地中海) 일대(一帶)를 약탈(掠奪)했다. 루트비히는 동(東)로마 황제(皇帝) 바실리우스 와 동맹(同盟)을 체결(締結)하고, 공동(共同)으로 사라센 족(族)과의 전쟁(戰爭)에 돌입(突入)했다.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866년(年)부터 871년(年)까지 계속(繼續) 남부(南部) 이탈리아에 체류(滯留)하였다.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직접(直接) 프랑크족 보병(步兵) 부대(部隊)와 기병(起兵), 그밖에 동(東)로마 제국(帝國) 에서 파견(派遣)한 기병대(騎兵隊)를 지휘(指揮)하며 바리 요새를 공략(攻掠)했다.

그는 사라센 의 침략(侵略)에서 이탈리아를 수호(守護)하기 위해 교황(敎皇) 요한네스 8세(歲) 와 동맹(同盟)을 체결(締結)하였다. 866년(年) 사라센 군대(軍隊)가 쳐들어왔고, 그는 동맹(同盟) 내지(乃至)는 지원(支援) 요청(要請)할 대상(對象)을 알아보았다. [5] 866년(年) 부터 그는 사라센 침략군(侵略軍)을 완전히(完全히) 격퇴(擊退)하려고 했지만, 병력(兵力)과 함대(艦隊)가 부족(不足)하여 뜻을 이룰 수 없었고 비잔티움 제국(帝國) 의 황제(皇帝) 미카일 3세(歲) 바실리우스 1세(歲) 의 도움을 요청(要請)했다. 한편(한便) 비잔티움 제국(帝國) 황제(皇帝) 바실리우스 1세(世)는 그에게 자신(自身)의 아들과 루트비히가 이르멘가르트 사이에서 얻은 딸들 중(中)의 한명(名)을 결혼(結婚)시키기로 제의(提議)하여 이를 받아들였다. 871년(年) 그는 비잔티움 황제(皇帝) 바실리우스의 지원군(支援軍)에 힘입어 사라센족(族)의 거점(據點)인 바리 를 탈환(奪還)하는 데 성공(成功)했다. 그러나 루트비히의 황제(皇帝) 지위(地位)를 로마 황제(皇帝)로 인정(認定)하느냐, 마느냐를 놓고 갈등(葛藤)하게 된다.

868년(年) 3월(月) 루트비히는 동(東)로마의 바실리우스와 그의 아들과 자신(自身)의 딸 간(間)의 혼담(婚談)을 주고받았으나 곧 결렬(決裂)되었다.

한편(한便) 869년(年)에 동생 로타르 2세(世)가 죽었는데, 이때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남쪽(南쪽)으로 올라오는 사라센 인(燐)을 상대(相對)해야 했으므로 로타르 2세(歲) 의 유산(遺産) 상속(相續)에 참석(參席)하지 못했다. 로타르의 영토(領土)인 로타링기아를 자기(自己)의 땅으로 만들지 못하고 870년(年)는 두명(名)의 삼촌(三寸) 독일왕(獨逸王) 루트비히와 대머리 카를이(二) 메르센 조약(條約) 으로 그 땅을 차지하고 말았다. 루트비히는 두 삼촌(三寸)에 대(對)해 전쟁(戰爭)을 벌였지만 실패(失敗)하고, 베네벤토 공국(公國) 을 북부(北部) 이탈리아로 편입(編入)하는 선(線)에서 종전(從前)하였다. 그러는 동안 비잔티움 황제(皇帝) 바실리우스와도 사이가 벌어졌는데, 871년(年) 사라센 군대(軍隊)를 이탈리아에서 몰아낸 직후(直後), 바실리우스는 루트비히를 단순히(單純히) 프랑크 왕(王) 이라고만 불렀고, 루트비히는 스스로를 "로마인의 황제(皇帝)"( Imperator Romaorum )로 칭(稱)하여 갈등(葛藤)이 있었다. 동(東)로마에서는 프랑크 족(族) 군대(軍隊)의 무절제(無節制)함과 게으름을 지적(指摘)하면서 경멸적(輕蔑的)인 서신(書信)을 보내왔다. 루트비히는 자신(自身)이 비잔티움 황제(皇帝) 에게 모욕당했다고 여겨, 동(東)로마 제국(帝國) 언어(言語)로 자신(自身)이 로마인 의 황제(皇帝)임을 강조(强調)했다. 동(東)로마에서는 샤를마뉴 가 불법(不法)으로 로마 황제(皇帝)를 칭(稱)한다고 반박(反駁)했고, 공식(公式) 외교문서(外交文書) 외(外)에 공석(空席), 사석(私席)에서도 루트비히를 프랑크의 황제(皇帝)(Basileus Phrangias)라고 불렀다. 동(東)로마 제국(帝國) 은 자신(自身)이 로마 제국(帝國) 의 적통(嫡統)이라 주장(主張)했었고, 바실리우스 1세(世)는 로타르의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의 지위(地位)를 인정(認定)할 수 없다고 주장(主張)했다. 바실리우스 1세(世)는 샤를마뉴의 황제(皇帝)로서의 지위(地位)는 합법적(合法的)인 지위(地位)가 아니라고 명시(明示)하였다. 한편(한便) 서프랑크 왕국(王國) 에서도 그를 황제(皇帝)라 칭(稱)하지 않고, "이탈리아 황제(皇帝)"(imperator Italiae)로 불렀다.

871년(年) 8월(月) 병석(病席)에서 일어나 다시 정무(政務)를 주관(主管)하였다. 871년(年) 8월(月) 루트비히 2세(世)는 베네벤토에 가서 다시 사라센 원정(遠征)을 준비(準備)하려 했으나, 베네덴토(土) 공작(工作) 아델히스(Adelchis of Benevento)에 의(依)해 감옥(監獄)에 감금당했다. 같은 달 사라센인들이 대규모(大規模) 군사(軍事)를 이끌고 이탈리아에 상륙(上陸)했고, 사라센을 막는 일이 급(急)했던 아델히스는 다시는 베네벤토에 쳐들어오지 않고, 감금(監禁)한 것에 대(對)한 보복(報復)하지 않는 조건(條件)으로 루트비히를 풀어주었다.

한편(한便) 루트비히 2세(世)는 이탈리아]를 요구(要求)하는 동(東)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 바실리우스 2세(歲) 와 협상(協商)을 벌였다. 그러나 비잔티움 제국(帝國) 측(側)에서는 이탈리아는 원래(元來) 로마 제국(帝國) 의 것이었다며, 로마인의 혈통(血統)도 아니고 프랑크족의 후손(後孫)인 그에게는 로마 지역(地域) 통치권(統治權)이 없다고 반박(反駁)했다. 이탈리아 남부(南部)에 대(對)한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영향력(影響力)은 역시(亦是) 동(東)로마 제국(帝國)을 종주국(宗主國)으로 보든 베네벤토의 롬바르드 공작령의 도움으로 탄탄했고, 대(臺)(大) 니케포(抛)루스 포카스 등(等)은 수시로(隨時로) 이탈리아를 방문(訪問)했다. 루트비히 2세(世)는 바실리우스 1세(歲)의 행동(行動)은 무효(無效)이자 신의(信義)를 저버리는 것이라 비판(批判)했지만 바실리우스 1세(世)는 이를 듣지 않고, 계속(繼續) 이탈리아의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하고 이탈리아 지방(地方)은 칼라브리아 랑고바르디아 라는 두 속주(屬州)로 나누었다.

최후(最後) [ 편집(編輯) ]

루트비히는 타렌툼 및 이탈리아의 서남부(西南部) 해변(海邊)에서 사라센 족(足)을 완전히(完全히) 몰아내고 칼라브리아 지역(地域) 등(等)을 사라센의 영향력(影響力)에서 회복(回復)하려 하였으나 끝내 실패(失敗)하였다. 동(東)로마 제국(帝國) 의 황제(皇帝) 바실리우스 2세(歲) 는 점차(漸次)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에게 보내는 편지(便紙)에 왕(王)(Rex) 또는 레가(Rega), 바실리우스, 혹은(或은) 왕(王) 또는 자칭(自稱) 프랑크족과 롬바르드족(族)의 황제(皇帝)에게 라는 식(式)으로 칭(稱)하였다.

베네벤토의 공작(工作) 아델히스는 사라센 용병(傭兵)들을 고용(雇用)하여 그에게 저항(抵抗)했다. 871년(年) 8월(月) 루트비히는 군사(軍士)를 일으켜 베네벤토의 공작인(工作人) 아델키스와 싸웠지만, 같은 달 베네벤토 공국(公國) 의 육군(陸軍) 병사(兵士)에 의(依)해 포로(捕虜)가 되었고, 다시는 공작령을 침범(侵犯)하거나 개입(介入)하지 않는다는 서약(誓約)을 한 뒤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또한 이탈리아 북부(北部)의 일부(一部)를 베네벤토 공국(公國)에 넘겨주어야 했다. 루트비히는 자신(自身)의 서약(誓約)을 공개(公開)했다.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가 베네벤토에 억류(抑留)되어 있을 때 그가 죽었다는 소문(所聞)이 전파(傳播)되었다. [6] 바로 서프랑크 대머리 카를 2세(歲) 동(東)프랑크 독일인(獨逸人) 루트비히 는 바로 이탈리아로 군대(軍隊)를 보냈짐나, 생존(生存)해 있던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그들의 군대(軍隊)를 물리쳤다. [7] 그러나 872년(年) 5월(月) 18일(日) 교황(敎皇) 하드리아노(盧) 1세(歲) 는 루트비히에게 다시 제관(祭官)을 수여(授與)한 뒤, 그 서약(誓約)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선언(宣言)하였다. 이에 힘입어 그는 카푸아 의 사라센족(族)을 몰아내고, 다시 베네벤토 공작(工作)을 응징(膺懲)하려 했으나 베네벤토 공작(工作) 응징(膺懲)은 실패(失敗)하고 북부(北部) 이탈리아로 물러났다.

루트비히는 베네벤토 원정(遠征)을 준비(準備)하던 중(中) 875년(年) 8월(月) 12일(日) 롬바르디아 브레시아 근처(近處) 게디(Ghedi)에서 죽었다. 아들이 없던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는 유언(遺言)으로 독일인(獨逸人) 루트비히의 아들이며, 자신(自身)의 처남(妻男)이자 사촌(四寸)인 바이에른의 카를로만 을 후계자(後繼者)로 지목(指目)하였다. 그의 시신(屍身)은 밀라노 성(聖) 암브로시우스 교회(敎會)에 본당(本堂) 왼쪽 벽(壁)에 안치(安置)되었다.

사후(事後) [ 편집(編輯) ]

첫 부인(夫人)인 낭트의 엔겔베르그에게서 얻은 두 아들은 어려서 요절(夭折)하였다. 적통(嫡統) 남자(男子) 후계자(後繼者)가 없던 이탈리아의 루트비히는 죽으면서 사촌(四寸) 동(東)프랑크 카를만 을 후계자(後繼者)로 지명(指名)하였다. 그러나 서프랑크 의 대머리 카를 2세(歲) 가 알프스를 넘어 그해 12월(月)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관(皇帝冠)을 차지하고 돌아갔다. 삼촌(三寸) 독일인(獨逸人) 루트비히 와 사촌(四寸) 카를만은 반발(反撥)했고 다시 독일인(獨逸人) 루트비히, 대머리 카를이(二) 연(連)이어 사망(死亡)할 때까지 내전(內戰)은 계속(繼續)되었다.

한편(한便) 이탈리아인(人) 루트비히의 사망(死亡) 소식(消息)을 처음 접(接)한 것은 서(西)프랑크의 대머리 카를 2세(歲) 라 한다. [8]

후일(後日) 그의 아내 엥겔베르가는 사위 보소 5세(歲) 프로방스 에서 왕(王)으로 즉위(卽位)하는 것을 지지(支持)했다가, 분노(憤怒)한 비만왕(肥滿王) 카를 3세(歲) 에 의(依)해 879년(年) 10월(月) 15일(日) 체포(逮捕)되어 슈바벤 으로 추방(追放)되었다가, 882년(年) 이탈리아로 돌아와 여생(餘生)을 보냈다.

그가 손에 넣으려던 이탈리아 동남부(東南部) 바리 일대(一帶)는 875년(年) 이후(以後) 이탈리아의 왕좌(王座)를 차지했던 그의 후임자(後任者)들이 더이상(以上) 관여(關與)하지 못해, 결국(結局) 동(東)로마 제국(帝國) 령(嶺)으로 넘어가게 된다. [9] 또한 칼라브리아 는 그의 사후(死後) 바로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종주권(宗主權)을 인정(認定)하고 그에 편입(編入)되었다.

가계(家計) [ 편집(編輯) ]

루트비히 2세(歲)의 석관묘(石棺墓)

같은 이름을 가진 두 명(名)의 루트비히 2세(世)는 할아버지 경건왕 루트비히의 셋째 아들인 동프랑크 국왕(國王)과, 또다른 손자(孫子)이자 배다른 삼촌(三寸) 대머리왕(王) 카를 의 아들이다. 이들은 모두 루트비히의 할아버지인 프랑크 왕국(王國) 총괄(總括) 국왕(國王) 루트비히 1세(歲) 경건왕 에게서 계산(計算)했을 때, 각각(各各) 루트비히 2세(世)가 되는 것이다.

  • 조부(祖父) : 루트비히 1세(歲) 경건왕
  • 부왕(父王) : 로타르 1세(歲) (795년(年)~855년(年)): 중(重)프랑크 왕(王)(818~855), 신성(神聖)로마황제(皇帝)(840~855)
  • 어머니 : 이르멘가르트
    • 누이 : 이르멘가르트
    • 매형(妹兄) : 바이에른의 카를만 , 숙부(叔父) 독일왕(獨逸王) 루트비히, 루트비히2세(歲)의 아들이자 사촌형제(四寸兄弟)
    • 동생 : 로타르 2세(歲) (835~869), 로타링기아(起亞)의 왕(王)
    • 동생 : 프로방스의 샤를 (?~863), 부르고뉴와 프로방스의 왕(王)(856~863)
  • 숙부(叔父) : 페펭 (797년(年)~838년(年)) : 아키텐의 왕(王) 피핀 이라고도 부른다.
  • 숙부(叔父) : 루트비히 2세(歲) (805??875?, 876?) : 바이에른의 왕(王)(817~875),동(銅) 프랑크 왕(王)(843~875), 루트비히 독일왕(獨逸王)이라도 부름
  • 숙부(叔父) : 대머리 카를 , 카롤루스 2세(歲)(823~877) : 서프랑크 왕(王)(840~877), 신성(神聖)로마황제(皇帝)(875~877)
  • 부인(否認) : 낭트의 엥겔베르가(Engelberga 또는 Angilberga, ? - 896년(年) / 901년(年) 3월(月) 23일(日) 사망(死亡))
    • 아들 : 루트비히, 요절(腰絶)
    • 아들 : 카를, 요절(腰絶)
  • 부인(否認) : 이르멘가르트(Irmangard), 숙부(叔父) 독일왕(獨逸王) 루트비히, 루트비히2세(歲)의 딸이자 사촌여동생(四寸女同生), 사촌(四寸) 바이에른의 카를만(萬)에게 여동생(女同生)을 시집보내 겹사돈(겹査頓)을 맺음
  • 부인(否認) : 스폴레토의 이르멘베르가(Irmanberga, 830년(年) ~ ?)
  • 기타
    • 서자(庶子) : 카를로만(Carloman)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박래식, 《이야기 독일사(獨逸史)》 (청아출판사, 2006) 44페이지
  2. Annales Bertiniani, anno 856, Pag 90
  3. Post cuius obitum magna tribulatio in Italia advenit. Andreas, Historia in Georg Waitz (ed.), MGH SS rerum Langobardicarum (Hannover: 1878), 222?30, §18.
  4. 로타르 1세(世)는 그 해에 사망(死亡)했다는 설(說)이 통설(通說)이지만 885년(年)까지도 생존(生存)해 있었다는 설(說)이 있다.
  5. Pierre Riche,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transl. Michael Idomir Alle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3), 182
  6. Annales Bertiniani, anno 871, p. 224
  7. Annales Bertiniani, anno 871, p. 225
  8. Annales Bertiniani, anno 875, p. 241
  9. Louis Halphen Charlemagne et l'empire carolingien Albin Michel reedition 1968 p. 353-359.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 Annales Bertiniani and Chronica S. Benedicti Casinensis , both in the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 Scriptores , Bande i. and iii. (Hanover and Berlin, 1826 fol.)
  • Muhlbacher, E. Die Regesten des Kaiserreichs unter den Karolingern (Innsbruck, 1881)
  • Sickel, T. Acta regum et imperatorum Karolinorum, digesta et enarrata (Vienna, 1867?1868)
  • Dummler, E. Geschichte des ostfrankischen Reiches (Leipzig, 1887?1888).
  • Oman, Charles . The Dark Ages 476?918 . London: Rivingtons, 1914.
  • Rudolf Schieffer: Die Zeit des karolingischen Grossreichs, 714 ? 887 in: Bruno Gebhardt: Handbuch der deutschen Geschichte Band 2. Klett-Cotta, Stuttgart 2005, 10. vollig neu bearbeitete Auflage, ISBN   3-608-60002-7 , S. 144
전임(前任)
로타르 1세(歲)
이탈리아 왕(王)
839년(年) - 875년(年)
후임(後任)
카를 대머리왕(王)
전임(前任)
로타르 1세(歲)
중(中) 프랑크 왕(王)
855년(年) - 875년(年)
후임(後任)
(왕국(王國) 해체(解體))
전임(前任)
로타르 1세(歲)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
855년(年) - 875년(年)
후임(後任)
카를 대머리왕(王)
전임(前任)
프로방스의 샤를
프로방스 의 왕(王)
863년(年) - 875년(年)
후임(後任)
카를 대머리왕(王)
전임(前任)
로타르 2세(歲)
부르군드 의 왕(王)
869년(年) - 875년(年)
후임(後任)
카를 대머리왕(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