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시사(示唆)IN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시사(示唆)IN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시사(示唆)IN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간행주기(刊行週期) 주간(週間)(週刊)
종류(種類) 시사주간지(時事週刊誌)
판형(板形) 5·7배판(倍版)
분야(分野) 정치(政治), 사회(社會)
창간일(創刊日) 2007년(年) 8월(月) 29일(日)
가격(價格) 1부당(部當) 4,000원
발행법인(發行法人) (주(週))참언론(言論)
발행인(發行人) 표완수
편집인(編輯人) 이숙이
웹사이트 공식(公式)홈페이지 , 공식(公式)블로그

시사(示唆)IN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잡지 이다. 주로(主로) 정치(政治)와 사회(社會) 분야(分野)를 다루는 시사주간지(時事週刊誌)이다.

시사저널 삼성기사(三星記事) 삭제(削除) 사건(事件) 으로 촉발(觸發)된 《 시사저널 》 편집권(編輯權) 독립(獨立) 문제(問題)로 인해 시사저널에서 퇴사(退社)한 기자(記者)들을 중심(中心)으로 만들어졌으며, 2007년(年) 9월(月) 25일(日) 창간호(創刊號)를 발행(發行)하였다.

신문잡지부수공사기구(新聞雜誌部數公社機構)인 한국(韓國)ABC협회(協會) 가 전국(全國) 시사주간지(時事週刊誌)를 포함(包含)한 잡지 134개(個)의 [2011년(年) 7월(月)~2012년(年) 6월(月)] 기간(期間)의 유료부수(有料部數) 조사(調査) 결과(結果)를 2013년(年) 5월(月)29일(日)에 발표(發表)했는데, 《시사IN》이(李) 유료부수(有料部數) 4만(萬) 6916부(部), 배포부수(配布部數) 4만(萬) 8769부(部)로 시사(時事) 주간지(週刊誌)와 경제(經濟) 주간지(週刊誌)를 통틀어 1위(位)를 기록(記錄)했다. 지난해까지 시사(時事) 주간지(週刊誌) 1위(位)였던 《 한겨레21 》은 유가(有價) 부수(附隨) 4만(萬)2394부(部)로 2위(位)가 됐다. 주진우 , 고재열 등(等)이 기자(記者)로 있다.

창간(創刊)의 발단(發端): 시사저널 삼성기사(三星記事) 삭제(削除) 사건(事件) [ 편집(編輯) ]

2006년(年) 6월(月) 15일(日) 삼성(三星) 관련(關聯) 기사(記事)와 관련(關聯)해 삼성(三星) 쪽으로부터 전화(電話)를 받은 금창태 시사저널 사장(社長)이 기사(記事)를 뺄 것을 지시(指示)하였다. 그러나 이윤삼 편집국장(編輯局長), 취재총괄부장(取材總括部長) 등(等)은 그런 요구(要求)를 거부(拒否)했다. 금창태 사장(社長)은 인쇄소(印刷所)에 직접(直接) 나가 해당(該當) 기사(記事)를 삼성(三星) 광고(廣告)로 대체(代替)했다. 6월(月) 23일(日) 이윤삼 편집국장(編輯局長)의 사표(辭表)가 바로 수리(受理)되었고, 8월(月) 14일(日) 에는 장영희 취재팀장(取材팀長)이 무기정직(武器正直)을 당(當)하였다. 9월(月) 10일(日) 에는 윤무영 기자(記者)가 3개월(個月) 정직(正直)을 당(當)하였다. 2007년(年) 1월(月) 17일(日) 에는 백승기 사진부(寫眞部) 팀장(팀長)이 무기정직(武器正直)을 당(當)하였다. 그리고 2월(月) 7일(日) 에는 고재열 기자(記者)가 무기(武器) 정직(正直)을 당(當)했다. 기자(記者) 24명(名) 중(中) 17명(名)이 징계(懲戒)를 당(當)했다. 첫 사태(事態) 6월(月) 후(後) 파업(罷業)에 돌입(突入)하자 회사(會社)는 바로 직장(職場) 폐쇄(閉鎖)를 단행(斷行)했다. 그 뒤 1년(年) 여(餘) 동안 시사저널 기자(記者)들은 ‘편집권(編輯權) 독립(獨立) 장치(裝置) 마련’을 요구(要求)하고 파업(罷業)을 했다. 결국(結局) 파업(罷業)에 동참(同參)한 기자(記者) 22명(名)은 회사(會社)와 결별(訣別)을 하고 2007년(年) 8월(月) 29일(日) 《시사IN》을 창간(創刊)하였다. [1]

상훈(賞勳) [ 편집(編輯) ]

  • 시사(示唆)IN 편집국(編輯局)은 제(第)23회(回) 안종필 자유언론상(自由言論賞)을 받았다. [2]
  • 시사(示唆)IN 사진(寫眞)팀 조남진 기자(記者)는 「최초공개(最初公開) 최순실」(사진(寫眞))으로 제314회 한국기자협회(韓國記者協會) 이달의 기자상(祈子床)(전문보도(全文報道) 부문(部門))을 받았다. [3]
  • 시사(示唆)IN 기획특집(企劃特輯)팀 고제규 기자(記者), 사회(社會)팀 신한슬(新韓瑟)·김연희·이상원(李祥源) 기자(記者)는 「최저임금(最低賃金)으로 한 달 살기」로 제(第)298회(回) 이달의 기자상(祈子床)(기획보도(企劃報道) 부문(部門))을 받았다. [4]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욱일기(旭日旗) 합성물(合成物) 게시(揭示)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시사(示唆)IN 사무실(事務室)에 2년(年) 동안 욱일기(旭日旗) 태극기(太極旗) 를 합성(合成)한 사진(寫眞)이 걸려있다는 사실(事實)이 알려져 논란(論難)이 되었다. 시사(示唆)IN 관계자(關係者)는 해당(該當) 잡지(雜誌) 355호(號) <구겨진 친일(親日) 보수(保守)의 민낯> 표지(表紙) [5] 소품(小品)을 걸어놨을 뿐이며 사용(使用)된 표지(表紙) 소품(小品)은 보관(保管)한다고 해명(解明)했지만, 2년(年) 동안 국기(國旗)를 모욕(侮辱)하는 사진(寫眞)을 사무실(事務室)에 걸어놨다는 것은 이해(理解)하기 힘들다는 반응(反應)이 많아 논란(論難)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았다. [6]

관련(關聯) 서적(書籍) [ 편집(編輯) ]

  • 시사(示唆)IN .(주(週))참언론(言論).ISSN 1976-3948
  • 고종석. 《기자(記者)로 산다는 것》. 호미. 2007년(年). ISBN   9788988526637
  • 고종석 외(外). 《다시 기자(記者)로 산다는 것》. 시사(示唆)IN북. 2012년(年). ISBN   9788994973128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시사저널 창간(創刊) 역사(歷史) Archived 2016년(年) 3월(月) 12일(日) - 웨이백 머신 , 시사기자단(示唆記者團)
  2. 김세옥. ‘시사IN’ 편집국(編輯局), 제(第)23회(回) 안종필 자유언론상(自由言論賞) . PD저널. 2011년(年) 10월(月) 14일(日).
  3. 무단전재(無斷轉載), ⓒ 종합(綜合) 경제정보(經濟情報) 미디어 이데일리-상업적(商業的); 금지(禁止), 재배포(再配布) (2016년(年) 11월(月) 22일(日)). “기자협회(記者協會), JTBC `최순실 국정개입사건(國政介入事件)` 등(等) 이달의 기자상(祈子床) 선정(選定)” . 《edaily》. 2016년(年) 11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11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제주(濟州)MBC '신양항 여객선(旅客船) 좌초(坐礁)' 이달의 기자상(祈子床) 선정(選定)” . 《제주(濟州)의 대표(代表) 신문(新聞) 한라일보(日報) www.ihalla.com》 . 2016년(年) 11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시사(示唆)IN 제(第)355호(號) - 구겨진 친일(親日) 보수(保守)의 민낯” . 《시사(示唆)IN》. 2014년(年) 6월(月) 30일(日) . 2016년(年) 11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6. “시사인(時事人) 욱일기(旭日旗) 논란(論難), 해명(解明)에도 찬반의견(贊反意見) 팽팽…논란(論難)된 상황(狀況) 정리(整理)해보니” . 《서울신문(서울新聞)》. 2016년(年) 9월(月) 7일(日).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