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시몬 드 보부아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시몬 드 보부아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시몬 드 보부아르
Simone de Beauvoir
작가(作家) 정보(情報)
출생(出生) 1908년(年) 1월(月) 9일(日) ( 1908-01-09 )
프랑스 파리
사망(死亡) 1986년(年) 4월(月) 14일(日) ( 1986-04-14 ) (78세(歲))
프랑스 파리
활동기간(活動期間) 1929년(年) ~ 1986년(年)
장르 문학(文學) , 서양(西洋) 철학(哲學)
배우자(配偶者) 장 폴 사르트르 (이혼(離婚))
자녀(子女)
서명(署名)
시몬 드 보부아르와 장 폴 사르트르 , 체 게바라 의 1960년(年) 쿠바에서의 만남

시몬 드 보부아르 ( 프랑스어(프랑스語) : Simone de Beauvoir , IPA:  [sim?nd? bo?vwa?] , 1908년(年) 1월(月) 9일(日) - 1986년(年) 4월(月) 14일(日) )는 프랑스 작가(作家) 이자(利子) 철학자(哲學者) 이다. 그녀(그女)는 소설(小說) 뿐 아니라 철학(哲學), 정치(政治), 사회(社會) 이슈 등(等)에 대(對)한 논문(論文)과 에세이, 전기(電氣), 자서전(自敍傳)을 썼다. 그녀(그女)는 《초대(招待)받은 여자(女子)》(L'Invitee)와 《레 망다랭》(Les Mandarins) 등(等)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소설(小說)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49년(年)에 여성(女性)의 억압(抑壓)에 대(對)한 분석(分析)과 현대(現代) 여성주의(女性主義) 의 초석(礎石)이 된 글 《 제(第)2의 성(性) 》(Le Deuxieme Sexe)을 썼다.

생애(生涯) 초기(初期) [ 편집(編輯) ]

시몬 드 보부아르는 한때 법조인(法曹人)이었던 아마추어 배우(俳優) 조르주 드 보부아르(Georges de Beauvoir)와 베르됭(Verdun) 출신(出身)의 여성(女性) 프랑수아즈 브라쇠르(Francoise Brasseur) 사이의 딸로 태어났다. 시몬 보부아르는 파리에서 태어나 명문(名門) 학교(學校)에서 교육(敎育)을 받았다.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 그녀(그女)의 외할아버지(外할아버지)인 뫼즈 은행(銀行)의 은행장(銀行長) 귀스타브 브라쇠르가 파산(破産)하면서 그의 가족(家族)들은 불명예스러운 가난에 빠지게 되었다. 보부아르의 가족(家族)은 작은 아파트로 이사(移徙)해야 했으며, 그녀(그女)의 아버지는 다시 일을 해야만 했다. 따라서 부부관계(夫婦關係) 역시(亦是) 타격(打擊)을 입었다.

시몬 보부아르는 언제나 그녀(그女)의 아버지가 두 딸 대신(代身) 아들을 얻고 싶어했다는 것을 인식(認識)하고 있었다. (여동생(女同生)인 엘렌 드 보부아르는 화가(畫家)가 되었다.) 그러나 그녀(그女)의 아버지는 시몬에게 "넌 남자(男子)의 두뇌(頭腦)를 갖고 있다"라고 말했고, 어렸을 때부터 시몬은 뛰어난 학생(學生)이었다. 그녀(그女)의 아버지 조르주는 자신(自身)의 희곡(戱曲)과 문학(文學)에 대(對)한 취미(趣味)를 딸에게 물려주었다. 그는 곧 학문적(學問的)인 성공(成功)만이 딸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줄 것이라고 확신(確信)하게 되었다.

15세(歲) 때 시몬 보부아르는 유명(有名)한 작가(作家)가 될 결심(決心)을 하고 있었다. 그녀(그女)는 여러 과목(科目)에서 뛰어났지만 특히(特히) 철학(哲學)에 끌려, 결국(結局) 파리 대학교(大學校)에서 철학(哲學)을 전공(專攻)하게 된다. 거기서 그녀(그女)는 장 폴 사르트르 를 포함(包含)한 다른 지식인(知識人)들을 만나게 된다.

생애(生涯) 중기(中企) [ 편집(編輯) ]

수학(數學)과 철학(哲學)에서 바칼로레아 시험(試驗)을 통과(通過)한 뒤, 보부아르는 Institut Catholique에서 수학과(數學科) Institut Sainte-Marie에서 문학(文學)과 언어학(言語學)을 공부(工夫)했다. 그리고 소르본 에서 철학(哲學)을 전공(專攻)했다. 1929년(年) 소르본에서 라이프니츠 에 대(對)해 발표(發表)했고 그 뒤에 장폴 사르트르 와 관계(關係)를 맺었다. 보부아르가 에콜 노르말에서 수학(修學)했다는 오해(誤解)가 있으나, 보부아르는 사르트르와 철학(哲學) 서클의 다른 사람들의 도움으로 대학(大學) 교육과정(敎育課程)에서 뛰어난 결과(結果)를 거둘 수 있었다.

1929년(年) 보부아르는 최연소(最年少)로 철학(哲學) 교수자격시험(敎授資格試驗)(agregation)을 통과(通過)했다. 최종(最終) 시험(試驗)에서 사르트르가 1등(等)을 차지했고, 그녀(그女)는 2등(等)을 하였다.

소르본에 있을 때에 보부아르는 평생(平生) 동안 따라다닌 별명(別名)인 Castor 를 얻었다. 그녀(그女)의 성(性) Beauvoir가 영어(英語) "Beaver"와 발음(發音)이 비슷한 것을 이용(利用)해 다시 불어(佛語)로 읽은 것인데, 사르트르와 그의 친구(親舊)들이 그녀(그女)가 매우 비버만큼이나 성실하다는 뜻에서 붙여준 것이었다.

보부아르에게는 세간(世間)에 알려진 몇몇 동성애인(同姓愛人)들이 있었다. [1] [2] [3] [4]

《초대(招待)받은 여자(女子)》와 《레 망다랭》 [ 편집(編輯) ]

1943년(年) 보부아르는 소설화(小說化)한 연대기(年代記)인 초대(招待)받은 여자(女子)를 출판(出版)했는데, 이 책(冊)에서 그녀(그女)는 올가 코사키비에츠 (Olga Kosakiewicz)와 완다 코사키비에츠 (Wanda Kosakiewicz)와의 자신(自身)과 사르트르의 관계(關係)를 다루고 있다. 올가는 보부아르가 30대(代) 초반(初盤)에 루앙 고등학교(高等學校)의 학생(學生)들을 가르치던 시절(時節)의 제자(弟子)이다. 보부아르는 올가를 좋아하게 되었다. 사르트르는 올가를 따라다녔지만 올가에게 거절당했다. 대신(代身)에 그는 그녀(그女)의 여동생(女同生)인 완다와 관계(關係)를 갖게 되었다. 사르트르는 올가가 보부아르의 애인(愛人)이었던 자크로랑(老娘) 보스트 (Jacques-Laurent Bost)와 만나고 결혼(結婚)하기까지 수년간(數年間) 올가를 지원(支援)해 주었다. 사르트르는 죽기 전(前)까지 완다를 지원(支援)해 주었다.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이 일어나기 전(前)을 다룬 이 소설(小說)에서 보부아르는 올가와 완다의 복잡(複雜)한 관계(關係)로부터 한 인물(人物)을 만들어냈다. 소설화(小說化)한 버전의 보부아르와 사르트르는 젊은 여성(女性)과 삼각관계(三角關係) (menage a trois)를 이룬다. 소설(小說)은 또한 보부아르와 사르트르의 복잡(複雜)한 관계(關係)와 삼각관계(三角關係)가 둘의 관계(關係)에 미친 영향(影響)에 대(對)해 깊이 파고든다.

보부아르는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소설(小說) 《초대(招待)받은 여자(女子)》 이후(以後)에 많은 책(冊)들을 썼는데, 그 중(中) 하나가 《레 망다랭》으로 프랑스의 가장 권위(權威)있는 문학상(文學賞)인 공쿠르상(賞) 을 수상(受賞)한 작품(作品)이다. 《레 망다랭》은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가 배경(背景)이다. 이 책(冊)은 사르트르와 미국(美國) 작가(作家)이자 한 때 보부아르의 연인(戀人)이었던 넬슨 앨그렌 , 그밖에 사르트르나 보부아르와 친밀(親密)한 많은 철학자(哲學者)들과 친구(親舊)들을 묘사(描寫)하고 있다.

실존주의(實存主義) 윤리학(倫理學) [ 편집(編輯) ]

1944년(年) 보부아르는 실존주의(實存主義) 윤리학(倫理學)에 대(對)한 논문(論文)인 《피루스와 키네아스》(Pyrrhus et Cineas)를 썼는데, 그녀(그女)는 이후(以後) 이 주제(主題)에 대(對)해 계속(繼續)하여 글을 쓰게 되었다.《애매함의 도덕(道德)에 관(關)하여》(Pour Une Morale de L'ambiguite, 1947)는 프랑스 실존주의(實存主義) 에 입문(入門)하기 위한 가장 쉬운 책(冊)일 것이다. 이해(理解)하기 쉬운 이 책(冊)의 단순성(單純性)은 사르트르의 《 존재(存在)와 무 》의 난해(難解)함과 대비(對比)된다. 보바르가 이야기한 애매(曖昧)함은 사르트르를 포함(包含)한 많은 사람들이 "존재(存在)와 무"같은 실존주의(實存主義) 저작(著作)에서 찾아낸 몇가지 모순(矛盾)을 해결(解決)해 준다.

성(性), 실존주의적(實存主義的) 여성주의(女性主義), 《제(第)2의 성(性)》 [ 편집(編輯) ]

제(第)2의 성(性) 》은 프랑스에서 두 권(卷)의 책(冊)으로 출판(出版)되었다. 보부아르는 저술(著述) 활동(活動)을 계속(繼續)하면서 에리카 종(種) (Erica Jong)과 저메인 그리어 (Germaine Greer)의 성적(成績)으로 강력(强力)한 여성주의(女性主義)가 올 것을 예견(豫見)하였다. 앨그렌은 훗날(後날) (소설상(小說上)의 인물(人物) 루이스 브로건의(建議) 모델이 된 앨그렌에게 바쳐진 책(冊)인)《레 망다랭》과 그녀(그女)의 자서전(自敍傳)에서 보부아르가 미국(美國)에서의 성적(性的) 경험(經驗)들을 솔직(率直)하게 이야기한 것에 대(對)해서 분노(憤怒)했다. 그는 그녀(그女)의 저작(著作)에 대(對)한 평론(評論)으로 자신(自身)의 분노(憤怒)를 표출(表出)하였다. 보부아르의 삶에서 앨그렌에게 보낸 연애(戀愛) 편지(便紙)를 포함(包含)한 많은 육체적(肉體的) 관계(關係)에 대(對)한 일화(逸話)들은 보부아르가 사망(死亡)하자 곧바로 공개(公開)되었다.

"제(第)2의 성(性)"의 "사실(事實)과 신화(神話)" 장(章)에서 보부아르는 남성(男性)이 여성(女性)에게 "신비(神祕)함"이라는 거짓된 아우라를 주입(注入)시켜 여성(女性)을 사회적(社會的) "타자(他者)"로 만들었다고 주장(主張)했다. 남성(男性)은 여성(女性)이나 여성(女性)의 문제(問題)를 이해(理解)하지 못하나 여성(女性)을 도와주지 못하는 것에 대(對)한 변명(辨明)으로 이 주장(主張)을 이용(利用)했고, 이러한 고정관념(固定觀念)은 사회적(社會的)으로 상위(上位) 계급(階級)에 의(依)해 하위계급(下位階級)으로 퍼뜨려졌다고 주장(主張)했다. 그녀(그女)는 인종(人種), 계급(階級), 종교(宗敎)와 같은 다른 부류(部類)의 경우(境遇)에도 이러한 현상(現象)이 일어났다고 했다. 그러나 그녀(그女)는 남성(男性)이 여성(女性)을 고정관념화(固定觀念化)하고 이것을 가부장적(家父長的) 사회(社會)를 조직(組織)하기 위한 방편(方便)으로 사용(使用)하기 위한 수단(手段)으로 가장 확실(確實)한 것은 성(性)이라고 하였다.

보부아르의 《제(第)2의 성(性)》은 프랑스에서 1949년(年) 출판(出版)되어 도덕적(道德的)인 혁명(革命)을 규정(規定)하게 된 여성주의(女性主義) 적(敵) 실존주의(實存主義) 가 시작(始作)되었다. 실존주의자(實存主義者)인 보부아르는 실존(實存)은 본질(本質)에 앞선다 ( 프랑스어(프랑스語) : l'existence precede l'essence )라는 경구(警句)를 받아들인다. 따라서 한 사람은 여자(女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女子)가 되는 것이다. 그녀(그女)의 분석(分析)은 타자 에 대(對)한 해겔의 개념(槪念)에 초점(焦點)을 맞춘다. 보부아르가 여성(女性)의 억압(抑壓)에 대(對)한 근본(根本)으로 것으로 인식(認識)한 것은 본질적(本質的)인 타자(他者)로서의 여성(女性)의 (사회적(社會的)) 구축(構築)이다. 여기서 타자(打者)는 "완전(完全)한 타자(他者)"를 의미(意味)한다.

1890년경(年頃)에 태어난 여성주의(女性主義) 작가(作家)인 아드리엔 사위케 (Adrienne Sahuque)는 여성(女性)에 대(對)한 성적(性的)인 선입견(先入見)에 대(對)해 《성적(成績) 도그마》('Les dogmes sexuels', Paris, Alcan, 1932)에서 다루었다. 그녀(그女)의 저술(著述)은 보부아르의 것에 비해 큰 주목(注目)을 받지 못하였다.

보부아르는 여성(女性)이 역사적(歷史的)으로 특이(特異)하고,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존재(存在)로 생각되었다고 주장(主張)했다. 그녀(그女)는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Mary Wollstonecraft)도 남성(男性)을 여성(女性)이 동경(憧憬)해야 할 이상적(理想的)인 존재(存在)라고 여겼다고 하였다. 보부아르는 여성(女性)들이 자신(自身)들이 정상(正常)이 아니라고 여겼고, 언제나 "정상성(正常性)"을 흉내내려고 노력(努力)하는 아웃사이더라는 인식(認識)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태도(態度)가 여성(女性)의 성공(成功)을 제한(制限)했다고 했다. 그녀(그女)는 여성주의(女性主義)가 더욱 진보(進步)하기 위해서 이러한 억측(臆測)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보부아르는 여성(女性)은 남성(男性)과 마찬가지로 스스로 선택(選擇)을 할 능력(能力)이 있다고 단언(斷言)하였고, 그러므로 그들은 이전(以前)에 그들을 포기(抛棄)하게 만든 내재(內在) 를 넘어서 행동(行動)하여 초월(超越) 에 이를 수 있고, 한 사람이 자기(自己) 자신(自身)과 (스스로 자신(自身)의 자유(自由)를 선택(選擇)할 수 있는)세계에 대(對)하여 책임(責任)을 질 수 있는 위치(位置)에 오르기 위해 자신(自身)들 스스로 선택(選擇)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1969년(年) 쉬잔 릴라르 (Suzanne Lilar)는 비판적(批判的)인 소론(少論)인 《제(第)2의 성의(誠意) 오해(誤解)》(Le Malentendu du Deuxieme Sexe)를 저술(著述)했다.

《레 탕 모데른》 [ 편집(編輯) ]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 보부아르와 사르트르는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等)과 함께 《 레 탕 모데른 》( 프랑스어(프랑스語) : Les Temps Modernes , 현대(現代))이라는 정치적(政治的) 잡지(雜誌)를 발간(發刊)한다. 보부아르는 이 잡지(雜誌)에 자신(自身)의 저술(著述)을 실었고 소논문(小論文)이나 책(冊)을 내기 전(前)에 작은 규모(規模)에서 자신(自身)의 발상(發想)들을 탐구(探究)하였다. 보부아르는 자신(自身)의 사망(死亡) 직전(直前)까지 이 잡지(雜誌)의 편집자(編輯者)로 남았다.

《노년(老年)》 [ 편집(編輯) ]

보부아르는 미국(美國) 중국(中國) 을 여행(旅行)하여 유명(有名)한 유행기(流行期)를 저술(著述)했고, 소논문(小論文)들과 소설(小說)들을 특히(特히) 1950년대(年代)와 1960년대(年代)에 걸쳐 출판(出版)하였다. 그녀(그女)는 나이먹음에 대(對)하여 다루고 있는《위기의 여자(女子)》와 같은 몇 권(卷)의 단편(短篇)을 출판(出版)했다.

1979년(年) 그녀(그女)는 그녀(그女)의 어린 시절(時節)에 여성(女性)으로서 겪었던 짧은 이야기들을 수록(收錄)한 "Quand prime le spirituel"을 출판(出版)했다. 이 이야기들은 《초대(招待)받은 여자(女子)》 이전(以前)에 쓰였으나 보부아르는 약(約) 40년간(年間) 이 책(冊)이 출판(出版)될 가치(價値)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사이에는 오랜 기간(期間) 불화(不和)가 있었고, 이로 인(因)해 메를로퐁티가 《레 탕 모데른》을 떠나게 되었다. 보부아르는 사르트르의 편(便)을 들어 메를로퐁티와의 관계(關係)를 단절(斷絶)했다. 만년(晩年)에, 보부아르는 이 잡지(雜誌)의 편집(編輯) 회의(會議)의 진행(進行)을 맡았으며, 그녀(그女)가 원고(原稿)를 독촉(督促)한 사르트르에 비해서 이 잡지(雜誌)에 대(對)한 기여(寄與)가 많았다.

보부아르는 또한 4권(卷)의 유명(有名)한 자서전(自敍傳)을 저술(著述)했다. 자서전(自敍傳) 4권(卷)의 제목(題目)은 각각(各各) 《처녀(處女) 시절(時節)》(Memoires d'une jeune fille rangee, 1958)·《나이의 힘》(La Force de l'age, 1960)·《사물(事物)의 힘》(La Force des choses, 1963)·《결국(結局)》(Tout compte fait, 1972)이다.

1970년대(年代) 보부아르는 프랑스 여성(女性) 해방(解放) 운동(運動) 에 활동(活動)였다. 그녀(그女)는 1971년(年) 343선언(宣言) 에 서명(署名)하였는데, 이 선언(宣言)은 당대(當代) 최고(最高)의 프랑스 여성(女性) 지식인(知識人) 343명(名)이 참여(參與)하여 당시(當時) 프랑스에서 불법(不法)이었던 낙태(落胎)를 허용(許容)할 것을 주장(主張)한 운동(運動)이었다. 보부아르는 낙태(落胎) 경험(經驗)이 있다고 주장(主張)했으나, 실제로(實際로) 낙태(落胎) 경험(經驗)은 없었다. 서명자(署名者)들은 카트린 드뇌브 , 델핀 세릭 , 그리고 보부아르의 누이인 푸페트 등(等) 다양했다. 1974년(年), 낙태(落胎)는 프랑스에서 합법화(合法化)되었다.

그녀(그女)가 1970년(年)에 쓴 산문(散文)인 《노년(老年)》(La Vieillesse)은 모든 인간(人間)이 60세(歲)가 되기 전(前)에 죽지 않는다면 경험(經驗)하게 되는 쇠락(衰落)과 고독(孤獨)에 대(對)해 지적(知的)으로 고찰(考察)한 드문 저서(著書)이다. 1981년(年) 그녀(그女)는 사르트르의 말년(末年)을 고통스럽게 이야기한 《작별(作別)의 의식(儀式)》(La Ceremonie Des Adieux)을 썼다. 책(冊)의 서문(序文)에서 보부아르는 이 책(冊)이 자기(自己)가 쓴 책(冊) 중(中)에서 출판(出版)되기 전(前)에 사르트르가 읽지 않은 유일(唯一)한 책(冊)이라고 설명(說明)했다. 그녀(그女)와 사르트르는 언제나 서로의 작품(作品)들을 읽어 보았기 때문이다.

사르트르가 사망(死亡)한 후(後), 보부아르는 사르트르가 그녀(그女)에게 보낸 편지(便紙)들을 편집(編輯)하여 출판(出版)하였다. 그들 모임에서 아직 살아있는 사람들과 감정(感情)을 나누기 위해서였다. 보부아르가 죽은 이후(以後), 사르트르의 양녀(養女)이며 상속자(相續者)인 아를레트 엘카임(Arlette Elkaim)은 사르트르의 편지(便紙)들을 편집(編輯)되지 않은 형태(形態)로 출판(出版)하려고 하지 않았다. 현재(現在) 출판(出版)된 대부분(大部分)의 사르트르의 편지(便紙)들은 보부아르의 편집(編輯)을 거친 것으로, 생략(省略)된 부분(部分)은 적지만 가명(假名)이 많이 사용(使用)되어 있다. 보부아르의 양녀(養女)이자 상속자(相續者)인 실비(實費) 르 봉(鳳) (Sylvie Le Bon-de Beauvoir)은 엘카임과 달리 보부아르가 사르트르와 앨그렌에게 쓴 편지(便紙)들을 편집(編輯)을 거치지 않고 출판(出版)하였다.

죽음 [ 편집(編輯) ]

몽파르나스(Cimetiere du Montparnasse) 묘지(墓地)에 있는 보부아르의 묘(墓)

보부아르는 1986년(年) 폐렴(肺炎) 으로 사망(死亡)했다.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墓地)에 있는 사르트르의 묘(墓) 옆에 그녀(그女)의 시신(屍身)이 묻혔다. 1968년(年) 이후(以後) 여성주의(女性主義) 의 어머니로서 뿐만 아니라 실존주의(實存主義) 철학(哲學) 과 기타(其他) 등등(等等)의 학문적(學問的) 업적(業績)으로 그녀(그女)를 프랑스의 주요(主要)한 사상가(思想家)로 보는 시각(視角)이 대두(擡頭)하면서 사망(死亡) 이후(以後) 그녀(그女)에 대(對)한 명성(名聲)은 더욱 높아졌다.

보부아르와 사르트르의 서로에 대(對)한 영향(影響)에 대(對)해서는 현재(現在) 논의(論議)가 진행(進行) 중(中)이다. 보부아르는 사르트르의 실존주의(實存主義) 와 관계(關係) 없는 철학(哲學) 저술(著述)도 여럿 남겼지만, 사르트르의 걸작(傑作)인 존재(存在)와 무 (L'Etre et le Neant)에서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보부아르가 초기(初期)에 쓴 철학(哲學) 논고(論告)와 논문(論文)이 나중에 사르트르의 사상(思想)에 미친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한 학자(學者)들도 있다. 마거릿 A. 시몬스(Margaret A. Simons)와 샐리 숄츠(Sally Scholtz) 등(等)의 철학계(哲學界) 안팎의 많은 학자(學者)들이 보부아르의 사상(思想)을 연구(硏究)했다. 보부아르의 생애(生涯)는 또한 여러 전기(電氣)로 쓰였다.

2006년(年) 건축가(建築家) 디트마르 파이히팅거(Dietmar Feichtinger)가 그녀(그女)의 이름을 따 센강(江) 을 가로지르는 시몬 드 보부아르 인도교(人道橋)(Passerelle Simone-de-Beauvoir)를 설계(設計)했다. 여성적(女性的) 곡선(曲線)이 특징(特徵)인 이 다리는 프랑스 국립(國立) 도서관(圖書館)(Bibliotheque nationale de France)으로 연결(連結)된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A dangerous liaison: Simone de Beauvoir and Jean-Paul Sartre , By Carole Seymour-Jones (London 2008), page 216 and 274
  2. New studies agree that Beauvoir is eclipsing Sartre as a philosopher and writer Archived 2008년(年) 5월(月) 28일(日) - 웨이백 머신 , The Independent , by Lesley McDowell, Sunday, 25 May 2008
  3. Contingent loves: Simone de Beauvoir and sexuality , By Melanie Hawthorne (London, 2000), pages 65?78
  4. BBC Radio 4 Start the Week BBC Radio 4, Andrew Marr, 21 April 2008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