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스포츠의 키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스포츠의 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다음은 각각(各各)의 스포츠 경기(競技)와 의 상관성(相關性)에 관(關)한 내용(內容)이다.

NBA 역사상 최단신 농구 선수인 머그시 보그스
NBA 역사상(歷史上) 최단신(最單身) 농구(籠球) 선수(選手) 인(人) 머그시(視) 보그스

스포츠 에서는 속도(速度)나 힘 등(等)과 함께 경기(競技)의 구조상(構造上) 높이가 요구(要求)되는 경기도(京畿道) 많다. 올림픽의 모토(motto)로도 '더 빨리(Citius), 더 높이(Altius), 보다 힘차게(Fortius)'라는 3어법(語法)이 존재(存在)한다. [1]

특정(特定) 종목(種目)에서 키가 클수록 유리하다. 장신(長身) 선수(選手) 쪽이 유리한 경기(競技)와 그 포지션으로서, 농구(籠球) 센터 , 배구(排球) 의 MB· 럭비 의 LO등(等)이 있다. 다만, 이들 경기(競技)에서는 장신(長身)이 아닌 선수(選手)들이 다른 포지션에서 뛸 수도 있다(농구의 PG ·배구(排球)의 L·럭비의 SH등(等)).

반대(反對)로 몸집이 작은 선수(選手)가 유리하게 되는 경기(競技)도 있으며 역도(力道) 나, 기계(器械) 체조(體操) , 하프파이프 등(等)을 예(例)로 들 수 있다. 봅슬레이 에서도 몸집이 작은 선수(選手)가 무게 중심(中心)을 낮추는데 더 유리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2] 또, 체격면(體格面)에서 핸디캡을 짊어지는 선수(選手)·팀이 분투(奮鬪)하면서 스포츠의 묘미(妙味)(매력(魅力))를 느끼는 경우(境遇)도 있으며, [3] “아이들에게도 용기(勇氣)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해 매진(邁進)하는 선수(選手)들도 있다. [4]

또한 그 외(外)에 리치나 다리가 긴 선수(選手)가 유리한 경기(競技)로는 권투(拳鬪) 등(等)과 신장·체격(體格)에 의(依)한 공기저항(空氣抵抗)이 생기는 경기(競技)( 마라톤 등(等))이 있다. [5]

신장별(伸張別) 경기(競技)로서 예(例)를 들어 스포츠 댄스 가 있으며, 일본(日本) 프로페셔널 댄스 경기(競技) 연맹(聯盟)의 B급(級) 다이아몬드 스타 경기(競技)는 170cm 이하(以下)만을 대상(對象)으로 한다. [6] [7]

사춘기(思春期) 의 키와 운동능력(運動能力)의 상관관계(相關關係)도 있을 수 있지만, 이는 단순히(單純히) 성장(成長) 차이(差異)의 요인(要因)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看做)된다. [8] 또한 1980년대(年代) 연구(硏究)에서 키의 최대(最大) 발육(發育) 연령(年齡)(MIA)과 관련(關聯)하여 중학생(中學生) 시절(時節)에 하던 스포츠와 그 성장(成長)에는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다는 보고(報告)가 있다. [9]

체격(體格) 우선주의(優先主義) [ 편집(編輯) ]

장신(長身) 선수(選手)가 유리한 농구(籠球) 와 같은 스포츠에서는 평균(平均) 신장(身長)이 높지 않은 나라의 경우(境遇) 다른 나라의 선수(選手)에 대응(對應)할 수있는 선수(選手) 수(數)가 적기 때문에 불리(不利)하다. [10] JOC 주니어 올림픽 컵 핸드볼 대회(大會)처럼 남자(男子) 180cm, 여자(女子) 170cm 이상(以上)의 장신자(長身者)가 바람직하다면 관할(管轄) 단체(團體)가 신장 조건(條件)을 드러내는 경우(境遇)도 있다. [11] 운동능력(運動能力)보다 체격차(體格差)를 우선(優先)하는 '체격(體格)(특히(特히) 신장(腎臟)) 우선주의(優先主義)'의 경향(傾向)을 비판(批判)하는 의견(意見)은 1980년대(年代)에도 있었다. [12]

이에 대(對)한 해결책(解決策)으로 선수(選手) 중(中) 혼혈(混血) 인(燐)을 같이 육성(育成)하는 움직임도 있다고 한다. [13]

종목별(種目別) 키의 관계(關係) [ 편집(編輯) ]

육상(陸上) 경기(競技) [ 편집(編輯) ]

높이뛰기 는 장신(長身) 선수(選手)가 몸의 무게 중심(中心)이 더 높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의견(意見)도 있다. [14]

100미터 달리기 등(等)의 단거리(短距離)에서는 미국(美國) 국기(國旗) 칼 루이스 (188cm)의 전성기(全盛期)에는 '장신(長身)이 유리(有利)하다'고 했으며, 그 후(後) 모리스 그린 (175cm)이 세계(世界) 기록(記錄)을 갱신(更新)한 후(後)에는 키가 작은 편(便)이 좋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15] 여자(女子) 100미터 달리기 의 역대(歷代) 기록(記錄) 탑(塔) 10 중(中) 160cm대(大)의 선수(選手)도 있다.

또한, 기하학(幾何學) 단위계(單位系) 의 물리량(物理量)을 바탕으로 한 경우(境遇), 속도(速度)는 신장( 길이 )과의 관계(關係)가 없어진다는 고찰(考察)이 있다. 그 때문에, 트랙 종목(種目)이나 마라톤 선수(選手)에 있어서는, 신장(腎臟)에 의(依)한 유리(有利)·불리는 없다고 생각된다고 한다. 한편(한便), 신장(腎臟)이 클수록 말단(末端)의 최고(最高) 속도(速度)가 큰 경향(傾向)이 있기 때문에, 투척(投擲) 경기(競技)에 있어서는, 장신(長身)이 유리하다는 의견(意見)이 있다. [16]

수영(水營) [ 편집(編輯) ]

수영(水泳) 경기(競技), 특히(特히) 배영(背泳)은 수영장(水泳場)의 벽(壁)을 걷어차 몸을 펴서 시작(始作)하기 때문에 장신(長身)이 유리(有利)하다. [17]

하지만 헤엄치는 속도(速度)의 신장차이(身長差異)는 「전혀(全혀) 문제(問題)가 되지 않는 정도(程度)」라고 하는 지적(指摘)도 있다(2008년 와세다대학 후(後)쿠나가 테츠오(誤) 교수(敎授)). [18]

스키 [ 편집(編輯) ]

스키 점프 에서는 199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뒤에 '146% 룰'(2010/2011 시즌부터는 145%)이(李) 제정(制定)됐다. 160cm대(大)의 선수(選手)의 경우(境遇), 기존(旣存)의 룰 「신장+80cm」비로 수(數)cm 짧은 판(板)을 사용(使用)해야만 했다. [19]

스케이트 [ 편집(編輯) ]

스피드 스케이팅 에서는 코너 워크(코너 링)의 기술(技術)도 있기 때문에 일괄적(一括的)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단순(單純)하게는 다리의 길이에 스피드가 비례(比例)한다고 하는 지적(指摘)도 있다. 스프린트의 시미즈 히로호(號)는 고관절(股關節)을 부드럽게 해, 스트라이드를 넓혀, 그 핸디캡을 줄였다고 한다. 반대(反對)로, 시미즈의 낮은 무게 중심(中心)에서의 움직임은 공기(空氣) 저항면(抵抗面)에서 다른 대형(大型) 선수(選手)보다 유리했다고 판단(判斷)된다. [20]

역도(力道) [ 편집(編輯) ]

역도(力道) 체급(體級) 별 경기(競技)로 진행(進行)된다.

역기(力器) 를 올리는 에너지는 '무게×높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21] 각각(各各)의 신장(腎臟)에 대(對)해서의 그에 알맞는 체중(體重)이 있다고 하며, 우선(于先) 신장(伸張)에 맞추어 계급(階級)을 선택(選擇)해, 근력(筋力)을 붙이는 쪽이 기록(記錄)도 향상(向上)한다고 한다. [22]

축구(蹴球) [ 편집(編輯) ]

공중볼 경합을 하는 디에고 마라도나
공중(空中)볼 경합(競合)을 하는 디에고 마라도나

축구(蹴球) 에서 는 선수(選手)의 포지션 을 결정(決定)하는 중요(重要)한 요소(要素) 중(中)에 하나이다. 포지션별(別)로는 골키퍼 가 보통(普通) 키가 가장 크며, 수비수(守備手) 공격수(攻擊手) , 미드필더 순서(順序)로 선수(選手)의 키가 작아지는 경항을 보인다. [23] 이 중(中)에서 수비수(守備手) 에 대(對)해서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높이가 요구(要求)되며, 골전(骨戰)에서의 공중(空中)볼 경합(競合)에 참여(參與)하는 센터백 은(銀) 주로(主로) 장신(長身) 선수(選手)가 맡게 되지만 사이드 라인에서의 공수를 담당(擔當)하는 사이드백 은 몸집이 작은 선수(選手)를 배치(配置)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23] 한편(한便), 공격진(攻擊陣)의 선수(選手)로는 디에고 마라도나 와 같이 키가 크지 않아도 뛰어난 능력(能力)을 가진 선수(選手)가 많이 존재(存在)한다. [23]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올림픽 헌장(憲章) (Olympic Charter)2010年版,Chapter 1-10.The Olympic motto OLYMPIC CHARTER - Olympic.org
  2. 最速エンジンになる ボブスレ? ?岩俊喜 Archived 2014년(年) 2월(月) 16일(日) - 웨이백 머신 - NHK 『 선수(選手)의 영혼(靈魂)
  3. 秋山「異種格?技面白い」9月ミルコ?か - nikkansports.com、2008年7月23日
  4. ライアン小川、小柄も創意工夫で新人王「子供たちに勇??えたい」 - Yahoo!ニュ?ス(デイリ?スポ?ツonline)、2013.11.26
  5. 伊藤、果敢に自己新 大阪?際女子マラソン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 ?島新聞社、2011.01.31
  6. 東部?局から皆?へ重要なご連絡 - NPO法人JCF 日本プロフェッショナルダンス競技連盟 東部?局
  7. 競技呼?の?更について Archived 2016년(年) 3월(月) 7일(日) - 웨이백 머신 - JCFアマチュア競技?情報
  8. 最新スポ?ツ科?事典 2006 , 427쪽.
  9. 成山公一, 八木田恭輔, 三野耕, 「 身長の?育速度曲線からみたスポ?ツ種目の特性について : とくに中?生時代に行っていたスポ?ツを中心として(7.?育?達,一般?究B) 」『日本?育??大??』 第39回(1988) セッションID:073M01, doi 10.20693/jspeconf.39B.0_502
  10. バスケットボ?ルプラザ No.23 2004年4月? - NPO法人 日本バスケットボ?ル振興?
  11. 第22回JOCジュニアオリンピックカップハンドボ?ル大? 開催要項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 2013JOCジュニアオリンピックハンドボ?ル大?in福島
  12. 本田泰治, 木村一彦, 「 南カリフォルニアにおける日系アメリカ人の?童生徒の?格について 」『東京女子?科大??誌』 52(1):415-424, 1982, 틀:Ncid
  13. 선데이 마이니치 』 2012年8月12日? p.117 金田一美奈子「?分はナイスオン!」連載363「メジャ?に勝つにはハ?フに期待」
  14. スポ?ツの顔 世界ジュニア走高跳メダリスト ??直人(??1年)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5일(日) - 웨이백 머신 - 쓰쿠바 대학(大學) スポ?ツOnline、2010.10.06
  15.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3년(年) 12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3년(年) 7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スポ?ツ」で社?問題を解決する。その可能性を探るための新たなレ?スが始まった。 ?末大 - ファイナンシャルマガジン、2013.05.10
  16. 最新スポ?ツ科?事典 2006 , 493쪽.
  17. 身長を克服する泳ぎ。 - Number 2011.09.07
  18. 東京新聞 2008年5月20日 朝刊21面「スポ?ツ 長身は有利か (上)」
  19. スキ?ジャンプの注目は“-4cm”。新ル?ルに日本勢は??できるか?(1-2) - Number Web 2012/10/23
  20. ついにリンクを去る、“努力の人”?水宏保。~世界最速スプリンタ?の引退~ - Number Web(ナンバ?746? ?載記事)、2010年2月1日
  21. 東京新聞 2008年5月27日 朝刊18面「スポ?ツ 長身は有利か (下)」
  22. 7.ウエイトリフティングの初心者トレ?ニングの具?案 Archived 2016년(年) 8월(月) 29일(日) - 웨이백 머신 - オグリのウエイトリフティング
  23. 《最新 サッカ?百科大事典》. 大修館書店 . 2002. 410?411쪽. ISBN   978-4469062168 .   다음 글자(글字) 무시(無視)됨: ‘和書’ ( 도움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