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스토브리그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스토브리그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스토브리그 15세 이상 시청가
Stove League
장르 스포츠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9년(年) 12월(月) 13일(日) ~ 2020년(年) 2월(月) 14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금(金) , 토(土) 밤 10:00 ~ 11:10
방송(放送) 분량(分量) 7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16부작(部作)
추가(追加) 채널 SBS 플러스 , 스카이 드라마 , 드라마큐브
기획(企劃) 박영수 (SBS 드라마본부(本部))
책임(責任)프로듀서 홍성창 (SBS 드라마운영(運營)팀)
프로듀서 조은정
제작사(製作社) 길픽쳐스
제작(製作) 박민엽
연출(演出) 정동윤(鄭東允) , 한태섭
각본(脚本) 이신화
출연자(出演者) 남궁민 , 박은빈 , 오정세 , 조병규 , 조한선 , 하도권
음악(音樂) 박세준
여는 곡(曲) 큐사인 - 이원석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U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스토브리그> 공식(公式) 홈페이지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스토브리그> 전회차(前廻車) 무료(無料)보기

스토브리그 》는 2019년(年) 12월(月) 13일(日) 부터 2020년(年) 2월(月) 14일(日) 까지 방송(放送)된 SBS 금토(金土) 드라마 이며 프로야구(野球)의 준비과정(準備過程)과 선수(選手)들의 약물(藥물),불법(不法) 도박(賭博) 등(等)의 이야기를 다룬다. [1]

줄거리 [ 편집(編輯) ]

프로야구(野球) 팬들의 눈물마저 말라버린 꼴찌 팀에 새로 부임(赴任)한 백승수 단장(團長)이 남다른 시즌을 준비(準備)하면서, 새로운 마음을 다시 재기(再起)하는 모습을 그린 스포츠 드라마

등장인물(登場人物) [ 편집(編輯) ]

드림즈 관계자(關係者) [ 편집(編輯) ]

프런트 [ 편집(編輯) ]

  • 남궁민  : 백승수 역(驛) - 신임(新任) 단장(團長)
  • 박은빈  : 이세영(李世永) 역(役) - 운영팀장(運營팀長)
  • 오정세  : 권경민 역(逆) - 구단주(球團主)의 조카. 재송그룹 상무(常務)
  • 조병규  : 한재희 역(驛) - 운영(運營)팀 직원(職員)
  • 손종학  : 고강선 역(驛) - 드림즈 사장(社長)
  • 이준혁  : 고세혁 역(驛) - 스카우트 팀장(팀長)
  • 윤병희  : 양원섭 역(驛) - 스카우트팀 팀원(팀員)
  • 김도현  : 유경택 역(驛) - 전력분석(戰力分析)팀 팀장(팀長)
  • 김수진  : 임미선 역(驛) - 마케팅팀 팀장(팀長)
  • 박진우  : 변치훈 역(驛) - 홍보(弘報)팀 팀장(팀長)
  • 김기무  : 장우석 역(驛) - 前 스카우트팀 차장(次長)/ 現 사장(社長) 특보(特報)

선수(選手) [ 편집(編輯) ]

  • 홍기준  : 장진우 역(驛) - 노장(老將) 투수(投手)
  • 채종협  : 유민호 역(役) - 투수(投手) 유망주(有望株)
  • 조한선  : 임동규 역(驛) - 4번(番) 타자(打者). 외야수(外野手), 국가대표(國家代表) 4번(番) 타자(打者)
  • 차엽(車葉)  : 서영주 역(驛) - 주전(主戰) 포수(捕手)
  • 김동원  : 곽한영 역(驛) - 주전(主戰) 내야수(內野手)
  • 김봉만 : 강태민 역(驛) - 내야수(內野手)
  • 장원형(長圓形)  : 이용재 역(驛) - 외야수(外野手)
  • 하도권  : 강두기 역(驛) - 국가대표(國家代表) 1선발급(先發級) 에이스 투수(投手)

전직(前職) 선수(選手)/스태프 [ 편집(編輯) ]

  • 문원주  : 김기범 역(驛) - 은퇴(隱退)한 드림즈 선수(選手). 불펜 포수(捕手)
  • 하수호  : 허진욱 역(驛) - 좌완(左腕) 배팅볼 투수(投手)
  • 구성환  : 이준모 역(驛)
  • 김중돈  : 이동구 역(驛) - 前 드림즈 투수(投手)

코칭스태프 [ 편집(編輯) ]

  • 이얼  : 윤성복 역(驛) - 감독(監督)
  • 손광업(鑛業)  : 최용구 역(驛) - 투수(投手) 코치
  • 김민상  : 이철민 역(驛) - 수석(首席) 코치
  • 서호철  : 민태성 역(驛) - 타격(打擊) 코치

야구(野球) 관계자(關係者)들 [ 편집(編輯) ]

  • 이대연  : 김종무 역(驛) - 바이킹스 단장(團長)
  • 송영규  : 오사훈 역(驛) - 펠리컨즈 단장(團長)
  • 박소진  : 김영채 역(驛) - 스포츠 아나운서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송민형(兄)  : 서기웅 역(驛) - 드림즈 前 단장(團長)
  • 김정화  : 유정인 역(驛) - 승수의 전처(前妻)
  • 윤선우  : 백영수 역(役) - 승수의 동생
  • 윤복인  : 정미숙 역(驛) - 세영의 어머니
  • 전국환  : 권일도 역(驛) - 드림즈 모기업(某企業) 재송그룹 회장(會長)
  • 홍인(紅燐)  : 권경준 역(驛) - 권일도의 아들
  • 이규호  : 천흥만 역(驛) - 전직(前職) 씨름선수(選手)
  • 이용우  : 길창주 역(驛)
  • 김중돈  : 이동구 역(驛)
  • 유인혁  : 김관식 역(驛) - 사이드암 투수(投手)

특별출연(特別出演) [ 편집(編輯) ]

촬영지(撮影地) [ 편집(編輯)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인천(仁川)SSG랜더스필드 ( 문학(文學) 야구장(野球場) )
  • 커피나무 이수(履修)로스팅하우스점(點)
  • 대가야문화(大伽倻文化)누리
  • 북한산한우(北漢山韓牛)마을 (고기마을)
  • 훈이네 해장국(解酲국) (창권에 해장국(解酲국))
  • 블루포인트
  • 안나 오브라이언
  • 무라카미 야구경기장(野球競技場)
  • 카아이와 밸리로드
  • 퀸즈파크 청담점(點)
  • 곱창이야기 마곡점(麻谷點)
  • 바다빈치
  • 카페소솜
  • 원효대교(元曉大橋)
  • 열정분식(熱情粉飾)소 라운지 강남점(江南店)
  • 송도(松島) LNG 종합(綜合)스포츠타운
  • 현대(現代)칼국수
  • 월미도(月尾島)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9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2] AGB 시청률(視聽率) [3]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12월(月) 13일(日) % 3.3% %
5.0% 5.5% 5.8%
제(第)2회(回) 12월(月) 14일(日) % 5.5% %
7.6% 7.8% 8.3%
제(第)3회(回) 12월(月) 20일(日) 7.1% 7.3% 8.3%
9.5% 9.6% 10.3%
제(第)4회(回) 12월(月) 21일(日) % 8.2% 8.5%
9.0% 11.4% 11.9%
제(第)5회(回) 12월(月) 27일(日) 8.5% 9.6% 10.1%
10.7% 12.4% 12.9%
2020년(年)
제(第)6회(回) 1월(月) 3일(日) 9.5% 11.6% 13.1%
12.2% 14.1% 15.4%
제(第)7회(回) 1월(月) 4일(日) 9.7% 11.3% 12.5%
12.2% 13.8% 15.1%
제(第)8회(回) 1월(月) 10일(日) 10.7% 12.2% 13.7%
13.2% 14.9% 16.3%
제(第)9회(回) 1월(月) 11일(日) 10.1% 11.8% 13.2%
14.1% 15.5% 17.0%
제(第)10회(回) 1월(月) 17일(日) 11.1% 12.9% 14.1%
13.2% 15.5% 16.6%
14.6% 17.0% 18.4%
제(第)11회(回) 1월(月) 18일(日) 9.2% 10.7% 11.6%
11.1% 13.5% 14.5%
14.0% 16.5% 18.1%
제(第)12회(回) 1월(月) 31일(日) 11.3% 12.0% 13.0%
13.2% 14.4% 15.2%
14.2% 15.3% 15.5%
제(第)13회(回) 2월(月) 1일(日) 9.0% 10.1% 11.2%
10.8% 11.9% 12.9%
14.7% 16.0% 17.4%
제(第)14회(回) 2월(月) 7일(日) 12.4% 13.2% 14.4%
13.6% 15.1% 15.8%
14.5% 16.6% 17.2%
제(第)15회(回) 2월(月) 8일(日) 9.6% 10.6% 11.6%
11.7% 13.6% 14.6%
14.8% 16.8% 18.2%
제(第)16회(回) 2월(月) 14일(日) 13.0% 14.8% 15.8%
14.7% 17.2% 18.3%
16.0% 19.1% 20.8%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 12.5% -

OST [ 편집(編輯) ]

스토브리그 OST Part. 1
이원석 ( 데이브레이크 )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19년(年) 12월(月) 20일(日)  ( 2019-12-20 )
장르 드라마음악(音樂)
길이 9분(分) 42초(秒)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영어(英語)
레이블 ㈜블렌딩
SBS콘텐츠허브

Part. 1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사(作詞) 작곡(作曲) 아티스트 재생(再生) 시간(時間)
1. 큐사인 박세준, 우지훈 박세준, 우지훈 이원석 ( 데이브레이크 ) 4:51
2. 큐사인 (Inst.)   박세준, 우지훈   4:51
총(總) 재생(再生) 시간(時間): 9:42
스토브리그 OST Part. 2
케빈 오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20년(年) 1월(月) 3일(日)  ( 2020-01-03 )
장르 드라마음악(音樂)
길이 8분(分) 2초(秒)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영어(英語)
레이블 ㈜블렌딩
SBS콘텐츠허브

Part. 2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사(作詞) 작곡(作曲) 아티스트 재생(再生) 시간(時間)
1. Mind OneTop OneTop
(편곡(編曲): OneTop)
케빈 오 4:01
2. Mind (Inst.)   OneTop
(편곡(編曲): OneTop)
  4:01
총(總) 재생(再生) 시간(時間): 8:02
스토브리그 OST Part. 3
OLIVER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20년(年) 1월(月) 10일(日)  ( 2020-01-10 )
장르 드라마음악(音樂)
길이 7분(分)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영어(英語)
레이블 ㈜블렌딩
SBS콘텐츠허브

Part. 3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사(作詞) 작곡(作曲) 아티스트 재생(再生) 시간(時間)
1. 찬바람이 스쳐가며 한준, 박세준 이유진, 박세준 OLIVER 3:30
2. 찬바람이 스쳐가며 (Inst.)   이유진, 박세준   3:30
총(總) 재생(再生) 시간(時間): 7:00
스토브리그 OST Part. 4
김태현 ( 딕펑스 )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20년(年) 1월(月) 17일(日)  ( 2020-01-17 )
장르 드라마음악(音樂)
길이 7분(分) 32초(秒)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영어(英語)
레이블 ㈜블렌딩
SBS콘텐츠허브

Part. 4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사(作詞) 작곡(作曲) 아티스트 재생(再生) 시간(時間)
1. 하루가 저물어간다 정성민, 신지후 정성민, 신지후 김태현 ( 딕펑스 ) 3:46
2. 하루가 저물어간다 (Inst.)   정성민, 신지후   3:46
총(總) 재생(再生) 시간(時間): 7:32
스토브리그 OST Part. 5
사비나 앤 드론즈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20년(年) 1월(月) 31일(日)  ( 2020-01-31 )
장르 드라마음악(音樂)
길이 6분(分) 46초(秒)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영어(英語)
레이블 ㈜블렌딩
SBS콘텐츠허브

Part. 5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사(作詞) 작곡(作曲) 아티스트 재생(再生) 시간(時間)
1. Down 유재(留在) Zigzag Note, 유재(留在) 사비나 앤 드론즈 3:23
2. Down (Inst.)   Zigzag Note, 유재(留在)   3:23
총(總) 재생(再生) 시간(時間): 6:46

드라마 이모저모 [ 편집(編輯) ]

  • 제목(題目)으로 사용(使用)된 ' 스토브리그 (Stove League)' 란, 프로야구(野球) 정규(正規) 시즌이 끝난 휴식기(休息期)에 팀 전력(戰力) 보강(補强) 차원(次元)에서, 팬들이 난롯가(暖爐가)에 둘러앉아 선수(選手)들의 연봉(年俸) 협상(協商)이나 트레이드 등(等)에 관(關)해 입씨름을 벌이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 프로그램 기획서(企劃書)에 기재(記載)된 스포츠 드라마 '스토브리그'의 기획(企劃) 의도(意圖)는 다음과 같다.

1. 야구(野球) 드라마다.

프로야구(野球) 경제적(經濟的) 파급(波及) 효과(效果) 2조(兆)원, 프로야구(野球) 관중(觀衆) 800만(萬) 시대(時代), 역동적(力動的)인 그라운드, 진(津)한 땀 냄새에 열광(熱狂)하는 프로야구(野球) 팬들의 취향(趣向) 저격(狙擊)하는 이야기.

2. 야구(野球) 드라마 같은 오피스 드라마다.

선수(選手)가 아닌 단장(丹粧)을 비롯한 프런트들의 이야기다. 프로 스포츠의 게스트(조연(助演))인 프런트를 쫓아가는 이 드라마는 사실(事實) 그들이 단순(單純) 그림자가 아닌 겨울 시즌의 또 다른 주인공(主人公)임을 보여줄 것이다.

3. 오피스물 같은 전쟁(戰爭) 드라마다.

패배(敗北)가 익숙하고 썩어 들어가는 팀을 성장시키는 과정(過程)은 결코(決코) 익숙한, 아름다운 성장(成長)드라마가 아니다.

썩은 것을 도려내기 위해 악랄(惡辣)해지고 진흙탕을 뒹구는 추악(醜惡)하고 처절(悽絶)한 싸움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오늘만 사는 듯 싸워나가는 주인공(主人公)에 눈살이 찌푸려져도 '사회적(社會的) 약자(弱者)이면서도 관성(慣性)에 저항(抵抗)하는 악귀(惡鬼)'를 지켜볼 수밖에 없고 응원(應援)하게 되기를 바라며.

4. 전쟁물(戰爭物) 같은 휴먼 성장(成長)드라마다.

프로스포츠는 가혹(苛酷)하다. 꼴찌 팀은 그들이 꼴찌라는 것을 전(全) 국민(國民)이 알 수 있다.

그 팀의 소속(所屬)이라는 이유(理由)만으로 그 팀을 응원(應援)한다는 이유(理由)만으로 어깨가 처지고 말수(말數)가 줄어드는 경험(經驗)을 해봤는가.

처음부터 꼴찌였던, 벗어나려 발버둥을 쳐도 꼴찌였던 이들은 꼴찌에서 2등(等)만 해도 웃을 수 있다. 불가피(不可避)하게 어딘가 존재(存在)하는 꼴찌들이 기죽지 않는 판타지를 꿈꾸며 이 이야기를 쓰고 있다.

  • 남녀간(男女間)의 알콩달콩한 러브 스토리에만 치중(置重)했던 기존(旣存) 상업적(商業的) 트렌디 드라마와는 달리, 스포츠 드라마 특유(特有)의 흥미성(興味性)과 휴머니즘을 제대로 잘 조화시킨 이미지로 그 동안 드라마 기근(飢饉)에 시달렸던 수(數) 많은 시청자(視聽者)들에게 큰 호평(好評)을 얻으면서, 17% 내외(內外)의 압도적(壓倒的)인 시청률(視聽率)을 기록(記錄)하는 기염(氣焰)을 토(吐)하여, KBS 2TV 수목(樹木) 드라마 ' 동백꽃(冬柏꽃) 필 무렵 '에 이은 역대(歷代) 최대(最大) 기록(記錄)으로 꼽힌다. [4]
  • 이에 따라 성민규 롯데 자이언츠 신임(新任) 단장(團長)이 주연(主演) 배우(俳優)인 남궁민 의 실명(實名)을 따 '남궁민규'라는 별명(別名)을 얻는 등(等), 실제(實際) 야구(野球) 선수(選手)와 프론트도 주목(注目)한 드라마로 자리매김했다. [5]
  • CJ ENM 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2020년(年) 2월(月) 1주(週)( 2월(月) 3일(日) ~ 2월(月) 9일(日) ) 콘텐츠 영향력(影響力) 지수(指數)(CONTENT POWER INDEX) 비(非)드라마 종합순위(綜合順位) 4위(位)로 선정(選定)했으며, 237.9점(點)을 받았다.
  • 극(劇) 중(中)에서 등장(登場)하는 선수(選手)들의 성적(成跡)은 인위적(人爲的)으로 작성(作成)된 것이 아니라, 실제(實際) KBO 리그 선수(選手)들의 성적(成跡)을 참고(參考)해서 작성(作成)된 것이다.
  • 극(劇) 중(中)에서 방송(放送)된 야구장(野球場)은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미추홀구(彌鄒忽區) 에 위치(位置)한 인천(仁川)SSG랜더스필드 ( SSG 랜더스 홈구장)에서 촬영(撮影)하였다.

설정(設定) 및 용어(用語) [ 편집(編輯) ]

KPB 리그 구단(球團) [ 편집(編輯) ]

극중(劇中)에서 주요(主要) 등장(登場) 팀은 드림즈, 바이킹스, 펠리컨즈 3개(個) 구단(球團)이다.

재송(再送) 드림즈 [ 편집(編輯) ]

1982년(年)에 창단(創團)되었다. 동진시(東進視) 남구(南區) 현성(顯性)로 618 홈구장 내(內)에 있다. 이후(以後) PF 소프트에 인수(引受)되어 PF 드림즈로 개편(改編)된 것으로 마무리되는 설정(設定)이 있었다.

재송그룹 [ 편집(編輯) ]

재송(再送) 드림즈는 재송그룹에 의(依)해 만들어져 있었다.

  • 권일도: 재송그룹 회장(會長)이다.
  • 권경민: 재송그룹 상무(常務), 드림즈 구단주(球團主) 대행(代行)이었으나 드림즈 사장(社長)이 되었다.

동진시(東進視) [ 편집(編輯) ]

모티브는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다. 극(劇) 중(中) 드림즈의 연고지(緣故地)로 설정(設定)되었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스페셜 방송(放送)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본 드라마는 허구적(虛構的)으로 창작(創作)된 픽션 이며, 실제(實際)와 전혀(全혀) 관계(關係) 없음을 밝히고, 야구단(野球團) 에 관(關)한 이야기를 담는다.
  • 당초(當初) 2019년(年) 11월(月) 29일(日) 부터 방송(放送)할 예정(豫定)이었지만, 금토(金土)드라마 방송(放送) 시간(時間) 동안 편성(編成) 공백(空白)을 메우기 위해, 창사특집(創社特輯) 다큐멘터리를 우선(于先) 편성(編成)하여, 2주(週) 간격(間隔)을 맞춰서, 2019년(年) 12월(月) 13일(日) 부터 방영(放映)을 개시(開始)하였다.
  • 본 화면(畵面)은 레터박스 로 구성(構成)되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전미용 (2020년(年) 2월(月) 2일(日)). ' 스토브리그' 조한선x하도권 약물(藥물) 복용(服用) No.. 조한선은 원정(遠征) 도박(賭博) [종합(綜合)]” . OSEN . 2023년(年) 4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參照).
  3.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參照).” . 2016년(年) 7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1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4. 김(金), 식(式) (2020년(年) 1월(月) 17일(日)). “[김식(金式)의 야구(野球)노트] 비효율(非效率)에 지친 야구팬(野球팬) ‘스토브리그’에 공감(共感)하다”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20년(年) 2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김(金), 보영(報營) (2020년(年) 2월(月) 5일(日)). “야구팬(野球팬)·야(野)알못 다 사로잡은 '스토브리그' 백승수의 리더십” . 《뉴스엔》 . 2020년(年) 2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SBS 금토(金土)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배가본드
(2019년(年) 9월(月) 20일(日) ~ 2019년(年) 11월(月) 23일(日))
스토브리그
(2019년(年) 12월(月) 13일(日) ~ 2020년(年) 2월(月) 14일(日))
하이에나
(2020년(年) 2월(月) 21일(日) ~ 2020년(年) 4월(月) 11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