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삼성(三星) 갤럭시 S III 스마트폰을 사용(使用)하는 사람.

스마트폰 ( 영어(英語) : smartphone )은 소프트웨어의 호환성(互換性)이 높고, 전화(電話)가 가능(可能)한 휴대(携帶) 전화(電話) 컴퓨팅 기능(機能)을 하나로 통합(統合)한 모바일 장치(裝置)다. 스마트폰은 표준화(標準化)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기반(基盤)한 운영(運營) 체제(體制) 로 종합(綜合) 구성(構成)한 전화통신기기(電話通信機器)로 볼 수 있으며 [1] 스마트폰은 전자(電子) 우편(郵便) , 인터넷 검색(檢索), 텍스트 읽고, 쓰고 저장(貯藏)하기, 추가적(追加的)인 앱설치(設置)로, 응용기기(應用機器)로의 기능(機能)을 사용(使用)할 수 있고 내장형(內臟型) 키보드나 외장(外裝) USB 키보드, 외부(外部) 출력(出力) 가능(可能)한 VGA 단자(端子) , HDMI 단자(端子)로 확장기기(擴張機器)가 연결(連結)되는 소형(小型) 컴퓨터 로도 사용(使用)할 수 있다. 또한, 무선(無線) 인터넷 접속기능(接續機能)을 이용(利用)하여 인터넷 및 인트라넷 에 직접(直接) 접속(接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룹웨어 로의 연동(聯動)이 가능(可能)하다.

또한 무료(無料) 및 유료(有料) 앱, 다양(多樣)한 앱을 사용자(使用者)의 상황(狀況)에 맞추어 선택(選擇) 및 설치(設置) 할 수 있고, 스마트폰 사용자(使用者)가 원(願)하는 애플리케이션 을 직접(直接) 제작(製作)할 수도 있는 점(點), 그리고 같은 운영(運營) 체제(體制) 를 가진 스마트폰 간(間)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共有)할 수 있는 점(點) 등(等)도 기존(旣存) 피처폰 ( Feature Phone )이 갖지 않은 장점(長點)이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과다(過多) 사용(使用)으로 인한 거북목 증후군(症候群) , 스마트폰 중독(中毒) 등(等) 여러 가지 다른 단점(短點)이 나타날 수 있다. [2] [3]

고급(高級) 휴대(携帶) 기기(機器)들의 수요(需要)가 늘면서 강력(强力)한 프로세서 , 풍부(豐富)한 메모리 , 큰 화면(畵面), 개방형(開放型) 운영(運營) 체제(體制)를 많이 쓰게 되자 여러 해 동안 스마트폰 시장(市場)을 빠르게 채우고 있고,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삼성전자(三星電子) LG전자(電子) 에서 개인정보(個人情報) 관리(管理) 기능(機能)을 갖춘 제품(製品)을 출시(出市)하였다. [4]

역사(歷史) [ 편집(編輯) ]

IBM 사이먼

2003년(年) 스마트폰 [5] 은 PC와 같은 기능(機能)과 더불어 고급(高級) 기능(機能)을 제공(提供)하는 휴대(携帶) 전화(電話)이다. 응용(應用) 프로그램 개발자(開發者)에게는 표준화(標準化)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提供)하여 완전(完全)한 운영(運營) 체제(體制) 소프트웨어를 실행(實行)하는 전화(電話)일 것이고, 다수(多數)의 일반인(一般人)에게는 전자(電子) 우편(郵便)·인터넷·전자책(電子冊) 읽기 기능(機能)·내장형(內臟型) 키보드·외장(外裝) USB 키보드·mini-HDMI 단자(短資) 등(等)을 갖춘 고급(高級) 기능(機能)이 있는 전화(電話)로 비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은 전화(電話) 기능(機能)이 있는 소형(小型) 컴퓨터라 볼 수 있다.

최초(最初)의 스마트폰은 IBM 사이먼 이다. IBM 사(社)가 1992년(年)에 설계(設計)하여 그 해에 미국(美國) 네바다 주의(注意) 라스베이거스 에서 열린 컴댁스 에서 컨셉 제품(製品)으로 전시(展示)되었다. [6] 1993년(年)에 대중(大衆)에게 공개(公開)되었고 벨사우스에게 팔렸다. 휴대(携帶) 전화(電話)의 기능(機能)을 할 뿐 아니라 주소록(住所錄) , 세계(世界) 시각(視角), 계산기(計算器) , 메모장(帳), 전자(電子) 우편(郵便), 팩스 송수신(送受信), 오락(娛樂)까지 할 수 있었다. 전화(電話) 번호(番號)를 누르기 위한 물리적(物理的)인 단추가 없이 터치 스크린 을 사용(使用)하여 손가락으로 전화(電話) 번호(番號) 를 입력(入力)할 수 있었다. 또, 팩시밀리 와 메모를 수행(遂行)하기 위해 부가적(附加的)인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使用)할 수 있었다. 문자열(文字列) 또한 화면(畵面) 상의(相議) 키보드로 입력(入力)이 가능(可能)하였다. 오늘날의 표준(標準)에서 사이먼은 매우 저가(低價) 제품(製品)으로 여겨져 있으나 당시(當時)에는 믿기지 못할 정도(程度)로 기능(機能)이 고급(高級)이었다고 평가(評價) 받았다.

노키아 [ 편집(編輯) ]

노키아 커뮤니케이터 라인은 1996년(年)에 노키아 9000 커뮤니케이터를 시작(始作)으로 첫 스마트폰 제품라인(Nokia Communicator line)을 발표(發表)했다. 이 눈에 띄는 팜탑 컴퓨터 스타일의 스마트폰은 당시(當時) 노키아의 베스트셀러의 휴대(携帶) 전화(電話)와 휴렛패커드 의 초기(初期)의 성공적(成功的)인 값비싼 PDA 모델의 협동(協同) 결과(結果)로 탄생(誕生)한 것이었으며 이 두 개(個)의 장치(裝置)들은 힌지(hinge)를 통해 고정(固定)되었다. 노키아 9210은 최초(最初)의 컬러 스크린 커뮤니케이터 모델이면서 개방형(開放型) 운영(運營) 체제(體制)를 가진 최초(最初)의 진정(眞正)한 스마트폰이었다. 노키아 9500 커뮤니케이터 또한 노키아의 첫 카메라폰이자 WiFi폰이었다. 노키아 커뮤니케이터 모델은 가장 고가(高價)의 휴대폰(携帶폰)으로 다른 제조사(除朝辭)의 스마트폰보다도 20%~40% 정도(程度) 더 비쌌다. 또한 2010년(年) 노키아는 심비안을 오픈 소스화(化)시켰다.

하지만 노키아는 2007년(年) 이후(以後) 애플을 중심(中心)으로 급박(急迫)하게 바뀌던 모바일 생태계(生態系)에 적응(適應)하지 못하고 적자(赤字)를 맞고 현재(現在)는 마이크로소프트 에 인수(引受)된 상태(狀態)이다. 해당(該當) 휴대(携帶) 전화(電話) 사업본부(事業本部)는 마이크로소프트 모바일 로 사명(使命)이 개명(改名)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 편집(編輯) ]

한편(한便)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모바일 (당시(當時) OS명(名)은 포켓 PC ) 팜원의 이 각각(各各) 유(有)·무선(無線) 네트워크 연결(連結)을 지원(支援)하기 시작(始作)하고, 각각(各各) 2002년(年), 2003년(年) 정식(正式)으로 OS상(上)에서 전화(電話) 모듈을 지원(支援)함으로써 PDA폰과 스마트폰이 출시(出市)되었다. 이중(中) 윈도우 모바일은 기존(旣存) 포켓 PC와 동일(同一)한 사양(仕樣)에 전화(電話) 모듈을 넣은 것을 포켓 PC 폰 에디션으로, 터치스크린이 없고 UI가 일반(一般) 휴대(携帶) 전화(電話)에 맞춰진 것을 스마트폰으로 명명하여 별도(別途)로 취급(取扱)하였다. 그러나 가격(價格), PDA폰에 대(對)한 편견(偏見) 등(等)으로 인해 일반(一般) 휴대(携帶) 전화(電話)만큼 널리 사용(使用)되지는 못하였고, 이들도 현재(現在)는 스마트폰과 동일시(同一視)하고 있다.

2012년(年)부터 스마트폰용(用) 운영(運營) 체제(體制) 윈도우 폰 을 출시(出市)해 노키아를 필두(筆頭)로 많은 스마트폰을 만들고 있지만 여전히(如前히) 시장(市場)의 반응(反應)은 나쁘다. 무엇보다 앱 생태계(生態系)가 빈약(貧弱)하다는 것이 큰 약점(弱點)이다. 2014년(年)부터는 마이크로소프트 모바일 에서 직접(直接) 휴대(携帶) 전화(電話)를 생산(生産)한다.

애플 [ 편집(編輯) ]

아이폰

애플 은 2007년(年)에 iOS 기반(基盤)으로 아이팟 휴대(携帶) 전화(電話), 모바일 인터넷이라는 세 가지 주요(主要) 기능(機能)을 합친 스마트폰인 아이폰 을 출시(出市)했다. 그 뒤, 2008년(年)에는 3세대(世代) 통신망(通信網)을 지원(支援)하는 아이폰 3G 를 출시(出市)했고, 이 제품(製品)을 더 업그레이드해 2009년(年)에 아이폰 3GS 를 출시(出市)했다. 2010년(年)에는 아이폰 4 를 출시(出市)했고, 2011년(年)에 아이폰 4S 를 출시(出市)하였으며, 2012년(年)에는 아이폰 5 를 출시(出市)하여 아이폰 시리즈를 이어오고 있고, 2013년(年) 9월(月) 아이폰5S와 5C 출시(出市)와 동시(同時)에 iOS7을 공개(公開)했다. 2014년(年) 9월(月)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를 출시(出市)했다. 아이폰은 애플의 스마트폰 OS인 iOS가 iOS8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타임랩스 기능(機能)이 추가(追加)되었다. 그리고 애플은 스마트폰이 활성화(活性化)될 수 있었던 '스토어'라는 개념(槪念)을 도입(導入)해 적용(適用)한 회사(會社)이기도 하다 그리고 2015년(年) 9월(月)에는 아이폰 6s와 아이폰6s+를 출시(出市)하였다. 3D터치(포스터치) 기능(機能)이 들어가고 화소도가 올라갔으며 전체적(全體的)인 성능(性能)이 올라갔다. 로즈골드색(色)이 추가(追加)되었다. 아이폰은 세계(世界) 스마트폰 시장(市場) 수익(收益)의 94%를 차지한다. 2016년(年) 7월(月) 28일(日)에는 스마트폰 최초(最初)로 누적(累積) 판매량(販賣量) 10억대(億臺)를 돌파(突破)하였다.

삼성전자(三星電子) [ 편집(編輯) ]

삼성전자(三星電子) 스마트폰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LG전자(電子) 삼성전자(三星電子) 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分割多重接續)) 방식(方式)의 디지털 휴대폰(携帶폰)에 초소형(超小型) 컴퓨터를 결합(結合)한 스마트폰을 개발(開發)하였다. 이것은 휴대폰(携帶폰)으로 사용(使用)하는 것 외(外) 휴대형(携帶型) 컴퓨터로도 사용(使用)할 수 있고, 이동중(移動中)에 무선(無線)으로 인터넷 및 PC통신(通信), 팩스 전송(電送) 등(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은 아날로그 방식(方式), 유럽의 GSM 방식(方式),섹스의 PHS 방식(方式)으로 무선통신(無線通信)을 할 수 있도록 개발(開發)된 적은 있으나 CDMA 방식(方式)으로 개발(開發)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두 회사(會社)는 2000년(年) 4월(月) 일반(一般) 휴대용(携帶用) 전화기(電話機)의 화면(畵面)보다 2배(倍) 정도(程度) 큰 LCD(액정(液晶)디스플레이)를 채택(採擇)하여 데이터 송수신(送受信)과 1,000개(個)에서 2,000개(個)에 이르는 주소(住所)를 관리(管理)할 수 있는 PIM(Personal Imformation Management:개인정보(個人情報) 관리(管理)) 기능(機能)을 갖춘 스마트폰을 거의 같은 시기(時期)에 출시(出市)했다(삼성의 경우(境遇) SCH-M100/SPH-M1000). 또한, 2007년(年), 2009년(年)에 삼성전자(三星電子)는 윈도우모바일을 기반(基盤)으로 한 옴니아, 옴니아 2를 출시(出市)하였고, 2009년(年)에 안드로이드를 내장(內藏)한 갤럭시 를 출시(出市)하였고, 2010년(年)에는 갤럭시 S 를 출시(出市)하였다. 또, 2011년(年)에는 갤럭시S II , 2012년(年)에는 세계(世界) 최초(最初)의 쿼드코어 스마트폰인 갤럭시 S III 를 출시(出市)했다. [7] 2013년(年) 초반(初盤)에 갤럭시 S4 , 2014년(年)에 갤럭시 S5 , 2015년(年)에는 갤럭시 S6 갤럭시 S6 엣지 , 갤럭시 S6 엣지 플러스 , 갤럭시 노트 5 를 출시(出市)하였고, 2016년(年)에는 갤럭시 S7 갤럭시 S7 엣지 를 출시(出市)했다. 그리고 갤럭시 S8 갤럭시 S8+ 그리고 갤럭시 노트 8 을 2017년(年)에 출시(出市)했다. 그리고 2018년(年) 3월(月)에는 갤럭시 S9 갤럭시S9+ 가 출시(出市)되었다.또 2019년(年) 3월(月)에는 갤럭시 S10e , 갤럭시 S10 , 갤럭시 S10+ 가 출시(出市)되었다. 2019년(年) 8월(月)에는 갤럭시 노트 10과 갤럭시 노트10+가 출시(出市)되었다. 다음해인 2020년(年) 2월(月)에는 갤럭시 S20,S20+와 갤럭시 Z플립이 출시(出市)되었다.

LG전자(電子) [ 편집(編輯) ]

LG전자(電子)는 스마트폰 열풍(烈風)이 시작(始作)되자 고전(苦戰)을 면(免)치 못했다. 하지만 GW620 이후(以後)로 옵티머스 시리즈 의 여러 안드로이드폰을 만든 이래(以來), 세계(世界) 최초(最初)의 듀얼코어 스마트폰인 옵티머스 2X 를 출시(出市)했다. 그리고 스마트폰 최초(最初)로 3D 디스플레이를 탑재(搭載)하고 3D 촬영(撮影)이 가능(可能)한 옵티머스 3D 를 출시(出市)했다. LG는 또한 구글과 넥서스 4 , 넥서스 5 를 만들기도 했다. LG전자(電子)는 최근(最近)에 옵티머스 브랜드를 버리고 플래그십 라인업인 LG G 시리즈와 LG V 시리즈, 보급형(普及型) LG F 시리즈, LG L 시리즈, LG K 시리즈를 시장(市場)에 내놓고 있으며, 와인 스마트와 같은 폴더형(型) 스마트폰도 내놓고 있다. 한때 4:3 화면(畵面) 비율(比率)의 노트형(型) 스마트폰 LG 뷰 시리즈도 선보인 바 있다. 2021년(年) 4월(月), LG전자(電子)는 계속(繼續)된 적자(赤字)를 이기지 못하고 결국(結局) LG 스마트폰 사업(事業)을 전면(全面) 철수(撤收)하였다. [8]

활용(活用) [ 편집(編輯) ]

스마트폰으로 활용(活用)한 지도(地圖)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스마트폰 활용(活用)의 핵심(核心)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을 이용(利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있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게임, e북, 음악(音樂), 사진(寫眞), 동영상(動映像) 등(等) 사용자(使用者)들이 원(願)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쉽게 내려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애플의 앱스토어 출시(出市) 이후(以後) 활성화(活性化)되었다. 노키아 , 구글 , 마이크로소프트 등(等)에 이어 통신사업자(通信事業者), 인터넷 포털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開發) 기업(企業)들도 사업진출(事業進出)을 시도(試圖)했다. [9]

영향(影響) [ 편집(編輯) ]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는 기존(旣存) 분야별(分野別)로 세분화(細分化)되어있던 전자시장(電子市場)을 스마트폰 하나로 통합(統合)시켰으며, 이로 인해 기존(旣存)의 전자시장(電子市場)을 완전히(完全히) 몰락(沒落)시키는 결과(結果)를 낳았다. 따라서 2000년대(年代)까지 큰 인기(人氣)를 끌었던 MP3 , PMP , PDA , DVD , 디지털 카메라 등(等)의 전자매체(電子媒體)들이 스마트폰에 흡수(吸收)되어 완전(完全) 소멸(消滅)하거나 쇠퇴(衰退)하였다. 또한 199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 2000년대(年代)까지 PC 위주(爲主)였던 디지털 시장(市場)의 판세(판勢)가 모바일 서비스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TV 역시(亦是)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 이후(以後) 급격히(急激히) 영향력(影響力)이 줄어들어 대부분(大部分)의 수요층(需要層)을 OTT에 빼앗기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기존(旣存) 디지털 시장(市場)에서 세분화(細分化)되어 있던 전자매체(電子媒體)를 휴대전화(携帶電話) 하나로 모두 흡수시킨 디지털 기술(技術)의 총집합체(總集合體)로 여겨졌으며, 이로 인해 기존(旣存) 디지털 시장(市場)은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 이후(以後) 몰락(沒落)하게 되었다.

아날로그 매체(媒體) 역시(亦是)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와 함께 시장(市場)에서 완전히(完全히) 소멸(消滅)되었다. 1990년대(年代) 중반(中盤) 디지털 시장(市場)이 태동되면서 이미 상당수(相當數)의 아날로그 매체(媒體)나 기술(技術)이 2000년대(年代)에 들어서며 디지털 시장(市場)에 밀리는 등(等) 쇠퇴기(衰退期)에 접어들었지만, 기존(旣存)의 디지털 시장(市場)이 아날로그 시장(市場)을 완전(完全) 흡수(吸收)하는데는 실패(失敗)하였고 이 때문에 2000년대(年代)까지는 아날로그 매체(媒體) 역시(亦是) 대중(大衆)들에게 사용(使用)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年代)에 스마트폰이 대중화(大衆化)되며,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아날로그 시장(市場)까지 완전히(完全히) 소멸(消滅)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디지털 기술(技術)의 총집합체(總集合體)처럼 여겨졌으며, 스마트폰의 등장(登場)과 대중화(大衆化)는 완전(完全)한 디지털 시대(時代)의 시작(始作)을 주도(主導)하였다. 1990년대(年代) 중반(中盤) 디지털 시장(市場)의 태동(胎動) 이후(以後) 2000년대(年代)에 들어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점(境界點)을 지나 2010년대(年代)부터는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와 함께 완전(完全)한 디지털 시대(時代)가 개막(開幕)하였다.

스마트폰 세대(世代) [ 편집(編輯) ]

2010년대(年代) 초반(初盤)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가 진행(進行)되면서,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이 파생(派生)시킨 모바일 문화(文化)의 영향(影響)을 받고 이러한 문화(文化)에 익숙한 세대(世代)를 스마트폰 세대(世代) 로 부르게 되었으며 다른 말로 이들을 Z세대(世代) 라고도 칭(稱)한다. 보통(普通) 1990년대(年代) 후반(後半)에 태어난 세대(世代)부터 스마트폰 문화(文化)에 익숙한 스마트폰 세대(世代)로 분류(分類)되며, 2000년대(年代) 중반(中盤)에 태어난 세대(世代)부터는 스마트폰 이전(以前) 시대(時代)의 디지털 시장(市場)과 아날로그 매체(媒體)와 경험적(經驗的)으로 단절(斷絶)된 스마트폰 네이티브 세대(世代) 로 따로 분류(分類)하기도 한다.

1990년대(年代) 후반(後半)부터 2000년대(年代) 초반(初盤)까지 태어난 세대(世代)는 스마트폰 세대(世代)의 첫 세대(世代)이자 스마트폰 대중화(大衆化) 이전(以前)의 디지털 시장(市場)과 아날로그 매체(媒體)의 경험(經驗)도 존재(存在)한다. 이들 세대(世代)는 2000년대(年代) 에 유년기(幼年期)를, 2010년대(年代) 에 청소년기(靑少年期) 대부분(大部分)을 보냈는데 이 시기(時期)가 스마트폰이 대중화(大衆化) 이전(移轉), 이후(以後) 시대(時代)를 전부(全部) 포함(包含)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세대(世代)는 스마트폰 대중화(大衆化) 이전(以前)의 문화(文化)와 아날로그 매체(媒體)에 대(對)한 기억(記憶)과 경험(經驗)이 존재(存在)하며, 동시(同時)에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이 파생(派生)시킨 모바일 문화(文化)에도 익숙한 첫 세대(世代)이다. 또한 이들 세대(世代)를 마지막으로 아날로그 매체(媒體)에 대(對)한 기억(記憶)을 간직한 아날로그 세대(世代)는 끝나게 되며, 같은 스마트폰 세대(世代) 안에서도 세대(世代) 구분(區分)과 세대(世代) 차(車)를 형성(形成)하는 중요(重要)한 특징(特徵)이 되고 있다.

200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 태어난 세대(世代)는 [10] 스마트폰 대중화(大衆化) 이전(以前)에 유행(流行)하던 문화(文化)의 경험(經驗)과는 거의 단절(斷絶)된, 스마트폰 네이티브 세대(世代)로 분류(分類)되고 있다. 이들 세대(世代)는 2010년대(年代) 2020년대(年代) 에 각각(各各) 유년기(幼年期)와 청소년기(靑少年期)를 보내게 되는데 이중(中) 첫 세대(世代)인 2003년생(年生)이 초등학교(初等學校)에 입학(入學)하던 2010년(年)에 아이폰의 한국(韓國) 출시(出市) 이후(以後) 불어닥친 스마트폰 열풍(烈風)에 대응(對應)하고자 삼성(三星) 갤럭시 시리즈의 출시(出市)와 아이패드, 갤럭시탭, 카카오톡 등(等) 스마트폰 주요(主要) 기능(機能)과 앱의 공식(公式) 출시(出市)로 본격적(本格的)인 스마트폰 시대(時代)가 개막(開幕)된 시기(時期)였다. 따라서 이들을 시작(始作)으로 2000년대(年代)에 대부분(大部分) 출생(出生)한 이들이 초등학교(初等學校) 저학년(低學年) 이하(以下)의 연령층(年齡層)인 유년기(幼年期)를 보내는 2011년(年) 전후(前後)를 기점(起點)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大衆化)가 완료(完了)된 이후이기(以後利器) 때문에 유년기(幼年期)부터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이 파생(派生)시킨 모바일 문화(文化)에 익숙하며, 부모(父母)들의 양육방식도(養育方式度) 스마트폰의 유행(流行)에 따라 변화(變化)하였다. 당시(當時) 스마트폰 도입(導入) 초기(初期)에 스마트폰 열풍(烈風)에 힘입어 스마트폰에 지나친 중독(中毒)을 우려(憂慮)하는 학부모(學父母) 입장(立場)에서는 아이들의 학습능력(學習能力) 저하(低下)를 방지(防止)하고자 현재(現在) 진행형(進行形)인 스마트폰 대신(代身) 피쳐폰을 사용(使用)하도록 교육시키기도 했다. 이 세대(世代) 안에서도 2011년생(年生) 부터는 Z세대(世代) 와는 구분(區分)된 알파 세대(世代) 로 분류(分類)하는데, 이유(理由)는 2003~2010년생(年生)의 경우(境遇) 스마트폰 대중화(大衆化) 이전(以前)에 출생(出生)했지만 2011년생(年生)부터는 스마트폰이 대중화(大衆化)된 이후(以後)에 출생(出生)했기 때문이다. 이들 세대(世代)부터는 유년기(幼年期) 때부터 스마트폰을 사용(使用)한 세대(世代)로, 기존(旣存)의 디지털 시장(市場)과 아날로그 매체(媒體)와의 경험(經驗)은 사실상(事實上) 전무(全無)하며 기성(旣成) 세대(世代)와 이러한 경험(經驗) 부분(部分)에서는 단절(斷絶)되어 있다.

스마트폰 세대(世代)는 기성(旣成) 세대(世代)와는 다른 형태(形態)의 문화(文化)를 만들어내며 특이점(特異點)을 띄고 있다. 특히(特히) 스마트폰 시대(時代)를 유년기(幼年期) 시절(時節)부터 경험(經驗)한 세대(世代)의 경우(境遇) 유튜브 , 틱톡 , 인스타그램 등(等) 모바일 기반(基盤) SNS에서 활발히(活潑히) 활동(活動)하고 있으며 개인방송(個人放送) 등(等) 1인(人) 미디어의 접근(接近) 연령(年齡)도 점차(漸次) 낮아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마켓 [ 편집(編輯) ]

스마트폰에서는 '마켓'이라 불리는 상점(商店)에서 해당(該當) 스마트폰 운영(運營) 체제용(體制龍) 소프트웨어를 내려받거나 구입(購入)할 수 있다. 이를테면 앱스토어 , 구글 플레이 , 오비스토어 , 앱월드 , 원스토어 , 삼성(三星) 갤럭시 스토어 등(等)이 있다.

운영(運營) 체제(體制) [ 편집(編輯) ]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운영(運營) 체제(體制)는 심비안 OS , 안드로이드 , iOS , 블랙베리 OS , 윈도우 폰 7 , 윈도우 폰 8 , 팜 웹OS , 삼성(三星) 바다 , 윈도우 모바일 , 미고(米鼓) , 타이젠 , 리(리)모 가 있다. 안드로이드와 미고(米鼓) 그리고 삼성(三星) 바다 리눅스 를 기반(基盤)으로 작성(作成)되었다. 또한 리눅스 운영(運營) 체제(體制)를 기반(基盤)으로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構築)하기 위해 설립(設立)된 컨소시엄인 리(리)모 도 있다.

오픈 소스 환경(環境) [ 편집(編輯) ]

오픈 소스 문화(文化)가 스마트폰 시장(市場)에 파고들고 있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 다 오픈 소스화(化)하려는 시도(試圖)가 있었다. 오픈소스 하드웨어 개발(開發)에서 가장 눈에 띄는 프로젝트는 오픈모코 가 개발(開發)한 네오 프리러너 스마트폰이다. 뒤에 안드로이드 운영(運營) 체제(體制)가 대중적(大衆的)인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運營) 체제(體制) 가 되었다. 노키아 또한 2010년(年)에 모든 심비안 스마트폰 코드를 심비안 에 오픈 소스화(化)할 초안(草案)을 가지고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he iPhone is not a smartphone - Engadget
  2. “CEVA MediaRoom - Glossary of Terms” . 2009년(年) 8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3. TELUS, news, headlines, stories, breaking, canada, canadian, national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4. Evolution of smart phone market | Deloitte Telecommunications Predictions 2009
  5. http://imnews.imbc.com/news/2008/econo/article/986997_19133.html)
  6. Schneidawind, J: "Big Blue unveiling", USA Today, November 23, 1992, page 2B
  7. 갤럭시S3 또한 국외(國外)에서도 인기(人氣)를 끌고 있으며,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최근(最近)에 출시(出市)된 갤럭시노트2는 판매(販賣) 300만대(萬臺)를 돌파(突破)했다.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그리고 일본(日本)에서는 한국(韓國)에는 없는 갈색(褐色) 갤럭시노트2를 출시(出市)했다.
  8. “LG전자(電子) '5조(兆) 적자(赤字)' 스마트폰 손 뗀다…"사후 서비스는 계속(繼續) " . 2021년(年) 4월(月) 5일(日) . 2021년(年) 4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9. 삼성경제연구소 CEO인포메이션 제(第)741호(號) - 권기덕, 임태윤, 취우석(席), 박성배, 오동현
  10. 보통(普通) 2003년생(年生)부터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