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순이익(純利益)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순이익(純利益)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순이익(純利益) , 순수익(純收益) (net income)은 개인(個人) 또는 단체(團體)의 수입(輸入) 에서 매출원가(賣出原價) , 지출비용(支出費用), 감가상각(減價償却) , 할부상환액(割賦償還額), 이자(利子), 회계(會計) 기간(期間) 중(中) 세금(稅金)을 제외(除外)한 것이다. [1]

소득(所得)에서 구매(購買)한 상품(商品)의 비용(費用)만을 제외(除外)한 총소득(總所得) 과는 구별(區別)된다.

가정(家庭)과 개개인(個個人)의 경우(境遇) 순이익(純利益)은 "(총(銃))소득(所得) - 세금(稅金) 및 기타(其他) 공제액(控除額)(예: 의무적(義務的)인 연금(年金) 기여분(寄與分))"을 가리킨다.

농업경영(農業經營)의 순수익(純收益) [ 편집(編輯) ]

농업경영(農業經營)의 순수익(純收益)은 조수익에서 경영비(經營費)를 공제(控除)한 것인데, 조수익은 당(當)해 경영(經營)이 연간(年間)에 걸쳐 이룩한 조생산(兆生産)을 뜻하게 된다. 이에는 생산물(生産物) 및 용역(用役)의 연도내(年度內) 판매액(販賣額) 및 가계비용평가액(家計費用評價額)을 합(合)쳐 미판매생산물(美販賣生産物) 평가액(評價額) 연도(年度)말 증가분(增加分) 및 고정결과(固定結果)재증(症)(固定結果財增) 평가액(評價額)을 가산(加算)하는 실현주의(實現注意) 파악법(把握法)이 있고, 이 밖에 당해연도내(當該年度內)에 생산(生産)된 각종(各種) 유동(流動)(流動) 결과(結果)재 및 용역(用役)을 각(各) 개별단가(個別單價)로 곱한 합계액(合計額)을 총생산가액(總生産價額)으로 산출(算出)하여 여기에 고정결과재(固定結果再) 연도(年度)말 중(中) 평가액(評價額)을 가산(加算)하는 발생주의(發生主義) 파악법(把握法)이 있다. 이 경우(境遇)의 생산물(生産物)은 일단(一旦) 생산(生産)된 유동결과(流動結果)재를 최종(最終) 생산물(生産物)로 보지만, 경영(經營) 내부(內部)의 중간생산물(中間生産物)은 조수익 속에 포함(包含)되지 않기 때문에 2중(重) 계산(計算)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2]

농업경영비(農業經營費) [ 편집(編輯) ]

이는 농업경영(農業經營)이 조수익을 올리는 데 소요(所要)되는 외급비(巍級非)(外給費:경영내부(經營內部)에서 타부문(他部門)의 공급(供給)을 받게 되는 것으로 중간(中間) 생산물비(生産物費)도 이에 포함(包含)된다)를 뜻한다. 그런데 실제로(實際로)는 동일경영(同一經營)의 동일운영일(同一運營日) 경우(境遇)라 하더라도 경영(經營)에 대(對)한 인식(認識)에 따라 외급비(巍級非), 즉(卽) 경영비(經營費)의 구성내용(構成內容)이나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농업경영비(農業經營費)의 파악(把握)은 자재(資材) 및 용역(用役)의 연도내(年度內) 구입액(購入額)을 산출(算出), 여기에 연도(年度)말 자재감소평가액(資材減少評價額)과 고정(固定)공용재(固定供用財) 감가상각액(減價償却額)을 감안(勘案)해서 수정(修正)하는 현금주의(現金主義) 파악법(把握法)이 있고, 또 하나는 각종(各種) 자재(資材) 및 용역(用役)의 연도내(年度內) 실비소비액(實費消費額)을 실사(實査)(實査)해서 각(各) 개별단가(個別單價)를 곱한 합계액(合計額)에 감가상각액(減價償却額)을 가산(加算)하는 발생주의(發生主義) 파악법(把握法)이 있다.

조수익에서는 외급비(巍級費)로의 경영비(經營費)를 공제(控除)해서 산출(産出)되는 농업순수익(農業純收益)은 내급생산(內急生産) 요소(要素)의 보수(保守)가 된다. 한편(한便) 여기서 말하는 내급생산(內急生産) 요소(要素)는 경영개념(經營槪念)에 따라 달라지는데, 다만 이념형태(理念形態)로서의 경영순수익(經營純收益)과 현실(現實)의 사경제적인(私經濟的人) 경영순수익과는 엄격히(嚴格히) 구별(區別)해야 된다. 그러나 농업소득(農業所得)이 농업경영(農業經營)의 성과개념(成果槪念)으로 흔히 원용(援用)되고 있으나, 엄밀히(嚴密히) 말하면 가계경제(家計經濟)로서의 농가경제(農家經濟)가 가져온 소득행위(所得行爲)의 성과개념(成果槪念)일 뿐, 독립적(獨立的)인 경영경제(經營經濟)로서 농업경영경제(農業經營經濟)의 성과(成果) 개념(槪念)은 아니다. [2]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IAS 1 Present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PDF) . IFRS Foundation. 2012 . 2012년(年) 4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농업경영(農業經營)의 순수익(純收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