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숙신(肅愼)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숙신(肅愼)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숙신(肅愼) ( 중국어(中國語) : ?? Sushen [ * ] )은 주대(朱代)(周代) 에 아시아 동북방(東北方)에 살던 북적 을 일컫던 말이다. 식신(食神) (息?), 직신 (稷?), 주신 (朱申)이라고도 불렸다. 여진어를 차음(遮音)借音한 글자(글字)다. 여진어로 ju?en 주(駐)션이라고 발음(發音)한다.

명칭(名稱) [ 편집(編輯) ]

숙신(肅愼)에 관(關)한 가장 오래된 기록(記錄)은 공자(孔子) 가 편찬(編纂)한 『춘추(春秋)』에 있다. 『춘추좌전(春秋左傳)(春秋左傳)』소공(小功) 9년조(年條)에 보면 ‘肅愼·燕·毫 吾北土也’라고 하여 숙신(肅愼)은 연(燕)나라 (燕) ·호(濠)(毫)와 아울러 춘추(春秋) 전국(戰國) 시대(時代) 의 동북방(東北方)에 있다고 하였다. 『사기(詐欺)(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五帝本紀)」의 제순조(帝舜條)에도 ‘南撫交?·北發·西戎·析枝·渠?·?·羌·北山戎·發·息肅·東長·鳥夷’라고 하였는데, 후(厚)한 정현(後漢 鄭玄)의 주(週)(註)를 보면 ‘息愼 或謂之肅愼 東北夷’라 하였다. 따라서 숙신(肅愼)(肅愼)·식신(食神)(息愼)은 연(燕)나라 (燕) 의 동북방(東北方) 경계(境界)에 위치(位置)한, 종자(種子)를 기르고 가꾸기 힘든, 척박(瘠薄)하고 추운 환경(環境)에 사는 부족(部族)들을 이렇게 불렀다. 그들이 살던 지역(地域)의 방향(方向)을 나타내는 동(洞)(東)’ 또는 ‘동북(東北)(東北)’과 관계(關係)가 있었던 명칭(名稱)이 아닌가 추측(推測)된다. 주대(朱代)(周代) 에는 이처럼 막연(漠然)한 개념(槪念)으로 숙신(肅愼)이라고 통칭(統稱)하였으나,

주대(朱代)(周代) 의 숙신(肅愼) 이래(以來) 역사(歷史)에 쓰이던 명칭(名稱)을 정리(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오늘날  퉁구스어 에서 Sokze(n), Sokcen이나 몽골어(몽골語)에서 Juksen은 ‘예(禮)’를 가리키는 말이다. 언어학적(言語學的)으로는 이러한 말들을 숙신(肅愼)의 대응어(對應語)로 들 수 있다. [1] 진서(陳書) 열전(列傳)에는 숙신(肅愼)에 대(對)한 기록(記錄)이 있으며 기록(記錄)한 한족 중점(重點)으로 쓰여졌고 실제(實際) 방문(訪問)해서 적은 기록(記錄)은 아니기 때문에 무작정(無酌定) 수용(受容)할 수는 없다.

진서(陳書) 열전(列傳)(晉書 列傳) 사이(四夷)의 숙신씨(肅愼氏)(肅愼)에 대(對)한 기록(記錄) [ 편집(編輯) ]

숙신씨(肅愼氏)는 일명(一名) 읍루(挹婁) 라고도 하는데, 불함산(不咸山)(不咸山) 북쪽(北쪽)에 있으며, 부여(扶餘) 에서 60일(日)쯤 가야하는 거리(距離)에 있다. 동쪽(東쪽)으로는 큰 바다에 연(連)해 있고, 서쪽(西쪽)으로는 구만한국(舊萬韓國)(寇漫汗國)과 접(接)해 있으며, 북쪽(北쪽)은 약수(藥水)(弱水)에까지 이른다. 그 땅의 경계(境界)는 사방(四方) 수천리(數千里)에 뻗쳐 있다. 사람들은 심산궁곡(深山窮谷)(深山窮谷)에 살며, 그 길이 험준(險峻)하여 수레나 말이 통행(通行)하지 못한다. 여름철에는 나무 위에서 살고 겨울철에는 땅굴(땅窟)에서 산다. 그 나라에서는 부자(富者)(父子)가 대대로(代代로) 세습(世襲)하여 군장(軍將)(君長)이 된다. 문자(文字)가 없기 때문에 언어(言語)로 약속(約束)을 한다. 말이 있어도 타지 않고 단지(但只) 재산(財産)으로 여길 뿐이다. 소와 양(量)은 없고 돼지를 많이 길러서, 그 고기는 먹고 가죽은 옷을 만들며 털은 짜서 포(砲)(布)를 만든다. 낙상(落傷)(?常)이라는 나무가 있는데, 중국(中國)에 성제(聖帝)가 새로 제위(帝位)에 오르면 그 나무에 껍질이 생겨 옷을 지어 입을 수 있다고 한다. 우물이나 부엌이 없으며, 와격(瓦?)을 만들어 4~5되의 밥을 담아서 먹는다. 앉을 때는 두 다리를 뻗고 앉으며, 발에 고기를 끼워 놓고 씹어 먹는다. 언 고기를 얻으면 그 위에 올라 앉아서 체온(體溫)으로 녹인다. 그 지방(地方)에서는 소금과 철이 생산(生産)되지 않으므로, 나무를 태워 재를 만들고 물을 부어 즙을 받아서 먹는다. 그 사람들은 모두 편발(編髮)(編髮)을 하고, 포(抛)(布)로 지름이 한자(漢字)쯤 되는 가리개를 만들어 앞과 뒤를 가리운다. 혼인(婚姻)하러 갈 때에는 남자(男子)가 여자(女子)의 머리에 깃털을 꽂아주는데, 여자(女子)가 결혼(結婚)을 승락하면 그 깃털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갔다가, 다음에 예(例)를 갖추어 맞아 온다. 부인(否認)(婦人)은 정숙(貞淑)하며 건강(健康)한 사람을 귀(貴)하게 여기고 병약(病弱)한 사람은 천(賤)하게 여긴다. 죽은 사람은 죽은 그 날에 곧 바로 들에다 장사(葬事)를 지내는데, 나무를 짜 맞추어 작은 곽(?)을 만들고 돼지를 잡아서 그 위에 쌓아 놓고는 죽은 사람의 양식(樣式)이라고 한다. 그들의 성질(性質)은 흉악(凶惡)하고 사나우며, 근심하거나 슬퍼하지 않는 것을 서로 숭상(崇尙)하므로 부모(父母)가 죽어도 남자(男子)는 곡(哭)(哭)하지 않는데, 곡(哭)하는 사람은 씩씩하지 못하다고 한다. 도둑질을 한 사람은 물건(物件)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關係없이) 모두 죽인다. 그 때문에 비록 들에다 놓아 두어도 훔쳐가지 않는다. 숙신(肅愼)에는 돌로 만든 살촉(살鏃)(石?)과, 가죽과 뼈로 만든 갑옷(甲옷)과, 석자 다섯치(値)의 단궁(檀弓)과, 한 자(字) 몇 치쯤 되는 길이의 고시(考試)(?矢)가 있다. 그 나라의 동북쪽(東北쪽)에 있는 산(山)에서 산출(産出)되는 돌은 쇠를 자를만큼 날카로운데, 그 돌을 채취(採取)하려면 반드시 먼저 신(神)에게 기도(祈禱)하여야 한다. 주(週)(周) 무왕(武王)(武王) 때에 그 고시(考試)(?矢)와 석노(石砮)(石?)를 바쳤다. 주공(住公)(周公)이(李) 성왕(聖王)(成王)을 보좌(補佐)하던 때에는 다시 사신(使臣)을 보내어 조하(弔賀)(朝賀)하였다. 그 뒤 1000여년(餘年) 동안은 비록 진(陳)(秦)나라 와  한(漢)나라 의 강성(强盛)한 세력으로도 그들을 오게 하지 못하였다. 문제(問題)(文帝)가 위(位)(魏) 의 정승(政丞)이 되었을 때인 위나라 경원(慶源)(景元)(260~263년(年)) 말경(末頃)에 고시(告示)(?矢)·석노(石砮)(石?)·궁갑(宮甲)(弓甲)·초피(貂皮)(貂皮) 따위를 가지고 와서 바쳤다. 위제(僞製)(魏帝)는 그 물건(物件)들을 승상부(勝上部)(丞相府)에 보내도록 명(命)하고, 숙신(肅愼)의 왕(王) 녹(綠)(?)에게는 닭·비단(緋緞)·모직물(毛織物)·솜을 하사하였다. 무제(無題)(武帝)의 원강(元康)(291~299년(年)) 초(初)에 다시 와서 공물(貢物)을 바쳤다. 동진(東進) (東晋)의 원제(元帝)가 진(陳)(晋)나라를 중흥(中興)시키자, 또 강좌(講座)(江左)에 와서 그 석노(石砮)(石?)를 공물(貢物)로 보냈다. 성제(成帝) 때에 이르러서는 후조(後趙)(後趙)의 석계룡(石季龍)에게 통호(通好)(通好)하여 조공(朝貢)하였는데, 4년(年)만에 비로소 도달(到達)하였다. [2]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S. M. Shirokogoroff, 『Social Organization of the Northern Tungus』pp.147~169)
  2. “동북아역사(東北亞歷史)넷” . 2017년(年) 7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