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수도회(修道會)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수도회(修道會)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수도회(修道會) (修道會)는 종교(宗敎) 에서 관찰(觀察)되는 조직(組織)으로, 각(各) 종교(宗敎) 정신(精神)을 바탕으로 공동생활(共同生活)을 하는, 서원 에 의(依)해 관계(關係)를 맺은 신자(信者)들의 조직(組織)이다. 수도회(修道會)에 소속(所屬)되어 수도생활(修道生活)을 하는 신자(信者)를 ' 수도자(修道者) '(修道者) 또는 수도승(修道僧)(修道僧)이라고 한다.

남자(男子) 수도회(修道會)와 여자(女子) 수도회(修道會)가 있으며, 활동(活動)의 형태(形態)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류(分類)로 나뉜다.

불교(佛敎)의 선원(船員) [ 편집(編輯) ]

불교(佛敎)의 경우(境遇), 수행(修行)의 길을 들어서려는 승려(僧侶)들은 선원(船員) (禪院)에서 참선(參禪) 중심(中心)의 수행(修行)을 정진(精進)한다. 한국(韓國)에는 2005년(年) 현재(現在) 90여개(餘個)의 선원(船員)이 운영(運營)되고 있다. [1]

원불교(圓佛敎)에는 '교당(敎堂)'이 있다.

그리스도교의 수도회(修道會) [ 편집(編輯) ]

초기(初期)의 가톨릭교회의 수도회(修道會)는 로마제국(帝國) 국교(國校) 가 된 이후(以後)에 가톨릭교회가 세속화(世俗化)되자 이를 세속(世俗)을 멀리하고 순수(純粹)한 신앙생활(信仰生活)을 하려는 분리적(分離的)인 신앙생활(信仰生活)로 극복(克服)하려는 기독교인(基督敎人)들의 수도원(修道院) 운동(運動) 가운데 발생(發生)하여, 창립자(創立者)의 영성(靈性) 을 유지(維持)하면서, 점차(漸次) 회칙(會則)이나 조직(組織)을 정비(整備)하여갔다. 각각(各各)의 수도회(修道會)마다 그 사명(使命), 또는 카리스마 를 가지며, 그 정신(精神)에 따라 활동(活動)을 한다. 중세(中世)에 이르기까지 수도회(修道會)는, 기도(祈禱) 를 중시(重視)하여, 매일(每日) 일과(日課) 중(中) 기도(氣道)를 전원(全員)이 엄숙히 행(行)하였으나, 근세(近世)에 이르러 선교(宣敎)를 주(主) 목적(目的)으로 세워진 예수회 는 회원(會員)의 매일(每日) 일과(日課) 기도(祈禱)의 의무(義務)를 면제(免除)하였다. 또한 17세기(世紀) 이후(以後), 특히(特히) 서유럽(西유럽) 지역(地域)에서는, 영주(領主)로부터 독립(獨立)한 사회복지단체(社會福祉團體)가 그 지역(地域)의 주교(主敎)의 보호(保護) 하(下)에 여자수도회(女子修道會) 형태(形態)로 세워지게 되는 경우(境遇)가 적지 않았으며, 교육(敎育) 수도회(修道會)와 선교(宣敎) 수도회(修道會)가 융성(隆盛)하였다.

가톨릭 수도회(修道會)의 목록(目錄) [ 편집(編輯) ]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청(敎皇廳) 또는 교구(敎區)의 인준(認准)을 거쳐 수도회(修道會)를 창설(創設)해왔다. 대표적(代表的)으로 교황청(敎皇廳)의 인가(認可)를 받은 수도회(修道會) 가운데 일부(一部)를 다음 목록(目錄)에 나열(羅列)한다. [2]

남자(男子) 수도회(修道會) [ 편집(編輯) ]

여자(女子) 수도회(修道會) [ 편집(編輯) ]

한국(韓國) 여자(女子) 수도회(修道會) 현황(現況) [ 편집(編輯) ]

(2013년(年) 9월(月) 24일(日)을 기준(基準), 외국수도회(外國修道會)는 한국진출일(韓國進出日), 방(房)인(邦人/자국) 수도회(修道會)는 설립일(設立日) 가장 빠른 순서(順序)대로 따로 정리(整理)) [3]

봉헌생활회(奉獻生活會)와 사도생활단(生活團) (96곳) [ 편집(編輯) ]
한국진출(韓國進出) 외국(外國) 여자수도회(女子修道會) (67곳) [ 편집(編輯) ]
방(房)인(邦人/국내) 설립(設立) 여자수도회(女子修道會)(29곳) [ 편집(編輯) ]

가톨릭계(系) 선교회(宣敎會) [ 편집(編輯) ]

개신교(改新敎) [ 편집(編輯) ]

성공회(聖公會) 수도회(修道會) [ 편집(編輯) ]

성공회(聖公會) 수도회(修道會)는 옥스퍼드 운동(運動) 으로 보편교회(普遍敎會) 전통(傳統)이 부활(復活)하면서 다시 생겨났다.

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수도회(修道會) [ 편집(編輯) ]

2008년(年) 기준(基準)으로 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에 속(屬)한 성공회(聖公會) 수도회(修道會)는 다음과 같다. [4]

  • 성공회(聖公會) 프란시스 수도회(修道會) :성공회(聖公會) 수사(搜査)들이 거주(居住)하는 성공회(成功會) 수도원(修道院)이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춘천시(春川市) 남면(南面) 발산리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성공회(聖公會) 성(聖) 요한 피정(避靜)의 집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 성가수도회(聲價修道會) :성공회(聖公會) 수녀원(修女院)이며 서울특별시(特別市) 중구 정동에 위치(位置)한다. 노인요양시설인(老人療養施設人) 성(聖) 안나의 집과 1급(級) 정신지체장애인(精神遲滯障礙人) 재활시설인(再活施設人) 보나의 집을 운영(運營)한다.
  • 성(聖) 프란시스 수녀회(修女會)
  • 성(聖) 분도수녀회(分道修女會)
  • 프란시스 수녀회(修女會)
  • 예수원(院)  : 대전교구(大田敎區) 강원교무구(無垢)에 속(屬)한 특수선교교회(特需宣敎敎會)이다. 미국성공회(美國聖公會) 대천덕(大川德) 신부(新婦)가 강원도(江原道) 태백(太白) 하사미에 세웠다.

성공회(聖公會) 이외(以外)의 개신교계(改新敎界) 단체(團體) [ 편집(編輯) ]

  • 씨알수도회(修道會) [5]
  • 대한기독교수도원(大寒基督敎修道院):감리교(監理敎) 수도원(修道院). 정식(正式) 명칭(名稱)은 기독교대한수도원(基督敎大韓修道院)이며, 명칭(名稱)이 수도원(修道院)이라고 되어 있으나 그 본 의미(意味)의 한자어(漢字語)는 “닦을 수, 빌 도, 동산 원”으로 일반적(一般的)으로 의미(意味)하는 수도원(修道院)의 뜻과는 차이(差異)가 있다. 분류(分類)하자면 기도원(祈禱院)에 속(屬)한다고볼 수 있다.

초교파(超敎派) 선교(宣敎) 공동체(共同體)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 선원현황(船員現況)” . 2007년(年) 10월(月) 2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7년(年) 11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2. 한국(韓國) 천주교회(天主敎會) 총람(總覽)(1995~2003년(年))
  3. 2013.9.24.(화(火))『한국(韓國) 진출(進出), 방인(邦人) 수도회(修道會) 현황(現況)(여자수도회(女子修道會))』작성자(作成者) 다큐포엠
  4. 2008년(年) 성서정(性抒情)과 부록(附錄)-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기관(機關),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p.66-67
  5. 한겨레 - 서울 도심(都心)에 개신교(改新敎) 1호(號) 명상원(名上院) 연(年) 씨알수도회(修道會)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2004년(年) 6월(月) 16일(日)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수도회(修道會)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