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성균관대학교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비천당과 600주년(周年) 기념관(記念館)
표어(標語) Unique Origin, Unique Future
건학이념(建學理念) 수기치인(修己治人)(修己治人)
종류(種類) 사립(私立)
설립(設立) 1398년(年) 성균관(成均館) [1]
1946년(年)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
종교(宗敎)
유교(儒敎)
학문(學問) 관련(關聯) 제휴(提携)
OCUC
총장(總長) 유지범
설립자(設立者) 김창숙
학교법인(學校法人)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
이사(理事) 박재완 (제(第)14대(代) 이사장(理事長))
학부생(學部生) 수(數) 25,916명(名) (2020년(年)) [2]
대학원생(大學院生) 수(數) 8,639명(名) (2020년(年)) [2]
교직원(敎職員) 수(數) 3,475명(名) (2020년(年)) [2]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위치(位置)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성균관로(成均館路) 25-2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
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장안구(長安區) 서부(西部)로 2066
규모(規模) 2캠퍼스
교지(敎旨): 1,310,352㎡
교사(敎師): 500,774㎡
교색(驕色) 라임       파랑       주황(朱黃)       진녹색(진綠色)      
상징물(象徵物) 은행나무(銀杏나무)
웹사이트 성균관대학교
Map 성균관대학교의 위치(位置)

성균관대학교 (成均館大學校, Sungkyunkwan University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사립(私立) 종합(綜合) 대학(大學) 이다. 1398년(年) 조선(朝鮮) 유교(儒敎) 적(敵) 건국이념(建國理念)에 따라 한성부(漢城府) 숭교방에 새로이 설립(設立)한 최고학부(最高學府) 성균관(成均館)의 전통(傳統)을 계승(繼承)한다.

경술국치(庚戌國恥) 이후(以後) 성균관(成均館)은 경학원(經學院) 으로 격하(格下)되었고 유림(儒林) 들의 뜻에 의(依)하여 부설(敷設)된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 [3] 마저 1943년(年) 폐교(廢校)되었다. 이는 비로소 광복(光復) 직후(直後) 부활(復活)하였으며 [4] 경학원(經學院)은 성균관(成均館)으로 환원(還元) [5] [6] 되었다. 1945년(年) 11월(月) 김창숙 의 주도(主導)로 열린 전국유림대회(全國儒林大會)에서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의 설립(設立)이 결의(決議)되었다. [7] 이듬해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와 학(學)린사(社)가 병합(倂合) [8] 되어 재단법인(財團法人)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이 설립(設立)되었고 9월(月) 25일(日) 문교부 의 인가(認可)를 받았다.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은 1953년(年) 종합대학(綜合大學) 으로 승격(昇格)되었고 1965년(年)부터 1977년(年)까지는 삼성(三星) 문화재단(文化財團)이, 1979년(年)부터 1991년(年)까지는 봉명재단(奉命財團)이 학교(學校) 운영(運營)을 맡았다. 이후(以後) 1996년(年) 11월(月) 다시금 삼성(三星)그룹 이 재단(財團)을 인수(引受)하였다. 성균관대학교는 1979년(年) 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에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가 준공(竣工)된 이래(以來)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의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와 함께 이원화(二元化) 캠퍼스 체제(體制)로 운영(運營)되고 있다.

오늘날 성균관대학교는 인의예지(仁義禮智)의 품성(稟性)과 신언서판(身言書判)의 능력(能力)을 갖춘 교양인(敎養人), 창의적(創意的) 사고(思考)와 도전정신(挑戰精神)으로 디지털시대(時代)의 신가치(神價値)를 창출(創出)하는 전문가(專門家), 그리고 인류사회(人類社會)에 공헌(貢獻)할 수 있는 글로벌 역량(力量)을 갖춘 리더 양성(養成)을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전대학시대(苦戰大學時代) (1398년(年)~1894년(年)) [ 편집(編輯) ]

성균관(成均館) 명륜당(明倫堂)

성균관대학교의 역사(歷史)는 크게 고전대학시대(苦戰大學時代), 근대대학시대(近代大學時代) 그리고 현대대학시대(現代大學時代)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中)에 고전대학시대(苦戰大學時代)는 1398년(年)에서 1894년(年)까지를 말한다. 이 때는 전통적(傳統的)인 유학(遊學) 교육(敎育)이 행(行)해졌으며 제도적(制度的) 운영(運營) 또한 고전적(古典的)이었다.

나아가 고전대학시대(古典大學時代)는 다음과 같이 3기(期)로 나눌 수 있다.

제(第)1기(期)는 건학기(建學機) 로 1398년(年)에서 1494년(年)까지, 즉(卽) 태조(太祖) 때 성균관(成均館)의 건립(建立)로부터 성종(成宗) 때까지가 이에 해당(該當)된다. 그 시기(時期)에는 성균관(成均館)의 건립(建立)과 더불어 제도상(制度上)의 정비(整備), 운영상(運營上)의 시책(施策)이 적극적(積極的)으로 베풀어져 최고(最高) 국립대학(國立大學)의 체제(體制)가 완성(完成)되었다.

한민족(韓民族) 국가(國家)의 최고학부(最高學部)에 관(關)한 가장 오래된 기록(記錄)은 고구려(高句麗) 소수림왕 2년(年)(서기(西紀) 372년(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조(王朝) 시대(時代)의 유일(唯一)한 국립대학(國立大學)이었던 성균관(成均館)은 이 때의 태학 과 맥락(脈絡)을 같이 한다. 그러나 성균관대학교는 건학원년(建學元年)을 1398년(年)으로 잡고 있으며, 이는 성균관(成均館)이라는 교명(校名)과 현(現) 학교(學校) 위치(位置)를 고려(考慮)한 것이다. 즉(卽) 조선(朝鮮) 개국(開國) 후(後)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 는 한양(漢陽)으로 천도(遷都)하고 서둘러 숭교방(현재(現在)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위치(位置))에 성균관(成均館)을 개설(開設)하였는데, 이것이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역사(歷史)의 시초(始初)다. [9]

제(第)2기(期)는 정체기(停滯期) 로 1495년(年)에서 1724년(年)까지, 즉(卽) 연산군 때부터 경종(警鐘) 때까지가 이에 해당(該當)한다. 이 시기(時期)에는 연산군(燕山君)의 폭정(暴政)으로 성균관(成均館)이 한때 잔치를 벌이는 곳으로 전락(轉落) [10] 하여, 비로소 중종(中宗) 의 즉위(卽位) 후(後) 원상(原狀) 복구(復舊)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 또 선조(宣祖) 때에는 임진왜란(壬辰倭亂) 으로 성균관(成均館)이 소실(消失)되었다가 선조(宣祖) 34년(年)에 문묘(文廟) 가 재건(再建)되고 5년(年) 뒤에는 명륜당(明倫堂)이 중건(重建)되는 곡절(曲折)을 겪었다.

제(第)3기(期)는 부흥기(復興期) 로 1725년(年)에서 1894년(年)까지, 즉(卽) 영조(英祖) 때부터 갑오경장(甲午更張) 때까지가 이에 해당(該當)된다. 이 시기(時期)에는 정치적(政治的), 문예적(文藝的) 부흥기(復興期)를 맞아 성균관(成均館)의 교육(敎育)도 자못 활기(活氣)를 띠었고, 또 실학자(實學者)들에 의(依)하여 교육제도(敎育制度)에 대(對)한 개혁론(改革論)도 활발히(活潑히) 전개(展開)되었다.

  • 1398년(年) - 조선(朝鮮) 태조(太祖) 때 성균관(成均館)이 설립(設立)됨.
  • 1475년(年) - 성균관(成均館) 내(內)에 최초(最初)의 도서관(圖書館)인 존경각(尊經閣) 설립(設立).
  • 1519년(年) - 대학(大學)의 상징(象徵)인 은행나무(銀杏나무) 가 심어짐. (현대(現代)에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제(第)59호(號)로 지정(指定))
  • 1592년(年) - 임진왜란(壬辰倭亂) 에 의(依)해 문묘(文廟) 가 전소(全燒)되었음.
  • 1601년(年) - 선조(先祖)에 의(依)해 문묘(文廟) 재건(再建).

근대대학시대(近代大學時代) (1895년(年)~1945년(年)) [ 편집(編輯) ]

근대대학시대(近代大學時代) 또한 크게 3기(期)로 나눌 수 있다.

제(第)1기(期)는 개화기(開化期) 로 1895년(年)에서 1910년(年)까지, 즉(卽) 성균관(成均館)이 근대적(近代的)인 대학(大學)으로 발족(發足)한 때부터 경술국치(庚戌國恥) 까지가 이에 해당(該當)된다. 1895년(年) 칙령(勅令)으로 성균관(成均館)에 3년제(年制) 경학과(經學科)가 설치(設置)되었으며 역사학(歷史學), 지리학(地理學), 수학(數學) 등(等) 각종(各種) 강좌(講座)가 개설(開設)되었다. 동시(同時)에 교수임명제(敎授任命制)와 입학(入學)·졸업시험제(卒業試驗制)가 실시(實施)되었으며 학기제(學期制)가 도입(導入)되었고, 연간(年間) 수업일수(授業日數)와 주당(週當) 강의시간수(講義時間數)를 책정(策定)하는 등(等)의 근대적(近代的)인 제도(制度) 개혁(改革)이 단행(斷行)되었다. 이로써 성균관(成均館)은 고전대학(苦戰大學)으로부터 근대대학(近代大學)으로의 일대(一大) 전환(轉換)을 맞게 되었다.

제(第)2기(基)인 수난기(受難期)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이다. 성균관(成均館)은 조선(朝鮮)의 최고학부(最高學部)로서의 교육기능(敎育機能)을 상실(喪失)당하였으며, 석전향사(席典享司)(釋奠享祀)와 재산관리(財産管理)를 주(主) 임무(任務)로 하는 기관(機關)으로 변모(變貌)하였다. [11] 그 뒤 전국(全國) 유림(儒林)들에 의(依)한 성균관(成均館) 교육기능(敎育機能)의 회복(回復)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 1930년(年) 경학원(經學院) 안에 명륜학원(學院)이 설치(設置)되었다가 다시 명륜전문학원(專門學院)으로 개편(改編), 1942년(年) 재단법인(財團法人)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로 인가(認可)를 받아 신입생(新入生)을 선발(選拔)하고 교육(敎育)하기 시작(始作)하였다. [12] 그러나 이마저 태평양(太平洋) 전쟁(戰爭)으로 인해 1944년(年) 명륜연성소(鍊成所)로 개편(改編)되어 그 빛을 잃게 되었다.

성균관대학교 측(側)의 입장(立場)에 의(依)하면,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는 과거(過去) 조선(朝鮮)의 최고학부(最高學部)였던 성균관(成均館)의 정통(正統), 즉(卽) '바른 계통(系統)'을 온전히(穩全히) 계승(繼承)한 것으로는 볼 수 없으며 그 정통(正統)의 계승(繼承)은 후(後)에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의 설립(設立)으로 실현(實現)되는 것이다. [9]

  • 1895년(年) - 성균관(成均館)이 3년제(年制) 경학과(經學科)를 지닌 근대(近代) 대학(大學)으로 전환(轉換).
  • 1911년(年) -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에 의(依)해 경학원(經學院)으로 강제(强制) 개명(改名).
  • 1930년(年) - 경학원(經學院) 안에 명륜학원(學院)이 설치(設置)됨.
  • 1939년(年) - 명륜학원(學院)이 명륜전문학원(專門學院)으로 승격(昇格).
  • 1942년(年) 3월(月) 17일(日) - 재단법인(財團法人)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가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의 인가(認可)를 받음.
  • 1943년(年) 12월(月) 31일(日) - 태평양(太平洋) 전쟁(戰爭) 의 영향(影響)으로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 폐교(廢校).
  • 1944년(年) -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를 명륜연성소(鍊成所)로 개편(改編).

현대대학시대(現代大學時代) (1945년(年)~현재(現在)) [ 편집(編輯) ]

중앙학술정보관(中央學術情報館) 앞에 위치(位置)한 김창숙 의 동상(銅像)

근대대학시대(近代大學時代)의 제(第)3기(基)인 발전기(發電機)는 곧 현대대학시대(現代大學時代)를 의미한다.

1945년(年) 해방(解放) 과 더불어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 가 부활(復活)하였고 [13] 경학원(經學院)이 성균관(成均館)으로 명칭(名稱)을 회복(回復)하였다. [14] 같은 해 11월(月) 김창숙 의 주도(主導)로 전국유림대회(全國儒林大會)가 열려 전국(全國)에서 천여(千餘) 명(名)의 대표(代表) 유림(儒林)들이 성균관(成均館) 명륜당(明倫堂)에 모였다. 김구(金九) 가 위원장(委員長)을, 이승만(李承晩) 이(李) 고문(顧問)을 역임(歷任)하였다. [15] 이후(以後) 성균관(成均館)의 정통(正統)을 계승(繼承)할 대학(大學)의 수립(樹立)을 위하여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 기성회(期成會)가 조직(組織)되었고, 종전(從前)의 명륜전문학교(專門學校) 재단(財團)을 통합(統合)하여 재단법인(財團法人)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이 설립(設立)되었다. 이듬해인 1946년(年) 9월(月) 25일(日) 문교부로부터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이 정식(正式)으로 인가(認可)되었으며 김창숙(金昌淑)이 초대(初代) 학장(學長) 및 성균관장(成均館長)에 취임(就任)하였다. 이 과정(過程)에서 전국(全國) 향교(鄕校)로부터 재산(財産)을 갹출(醵出)받았으며 전국(全國) 유림(儒林)들이 기부금(寄附金)을 냈다. [16] 설립(設立) 과정(過程)에서 학봉(鶴峯) 이석구가 재단법인(財團法人) 학(學)린사의(辭意) 거대(巨大)한 토지재산(土地財産)을 희사(喜捨)하였다.

이처럼 성균관(成均館)의 정통(正統)을 계승(繼承)하여 출범(出帆)한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은 문학부(文學部)와 정경학부(政經學部)의 2개(個) 학부(學部)로 구성(構成)되었다. 동양철학(東洋哲學)과, 문학(文學)과(국문학전공, 영문학전공(英文學專攻), 불문학전공(佛文學專攻)), 사학과(史學科)가 문학부(文學部)에 속(屬)하였으며 법률학(法律學)과, 정치학과(政治學科), 경제학과(經濟學科)가 정경학부(政經學部)에 속(屬)하였다. 그러나 1950년(年) 한국(韓國) 전쟁(戰爭) 이 발발(勃發)하였고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은 부산(釜山)으로 피난(避難)하여 부산고등학교(釜山高等學校) 안의 임시(臨時) 천막교사(天幕校舍)로, 그리고 부산시(釜山市) 동대신동의 임시교사(臨時敎師)로 전전(輾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은 1953년(年)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승격(昇格)되었으며, 1954년(年) 석조(石造) 본관(本館)이 준공(竣工)되었다. 나아가 1963년(年) 사립학교법(私立學校法)으로 인해 기존(旣存)의 재단법인(財團法人)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이 개편(改編)되어 '학교법인(學校法人)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과 정부기관(政府機關) 산하(傘下)의 '재단법인(財團法人) 성균관(成均館)'으로 분리(分離)되었다.

연혁(沿革)
  • 1946년(年) - 조선(朝鮮) 시대(時代) 성균관(成均館)이 지니고 있던 최고(最高) 교육(敎育) 기관(機關)으로서 기능(機能)을 이관(移管)받아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 설립(設立)(초대(初代) 학장(學長) : 김창숙, 재단이사장(財團理事長) : 조동식).
  • 1950년(年) - 한국(韓國) 전쟁(戰爭) 당시(當時) UN군(軍) 의 수도탈환(首都奪還)에 앞서 화재(火災)로 인하여 1,500여명(餘名)을 수용(受容)하던 700여평(餘坪)의 교사(敎師)와 7세기(世紀)에 걸쳐 소장(所藏)해온 70,000여권(餘卷)의 진귀(珍貴)한 고전서적(古典書籍)이 소실(消失).
  • 1952년(年) - 부산시(釜山市) 동대신동에 임시교사(臨時敎師) 3동(棟) 신축(新築) 이전(移轉).
  • 1953년(年) -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승격(昇格)(초대(初代) 총장(總長) : 김창숙), 각(各) 도(道) 향교재단(鄕校財團)의 재산(財産)을 거출하여 재단법인(財團法人) 성균관대학을 성균관(成均館)에 통합(統合).
  • 1954년(年) - 본관(本館) 준공(竣工).
  • 1957년(年) - 제(第)1과학관(科學館) 준공(竣工).
  • 1958년(年) - 야간대학(夜間大學) 신설(新設), 중앙도서관(中央圖書館) 준공(竣工).
  • 1960년(年) - 제(第)2과학관(科學館) 준공(竣工).
  • 1962년(年) - 대학본부(大學本部) 준공(竣工).
  • 1963년(年) - 재단법인(財團法人) 성균관대학을 학교법인(學校法人)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으로 개편(改編). 성균관(成均館)은 정부기관(政府機關) 산하(傘下)로 독립(獨立), 경영대학(經營大學) 신설(新設).
  • 1964년(年) - 박물관(博物館)ㆍ국제문화연구원(國際文化硏究院)ㆍ사회과학연구원(社會科學硏究院)ㆍ기업경영연구원(企業經營硏究院)ㆍ약품생산연구원(藥品生産硏究院) 부설(附設), 교수회관(敎授會館) 준공(竣工).
  • 1965년(年) - 삼성(三星) 문화재단(文化財團)이 학교(學校) 운영(運營)에 참여(參與), 이공대학(理工大學) 신설(新設).
  • 1969년(年) - 제(第)3과학관(科學館)(호암관(湖巖館)) 준공(竣工).
  • 1972년(年) - 사범대학(師範大學) 신설(新設).
  • 1974년(年) - 수선관 준공(竣工).
  • 1977년(年) - 삼성문화재단이 학교(學校) 운영(運營) 포기(抛棄).
  • 1979년(年) - 봉명재단(奉命財團)이 학교(學校) 운영(運營)에 참여(參與).
  • 1979년(年) -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 준공(竣工) 및 개강(開講).
  • 1983년(年) - 과학도서관(科學圖書館)ㆍ학생회관(學生會館)(자과(自誇)캠) 준공(竣工)
  • 1986년(年) - 수성관(체육관(體育館))ㆍ양현관 준공(竣工).
  • 1987년(年) - 중앙도서관(中央圖書館) 준공(竣工)
  • 1988년(年) - 유학대학원(遊學大學院) 신설(新設)
  • 1990년(年) - 건학(建學) 600주년(周年) 기념(記念) 사업회(事業會) 설립(設立).
  • 1991년(年) - 봉명재단(奉命財團) 퇴진(退陣).
  • 1994년(年) - 산ㆍ학ㆍ연 과학기술연구단지(科學技術硏究團地) 조성(造成), 제(第)2공학관(共學館) 준공(竣工).
  • 1996년(年) - 삼성재단(三星財團)의 학교(學校) 운영(運營) 참여(參與), 전면적(全面的) 학부제(學部制) 실시(實施).
  • 1998년(年) - 건학(建學) 600주년(周年) 기념식(記念式) 거행(擧行), 예술학부(藝術學部) 신설(新設).
  • 1999년(年) - 600주년기념관(周年記念館) 준공(竣工), BK21사업(事業) 선정(選定)
  • 2000년(年) - 경영관(經營觀) 준공(竣工), 동아시아학술원(東아시아學術院) 신설(新設).
  • 2001년(年) - 의학관(醫學館)ㆍ종합연구동(綜合硏究棟) 준공(竣工).
  • 2004년(年) - MIT 슬로언 비즈니스 스쿨(Sloan School of Management)과 공동(共同)으로 경영전문대학원(經營專門大學院)에 ‘SKK GSB’ 신설(新設), 법학관(法學官) 준공(竣工).
  • 2005년(年) - 성균나노과학기술원(科學技術院)ㆍ학부대학(學部大學)ㆍ중국대학원(中國大學院) 신설(新設).
  • 2006년(年) - 삼성재단(三星財團) 영입(迎入) 10주년(周年), 반도체(半導體)시스템공학과(工學科) 신설(新設).
  • 2008년(年) -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로스쿨)ㆍ글로벌경영학과(經營學科) 신설(新設), 반도체관(半導體館)ㆍ화학관(化學館)ㆍ약학관(藥學館) 준공(竣工).
  • 2009년(年) -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學科)(세계연구중심대학사업(世界硏究中心大學事業))ㆍ에너지과학(科學)과(세계연구중심대학 사업(事業))ㆍ글로벌경제학과(經濟學科) 신설(新設), 삼성학술정보관(三星學術情報館)ㆍ국제관(國際館) 준공(竣工), 대한민국(大韓民國) 선거(選擧)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대학내(大學內) 투표소(投票所) 설치(設置) [17] .
  • 2010년(年) - 학부교육선진화선도대학사업(學部敎育先進化先導大學事業)(ACE) 선정(選定).
  • 2011년(年) - VISION2020 선포(宣布), 소프트웨어학과(學科) 신설(新設).
  • 2012년(年) - 글로벌리더학부(學部) 신설(新設),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産學協力先導大學事業)(LINC) 선정(選定).
  • 2013년(年) - 산학협력(産學協力)센터 준공(竣工), BK21플러스사업(事業) 선정(選定).
  • 2014년(年) - 글로벌센터 준공(竣工), 대학특성화사업(大學特性化事業)(CKⅡ) 및 학부교육선진화선도대학사업(學部敎育先進化先導大學事業)(ACE+) 선정(選定).
  • 2015년(年) -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工學科) 신설(新設), N센터 준공(竣工).
  • 2016년(年) -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大學人文力量强化事業)(CORE) 선정(選定).
  • 2018년(年) - VISION2020+ 선포(宣布), 대학혁신지원사업(大學革新支援事業) 시범운영사업(示範運營事業) 선정(選定), THE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82위(位), QS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100위(位).
  • 2019년(年) - 학생성공(學生成功)센터 설립(設立), AI(인공지능(人工知能)) 비전전략(戰略) 선포(宣布) 및 AI 대학원(大學院) 신설(新設), 문화예술(文化藝術)미디어융합(融合)원 개원(開院), THE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89위(位), QS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95위(位).
  • 2020년(年) - 4단계(段階) BK21 사업(事業) 사립대(私立大) 1위(位), 첫 도전학기(挑戰學期) 개최(開催), 양자정보연구지원(量子情報硏究志願)센터 개소(開所).

위치(位置) [ 편집(編輯) ]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600주년(周年) 기념관(記念館)

성균관대학교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성균관로(成均館路) 25-2에 위치(位置)한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 서울 지하철(地下鐵) 4호선(號線) 혜화역(惠化驛) )와 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장안구(長安區) 서부(西部)로 2066에 위치(位置)한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 ( 수도권(首都圈) 전철(電鐵) 1호선(號線) 성균관대역(成均館大驛) )의 이원화(二元化)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各) 캠퍼스의 소속(所屬) 전공(專攻)은 문(門), 이과(理科)의 구분(區分)에 따라 나뉘어 있다.

산학(算學) 협력(協力) 및 교류(交流) [ 편집(編輯) ]

2010년(年) 기준(基準)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가장 많은 민간연구비(民間硏究費)를 수주(受注)받은 대학(大學)으로 알려져 있으며 총(總) 연구비(硏究費)와 중앙정부(中央政府) 연구비(硏究費)에서는 3위(位)를 기록(記錄)하였다. [18]

국제(國際) 교육(敎育) 및 교류(交流) [ 편집(編輯) ]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International Summer Semester) [ 편집(編輯) ]

2015학년도(學年度)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 경복궁(景福宮) 필드트립

2008학년도(學年度)에 시작(始作)된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는 글로벌 이슈에 관(關)한 세계적(世界的) 명성(名聲)과 강의(講義), 연구(硏究) 능력(能力)을 갖춘 교수(敎授)팀을 초빙(招聘)하여 재학생(在學生)에게 국제화(國際化) 교육(敎育)프로그램을 제공(提供)하고자 개설(開設)되었다. 약(約) 300여명(餘名)이 참가(參加)한 2008학년도(學年度)에는 'Culture, Business & Technology in East Asia'를 주제(主題)로 프로그램이 진행(進行)되었고, 2009학년도(學年度)에는 'Sustainable Global Prosperity'를 주제(主題)로 5개(個)의 트랙을 기반(基盤)으로 프로그램이 개설(開設)되었으며 40여(餘) 개국(個國)·96개(個) 대학(大學)의 외국학생(外國學生)이 참가(參加)하였다.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에서는 세계(世界) 각국(各國)의 젊은이들과 함께 글로벌 이슈에 대(對)한 의견(意見)을 나누며 국제적(國際的) 감각(感覺)을 함양(涵養)할 수 있는 특별(特別)한 경험(經驗)이 주어진다. 나아가 Global Forum, 한국문화(韓國文化) 체험(體驗), 필드트립, 캠퍼스 문화활동(文化活動), 공연관람(公演觀覽), Summer Night Party 등(等)을 통해 외국학생(外國學生)과 재학생(在學生)은 서로 어울리고 교류(交流)하며 이해(理解)의 폭(幅)을 넓힐 수 있다. 2010학년도(學年度)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에는 주제(主題) 'Recovery & Prosperity: Post Crisis & New Future'에 관(關)한 5개(個) 트랙(Recovery, Post Crisis, Prosperity, The Future, East Asia)을 기반(基盤)으로 총(總) 21개(個) 코스가 개설(開設)되었다. 매년(每年)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 홈페이지에서 당(當)해 연도(年度)의 교육(敎育) 프로그램을 소개(紹介)하고 있다.

2010학년도(學年度) 국제하계학기(國際夏季學期) 코스 및 수업(授業)
Recovery Track Global Recovery: Reality and Weakness / Business Success and Failure: Learning from the Crisis / Corporate Leadership in Recovery / Successful Innovation: Case Studies
The Future Future Energy Development / Emerging Technologies and Future Business / Virtual Communities: The Age of the Avatar / City Design and Renewal
Post Crisis Social and Political Risk after the Crisis / Rethinking of Capitalism / Labor Migration in a Global Era / Social Enterprise
East Asia Confucianism in a Global Era / History within the Triangle (Korea, China, and Japan) / Leadership and Innovation in the Oriental Classics / Economic Collaboration: East and West / Classical Oriental Poetry
Prosperity Diaspora and the New Generation / Creative Mind in Life / Industrial Ecology: Business and the Environment / City Branding

부속(附屬) 기관(機關) [ 편집(編輯) ]

삼성(三星)창원병원
교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의 권고(勸告)에 따라 2010년(年) 7월(月) 15일(日), 삼성의료원(三星醫療院) 의 마산(馬山)삼성병원을 ‘성균관대학교 삼성(三星)창원병원’으로 전환(轉換)하여 의대부속기관(醫大附屬機關)으로 소속(所屬)을 바꾸었다.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의과대학(醫科大學)의 교육병원(敎育病院)은 삼성(三星)서울병원(病院) , 강북삼성병원(江北三星病院) , 성균관대학교 삼성(三星)창원병원이며 대부분(大部分)의 교육(敎育)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진행(進行)된다.
성균관대의 도서관(圖書館)은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에 있는 중앙학술정보관(中央學術情報館), 한용교 법학도서관(法學圖書館), 경영도서관(經營圖書館), 그리고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에 있는 삼성학술정보관(三星學術情報館)(구(舊) 과학학술정보관(科學學術情報官)), 건축도서관(建築圖書館)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學術情報官)은 이 모든 도서관(圖書館)을 관리(管理) 및 운영(運營)하고 있다. 모든 학술정보관(學術情報管)을 합(合)쳐 장서보유(藏書保有) 현황(現況)은 2,766,087권(卷)에 이른다. [19]
  • 동아시아학술원(東아시아學術院)
동아시아학(東아시아學) 연구(硏究)를 위해 2000년(年) 3월(月)에 설립(設立)되었다.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내(內)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현재(現在) 사범대학(師範大學) 한문교육과(漢文敎育科)의 임형택 교수(敎授)가 학술원장(學術院長)으로 재직(在職)하고 있다. 국제(國際)저널인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 Archived 2007년(年) 7월(月) 17일(日) - 웨이백 머신 를 발간(發刊)하고 있다.
유교문화(儒敎文化)를 중심(中心)으로 역사적(歷史的) 유물(遺物)을 발굴(發掘) 및 수집(蒐集)하고 이를 전시(展示), 학술연구(學術硏究)에 기여(寄與)함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600주년(周年) 기념관(記念館) 내(內) 지하(地下) 1층(層)에 위치(位置)한다.
교수(敎授) 학생(學生)의 연구발표(硏究發表), 학교(學校) 공지사항(公知事項) 보도(報道), 기타 대내외적(對內外的)으로 건설적(建設的)인 의견(意見)과 비판(批判)으로 여론(輿論)의 창달(暢達)을 기(期)하는 교내(校內) 신문사(新聞社)이다.
교수(敎授) 학생(學生)의 연구발표(硏究發表), 학교(學校) 공지사항(公知事項) 보도(報道), 기타 대내외적(對內外的)으로 건설적(建設的)인 의견(意見)과 비판(批判)으로 여론(輿論)의 창달(暢達)을 기(期)하는 교내(校內) 신문사(新聞社)이며 영자(營者)(英字)를 주문(注文)(主文)으로 발행(發行)하는 것을 특징(特徵)으로 한다.
성균관대학교의 언론기관(言論機關)으로서 방송(放送)을 통한 일반학문(一般學問)의 보급(普及)과 공지사항(公知事項)의 신속(迅速)한 보도(報道)로 학생(學生)들의 교양증진(敎養增進) 및 정서함양(情緖涵養)을 도모(圖謀)하여 건전(健全)한 학풍조성(學風造成)에 이바지함을 목적(目的)으로 설립(設立)되었다.
학술연구(學術硏究) 문헌(文獻)의 출판(出版)과 교육(敎育)에 필요(必要)한 교재(敎材) 및 인쇄물(印刷物)의 간행(刊行)을 통하여 대학(大學)의 학술(學術)·문화발전(文化發展)과 대한민국(大韓民國) 출판(出版) 문화(文化)의 향상(向上)·발전(發展)에 기여(寄與)함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1975년(年)에 설립(設立)되었으며, 학술도서(學術圖書)와 교재도서(敎材圖書), 교양도서(敎養圖書)를 발간(發刊)해 매년(每年) 우수도서(優秀圖書)로 선정(選定)되기도 했다. 브랜드로는 ‘성균관대학교 출판부(出版部)’와 함께 ‘秀subook’이라는 대중(大衆) 브랜드를 론칭(론칭)하여 《브레인 다이어트》, 《감각(感覺)의 역사(歷史)》 등(等)의 일반(一般) 단행본(單行本)을 발간(發刊)하고 있다.
  • 양현재
본교(本校) 대학생(大學生) 및 대학원생(大學院生)으로서 유학이념(留學理念)을 학문적(學問的)으로 심화(深化)시키고 실천적(實踐的)으로 천명(闡明)함으로써 민족문화(民族文化) 창조(創造)에 기여(寄與)할 수 있는 유학인의 양성(養成)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양현재에서 공부(工夫)하는 대부분(大部分)의 학생(學生)들은 '유학동양학(幼學東洋學)(儒學東洋學)' 전공(專攻) 학생(學生)들이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성균관(成均館)이 우수(優秀)한 인재(人材)를 후원(後援)하고 양성(養成)하는 차원(次元)에서 성균관(成均館) 내(內)에 양현재를 운영(運營)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도(度) 이를 계승(繼承)하여 서울 성균관(成均館) 문묘(文廟) 내(內)에서 양현재를 운영(運營)하며 학생(學生)들을 교육(敎育)해왔다. 그러나 문화재청(文化財廳)의 문화재(文化財) 관리(管理) 지침(指針)에 따라 2005년(年) 3월(月)부터는 양현재를 서울 성균관(成均館) 문묘(文廟)에서 퇴계인문관(退溪人文館)으로 옮겨 교육(敎育)을 지속(持續)해오고 있다.
각종(各種) 국가고시(國家考試) 준비생(準備生)의 면학(勉學)과 수험생활(受驗生活)을 지원(支援)하며 사법시험반(司法試驗半), 행정고등고시반(行政高等考試半)(지방고등고시(地方高等考試) 및 입법고등고시(立法高等考試) 포함(包含)), 외무고등고시반(外務高等考試半), 공인회계사시험반(公認會計士試驗半)으로 편성(編成)·운영(運營)한다.
본교(本校) 재학생(在學生) 및 교직원(敎職員)의 건강(健康)한 생활(生活)을 위하여 질병(疾病)의 조기발견(早期發見), 진료(診療) 및 진료(診療) 알선(斡旋), 건강상담(健康相談), 학생(學生) 건강검진(健康檢診), 예방(豫防)백신 접종(接種), 보건교육(保健敎育)을 위한 영상교육실(映像敎育室) 운영(運營), 기타(其他) 필요(必要)하다고 인정(認定)되는 보건사업(保健事業)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보건진료소(保健診療所)라고 명명(命名)되었으나, 2010년(年) 8월(月) 1일(日)부터 ‘건강(健康)센터’로 개칭(改稱)되었다.
단체종목(團體種目)으로 야구부(野球部), 축구부(蹴球部), 농구부(籠球部), 배구부(排球部), 핸드볼부(部)가 있으며 개인종목(個人種目)으로는 육상부(陸上部), 태권도부(跆拳道部), 골프부(部), 검도부(劍道部), 탁구부(卓球部)가 대표적(代表的)이다. 그 외(外)에 수영(水泳), 동계(冬季)스포츠, 권투(拳鬪) 종목(種目)에도 준특기자(準特技者)가 입학(入學)하여 우수(優秀)한 성적(成跡)을 거두고 있으며 순수(純粹) 아마추어로 미식축구부(美式蹴球部)와 산악부(山岳部)가 있다.
E-하우스 내(內) 2인실(人室)
봉룡학사(學士)는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1979년(年) 3월(月) 용관(현(現) 의관(議官)) 신축(新築)(102개실(個室), 204명(名))을 시작(始作)으로 현재(現在) 인관, 의관(議官), 예관, 지관(地官) 총(總) 836개실(個室) 수용인원(收容人員) 1,884명(名)의 초대형(超大型) 기숙사(寄宿舍)로 발전(發展)하였으며, 2009년(年) 3월(月) 수용인원(收容人員) 1,956명(名)의 초현대식(超現代式) 신관(神官) 기숙사(寄宿舍)를 완공(完工)해 3,840명(名)을 수용(受容)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가장 큰 규모(規模)의 기숙사(寄宿舍)이다. 봉룡학사(學士)는 웅비(雄飛)하는 봉황(鳳凰)과 용(龍)의 기상(氣像)을 품는 유생(儒生)들의 안식처(安息處)이자 '인(仁), 의(義), 예(禮), 지(仁, 義, 禮, 智)'라는 교시(敎示)를 내걸어 선(線), 후배(後輩)사이의 끈끈한 정(情)이 이어지는 가족적(家族的)인 분위기(雰圍氣)로 학문(學問)의 산실(産室)이자 인격형성(人格形成)의 수련장(首鍊匠)으로써 그 역할(役割)을 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율(自律)속의 질서(秩序)’라는 생활(生活)모토로 운영(運營)되고 있다. 명륜학사(學士)는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내국인(內國人) 기숙사(寄宿舍) E-하우스, G-하우스, K-하우스, 외국인(外國人) 기숙사(寄宿舍) C-하우스, I-하우스, M-하우스로 이루어져 있고, 남학생(男學生) 기숙시설인(施設人) 임대(賃貸)원룸이 제공(提供)되어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에서 생활(生活)하는 내외국민(內外國民) 학부생(學部生) 및 교환학생(交換學生) 약(約) 1,700명(名)을 수용(受容)하고 있다.
  • 식물원(植物園)
식물(植物)과 관련(關聯)된 제반(諸般) 학문(學問)의 발전(發展)에 기여(寄與)할 수 있는 식물학(植物學) 전반(全般)에 대(對)한 연구(硏究) 및 교육자료(敎育資料)로 식물(植物)의 보전(保全) 육성(育成)과 학생(學生)들의 실험실습(實驗實習)의 장(場)으로 활용(活用)하는 데 목적(目的)이 있다.
공동기기(共同機器)의 효율적(效率的) 운용(運用)을 통하여 본교(本校)의 학술연구(學術硏究) 발전(發展)에 기여(寄與)함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교수학습(敎授學習) 지원(支援) 및 연구(硏究) 업무(業務)를 관장(管掌)한다.
학생(學生) 경력개발(經歷開發)과 취업(就業)에 관련(關聯)된 전반적(全般的)인 업무(業務)와 리더십 함양(涵養)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계획수립(開發計劃樹立)과 운영(運營)에 관(關)한 업무(業務)를 관장(管掌)한다.
적성(適性), 진로선택문제(進路選擇問題), 학습기술(學習技術), 대인관계(對人關係) 문제(問題) 등(等) 학교생활(學校生活)에 도움을 얻기 위한 상담(相談) 및 연구(硏究)에 관(關)한 업무(業務)를 관장(管掌)한다.
양성평등(兩性平等)센터는 성희롱(性戱弄)?성폭력(性暴力) 예방교육(豫防敎育)과 양성평등교육(兩性平等敎育)을 통해 보다 평등(平等)하고 상호존중적(相互尊重的)인 대학(大學) 내(內) 성숙(成熟)한 성문화(性文化)를 이루어 나가기 위한 기관(機關)이다.
  • 교육학술림(敎育學術林)
조경학과(造景學科)의 야외(野外) 실습장(實習場)으로 자연림야외실습(自然林野外實習)(하계학기(下溪學期) 2학점(學點) 개설(開設))수업(授業)에 이용(利用)된다.

부설교육기관(附設敎育機關) [ 편집(編輯) ]

성균어학원(語學院) [ 편집(編輯) ]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국제관(國際館)

학교(學校) 내(內) 외국어(外國語) 교육(敎育)을 위해 정규(正規) 교육과정(敎育課程)의 기초교양(基礎敎養)으로 '기본영어' 및 '전문영어(專門英語)'를 운영(運營)하고 있으며, 국제품(國際品)(외국어능력(外國語能力) 인증(認證)) 제도(制度)를 주관(主管)하고 있다. 비정규(非正規) 과정(過程)으로 '어학특강(語學特講)'을 영어(英語) 및 제(第)2외국어(外國語)에 걸쳐 다양하게 개설(開設)하고 있고, 방학(放學) 중(中) 특별(特別)프로그램으로 집중영어과정(集中英語過程)인 성균IEP(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와 재학생(在學生) 영어(英語)캠프인(人) SNEC(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한국어(韓國語)의 세계화(世界化)와 학교(學校) 내(內) 국제경쟁력(國際競爭力) 제고(提高)를 위한 노력(努力)의 일환(一環)으로, 외국인(外國人)을 대상(對象)으로 하는 한국어(韓國語) 정규(正規)·단기(短期) 과정(過程) 및 한국어(韓國語) 교원(敎員) 양성과정(養成課程)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나아가 재학생(在學生)과 외국인(外國人) 유학생(留學生)의 국제교류(國際交流)를 위한 '봉사(奉仕)도우미 Friends' 제도(制度)와 외국어(外國語) 전용공간인(專用空間人) 'e+ Global Zone'을 운영(運營)하여 본교(本校) 구성원(構成員)의 국제경쟁력(國際競爭力) 함양(涵養)을 위해 힘쓰고 있다. 제공(提供)하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정규강좌(正規講座)
  • 기본영어(基本英語) : 영어(英語)쓰기, 영어발표(英語發表), 영어토론(英語討論)
  • 전문영어(專門英語) : 시사영어(時事英語), 법률영어(法律英語), 비즈니스영어(英語), 문예영어(文藝英語), 과학영어(科學英語)
졸업인증제도(卒業認證制度) '국제품(國製品)' 운영(運營)
국제품시행지침(國製品施行指針) 관리(管理), 교내(校內) 국제품인증시험(國製品認證試驗) 시행(施行)(연간(年間) 토익 3회(回), 제(第)2외국어(外國語) 2회(回))
외국어과정(外國語課程) 운영(運營)
우수(優秀)한 교수진(敎授陣)과 효과적(效果的)인 커리큘럼으로 구성(構成)된 다양(多樣)한 프로그램 운영(運營), 1년(年) 4학기제(學期制) (봄/가을 12주(週), 여름/겨울 5주(週))
한국어과정(韓國語過程) 운영(運營)
수준(水準)높은 교육과정(敎育課程)과 효과적(效果的)인 교수법(敎授法), 자체개발(自體開發) 교재(敎材)로 한국어(韓國語) 교육(敎育) 선도(先導)
  • 정규과정(正規課程) : 1년(年) 4회(回) 봄, 여름, 가을, 겨울 개설(開設)(10주(週))
  • 단기과정(短期過程) : 1년(年) 2회(回) 봄, 여름 개설(開設)(3주(週))
  • 레벨테스트를 통해 1급(級)(초급(初級))~6급(級)(고급(高級)) 배정(配定), 수준별(水準別) 학습(學習)
  • 오후특별반(午後特別班) 및 문화행사(文化行事) 실시(實施)
  • Friends 제도(制度)로 외국인유학생(外國人留學生)의 재학생(在學生)과의 교류(交流) 및 한국어학습(韓國語學習) 지원(支援)
  • 한국어교원(韓國語敎員) 양성과정(養成課程) : 외국인(外國人)에게 한국어(韓國語)를 교육(敎育)하는 전문가(專門家) 양성(養成)
'e+ Global Zone' 운영(運營)
글로벌언어(言語)와 문화(文化)를 체험(體驗)하고 국제화(國際化) 감각(感覺)을 기를 수 있도록 외국어(外國語) 학습(學習), 교류(交流)의 기회(機會)를 제공(提供)하는 공간(空間)

한국사서교육원(韓國司書敎育院) [ 편집(編輯) ]

1965년(年) 3월(月) 문교부로부터 전문(專門) 사서직(司書職) 양성기관(養成機關)으로 ‘한국사서교육원(韓國司書敎育院)’을 설립(設立)하는 학칙(學則)을 승인(承認)받아 정보사회(情報社會)를 선도(先導)할 유능(有能)한 전문직(專門職) 사서(司書) 및 최고경영자(最高經營者) 육성(育成)을 목적(目的)으로 설립(設立)되었다. 당시(當時)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도서관학교육(圖書館學敎育)이 미국인(美國人) 교수진(敎授陣)에 의(依)해 미국(美國)의 도서관학(圖書館學)이 그대로 도입(導入)된 상황(狀況)에서 한국자료(韓國資料) 중심(中心)의 한국적(韓國籍) 도서관학(圖書館學) 교육(敎育)의 필요성(必要性)을 인식(認識)하여 동양(東洋) 및 한국학(韓國學)의 총본산(總本山)인 성균관대학교에서 도서관학과(圖書館學科)(1964년(年) 3월(月))가 설립(設立)된 다음 해에 출발(出發)하게 된 것이다.

1990년대(年代)에 접어들면서 정보화(情報化) 사회(社會)에서 요구(要求)하는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기 위한 새로운 도약(跳躍)의 계기(契機)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方案)으로 교과과정(敎科課程)을 오늘날의 변화(變化)된 정보기술(情報技術)의 환경(環境)에 맞도록 개편(改編)하여 정보처리(情報處理), 정보검색(情報檢索), 정보관리(情報管理), 도서관자동화(圖書館自動化) 등(等)과 같은 학과목(學科目)을 강화(强化)하였다. 특히(特히) 1996년(年)에는 첨단(尖端)의 컴퓨터 기기(機器)를 갖춘 완벽(完璧)한 사서교육원(司書敎育院) 실습실(實習室)을 마련하여 21세기(世紀)의 선도적(先導的) 전문(專門) 사서직(司書職) 양성(養成) 기관(機關)으로 발전(發展)하는 계기(契機)를 마련하였다.

사서교육원(司書敎育院)에서는 1급정사서과정(級情事書過程), 2급정사서과정(級情事書過程), 준사서과정(準司書過程)을 개설(開設) 및 운영(運營)하고 있으며 현재(現在)까지 8,500여명(餘名)의 졸업생(卒業生)을 배출(輩出)하였다. 이들 대다수(大多數)가 국내(國內) 주요(主要) 도서관(圖書館) 및 각종(各種) 정보자료실(情報資料室) 등(等)에서 사서(司書)로서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문헌정보학(文獻情報學) 및 도서관(圖書館) 발전(發展)에 기여(寄與)하고 있다. 향후(向後)에는 도서관(圖書館), 자료실(資料室) 및 정보(情報)센터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분야(情報通信分野)로의 진출(進出)도 가속화(加速化) 되고 있다.

연구기관(硏究機關)

김휘재 [ 편집(編輯) ]

20090년(年) 3월(月)에 설립(設立)되었으며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 내(內)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탄소(炭素)나노튜브 를 세계(世界) 최초(最初)로 개발(開發)한 이이지마 스미오(Sumio lijima) 박사(博士)가 현재(現在) 원장(院長)으로 재직(在職)하고 있다. 영문(英文) 명칭(名稱) 'SKKU Advanced Institute of Nanotechnology'를 줄여 SAINT 라 부르기도 한다. 세계적(世界的) 수준(水準)의 연구진(硏究陣)이 구축(構築)되어 있으며, 내부적(內部的)으로는 Graphene Nano Device팀, Nano-based Solar Cell Technology팀, Flexible OLED팀, 생체(生體) 재료기반(材料基盤) 나노복합체(複合體) 및 소자기술(素子技術)팀의 융복합(融複合) 연구(硏究)그룹으로 구분(區分)된다. 친환경(親環境)에너지자동차부품소재연구(自動車部品素材硏究)센터와 나노소재기반휴먼인터페이스융합연구센터가 소속(所屬)되어 있다. SCIE(과학기술논문(科學技術論文) 추가(追加) 인용색인(引用索引))급(級) 국제(國際)저널인 NANO [2] 를 발간(發刊)하고 있다.

동아시아학술원(東아시아學術院)은 유학사상(留學思想)을 기반(基盤)으로 대한민국(大韓民國)을 포함(包含)한 동아시아(東아시아)의 전통(傳統) 문화(文化)와 현대 문제(問題)를 연구(硏究)함으로써 민족문화(民族文化)를 창달(暢達)하고 국제적(國際的) 상호이해(相互理解)를 돈독히(敦篤히) 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2000년(年) 3월(月) 1일(日)에 설립(設立)되었다. 수기치인(修己治人)(修己治人)의 유교정신(儒敎精神)(儒敎情神)을 건학이념(建學理念)(建學理念)으로 하는 성균관대학교는 오랫동안 동아시아학(東아시아學) 진흥(振興)에 깊은 관심(關心)을 기울여왔다. 성균관(成均館) 의 오랜 염원(念願)에 힘입어 설립(設立)된 동아시아학술원(東아시아學術院)은 국제(國際) 동아시아학(東아시아學) 학계(學界)의 중심기관(中心機關)으로 발돋움하고 있으며 21세기(世紀) 국제(國際) 사회(社會)의 주요(主要) 관심사(關心事)가 될 동아시아(東아시아) 문화(文化)를 미래지향적(未來志向的) 관점(觀點)에 입각(立脚)하여 연구(硏究)하고 있다. 또한, 연구(硏究)와 교육(敎育)을 유기적(有機的)으로 결합(結合)함으로써 새로운 학문(學問) 전략(戰略)을 수립(樹立)하고, 연구(硏究) 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創出)하고자 노력(努力)하고 있다.

동아시아학술원(東아시아學術院)은 기존(旣存)의 학문(學問) 분류(分類) 체계(體系)를 묵수(墨守)(墨守)하지 않고, 통합학문적(統合學問的) 연구(硏究)를 통해 연구(硏究)와 교육(敎育) 기능(機能)을 동시(同時)에 수행(遂行)하는 통합(統合)시스템을 구축(構築)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Research Cluster, 산하연구소(傘下硏究所)(원(怨)), 대학원(大學院) 및 학부(學部) 교육과정(敎育課程), 자료정보(資料情報) 지원(支援) 기능(機能)을 동시(同時)에 갖추고 있으며, 각(各) 단위(單位)의 유기적(有機的) 통일성(統一性)을 제고(提高)함으로써 시너지 효과(效果)를 창출(創出)하고 있다.

산하(傘下) 기관(機關)으로 대동문화연구원(大東文化硏究院) 유교문화연구소(儒敎文化硏究所) , 동아시아지역연구소(東아시아地域硏究所) 서베이리서치센터 Archived 2014년(年) 4월(月) 18일(日) - 웨이백 머신 를 가지고 있다.

휘재(徽裁)스 부설(附設) 연구기관(硏究機關) [ 편집(編輯) ]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 편집(編輯) ]

2009년(年)에 설립(設立)되었으며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내(內)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공동연구(共同硏究)를 위한 3인(人)의 교수(敎授)와 해외(海外) 학자(學者) 6인(人)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WCU 사업(事業)의 유일(唯一)한 인문사회과제(人文社會課題)에 선정(選定)되었다.
1989년(年) 에 설립(設立)되었으며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캠퍼스 내(內)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현대(現代) 중국(中國)의 정치(政治), 경제(經濟), 문화(文化) 등(等) 사회(社會) 전반(全般)에 걸친 폭넓은 연구(硏究)를 진행(進行)해오고 있다. 2007년(年) 한국학술진흥재단(韓國學術振興財團) 중점연구소(重點硏究所)로 선정(選定)되었다
  • 성균건축도시설계원(建築都市設計員)

휘재자연과학(徽裁自然科學)캠퍼스 [ 편집(編輯) ]

자연과학(自然科學)캠퍼스 제(第)2공학관(共學館)
현재(現在) 신소재(新素材), 플라즈마 물리학(物理學), 표면화학(表面化學), 전자(電子), 기계(機械) 분야(分野)의 15명(名)의 교수진(敎授陣)이 참여(參與)하여 상호(相互) 유기적(有機的)인 협력(協力)을 통해 플라즈마 발생(發生) 및 진단(診斷) 제어(制御), 박막신소재(薄膜新素材)의 설계(設計) 및 합성공정(合成工程) 개발(開發), 코팅막(幕)의 분석(分析) 및 신뢰성(信賴性) 평가(評價)에 이르는 기초연구(基礎硏究)에서 시제품(試製品) 개발(開發)까지의 연구활동(硏究活動)을 수행(遂行)하고 있으며, 동시(同時)에 대학(大學) 및 산업체(産業體)의 인력양성(人力養成)을 위한 교육(敎育) 및 훈련(訓鍊)을 위해 활동(活動)하고 있다. 플라즈마 원천기술(源泉技術)을 이용(利用)하여 체계적(體系的)으로 개발(開發)한 지식(知識), 기술(技術),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國內)는 물론(勿論) 세계(世界) 플라즈마 응용기술(應用技術)을 선도(先導)한다는 사명감(使命感)을 가지고 고부가가치(高附加價値) 박막(薄膜) 신소재(新素材) 부품(部品) 창출(創出) 및 고품위(高品位) 공정용 플라즈마 시스템 개발(開發)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뿐만 아니라 기초연구(基礎硏究)를 통해 개발(開發)된 원천기술(源泉技術)을 산업체(産業體)와 연계(連繫)하여 생산현장(生産現場)에 접목(椄木)하는 상용화(商用化) 기술개발(技術開發)을 제(第)1의 목표(目標)로 하여 연구개발(硏究開發)을 진행(進行)하고 있다.
분자치료연구(分子治療硏究)센터는 현대(現代)에 분자유전학(分子遺傳學) 및 기초분자생물학(基礎分子生物學)을 비롯한 기초의학(基礎醫學)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이용(利用)하여 질병(疾病) 의 예방(豫防), 진단(診斷), 치료(治療)에 이용(利用)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물질(分子物質)을 개발(開發)하여 임상(臨床)에 이용(利用)함으로써 인류(人類)의 건강(健康)과 복지증진(福祉增進)을 목적(目的)으로 하는 첨단의학연구소(尖端醫學硏究所)를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정보통신용(情報通信用) 신기능성소재(新機能性素材) 및 공정연구(公正硏究)센터는 나노튜브 및 나노복합구조(複合構造)를 합성(合成)하고 이들의 새로운 물성(物性) 연구(硏究)를 통하여 나노과학기술(科學技術)의 기초(基礎)를 확립(確立)하는 것을 목표(目標)로 2001년(年)에 설립(設立)되었다. 그 해 한국과학재단(韓國科學財團) 우수연구(優秀硏究)센터 사업(事業)에 선정(選定)되어 2001년(年) 7월(月)부터 2010년(年)까지 연평균(年平均) 10억(億)원의 지원(支援)을 받아 운영(運營)하고 있으며, 그외(外)에도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로부터 연(年) 5억(億) 상당(相當)의 고가(高架) 기자재(機資材)와 연구보조인력(硏究補助人力)의 장학금(奬學金), 그리고 삼성전자(三星電子) , 일진(日辰)나노텍 등(等) 산업체(産業體)로부터 연(年) 1억(億)원 상당(相當)의 지원(支援)을 통하여 운영(運營)되고 있다.
전자(電子) 업계(業界)에서는 고성능(高性能) 마이크로칩이나 모듈 개발(開發)과 동시(同時)에, 이들을 보호(保護)하고, 신호분배(信號分配), 전원(電源) 공급(供給) 및 열(熱) 방출(放出)을 담당(擔當)하는 전자(電子) 패키징 기술(技術)과 하나의 칩으로 하나의 시스템 을 구현(具現)하는 SiP(System in Package)와 같은 발전(發展)된 형태(形態)의 패키징 기술(技術) 개발(開發)이 부각(浮刻)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技術的), 사회적(社會的) 요구(要求)에 따라 2004년(年) 10월(月) 산업자원부(産業資源部) 경기도(京畿道) 의 지원(支援)을 받아 마이크로 전자(電子) 패키징 사업단(事業團)(MEPC, Micro Electronic Packaging Consortium)이(李)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내(內)에 설립(設立)되었다. 대학(大學), 기업(企業), 연구소(硏究所)를 네트워크화 하여, 차세대(次世代) 전자(電子) 패키징 재료(材料), 공정(工程), 설계(設計), 신뢰성(信賴性) 평가(評價), 환경성(環境性) 평가(評價) 기술(技術)을 연구(硏究)하고, 결과물(結果物)을 제품화(製品化)하는데 목적(目的)이 있다. 보다 실질적(實質的)인 연구(硏究)를 지향(志向)하고, 사회적(社會的) 요구(要求)에 빠르게 대응(對應)하기 위해서 재료(材料), 전자(電子), 전기(電氣), 화학(化學) 공학(工學) 분야(分野)의 패키징 전문(專門) 교수(敎授)들과 기업(企業), 연구소(硏究所)의 컨소시엄 형태(形態)로 다양한 형태(形態)의 교육(敎育) 사업(事業), 컨설팅, 연구(硏究) 교류(交流), 공동(共同) 연구(硏究), 국제(國際) 협력(協力)을 진행(進行) 중(中)에 있다. 이는 경기도내(京畿道內) 전자전기(電子電氣) 산업(産業) 발전(發展)에 이바지 하는 동시(同時)에 나아가 차세대(次世代) 전자(電子) 패키징 기술(技術)을 보유(保有)한 국가(國家) 이미지 고취(鼓吹)를 목표(目標)로 하고 있다.

학부(學部) 부설(附設) 연구기관(硏究機關) [ 편집(編輯) ]

문과대학(文科大學) [ 편집(編輯) ]

법과대학(法科大學) [ 편집(編輯) ]

  • 법학연구소(法學硏究所)
  • 글로컬과학기술법연구소(科學技術法硏究所)

사회과학대학(社會科學大學) [ 편집(編輯) ]

경제대학(經濟大學) [ 편집(編輯) ]

경영대학(經營大學) [ 편집(編輯) ]

  • 정보통신경영공동연구소(情報通信經營共同硏究所)

생활과학대학(生活科學大學) [ 편집(編輯) ]

사범대학(師範大學) [ 편집(編輯) ]

  • 사교육정책중점연구소(私敎育政策重點硏究所)
  • 교육연구소(敎育硏究所)

예술대학(藝術大學) [ 편집(編輯) ]

  • 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硏究所)

학부대학(學部大學) [ 편집(編輯) ]

  • 의사소통교육(意思疏通敎育)센터
  • 교양기초교육연구소(敎養基礎敎育硏究所)

자연과학대학(自然科學大學) [ 편집(編輯) ]

정보통신대학(情報通信大學) [ 편집(編輯) ]

공과대학(工科大學) [ 편집(編輯) ]

약학대학(藥學大學) [ 편집(編輯) ]

  • 약학연구소(藥學硏究所)

생명공학대학(生命工學大學) [ 편집(編輯) ]

  • 생명공학연구소(生命工學硏究所)

스포츠과학대학(科學大學) [ 편집(編輯) ]

  • 체력과학연구소(體力科學硏究所)

의과대학(醫科大學) [ 편집(編輯) ]

  • 의학연구소(醫學硏究所)

개설(開設) 학과(學科) · 전공(專攻) [ 편집(編輯) ]

학부(學部)와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이 모두 개설(開設)되어 있으며, 2011년(年) 기준(基準) 개설(開設)되어 있는 과정(過程)은 다음과 같다.

학부(學部) 과정(過程) [ 편집(編輯) ]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 [ 편집(編輯) ]

학교(學校) 동문(同門) [ 편집(編輯) ]

사진(寫眞)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본래(本來) 성균관(成均館)은 고려(高麗) 최고(最高) 국립교육기관(國立敎育機關)이었던 국자감(國子監) 의 이름이 바뀐 것이었으나 성균관대학교가 설립(設立)될 당시(當時) 설립자(設立者)인 김창숙 이 개교연대(個校連帶)를 개성(開城) 성균관(成均館) 조선(朝鮮) 의 도읍(都邑)인 한양(漢陽)으로 옮겨온 1398년(年)으로 잡았다. 참고(參考)로 성균관(成均館)의 한양(漢陽) 이전(移轉) 후(後) 남은 개성(開城) 성균관(成均館)은 향교(鄕校)로 격하(格下)되었다.
  2. 대학정보(大學情報) - 현황(現況) -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홈페이지
  3. “성균관(成均館)(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년(年) 1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4. 군정법령(軍政法令) 제(第)6호(號)
  5. “성균관(成均館)(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년(年) 1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6. 군정법령(軍政法令) 제(第)15호(號)
  7. “조선일보(朝鮮日報)” . 《成均館大學設立을 決議》. 1945년(年) 12월(月) 10일(日) . 2020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8. “성대(成大)발자취” .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역사(歷史)》. 2021년(年) 1월(月) 23일(日) . 2021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9. “약사(藥師)” .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역사(歷史)》. 2021년(年) 1월(月) 24일(日) . 2021년(年) 1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성균관(成均館)(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년(年) 1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성균관(成均館)(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년(年) 1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성균관(成均館)(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년(年) 1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군정법령(軍政法令) 제(第)6호(號)
  14. 군정법령(軍政法令) 제(第)15호(號)
  15. “성균관대학(成均館大學) 재단(財團)을 촉성(促成), 1000여(餘) 대표(代表) 참가(參加)로 전국유림대회(全國儒林大會)” . 자유신문(自由新聞). 1945년(年) 12월(月) 10일(日).  
  16. 군정법령(軍政法令) 제(第)194호(號) 제(第)6조(條)
  17. “최대격전지(最大激戰地) 당락(當落) 가른 대학(大學) 투표소(投票所)의 힘” . 오마이뉴스. 2009년(年) 11월(月) 2일(日).  
  18. ““`교수(敎授)는 1인(人) 기업(企業)`…프로젝트 수주(受注) 잘하는 교수(敎授)가 대학(大學) 경쟁력(競爭力)”” . 한국경제(韓國經濟). 2010년(年) 6월(月) 7일(日).  
  19. “출처자료(出處資料): 2015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學術情報館) 통계(統計)” . 2012년(年) 5월(月) 1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4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