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섬진강(蟾津江)댐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섬진강(蟾津江)댐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섬진강(蟾津江)댐 댐체(體) ( 2014년(年) 3월(月) 1일(日) 촬영(撮影))

섬진강(蟾津江)댐 (蟾津江dam)은 전북특별자치도(全北特別自治道) 임실군(任實郡) 강진면 옥정리 에 위치(位置)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첫 다목적(多目的)댐 이다.

시설(施設) 개요(槪要) [ 편집(編輯) ]

옛 운암(雲巖)댐 [1] 에서 하류(下流) 방향(方向) 약(約) 2km 지점(地點)에 건설(建設)되었다. 댐 높이는 64m, 제언(提言)(堤堰) 길이는 335m이다. 만수위(滿水位) 표고(標高) 196.5m, 저수지(貯水池) 만수 면적(面積) 26.5km 2 이고 4억(億) 6,000만(萬)m 3 의 물을 저수(貯水)한다.

본(本)댐 [ 편집(編輯) ]

  • 형식(形式) : 콘크리트 중력식(重力式)댐
  • 길이 : 344m
  • 높이 : 64.4m

저수지(貯水池) [ 편집(編輯) ]

  • 명칭(名稱) : 옥정호
  • 총저수용량(總貯水容量) : 466백만(百萬)m 3
  • 저수면적(貯水面積) : 763km 3

발전시설(發展施設) [ 편집(編輯) ]

  • 발전용량(發展容量) : 120백만(百萬)㎾/년(年)

연혁(沿革) [ 편집(編輯) ]

실제(實際) 착공(着工)은 1940년(年) 4월(月) 에 되었으나 1944년(年)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으로 인해 중단(中斷)되었다가 1948년(年) 에 다시 재착공되었다. 그러나 한국전쟁(韓國戰爭) 으로 인해 다시 중단(中斷)되었다가 1961년(年) 8월(月) 에 제(第)1차(次) 경제개발계획(經濟開發計劃)의 일환(一環)으로 건설부(建設部) 에 의(依)해 다시 기공(起工)되었다. 1965년(年) 12월(月) 20일(日) 에 준공(竣工) [2] 되었으며,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로 건설(建設)된 첫 다목적(多目的)댐이다. 이 댐의 건설(建設)로 발생(發生)한 이주민(移住民)들은 부안군(扶安郡) 계화지구(地區) 간척지(干拓地)에 정착시켰다.

설치(設置) 효과(效果) [ 편집(編輯) ]

정읍시(井邑市) 산내면에 있는 취수구(取水口)에서 취수(取水)하여 약(約) 5.2km의 수압(水壓)터널을 지나 동진강(東津江) 으로 유로(流路)를 바꾸어준다. 취수(取水)된 물은 유역변경식(流域變更式) 발전소(發電所)인 정읍시 칠보면의 섬진강수력발전소(蟾津江水力發電所) (칠보발전소(七寶發電所))를 통해 최대출력(最大出力) 30,480kW의 발전(發展)을 한다.

이후(以後) 방류수(放流水)는 옛 운암발전소(雲巖發電所) 측(側) 방류수(放流水)와 합(合)하여 동진강(東津江) 하류(下流) 계화도 의 간척지(干拓地)(약(藥) 40km 2 )와 수리불안전답(水利不安全沓)(약(藥) 60m 2 )의 관개용수(灌漑用水)로 사용(使用)된다. 이 밖에 총(總) 유하량(流下量)의 80%를 저수(貯水)할 수 있어 홍수(洪水)의 피해(被害)를 줄여준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1926년(年) 에 건설(建設)되었으며, 섬진강(蟾津江)댐에서 2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현재(現在)는 수몰(水沒)됨.
  2. 蟾津江(섬진강(蟾津江))댐竣工式(준공식(竣工式)) , 동아일보(東亞日報), 1965년(年) 12월(月) 20일(日) 작성(作成).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