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울 탱고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서울 탱고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서울 탱고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8년(年) 3월(月) 2일(日) ~ 1998년(年) 8월(月) 14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월(月) ~ 금(金) 8시(時) 55분(分) ~ 9시(時) 25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3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119부작(部作)
연출(演出) 이영희
각본(脚本) 윤정건
출연자(出演者) 김무생 , 박정수 , 송재호 , 이응경 외(外)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
외부(外部) 링크  <서울 탱고> 공식(公式) 홈페이지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서울 탱고> 전회차(前廻車) 무료(無料)보기

서울 탱고 》는 1998년(年) 3월(月) 2일(日) 부터 1998년(年) 8월(月) 14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SBS 일일(日日)드라마 이다.

기획(企劃) 의도(意圖) [ 편집(編輯) ]

어려울수록 강(强)해지는 소시민(小市民)들의 삶에 대(對)한 애착(愛着)과 내일(來日)에 거는 희망(希望)들을 명랑(明朗)하게 그리는 드라마 [1]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SBS가 9시(時) 20분(分)에 편성(編成)된 < 순풍산부인과 >를 통해 일일(日日)시트콤을 부활시키면서 [2] SBS 일일(日日)드라마 는 해당(該當) 작품(作品)부터 < 해 뜨는 집 >까지 월(月)~금(金) 8시(時) 55분(分)에 방송(放送)됐다.
  • 10% 안팎의 저조(低調)한 시청률(視聽率) 외(外)에도 광고(廣告) 비수기(非需期) 시점(時點)에서의 경쟁사(競爭社) 뉴스 프로그램의 협공(挾攻)으로 인해 광고(廣告)가 단(單) 한 개(個)만 붙는 굴욕(屈辱)을 맛보았다. [3]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소시민(小市民)들의 애환(哀歡)과 희망(希望),첫회(回) 드라마「서울탱고」SBS 오후(午後)8:55” . 경향신문(京鄕新聞). 1998년(年) 3월(月) 2일(日) . 2015년(年) 10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노형석 (1998년(年) 2월(月) 27일(日)). “서울방송 봄개편(改編)'승부수(勝負手) ' . 한겨레신문(新聞) . 2018년(年) 10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3. 노형석 (1998년(年) 6월(月) 23일(日)). “광고(廣告)1개(個)로 연명(延命)'서울탱고 ' . 한겨례 . 2015년(年) 10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SBS 일일(日日)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지평선(地平線) 너머
(1997년(年) 10월(月) 27일(日) ~ 1998년(年) 2월(月) 27일(日))
서울 탱고
(1998년(年) 3월(月) 2일(日) ~ 1998년(年) 8월(月) 14일(日))
7인(人)의 신부(神父)
(1998년(年) 8월(月) 17일(日) ~ 1998년(年) 10월(月) 16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