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용산구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용산구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용산구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은 16개(個)의 행정동(行政洞)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全體) 면적(面積)은 21.87km 3 이다. 용산구(龍山區) 의 인구(人口)는 2018년(年) 2분기(分期)를 기준(基準)으로 108,516 세대(世代), 245,245명(名)이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행정동(行政洞) 한자(漢字) 면적(面積) 세대(世代) 인구(人口)
후암동 厚岩洞 0.86 8,532 18,861
용산(龍山)2가동(街洞) 龍山洞 1.96 5,539 12,225
남영동(南營洞) 南營洞 1.19 5,445 8,481
청파동(靑坡洞) 靑坡洞 0.91 10,573 21,110
원효로1동(棟) 元曉路洞 0.7 7,180 15,764
원효로2동(洞) 0.7 6,014 15,149
효창동 孝昌洞 0.43 3,734 9,117
용문동 龍門洞 0.28 5,337 12,834
한강로동(漢江路桐) 漢江路洞 2.87 9,347 18,927
이촌(二村)1동(棟) 二村洞 2.86 10,127 29,077
이촌(二村)2동(棟) 1.22 3,857 9,236
이태원(梨泰院)1동(棟) 梨泰院洞 0.57 3,869 8,789
이태원(梨泰院)2동(棟) 0.8 4,906 10,989
한남동(漢南洞) 漢南洞 2.99 10,914 23,964
서빙고동 西氷庫洞 2.82 5,345 14,377
보광동 普光洞 0.7 7,797 16,345
용산구(龍山區) 龍山區 21.87 108,516 245,245

개요(槪要) [ 편집(編輯) ]

행정동(行政洞) 명(名) 법정동(法定洞) 명(名) 설명(說明)
후암동 후암동 (厚岩洞) 조선시대(朝鮮時代) 초기(初期)에는 한성부(漢城府) 성저십리(城底十里)(城底十里) 지역(地域)이었고, 1751년(年) 한성부(漢城府) 남부(南部) 둔지방(鈍地方)(屯芝坊) 전생서(典牲署)(典牲署) 내계(內界)(內契)와 외계(外界)(外契)에 속(屬)하였다. 1914년(年) 경성부(京城府) 서부(西部)에 편입(編入)되면서 삼판통(桶)(三坂通)으로 되었고, 1943년(年) 용산구에 편입(編入)되었다. 1946년(年) 후암동 으로 바뀌었다.
남영동(南營洞) 갈월동 (葛月洞) 조선(朝鮮) 초기(初期)에 한성부(漢城府) 성저십리(城底十里)(城底十里), 1867년(年) 한성부(漢城府) 용산방(龍山房)(龍山坊)에 속(屬)하였으며, 한말(韓末)에 고양군(高陽郡) (高陽郡) 한지(韓紙)면(漢芝面) 갈월리가 되었다가 1914년(年) 경성부(京城府) 의 관할구역(管轄區域) 명칭(名稱) 변경시(變更時) 강기정(姜琪正)(岡岐町)이(李) 되었다. 1943년(年) 구제(救濟)(區制) 실시(實施)에 따라 경성부(京城府) 용산구(龍山區) 강기정(姜琪正)이 되었다가 1946년(年) 갈월동 이 되었다.
남영동(南營洞) (南營洞) 조선(朝鮮) 초(初)에는 한성부(漢城府) 성저십리(城底十里)(城底十里) 지역(地域)이었고, 1751년(年) 한성부(漢城府) 남부(南部) 둔지방(鈍地方)(屯芝坊) 이태원계(梨泰院界)(梨泰院契)의 일부(一部)가 되었다. 1914년(年) 에는 경성부(京城府) 한강통(漢江桶)(漢江通)이라 불렸고, 1941년(年) 에 연병정(年兵丁)(練兵町)으로 되었다. 1943년(年) 용산구에 편입(編入)되었고, 1946년(年) 남영동(南營洞) 으로 바뀌었다.
동자동 (東子洞) 1867년(年) 한성부(漢城府) 서부(西部) 반석방(盤石坊)에, 1894년(年) 갑오개혁(甲午改革) 당시(當時)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 때는 서서(西署) 반석방·용산방(龍山房), 남서(南西) 둔지방(鈍地方)(屯芝坊)에 속(屬)하였다. 1914년(年) 경성부(京城府) 의 관할구역(管轄區域) 및 명칭(名稱) 변경시(變更時) 고시정(古市町)이(李) 되었으며, 1943년(年) 구제(救濟)(區制) 실시(實施)에 따라 경성부(京城府) 서대문구(西大門區) 고시정이 되었다가, 1946년(年) 중구(中區) 동자동 이 되었다.

1975년(年) 구(舊)(區)의 관할(管轄) 지역(地域) 변경(變更)으로 용산구(龍山區) 동자동 이 되었다.

용산동1가(街) (龍山洞) 조선시대(朝鮮時代) 초(初)에는 한성부(漢城府) 성저십리(城底十里)(城底十里) 지역(地域)이었고, 1751년(年) 한성부(漢城府) 남부(南部) 둔지방(鈍地方)에 속(屬)하였다. 용산동2가(街) 지역(地域)은 1914년(年) 에는 경성부(京城府) 한강통(漢江桶)(漢江通)으로 불리다가 1941년(年) 용산정(情)2정목(龍山町2丁目)으로 되었다. 1943년(年) 용산구에 편입(編入)되었고, 1946년(年) 용산동2가(街) 로 바뀌었다. 용산동4가(街) 지역(地域)은 1914년(年) 에는 고양군(高陽郡) 한지(韓紙)면(漢芝面)에, 1936년(年) 경성부(京城府) 둔지정(鈍智情)(屯芝町)에 속(屬)하였고, 1941년(年) 용산정(情)4정목(正木)으로 불리다가 1946년(年) 용산동4가(街) 로 바뀌었다.
용산(龍山)2가동(街洞) 용산동2가(街)
용산동4가(街)
한강로동(漢江路桐) 용산동3가(街)
용산동5가(街)
한강로1가(街) (漢江路) 1914년(年) 일제식(日帝式) 동명(洞名)을 제정(制定)하였을 때 신초리, 신촌리와 함께 한강통(漢江桶)(漢江通)이(李) 되었고, 1946년(年) 일제식(日帝式) 동명(同名) 일소(一掃)로 한강로(漢江路)로 되었다. 한강로1가(街) 에 있는 삼각지(三角紙)란 한강(漢江) , 서울역(서울驛) , 이태원(梨泰院) 방면(方面)으로 통하는 세모진 땅이라는 데에서 나온 지명(地名)이다. 한강로2가(街) 러일전쟁(戰爭) 의 개전(開戰)과 함께 일본군(日本軍)이 주둔(駐屯)하고 기지촌(基地村)이 형성(形成)되었던 곳으로 한강(漢江)나루터로 나가는 평평(平平)한 사원지대(寺院地帶)로 큰물이 나면 잠겼다.
한강로2가(街)
한강로3가(街)
서빙고동 동빙고동 (東氷庫洞) 조선시대(朝鮮時代) 얼음창고(倉庫) 동쪽(東쪽)에 위치(位置)하여 명명(命名)되었다. 동빙고(東氷庫)는 원래(元來) 성동구(城東區) 옥수동 에 있었는데, 연산군 이 옥수동 일대(一帶)를 사냥터로 정(定)한 이유(理由)로 이곳으로 이전(移轉)되었다 한다.
서빙고동 (西氷庫洞)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얼음을 저장(貯藏)하는 창고(倉庫) 서쪽(西쪽)에 위치(位置)하여 명명(命名)되었다. 서빙고(西氷庫)는 조선(朝鮮) 태조(太祖) 예조(禮曹) 에 소속(所屬)된 얼음창고(倉庫)로 매년(每年) 음력(陰曆) 3월(月)에서 9월(月)까지 궁중(宮中)의 수라간(水剌間) 에 바치거나 고위(高位) 관리(官吏)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볏짚으로 지붕을 이은 움집인 빙고 8동(棟)이 있었는데 서빙고(西氷庫)가 동빙고(東氷庫)보다 훨씬 규모(規模)가 컸으며 얼음을 저장(貯藏)하거나 개방(開放)할 때는 빙신인(人) 현명(賢明) 에게 제사(祭祀)를 지냈다. 서빙고정(西氷庫情)(西氷庫町)은 1943년(年) 용산구에 속(屬)하였고, 1946년(年) 서빙고동 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주성동 (鑄城洞)
용산동6가(街) 참고(參考)
청파동(靑坡洞) 서계동(西界洞) (西界洞) 서울역(서울驛) 뒤쪽 조선(朝鮮) 세종(世宗) 때 문신(文臣)이자 학자(學者)인 최만리 가 살았다하여 붙여진 만리동고개 일대(一帶)에 위치(位置)한 서계동(西界洞) 은, 조선(朝鮮) 시대(時代) 작작굴, 배다리로 불리던 곳인데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서계정(町)으로 칭(稱)하던 것이 광복(光復) 후(後) 서계동(西界洞) 으로 개칭(改稱)하였다. 작작굴(窟)이라는 명칭(名稱)은 용산강에서 욱천 (旭川)을 거슬러온 볏집, 뗄감이 집하(集荷)되어 신탄시장(薪炭市場)(薪炭市場)이(李) 형성(形成)되었으며 이곳에 참새떼가 많이 모여들었다는 데서, 배다리골은 욱천에 놓였던 다리의 이름에서 유래(由來)되었다.
청파동(靑坡洞)1가(街) (靑坡洞) 연화봉 (蓮花峰)이라는 푸른 야산(野山)에 위치(位置)한 데서 유래(由來)했다는 설(說)과 조선(朝鮮) 세종(世宗) 때 명인(名人)인 청파(淸派) 기건 이 살았기 때문이라는 설(說)이 있다.
청파동(靑坡洞)2가(街)
청파동(靑坡洞)3가(街)
원효로1동(棟) 문배동 (文培洞)
신계동 (新契洞)
원효로1가(街) (元曉路)
원효로2가(街)
원효로2동(洞) 원효로3가(街)
원효로4가(街)
신창동 (新倉洞)
산천동 (山泉洞)
청암동 (淸岩洞)
효창동 효창동 (孝昌洞)
용문동 도원동 (桃園洞)
용문동 (龍門洞)
이촌(二村)1동(棟) 이촌동(二村洞) (二村洞)
이촌(二村)2동(棟)
이태원(梨泰院)1동(棟) 이태원동(梨泰院洞) (梨泰院洞)
이태원(梨泰院)2동(棟)
한남동(漢南洞) 한남동(漢南洞) (漢南洞)
보광동 보광동 (普光洞)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려(高麗) 말 과주(果州)(果州, 과천군 )에 속(屬)했던 곳으로 한양부 로 불리었다. 조선(朝鮮) 초에는 한성부(漢城府) 에 속(屬)했으며, 조선(朝鮮) 말에는 용산방(龍山房) 지역(地域)이 되었다. 1896년(年) 한성부(漢城府) 용산방(龍山房)으로 시작(始作)하여 1910년(年)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 의(依)해 한성부(漢城府) 경성부(京城府) 로 개칭(改稱)되면서, 경기도(京畿道) 에 편입(編入)되었다. 1911년(年) 용산방(龍山房)이 용산면(龍山面)이 되었다. 1914년(年) 고양군(高陽郡) 용강면 여(餘)율리→영등포출장소(永登浦出張所) 이속(吏屬), 경성부(京城府) 용산출장소(龍山出張所)(치소-신계동, 청엽정(靑葉情)1~3정목, 원정(遠征)1~4정목, 금정(金井), 미생정(未生情), 경정(警正), 대도정(大道正), 영정(影幀), 청수정(靑修正), 산수정(山修正), 암근정(癌謹呈), 도화정, 강기정(姜琪正), 삼판통(桶), 한강통(漢江桶), 마포동, 이촌동(二村洞)), 용산면의 일부(一部)는 고양군(高陽郡) 용강면으로 개편(改編)되었다.

1943년(年) -용산출장소(龍山出張所)를 용산구역소(龍山區繹騷)로 개칭(改稱), 1945년(年) -용산구역소(龍山區域所)를 용산구로 개칭(改稱),
1944년(年)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
개편(改編) 전(前) 개편(改編) 후(後)
용산구(龍山區) 도화정, 마포정(麻浦情), 용강정(龍江汀), 토정정(土訂正), 대(臺)흥정, 염리정(廉吏情) 마포구 도화정, 마포정(麻浦情), 용강정(龍江汀), 토정정(土訂正), 대(臺)흥정, 염리정(廉吏情)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163호(號) (1943년(年) 6월(月) 9일(日) 공포(恐怖)) 참조(參照).
  2.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350호(號)(1944.10.23 공포(恐怖))
  3. 구(區)의 증설(增設) 및 관할구역(管轄區域) 변경(變更)에 관(關)한 규정(規定) (제정(制定) 1975년(年) 9월(月) 23일(日)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7816호(號))
  4. 서울특별시조례(서울特別市條例) 제(第)2016호(號)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