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궁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서궁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서궁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KBS 2TV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5년(年) 7월(月) 3일(日) ~ 1995년(年) 12월(月) 26일(日)
방송(放送) 횟수(回數) 52부(部)
기획(企劃) 김재현
연출(演出) 김재형
조연출(助演出) 신창석, 홍석구, 김유철 외(外)
각본(脚本) 박찬성
출연자(出演者) 이영애(李榮愛) , 김규철 , 이보희 , 김보성 , 김성옥 , 신구(新舊) , 서인석 , 한인수 , 김인문 , 김을동(金乙東) , 박용기 , 양금석 , 엄유신 , 박준금 , 임혁주
여는 곡(曲) 전미경 《서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SD 제작(製作)·방송(放送)

서궁 》은 1995년(年) 7월(月) 3일(日)부터 1995년(年) 12월(月) 26일(日)까지 방영(放映)된 한국방송공사 월화(月火)드라마 이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국왕(國王)ㆍ세자(世子)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왕비(王妃)ㆍ후궁(後宮)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왕자(王子)ㆍ대군(大君)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공주(公主)ㆍ궁주(弓奏)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추존(推尊) 군주(君主)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문신(文身) [ 편집(編輯) ]

김제남(金悌男)의 가족(家族) [ 편집(編輯) ]

  • 엄유신 : 노씨(盧氏) 부인(夫人) 역(役)

이이첨(李爾瞻)의 가족(家族) [ 편집(編輯) ]

조선(朝鮮)의 내관(內官)ㆍ상궁(尙宮) [ 편집(編輯) ]

김개시(金介屎)의 가족(家族) [ 편집(編輯) ]

  • 양금석 : 강씨(姜氏)(김개시(金介屎)의 생모(生母)) 역(驛)

원표(元標)의 양아버지(養아버지) [ 편집(編輯) ]

  • 고희준 : 원표(元標) 양아버지(養아버지) 역(驛)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김개시(金介屎) 역(驛)의 이영애(李榮愛) 는 해당(該當) 작품(作品)을 통해 처음 사극(史劇)에 출연(出演)했다. 이 작품(作品)과 맞선 드라마 중(中)의 하나인 SBS < 장희빈(張禧嬪) >으로 사극(史劇) 데뷔를 할 뻔 했지만 SBS < 아스팔트 사나이 >에 캐스팅된 데 이어 "선(善)이 강(剛)한 연기(演技)가 부족(不足)하지 않느냐"는 지적(指摘) 탓인지 무산(霧散)된 바 있었다. [1]
  • 이영애(李榮愛) (김개시(金介屎) 역(驛))는 KBS 1TV < 태조(太祖) 왕건(王建) >의 주인공(主人公)으로 한때 거론(擧論)되었지만 SBS < 불꽃 > 캐스팅으로 고사(固辭)했으며 [2] < 태조(太祖) 왕건(王建) >은 해당(該當) 드라마의 담당(擔當) PD 김재형이 연출자(演出者)로 낙점(落點)되었으나 불미(不美)스러운 일로 하차(下車)해야 했다. [3]
  • 극중(劇中) 죽천(竹川) 이덕형 역(役)을 맡았던 최동준 은 해당(該當) 작품(作品)으로 처음 드라마 출연(出演)을 했다. [4]
  • 한동안 고전(苦戰)을 면(免)치 못했으나 SBS < 장희빈(張禧嬪) >이 끝난 뒤 본격적(本格的)으로 인기(人氣)몰이를 하기 시작(始作)하였다. [5]
  • 광해군(光海君)의 애첩(愛妾) 김개시(金介屎)의 역할(役割)을 강조(强調)하고 그의 연인(戀人)인 가상인물(假想人物) 원표(元標)를 만들어 세 사람 사이의 애정(愛情) 갈등(葛藤)을 조장(助長)했다는 지적(指摘)이 있었다. [6]
  • 가수(歌手) 전미경 은 김재현 제작위원(製作委員)이 책임(責任)PD로 참여(參與)한 전작(前作) KBS 2TV 《 장녹수 》의 주제가(主題歌)를 불렀으며, 김재현 제작위원(製作委員) 등(等)의 요청(要請)을 뿌리치지 못해 후속작(後續作) 《서궁》의 주제가(主題歌)도 불렀다. [7] 그는 이를 계기(契機)로 김재현 책임(責任)PD의 일선(一線) 복귀작(復歸作)이자 과거(過去) TBC 화제작(話題作)의 리메이크 드라마인 같은 채널 《 아씨 》 주제(主題)가 역시(亦是) 불렀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이후남(以後南) (1994년(年) 12월(月) 6일(日)). “신세대(新世代) 장희빈(張禧嬪) 선보인다-SBS,신은경 캐스팅 추진(推進)”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5년(年) 12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 정세라 (2000년(年) 2월(月) 12일(日)). “[이야기TV] 별따기보다 더한 `사극(史劇)' 스타 모시기” . 한겨레신문(新聞) . 2016년(年) 9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3. 김기철 (1999년(年) 8월(月) 6일(日)). “[김재형 PD] `왕건(王建) 연출(演出) 도중하차(途中下車)”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16년(年) 9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윤(尹)고은 (2011년(年) 11월(月) 14일(日)). “최동준 "개연수(個硏修), 악역(惡役)이지만 근사(近似)했다 "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6년(年) 1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5. 박원재 (1995년(年) 10월(月) 10일(日)). “「西宮(서궁)」본격(本格) 인기(人氣)몰이”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6년(年) 12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6. 김관명 (1995년(年) 9월(月) 21일(日)). “TV 사극(史劇)/멜로물(物) 전락(轉落) 개선(改善) 급(急)하다” . 한국일보(韓國日報). 2018년(年) 5월(月) 2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5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7. 오광수 우철훈 (1995년(年) 11월(月) 29일(日)). “사극(史劇) 단골가수(歌手) 전미경 허스키하고 애조(哀調) 띤 목소리 '서궁'타이틀 5집(輯)앨범 펴내”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20년(年) 8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한국방송공사 월화(月火)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장녹수
(1995년(年) 1월(月) 2일(日) ~ 1995년(年) 6월(月) 27일(日))
서궁
(1995년(年) 7월(月) 3일(日) ~ 1995년(年) 12월(月) 26일(日))
조광조
(1996년(年) 1월(月) 1일(日) ~ 1996년(年) 6월(月) 25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