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플링 (음악(音樂))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샘플링 (Sampling)은 Published (저작권(著作權)을 갖춰 CD나 Tape의 물리적(物理的)으로 판매(販賣) 또는 배포(配布)되는) 음원(音源)의 부분적(部分的)인 일부(一部)를 추출(抽出)하거나 지구(地球) 상(上)의 모든 소리를 녹음(錄音)하여 편집(編輯)에 끼워넣어 사용(使用)하는 것을 말한다.

1960년대(年代) 구상(構想) 음악(音樂)( musique concrete )이나 전자(電子) 음악(音樂)( electroacoustic music )을 추구(追求)하는 실험(實驗) 음악가(音樂家)들 사이에서 테이프 루프나 바이닐 레코드 등(等)을 판매(販賣) 의도(意圖)에 맞추어 재생(再生)하지 않고 임의적(任意的)으로 부분(部分) 재생(再生)하도록 재생기기(再生機器)의 동작(動作)을 조작(造作)하여 음악(音樂)을 만든 것을 시작(始作)으로 댄스뮤직, 디지털 턴테이블리즘의 소스, 미니멀리즘, 트립합, 힙합 , 사이키델릭 , 인더스트리얼(일렉트로니카와 같은 기법(技法)인데 단지(但只) 일상(日常)에서 들을 수 있는 기계(機械)의 작동음(作動音)이나 소음(騷音)으로 구성(構成))이라는 음악(音樂)의 제작(製作)에도 영향(影響)을 끼쳤다. 힙합 음악(音樂)은 샘플링 기법(技法)을 바탕으로 한 첫 대중(大衆) 음악(音樂) 장르로 1970년대(年代) 여러 DJ들이 임의적(任意的)으로 바이닐 레코드의 소리를 턴 테이블과 오디오 믹서 등(等)으로 조작(造作)해 소리를 만들어낸 것을 시작(始作)으로 힙합 음악(音樂)에 샘플링 기법(技法)이 도입(導入)되었다. [1]

대중음악(大衆音樂) 에서 샘플링 기법(技法)의 사용(使用)은 197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 1980년대(年代) 초반(初盤)에 발생(發生)한 전자(電子) 음악(音樂) 디스코 음악(音樂) 의 유행(流行)과 1980년대(年代)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音樂) 과 인더스트리얼 음악(音樂) 그리고 컨템퍼러리 R&B 와 인디 록 등(等)의 음악(音樂) 장르에 많은 영향(影響)을 주었다. 샘플링을 하기 위한 악기(樂器)인 샘플러는 하드웨어의 한 종류(種類)였으나 오늘 날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일컫는 용어(用語)가 되었다. 한편(한便) 바이닐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또한 사용(使用)되기도 하며 여전히(如前히) 전통적(傳統的)인 방식(方式)으로 샘플링을 하는 턴테이블리스트들도 있다. 현대(現代)의 디지털 제작(製作) 방법(方法)에 다양한 샘플링 방식(方式)과 도구(道具)들이 사용(使用)되면서 많은 대중음악(大衆音樂) 장르들이 샘플링을 하나의 작곡(作曲) 기법(技法)으로 받아들이기 시작(始作)하였는데 클래식 음악(音樂) , 재즈 그리고 다양한 포맷의 포크 음악(音樂) 등(等)도 샘플링을 사용(使用)하기 시작(始作)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