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상주시(尙州市)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상주시(尙州市)

상주시(尙州市)
상주시청 청사
상주시청(尙州市廳) 청사(廳舍)
기(基)

상주시의 위치
상주시(常住市)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行政) 구역(區域) 1 읍(邑) , 17 면(面) , 6 동(桐)
법정동(法定洞) 36 동(桐)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상주시(尙州市) 상산(上山)로 223
단체장(團體長) 강영석 ( 국민의힘(國民의힘) )
국회의원(國會議員) 임이자(林利子) ( 국민의힘(國民의힘) , 상주시(尙州市)·문경시(聞慶市))
지리
면적(面積) 1,254.78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95,566명(名) (2021 [1] 년(年))
세대(世代) 48,965세대(世代) (2021 [2] 년(年))
상징(象徵)
나무 감나무
장미(薔薇)
까치
지역(地域) 부호(富豪)
웹사이트 https://www.sangju.go.kr/

상주시(尙州市) (尙州市)는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북도(慶尙北道) 서부(西部)에 있는 시(時) 이다. 동쪽(東쪽)으로 구미시(龜尾市) · 의성군(義城郡) , 서쪽(西쪽)으로 충청북도(忠淸北道) 보은군(報恩郡) · 옥천군(沃川郡) · 영동군(永同郡) · 괴산군(槐山郡) , 남쪽(南쪽)으로 김천시(金泉市) , 북쪽(北쪽)으로 문경시(聞慶市) · 예천군(醴泉郡) 과 접(接)한다. 조선(朝鮮) 초기(初期)에는 경상감영(慶尙監營) 의 소재지(所在地)로서 경상도(慶尙道)의 수부 역할(役割)을 하였으며, 경주시(慶州市) 와 함께 경상도(慶尙道)의 어원(語源)이 된 유서(遺書) 깊은 도시(都市)이다. 농특산물(農特産物)은 곶감 , 명주(名酒) , 이고, 자전거(自轉車) 의 도시(都市)로 유명(有名)하다. 시청(市廳)은 남성동 에 있고, 행정구역(行政區域)은 1읍(邑) 17면(面) 6동(棟)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지리 [ 편집(編輯) ]

경상북도(慶尙北道) 의 서부(西部), 소백산맥(小白山脈) 의 산록(山麓) 지대(地帶)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동부산지(東部山地)와 서부산지(西部山地)가 남북(南北)으로 뻗어 있고 그 사이로 흐르는 남천과 북천(北天)이 이루는 넓은 들판에 위치(位置)하였다. 동부(東部)에는 갑장산 , 서부(西部)에는 천봉산(天鳳山) 이 있다. 시내(市內)는 주(週)로 화강편마암(片麻巖) 화강암(花崗巖) 의 지질(地質)로 되어 있다. 북부(北部)에는 속리산(俗離山) (俗離山:1,057m)과 남쪽(南쪽)에는 백화산(白華山:933m) 등(等) 1,000m 내외(內外)의 고준한 산(山)이 솟아 있으나 일반적(一般的)으로 동남부(東南部)는 저평(評)하여 경지(耕地)가 넓고, 특히(特히) 동쪽(東쪽)을 흐르는 낙동강(洛東江) 유역(流域)은 넓고 비옥(肥沃)한 지대(地帶)를 이루고 있다. 면적(面積)은 1,254.78km 2 이고, 인구(人口)는 101,208명(名)(2017.7)이다.

상주시는 경상북도(慶尙北道) 서북부(西北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 위치(位置)한 관계(關係)로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에 접근(接近)하고 있으며, 삼한 사온(四溫)이 뚜렷하다. 연(年)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12~13 °C정도(程度)로 최한월(最寒月) 1월(月)과 최난월(月) 8월(月)의 평균기온(平均氣溫)이 -3 °C , 26 °C내외(內外)로 서북부(西北部) 산간지대(山間地帶)로 갈수록 겨울철 기온(氣溫)이 낮아진다. 연간(年間) 강우량(降雨量)은 1,050mm내외(內外)로 낙동강(洛東江) 유역(流域) 대부분(大部分)의 내륙지방(內陸地方)이 1,000mm 정도(程度)에 비하여 다소(多少) 높은 편(便)이다. 1998년도(年度)에는 1,873mm를 기록(記錄)하여 극심(極甚)한 기상재해(氣象災害)를 입었다. 천기일수 현황(現況)을 살펴보면 최근(最近) 10년간(年間) 맑은 날이 연(年) 평균(平均) 156일(日)에 달(達)하고 있으며 넓은 평야(平野)와 적정(適正)한 강우량(降雨量), 여름철 높은 기온(氣溫), 많은 일조량등(日照量等) 농작물(農作物) 재배(栽培)에 좋은 조건(條件)을 가지고 있다. [7]

지질(地質) [ 편집(編輯) ]

상주시는 지질(地質) 구조상(構造上) 서쪽(西쪽)의 옥천(沃川) 습곡대(褶曲帶) 와 동쪽(東쪽)의 경상(輕傷) 분지(盆地) 사이에 끼어 있는 선캄브리아기 영남(嶺南) 지괴(地塊) 에 위치(位置)한다. [8] 암석(巖石)은 전체적(全體的)으로 본 지역(地域)의 기반(基盤)을 이루고 있던 편암류(便巖類), 이 편암류(片巖類)들이 화강암화(花崗巖化)되어(化) 생성(生成)된 준(準)편마암류, 이들을 화강암화(花崗巖化)시키는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였으리라 믿어지는 고기 관입암류(貫入巖類), 이들을 부정합(不整合)으로 피복(被覆)하는 중생대(中生代) 퇴적암류(堆積巖類) 그리고 이들을 관입(貫入)한 불국사기(佛國寺期)의 화성암류(火成巖類)로서 구성(構成)되어 있다. [9]

편암류(片巖類)와 준편마암류(準片麻巖類) [ 편집(編輯) ]

상주시(尙州市) 내(內)에서 편암류(片巖類)와 이들이 화강암화(花崗巖火)(化)된 준(準)편마암류 암석(巖石)은 본 지역(地域)의 대부분(大部分)을 차지하며, 상주도폭(尙州圖幅)의 지질(地質) 계통표(系統表)에서 생성(生成) 시기(時期)를 정확히(正確히) 알 수 없는 시대(時代) 미상(未詳) 의 암석(巖石)으로 분류(分類)되나 이들이 대부분(大部分) 영남(嶺南) 육괴(肉塊) 안에 들어가 있다는 점(點)을 고려(考慮)하면 선캄브리아기 의 암석(巖石)으로 보인다. 이들 준편마암류(準片麻巖類) 암석(巖石)은 내서면 , 외서면 , 외남면 등(等) 낙동강(洛東江) 이서(李曙) 지역(地域) 곳곳에 분포(分布)하며, 영남(嶺南) 지괴(地塊)의 방향성(方向性)을 따라 대체로(大體로) 북복동(北福童) 방향성(方向性)을 갖는다. 편암류(片巖類)와 준편마암류(準片麻巖類)에 잔류되어 있는 퇴적기원(堆積起源) 잔류물(殘留物)의 광물(鑛物) 조성(造成)으로 보아 그들의 원암(原巖)(原巖)은 사질암(沙質巖), 이질암(泥質巖)과 석회질암(石灰質癌)인 것으로 생각된다. [9] [10]

중생대(中生代) 퇴적층(堆積層) [ 편집(編輯) ]

상주(尙州) 경천대(警賤待) 에 드러난 경상(輕傷) 누층군(累層軍) 신동층군(層群) 낙동층(層) 의 역암(礫巖)

상주시에 존재(存在)하는 중생대(中生代)의 퇴적층(堆積層)은 상주시(尙州市) 동부(東部)의 경상(輕傷) 누층군(累層軍) 낙동층군(層群)( 신동층군(層群) )의 삼덕리층(層) , 낙동층(層) 과 서부(西部)의 영동층군(嶺東層群) 그리고 공검면 중(中)소리의 중(中)소리층(層)이 있다.

중생대(中生代) 화성암(火成巖) [ 편집(編輯) ]

중생대(中生代) 백악기(白堊紀) 에 관입(貫入)한 화성암(火成巖) 외서면 서부(西部)에 넓게 분포(分布)하는 알칼리화강암(花崗巖)(Kagr)과 외서면 에서 내서면 , 외남면 까지 대상(對象)(帶狀)으로 분포(分布)하는 석영반암(石英斑巖)(Kqp), 화북면(華北面) 에 분포(分布)하는 흑운모(黑雲母) 화강암(花崗巖)(Kbgr, 용유리도폭(用琉璃圖幅))으로 구성(構成)된다. [9] [11] [10]

  • 알칼리 화강암(花崗巖) (Kagr; Alkali granite)은 외서면 의 이안천 서쪽(西쪽) 지역(地域)에서 은척면 남부(南部) 지역(地域), 화남면 동관리에 이르기까지 분포(分布)한다. 정장석(正長石), 석영(石英), 사장암(斜長巖), 흑운모(黑雲母), 각섬암(角閃巖) 등(等)으로 구성(構成)된다. [9]
  • 각섬석(角閃石) 화강암(花崗巖) (Khgrj)은 은척면 우기리와 문암리, 봉상리 동부(東部), 무릉리, 장암리, 두곡리, 이안면 아천리 북서부(北西部) 일대(一帶)에 광범위(廣範圍)하게 분포(分布)한다. 시대(時代) 미상(未詳)의 운암사층(層)을 관입(貫入)하고 있으며 주로(主로) 사장석(斜長石) , 정장석(正長石) , 각섬석(角閃石) 흑운모(黑雲母) 등(等)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12] [10]

단층(單層) [ 편집(編輯) ]

상주시(尙州市)에는 지질도(地質圖) 상(床)에서 다수(多數)의 단층(單層) 이 확인(確認)된다. 상주시(常住市)의 단층(單層)은 중생대(中生代) 에 형성(形成)된 것이다. [9] [10]

낙동 단층(單層)

낙동 단층(單層) 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지보면 에서 김천시(金泉市) 감문면 까지 북북동(北北東) 방향(方向)으로 약(約) 45km 이상(以上) 연장(延長)되는 주향(走向) 이동성(移動性) 단층(單層)이다. [13] 상주시(尙州市) 동부(東部)에서 낙동면 낙동리 중동면 신암리 , 덕지리 를 지나며 낙동도폭(圖幅)(1977)에서 단층(單層)의 동측(東側)이 낙하(落下)한 것으로 보고(報告)되었다.

신령(神靈) 단층(單層)

신령(神靈) 단층(單層) 팔공산(八公山) 북쪽(北쪽),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천시(永川市) 신녕면 에서 군위군(軍威郡) 을 거쳐 상주시(尙州市) 공성면 까지 약(約) 70 km 이상(以上)의 연장(延長)을 보이는 대규모(大規模) 서북서(西北西) 방향(方向) 단층(單層)이다. [14] [13]

안동(安東) 단층(單層)

안동(安東) 단층(單層) 은 상주시(尙州市) 사벌국면(沙伐國面) 에서 안동시(安東市) 길안면 을 거쳐 청송군(靑松郡) 으로 연결(連結)되는 동북동(東北東)-동서(東西)-서남서(西南西) 방향(方向), 연장(延長) 70km 이상(以上)의 단층(單層) 으로 주로(主로) 선캄브리아기 기반암(基盤巖)으로 이루어진 영남(嶺南) 지괴(地塊) 와 경상(輕傷) 분지(盆地)의 경계(警戒) 단층(單層) [15] 임이 지질도(地質圖)에서 확인(確認)된다. 선캄브리아기 암석(巖石)이 백악기(白堊紀) 암석(巖石)에 의(依)해 스러스트 (충상(衝上))된 고각(高角)의 역단층(逆斷層)으로 보고(報告)되었으며, [16] 서쪽(西쪽) 끝 부분(部分)이 상주시(尙州市) 사벌국면(沙伐國面) 덕담리 에 닿는 이 단층(斷層)은 5만(萬) 지질도(地質圖) 낙동도폭(圖幅)에서 공덕리 단층(單層), 상주도폭(尙州圖幅)에서 묵상리 단층(斷層)으로 명명(命名)되어 있다. [9]

기타 단층(單層)
  • 인평리 단층(單層) 은 상주(尙州) 지질도폭(地質圖幅)에 의(依)하면 상주시청(尙州視聽) 남동쪽(南東쪽)의 인평동 에서 북서쪽(北西쪽)의 연원동 부근(附近)까지 발달(發達)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상주시내(喪主市內)를 북서(北西)-남동(南東) 주향(走向)으로 통과(通過)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우암(尤庵) 단층(單層) 은 인평리 단층(斷層)과 거의 평행(平行)하게 인평리 북쪽(北쪽) 우암리 부근(附近)에서 북서(北西) 40°의 주향(走向)을 갖고 발달(發達)한다. [9] [10]
  • 유정 단층(單層) 내서면 골(骨)터(현(現) 서원리 )에서 낙서리 와 유정(惟政)(현(現) 노류리 ), 노루새터(노류(路柳)새터, 현(現) 노류리 )를 거쳐 배골(현(現) 노류리 )까지 이어지는 북서(北西) 20°주향(走向)의 단층(單層)이다. 연장(延長) 10km 정도(程度)의 비교적(比較的) 큰 규모(規模)의 단층(單層)이다. [9] [10]
  • 밤원 단층(單層) 은(銀) 지질도(地質圖) 상(上)으로 은척면 황령리 또는 외서면 대전리 , 예의리 에서 내서면 서원리 (밤원) 인근(隣近)까지 이어지는 남-북(北) 주향(走向)의 단층(單層)으로 백악기(白堊紀) 알카리화강암(花崗巖)(Kagr) 내(內)에 발달(發達)한다. [9] [10]
  • 북장사(北壯士) 단층(單層) 내서면 낙서리 에서 북장리 의 북장사(北壯士)를 거쳐 외서면 으로 이어지는 북동(北東) 20°주향(走向)의 단층(單層)이다. 북장사(北壯士) 인근(隣近)에서 백악기(白堊紀) 의 알카리화강암(花崗巖)과 석영반암(石英斑巖)을 절단(切斷)한 것으로 보아 백악기(白堊紀) 의 단층(單層)으로 보인다. 본 단층(斷層)을 경계(境界)로 양측(兩側)의 지질(地質)은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여준다. [9] [10]
  • 용유리 단층(單層) 화북면(華北面) 용유리 일대(一帶)에서 화강암체(花崗巖體)를 통과(通過)하는 북서(北西) 10°주향(走向)의 단층(單層)이다. 화북면(華北面) 에서 선형(線形)(lineament, 선구조(善構造) )을 이루고 있는 이 단층(斷層)은 소규모(小規模) 단층(單層)들의 집합체(集合體)로 생각되며, 지질도(地質圖) 상(上)으로 북쪽(北쪽)으로는 괴산군(槐山郡) 청천면 , 남쪽(南쪽)으로는 화남면 동관리 지역(地域)으로 연장(延長)되는 것으로 보인다. [11]
  • 둔덕이 단층(斷層)은 현재(現在)의 내서면 고곡리에 위치(位置)한 둔덕이 마을에서 내서면 서만리까지 북(北)서 50°의 주향(走向)으로 발달(發達)한다. 둔덕이마을 계곡(溪谷) 바닥에서는 약(約) 5 m 내외(內外)의 압쇄(壓碎)대(shear zone)이(李) 발견(發見)된다. 소머리산(山)(442.2 m) 북측(北側)에서는 단층(單層) 계곡(溪谷)이 형성(形成)되어 있고 석영반암(石英斑巖) 및 화강반암(花崗斑巖)(Kqp)이(李) 본 단층(斷層)에 대각선(對角線)으로 관입(貫入)해 있다. [9]
  • 낙남(落南) 단층(單層) 병성동 과 증골(症骨)(현재(現在)의 낙동면 화산리 ) 사이에 북서(北西) 15°의 주향(走向)으로 발달(發達)하며 파쇄대(破碎帶)를 따라 수개소(數個所)에서 금(金) 광상(鑛床)이 발견(發見)된다.
  • 성동(城東) 단층군(單層群) (群)은 낙동면 성동리 를 중심(中心)으로 발달(發達)하는 일련(一連)의 단층(單層)들의 집합(集合)이다. [9] [10]
  • 운평(運平) 단층(單層) 낙동면 운평리에서 외답동 방향(方向)으로 북서(北西) 30°의 주향(走向)으로 발달(發達)하며 단층(斷層)을 따라 금(金) 광상(鑛床)이 발견(發見)된다.
  • 상주시(尙州市) 북부(北部) 이안면 대현리 를 중심(中心)으로 발달(發達)하는 대현리 단층(單層) 은(銀) 지질도(地質圖) 상(上)으로 문경시(聞慶市) 농암면 사현리 에서 은척면 두곡리 이안면 대현리 를 거쳐 공검면 예주리 까지 이어 지는 북서(北西) 60°주향(走向)의 좌수향(座首鄕) 주향(走向) 이동(移動) 단층(單層)이다. 단층(斷層)은 대가산(代價山) 편마암(片麻巖)(bgn)과 조선계(朝鮮系) 대(大)석회암층군(群)(Op), 각섬석(角閃石) 화강암(花崗巖)(Khgrj)을 절단(切斷)하고 있으며 단층(單層)의 종류(種類)는 확인(確認)되지 않았으나 양측(兩側) 지괴(地塊)의 수평(水平) 이동(移動) 거리(距離)는 1 km 에 달(達)한다. 국지도(國支道) 제32호선 이 지나는 무운(武運)고개 부근(附近)에 분포(分布)하는 화강반암(花崗斑巖) 및 규장암(硅長巖) 내(內)에서도 본 단층(單層)의 연장부위(延長部位)에 압쇄(壓碎)대(Sheared zone)가 발달(發達)하는 것으로 보아 화강반암맥(花崗斑巖脈)도 이 단층(斷層)에 의(依)해 잘려 있는 것으로 추측(推測)되기도 하나 확실(確實)한 증거(證據)는 없다. 따라서, 대현리 단층(斷層)은 중생대(中生代) 백악기(白堊紀) 알칼리 화강암(花崗巖)이 관입(貫入)한 후(後) 형성(形成)된 것으로 생각된다. [12] 위성(衛星) 사진(寫眞) 상(上)으로, 공검면 지평리-예주리-율곡리 지역(地域)에는 단층(斷層)에 의(依)해 지형(地形)(산지(山地)/평야(平野) 경계(境界) 지역(地域))이(李) 좌수향(座首香)으로 변위(變位)된 흔적(痕跡)이 희미(稀微)하게 남아 있다.
  • 옥동(玉童) 단층(單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정선군(旌善郡) 예미리 에서 영월군(寧越郡) 김삿갓면(金삿갓面) 옥동리 를 지나 경상북도(慶尙北道) 상주시(尙州市) 함창읍 까지 발달(發達)하는 연장(延長) 100km 이상(以上), 북동(北東)-남서(南西) 주향(走向)의 단층(單層) 이다. 연성(軟性) 전단대(剪斷帶) (ductile shear zone)의 형태(形態)를 가지며, 예미-옥동(玉童) 간(肝)은 단층(單層) 점토(粘土)로 채워져 있고, 단양(丹陽)-점촌(店村) 사이에는 단층대(斷層帶)를 따라 불국사(佛國寺) 화강암(花崗巖)이 관입(貫入)해 있다. [17]

상주시(常住市)의 지진(地震) [ 편집(編輯) ]

선캄브리아기 암석(巖石)으로 구성(構成)된 영남(嶺南) 지괴(地塊) 내(內)에서 상주시(尙州市)와 속리산(俗離山) 일대(一帶)는 지진(地震)이 특히(特히) 활발(活潑)한 편(便)이다. 기상청(氣象廳) 국내지진(國內地震) 목록(目錄)에 따르면 1978년(年)부터 2021년(年) 10월(月)까지 발생(發生)한 지진(地震)은 총(總) 94회(回)이며, 이는 같은 기간(期間) 동안 주변(周邊) 지역(地域)에서 발생(發生)한 것보다 높은 빈도(頻度)이다. 상주시(尙州市)에서 1978년(年) 규모(規模) 5.0의 속리산(俗離山) 지진(地震) 이, 2019년(年) 7월(月) 21일(日) 규모(規模) 3.9, 2020년(年) 1월(月) 30일(日)과 11월(月) 8일(日) 규모(規模) 3.2와 2.9의 지진(地震)이 나는 등(等) 최근(最近)까지도 지진(地震)이 이어지고 있다. [18] [19]

상주시(尙州市)에서의 지진(地震)은 모두 깊이 20km 이내(以內)에서 발생(發生)했다. 지질도(地質圖) [8] 상(上)으로 상주시(尙州市) 일대(一帶)에는 상당수(相當數)의 단층(單層) 이 분포(分布)하며, 상주시(尙州市) 일부(一部) 지역(地域)에서 지표면(地表面)의 단층선(斷層線) 인근(隣近)에서 지진(地震)이 집중적(集中的)으로 발생(發生)하는 곳이 존재(存在)하고 이는 지표(指標)에 드러나지 않은 지하(地下) 단층(斷層)의 존재(存在) 가능성(可能性)을 시사(示唆)한다. [20] 그리고, 이기화(利己化) 등(等)은 1989년(年) 논문(論文)을 통해 영남(嶺南) 지괴(地塊)의 중부(中部) 지역(地域)―상주시(尙州市)와 김천시(金泉市)에 해당(該當) [8] ―과 그 남부인(南部人) 경상(輕傷) 분지(盆地) 와의 경계(境界) 지역(地域)이 지괴(地塊) 내(內)에서 지진(地震) 활동(活動)이 높으며, 한반도(韓半島)에 작용(作用)하는 동(東)-서(西) 방향(方向)의 응력(應力) 으로 인해 중생대(中生代)에 형성(形成)된 영남(嶺南) 지괴(地塊) 내부(內部)의 단층(斷層)이 지진(地震)을 일으키면서 파열(破裂)되며 발생(發生)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言及)했다. [21]

강기훈(2021)은 낙동, 상주(尙州), 옥산동 지질도폭(地質圖幅) 지역(地域)에서 진앙(震央)의 분포(分布)와 지질(地質) 분석(分析)을 바탕으로 지표(指標) 단층(單層)들과 단열계(斷熱系)에 대(對)한 야외(野外) 지질조사(地質調査)를 수행(遂行)하여 진앙(震央)의 분포(分布)와 이들 단층(單層)들 사이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고찰(考察)하였다. 낙동 지역(地域)에서 노두(露頭) 규모(規模)의 단층(單層)들은 (북(北))북동(北東) 이외(以外)에 동북동(東北東)과 (서(徐))북서(北西) 방향(方向)의 단층(斷層)들이 발달(發達)하고, 북(北)서~서북서 방향(方向)의 단층(斷層)은 진앙분포(震央分布)의 선상구조(線上構造) 방향(方向)과 일치(一致)한다. 낙동 지역(地域) 북북동(北北東) 방향(方向)과 북서(北西) 방향(方向)의 불연속면(不連續面)은 한반도(韓半島)의 현생(現生) 동북동(東北東)-서남서(西南西) 방향(方向)의 압축(壓縮) 응력장(應力場) 하(下)에서 활동(活動) 가능성(可能性)이 가장 높은 것으로 고찰(考察)되었고, 이들 방향(方向)은 한국(韓國)의 지진(地震) 들의 일반적(一般的)인 단층(單層) 면(免)해의 단층방향(斷層方向)과도 일치(一致)한다. [22] [23]

1978년(年) 속리산(俗離山) 지진(地震)

속리산(俗離山) 지진(地震) 1978년(年) 9월(月) 16일(日) 오전(午前) 2시(時) 7분(分)( KST )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북도(慶尙北道) 상주시(尙州市) 화북면(華北面) 에서 일어난 규모(規模) M L 5.2의 지진(地震) 이다. 발생(發生) 위치(位置)는 상주시(尙州市) 북서(北西) 32km 지역(地域)(36.60 N, 127.90 E) 즉(卽) 화북면(華北面) 으로 나타난다. [24]

2019년(年) 상주(尙州) 지진(地震)

2019년(年) 상주(尙州) 지진(地震) 2019년(年) 7월(月) 21일(日) 오전(午前) 11시(時) 4분(分) 상주시(尙州市)(청(靑)) 북서쪽(北西쪽) 11km 지역(地域)에서 발생(發生)한 규모(規模) 3.9의 지진(地震)으로, 주향(走向) 이동(移動) 단층(單層) 의 운동(運動)에 의(依)한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25] [26] 비교적(比較的) 큰 규모(規模)의 지진(地震)이였으나 별다른 피해(被害)는 없었다. [27] 기상청(氣象廳) 은 2019년(年)의 상주(尙州) 지진(地震)이 응력(應力)이 작용(作用)함에 따라 지하(地下)의 단층(單層) 이 움직여 발생(發生)한 지진(地震)이라고 설명(說明)했으며, 이날 지진(地震)에 앞서 2년(年) 8개월가량(個月假量) [28] 큰 규모(規模)의 지진(地震)이 발생(發生)하지 않아 그동안 축적(蓄積)된 에너지가 3.9라는 비교적(比較的) 큰 규모(規模)의 지진(地震)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다. [29] [30] 실제로(實際로), 지질도(地質圖) 확인(確認) 결과(結果) 진앙지(震央地)(북위(北緯) 36.50, 동경(東京) 128.10 : 외서면 관현리)에서 남동쪽(南東쪽)으로 2km 이내(以內)에 북장사(北壯士) 단층(單層) 이 통과(通過)하며 기상청(氣象廳) 국내지진(國內地震) 목록(目錄)에 따르면 2016년(年) 6월(月) 3일(日) 규모(規模) 3.0, 12월(月) 4일(日) 규모(規模) 2.0의 지진(地震)이 발생(發生)했고, 그 이후(以後) 2019년(年) 7월(月)에 이르기까지 모두 규모(規模) 1.5 이하(以下)의 미소지진(微小地震)들만이 발생(發生)했다. [31]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상주시(常住市)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은 1읍(邑) 17면(面) 6동(洞)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면적(面積)은 1254.78km 2 이다. 인구(人口)는 2022년(年) 9월(月) 기준(基準) 49,378세대(世代), 95,108명(名)이다.

면동(面洞) 한자(漢字) 면적(面積) 세대(世代) 인구(人口) 행정지도(行政指導)
함창읍 咸昌邑 43.36 3,465 6,999
상주시행정구역(尙州市行政區域)
사벌국면(沙伐國面) 沙伐國面 51.69 1,950 4,016
중동면 中東面 57.37 771 1,506
낙동면 洛東面 91.10 2,187 4,338
청리면 靑里面 39.59 1,405 2,811
공성면 功城面 89.29 2,187 4,229
외남면 外南面 33.22 871 1,821
내서면 內西面 80.66 980 1,946
모동면 牟東面 70.50 1,309 2,720
모서면 牟西面 84.98 1,320 2,581
화동면 化東面 56.10 1,062 2,145
화서면 化西面 59.51 1,412 2,848
화북면(華北面) 化北面 99.41 839 1,616
시내동지구(市內東地球)
외서면 外西面 88.08 1,458 2,847
은척면 銀尺面 53.95 852 1,573
공검면 恭儉面 39.50 1,195 2,270
이안면 利安面 52.35 1,148 2,150
화남면 化南面 54.39 490 843
남원동 南院洞 27.83 5,223 12,492
북문동 北門洞 14.44 4,201 9,635
계림동 溪林洞 11.76 3,536 7,803
동문동 東門洞 18.14 3,718 8,513
동성동 東城洞 11.78 1,750 3,979
신흥동 新興洞 25.77 3,719 9,226
상주시(尙州市) 尙州市 1,254.78 47,048 100,947

인구(人口) [ 편집(編輯) ]

  • 상주시(尙州市)(에 해당(該當)하는 지역(地域))의 연도별(年度別) 인구(人口) 추이(推移) [32]
연도(鳶島) 총인구(總人口)  
1975년(年) 226,278명(名)
1980년(年) 191,716명(名)
1985년(年) 180,575명(名)
1990년(年) 148,200명(名)
1995년(年) 124,116명(名)
2000년(年) 116,493명(名)
2005년(年) 105,937명(名)
2010년(年) 98,103명(名)
2013년(年) 103,346명(名)
2016년(年) 102,012명(名)
2017년(年) 100,947명(名)
2018년(年) 100,297명(名)

농업(農業) [ 편집(編輯) ]

상주의 특산물(特産物) 곶감

특산물(特産物) [ 편집(編輯) ]

상주(尙州) 곶감 은 삼백(三百)의 고장 상주(尙州)에서 생산(生産)되는 대표적(代表的)인 특산물(特産物)로 전국(全國) 곶감 생산량(生産量)의 60%이상(以上)을 차지하는 상주시(常住市)의 대표적(代表的)인 농산물(農産物)이다.

그 외(外)에도 상주(尙州)의 일품쌀, 삼백(三百)쌀과 더불어 인공수정(人工受精) 및 등록(登錄) 한우(韓牛)와 같이 보증(保證)된 순(順) 한우(韓牛)에서 태어난 송아지만을 엄선(嚴選)하여 키운 상주(尙州) 한우(韓牛)와 당도(糖度)가 높은 상주(尙州) 사과(沙果) 그리고 일교차(日較差)가 커서 당도(糖度)가 높고 특유(特有)의 향(香)이 진(津)한 상주(尙州) 포도(葡萄)도 과즙(果汁)이 많으며 육질(肉質)이 연(軟)하고 당도(糖度)가 높아 주요(主要) 수출품(輸出品)인 상주(尙州) 배(倍), 오이, 복숭아도 이 고장의 특산물(特産物)이다. [33] 그리고 상주(尙州)의 삼백(三百)이란 쌀, 곶감과 명주(明紬)를 총칭(總稱)하는 말이다.


  
  
  
  
  • 특수학교(特殊學校)
  

도서관(圖書館) [ 편집(編輯) ]

교통(交通) [ 편집(編輯) ]

고속도로(高速道路) [ 편집(編輯) ]

국도(國道) [ 편집(編輯) ]

철도(鐵道) [ 편집(編輯) ]

정치(政治) · 행정(行政) [ 편집(編輯) ]

문화(文化)·관광(觀光) [ 편집(編輯) ]

축제(祝祭) [ 편집(編輯) ]

상주(尙州) 베리 축제(祝祭) - 상주(喪主)는 베리류(類) 주산지(主産地)로 오디?복분자(覆盆子)?블루베리를 직접(直接) 맛볼 수 있는 축제(祝祭)가 열린다. 축제(祝祭)에서 베리류(類) 수확체험(收穫體驗), 깜짝경매(競賣) 등(等) 다양한 체험활동(體驗活動)을 할 수 있다.

역대(歷代) 시장(市場) [ 편집(編輯) ]

역대시장(歷代市場) 보기

김기범은 중간(中間)에 직무정지(職務停止) 기록(記錄)으로 제외(除外)됩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자매(姊妹) 도시(都市) [ 편집(編輯) ]

읍면동단위(邑面洞單位) 자매결연(姊妹結緣) [ 편집(編輯) ]

- 1999. 7. 16 - 축제(祝祭) 및 체육대회(體育大會) 상호방문(相互訪問)

- 2005. 1. 31 - 연꽃(蓮꽃)쌀 등(等) 농산물(農産物) 판매(販賣)

- 2006. 12.15 - 의료봉사(醫療奉仕) 및 농특산물(農特産物) 직거래(直去來)

- 2007. 11. 6 -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및 체험활동(體驗活動)

- 2008. 5. 7 -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및 체험활동(體驗活動)

- 2008. 11. 27 -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및 체험활동(體驗活動)

- 2009. 4. 20 - 도·농간 친선활동(親善活動)

- 2009. 10. 26 - 친선교류활동(親善交流活動) 및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 2011. 11. 22 -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및 체험활동(體驗活動)

- 2012. 6. 26 - 경제(經濟), 문화분야(文化分野) 등(等) 상호교류(相互交流)

- 2014. 11. 12 -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및 체험활동(體驗活動)

- 2015. 6. 24 - 마을단위(單位) 문화교류사업(文化交流事業) 추진(推進)

- 2015. 11. 27 - 농특산품(農特産品) 판매(販賣) 및 체험활동(體驗活動)

국외(國外) 자매결연(姊妹結緣)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1년(年) 12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 “2021년(年) 12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3. 칙령(勅令) 제(第)98호(號)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年) 음력(陰曆) 5월(月) 26일(日))
  4. 칙령(勅令) 제(第)36호(號)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年) 8월(月) 4일(日))
  5. 법률(法律) 제(第)3798호(號) 구리시등(等) 11개시설치(開始設置)와 군관할구역(軍管轄區域)의 조정(調整) 및 금성시(錦城詩) 명칭변경(名稱變更)에 관(關)한법률 ( 1985년(年) 12월(月) 28일(日) )
  6. 법률(法律) 제(第)4774호(號) 경기도(京畿道) 남양주시 등(等) 33개(個) 도농복합형태(都農複合形態)의 시(市) 설치(設置) 등(等)에 관(關)한법률 ( 1994년(年) 8월(月) 3일(日) )
  7. 상주시(常住市)의 기후(氣候) Archived 2015년(年) 9월(月) 27일(日) - 웨이백 머신 , 2017년(年) 7월(月) 11일(日) 확인(確認)
  8. “한반도(韓半島) 지체구조도(地體構造圖)”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9. 사(社) 자(者) 차(次) “尙州 地質圖幅說明書 (상주(尙州) 지질도폭보고서(地質圖幅報告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9년(年).  
  10. 사(社) 자(者) “5만(萬) 지질도(地質圖)”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1. “龍遊里 地質圖幅說明書 (용유리 지질도폭설명(地質圖幅說明)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3년(年).  
  12. “咸昌 地質圖幅說明書 (함창(檻倉) 지질도폭설명(地質圖幅說明)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8년(年).  
  13. 천영범 (2018년(年)). “진주(晋州), 대구(大邱), 의성지괴(義城地塊)를 중심(中心)으로 한 백악기(白堊紀) 경상분지(經常分之)의 지구조(地球照) 진화사 연구(硏究)” . 부산대학교 .  
  14. “활성단층지도(活性斷層指導) 및 지진위험지도(地震危險地圖) 제작(製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5. “안동시(安東市) 풍천면 안동단층계(安東段層階) 주변(周邊)의 지질구조(地質構造)” . 암석학회지(巖石學會誌). 2008년(年) 6월(月).  
  16.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5. Seismicity of the Ryeongnam Massif” . 대한지질학회(大寒地質學會) . 1989년(年) 12월(月). Andong Fault is reported to be a high angle reverse fault and markedly recognized stratigraphically because Precambrian basement is thrusted over Cretaceous sedimentary sequences.  
  17. “옥동단층(玉洞單層)(玉洞斷層)”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 1989년(年).  
  18. “[속보(速報)] 경북(慶北) 상주(尙州) 북쪽(北쪽)서 규모(規模) 3.2 지진(地震) 발생(發生)”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20년(年) 1월(月) 30일(日).  
  19. " 덤프트럭 부딪힌 느낌"…경북(慶北) 상주(喪主) 동쪽(東쪽)서 규모(規模) 2.9 지진(地震)” . 서울신문(서울新聞) . 2020년(年) 11월(月) 8일(日).  
  20. “2012~2020년(年) 속리산(俗離山) 일대(一帶)에서 발생(發生)한 지진(地震)의 진원(震源) 요소(要素) 분석(分析)” . 한국교원대학교 . 2021년(年).  
  21.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5. Seismicity of the Ryeongnam Massif” . 대한지질학회(大寒地質學會) . 1989년(年) 12월(月).  
  22. 강지훈 (2021년(年) 10월(月)). “낙동-상주(尙州)-옥산동 지역(地域)에서 단층(單層) 및 단열계(斷熱系)의 특성(特性)과 진앙분포(震央分布) 선상구조(線上構造) 사이의 상관관계(相關關係) 고찰(考察) (Consider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faults and fracture system and linear structure of epicenter distribution in the Nagdong-Sangju-Oksangdong area, Korea)” . 《 대한지질학회(大寒地質學會) 》.  
  23. 강지훈 (2022년(年) 6월(月)). “영남권(嶺南圈) 북부영역(北部領域) 단층(斷層)과 단열계(斷熱系)의 특성(特性) : 상주(尙州), 영양(營養), 낙동, 천지(天地)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Characteristics of faults and fracture system in the northern region of Yeongnam province, Korea: Centering on the Sangju, Yeongyang, Nagdong, Cheonji areas” . 《한국암석학회(韓國巖石學會)》.  
  24. 기상청(氣象廳) <국내지진(國內地震) 목록(目錄)>, "상주(尙州)" 검색(檢索) 결과(結果)
  25. “2019년(年) 7월(月) 21일(日)(일) 11시(時) 04분(分) 규모(規模) 3.9 지진(地震) 현황(現況)” (PDF) .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 2019년(年) 7월(月) 21일(日).  
  26. “경북(慶北) 상주(尙州)에서 규모(規模) 3.9 지진(地震)…올해 내륙(內陸) 지진(地震) 가운데 가장 강(剛)해” . KBS . 2019년(年) 7월(月) 21일(日).  
  27. " 폭발(爆發) 소리가 들렸어요"…경북 상주(喪主) 3.9 지진(地震)에 놀란 시민(市民)들”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9년(年) 7월(月) 21일(日).  
  28. 2016년(年) 12월(月) 14일(日) 규모(規模) 2.0의 지진(地震)이 발생(發生)하였으며, 그 이후(以後) 202
  29. “3.9 지진(地震)은 왜 한반도(韓半島) 내륙(內陸) 상주(尙州)에서 발생(發生)했을까?” . 노컷뉴스 . 2019년(年) 7월(月) 21일(日).  
  30. “상주(尙州), 올해 내륙(內陸)서 가장 센 지진(地震)… "숨은 활성단층(活性斷層) 가능성(可能性)" 불안감(不安感)” . 한국일보(韓國日報) . 2019년(年) 7월(月) 22일(日).  
  31. 기상청(氣象廳) <국내지진(國內地震) 목록(目錄)>, "상주(尙州)" 검색(檢索) 결과(結果)
  32. 통계청(統計廳), KOSIS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33. 상주(尙州) 특산물(特産物) Archived 2011년(年) 4월(月) 12일(日) - 웨이백 머신 , 2016년(年) 6월(月) 18일(日) 확인(確認)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