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산부인과(産婦人科)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산부인과(産婦人科)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산부인과(産婦人科) 15세 이상 시청가 ( 19세 이상 시청가1 )
장르 메디컬, 휴머니즘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0년(年) 2월(月) 3일(日) ~ 2010년(年) 3월(月) 25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수요일(水曜日) ~ 목요일(木曜日) 오후(午後) 9시(時) 55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7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16부작(部作)
책임(責任)프로듀서 오세강
프로듀서 이영준(李英駿), 권혁찬
편집(編輯) 김유미
촬영(撮影) 이영철 , 허대선
제작사(製作社) 제이에스픽쳐스
제작(製作) 이진석 , 김양(金孃)
연출(演出) 이현직 , 최영훈
조연출(助演出) 정태중, 이광영
각본(脚本) 최희라
대본(臺本) 홍림, 김상면
출연자(出演者) 장서희 , 고주원 , 서지석 외(外)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
2채널 돌비(돌碑) 디지털 ( 디지털 )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산부인과(産婦人科)> 공식(公式) 홈페이지

비고(備考):
1 3회(回) 방송분(放送分)은 19세(歲) 이상(以上) 시청가(視聽可) 로 방송(放送)되었다.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산부인과(産婦人科)> 전회차(前廻車) 무료(無料)보기

산부인과(産婦人科) 》는 2010년(年) 2월(月) 3일(日) 부터 2010년(年) 3월(月) 25일(日) 까지 방송(放送)되었던 SBS 수목(樹木) 드라마 이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장서희  : 서혜영 역(驛) - 한국병원(韓國病院) 분원(分院) 산부인과(産婦人科) 과장(誇張)
  • 고주원  : 이상식 역(驛) - 분원(分院) 소아청소년과(小兒靑少年科) 의사(醫師), NICU(신생아(新生兒) 중환자실(重患者室)) 과장(誇張)
  • 서지석  : 왕재석 역(驛) - 분원(分院) 불임(不妊)클리닉 의사(醫師)

병원(病院) 사람들 [ 편집(編輯) ]

  • 정호빈  : 윤서진 역(驛) - 본원(本院) 기조실장(企調室長)
  • 송중기  : 안경우(境遇) 역(驛) - 산부인과(産婦人科) 레지던트 2년차(年次)
  • 이영은  : 김영미 역(驛) - 분만실(分娩室) 간호사(看護師)
  • 연운경  : 센터장(長) 역(驛) -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
  • 이기영  : 주임과장(主任課長) 역(役) -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
  • 안선영  : 이숙정 역(驛) - 산부인과(産婦人科) 수간호사(首看護師)
  • 이승형  : 정경주 역(驛) - 산부인과(産婦人科) 과장(誇張)
  • 지유  : 차(次) 간호사(看護師) 역(驛) - 진료실(診療室) 간호사(看護師)

환자(患者)들 [ 편집(編輯) ]

  • 현영(現影)  : 이윤진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임신(妊娠) 30주(週) 전치태반(前置胎盤)과 다운증후군(다운症候群) 아이를 임신(妊娠)한 산모(産母) (1~2화(話))
  • 이의정  : 김연임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태아(胎兒)의 혈액형(血液型)을 알려달라는 산모(産母) (1~2화(話))
  • 진경  : 쌍둥이(雙둥이)를 임신(妊娠)한 산모(産母)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2화(話))
  • 한여운(餘韻)  : 최수진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 MRK 신드롬 환자(患者) (3화(話))
  • 황효은  : 김순화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마트에서 출산(出産)한 산모(産母) (3화(話))
  • 김미려  : 이문영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질염(膣炎) 환자(患者) (3화(話))
  • 이연선  : 박경란 역(驛) - 뇌사상태(腦死狀態)가 된 산모(産母) (4화(話))
  • 김혜지  : 상미 역(役) - 성폭행(性暴行) 당(當)한 미성년자(未成年者) (5화(話))
  • 김지혜  : 김지혜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마취과(痲醉科) 과장(課長)의 부인(夫人), 무통주사(無痛注射) 놔달라는 산모(産母) (5화(話))
  • 오아랑  : 양미순 역(役) - 개인병원(個人病院)에서 재왕절개(王節槪)로 출산(出産)하다 한국병원(韓國病院)에 온 D.I.C인 산모(産母) (6화(話))
  • 이은희 : 김이영 역(驛) - 자궁(子宮) 외(外) 임신(妊娠)을 한 환자(患者) (7화(話))
  • 이연경  : 자궁(子宮) 안에서 아기가 사망(死亡)한 산모(産母)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7화(話))
  • 황인영  : 정은미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 난소암(卵巢癌) 환자(患者), 혜영(惠永)의 친구(親舊), 피아니스트 (9화(話))
  • 이일화  : 유정주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난소(卵巢)까지 암(癌)이 전이(轉移)된 산모(産母) (9화(話))
  • 김현아  : 민영주 역(驛) - 다운증후군(症候群)을 가진 아이를 출산(出産)하게 된 산모(産母) (10화(話))
  • 박(朴)보드레  : 박민정 역(役) - 고등학교(高等學校) 선생님(先生님), 자궁근종(子宮筋腫)이 너무 많은 환자(患者) (8화(話), 11화(話))
  • 남현주  : 양진영 역(驛) - 자궁근종(子宮筋腫) 속에 암(癌)이 있는 환자(患者) (11화(話))
  • 정주은  : 전재희 역(驛) - 혈소판(血小板) 수치(數値)가 7000인(人) ITP 산모(産母) (12화(話))
  • 금(金)단비  : 민수영 역(役) - 재생불량성(再生不良性) 빈혈(貧血)을 가지고 있는 산모(産母) (12~13화(話))
  • 박선영(朴善英)  : 김정숙(金正淑) 역(驛) - HIV(인간(人間) 면역(免疫) 결핍(缺乏) 바이러스)인 산모(産母) (13화(話))
  • 반민정  : 김지연 역(驛) - 첫째 아이에게 제대혈 이식(移植)을 위해 둘째 아이를 임신(妊娠)한 산모(産母) (14화(話))
  • 장혜숙 : 이승경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확장성(擴張性) 심근병증(心筋病症)이 있는 산모(産母) (15~16화(話))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동균  : 신(申) 과장(課長) 역(役) - 마취과(痲醉科) 과장(誇張)
  • 김호창  : 산부인과(産婦人科) 레지던트 역(驛)
  • 김수완
  • 조용상
  • 최윤정 : 간호사(看護師) 역(驛)
  • 신영진  : 혜영(惠永)의 산부인과(産婦人科) 선배(先輩) 의사(醫師) 역(役)
  • 남정희  : 거제도(巨濟島) 주민(住民) 할머니 역(役)
  • 원종례  : 이윤진의 어머니 역(役)
  • 정진영
  • 김성훈
  • 김선은  : 기자(記者) 역(驛)
  • 조아름
  • 김기준(金基俊)
  • 서정주(徐廷柱)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의 여동생(女同生) 역(役)
  • 기연호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의 시아버지(媤아버지) 역(驛)
  • 유선희(遊仙戱) : 간호사(看護師) 역(驛)
  • 송예주(週)
  • 예영
  • 강민석
  • 주성민 : 응급실(應急室) 의사(醫師) 역(役)
  • 김민채 : 의사(醫師) 역(役)
  • 김난영 : 2월(月) 24일(日)에 출산(出産)하게 해달라는 임산부(妊産婦) 역(驛)
  • 김양경  : 2월(月) 24일(日)에 출산(出産)하게 해달라는 임산부(妊産婦) 역(驛)
  • 조선옥
  • 유재현 : 동영상(動映像) 관리자(管理者) 역(驛)
  • 김경애  : 무속인(巫俗人) 역(驛)
  • 민준현  : 마트 직원(職員) 역(驛)
  • 문수종 : 마트 직원(職員) 역(驛)
  • 김준영
  • 양희경  : 혜영(惠永)의 어머니 역(役)
  • 이영희 : 박경란의 어머니 역(役)
  • 한복희 : 박경란의 시어머니(媤어머니) 역(役)
  • 이진아  : 신경외과(神經外科) 의사(醫師) 역(役)
  • 손선근  : 의사(醫師) 역(役)
  • 전헌태  : 윤서진을 알고있는 남자(男子) 역(役)
  • 정석규 : 윤서진을 알고있는 남자(男子) 역(役)
  • 이종구(李鍾九)  : 박경란의 시아버지(媤아버지) 역(驛)
  • 고유미 : 경찰(警察) 역(役)
  • 주동희 : 경찰(警察) 역(役)
  • 정은숙 : 상미의 어머니 역(役)
  • 지성근 : 상미의 아버지 역(驛)
  • 윤미향(尹美香)
  • 윤희원  : 개인병원(個人病院)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 역(役)
  • 최효현 : 응급실(應急室) 간호사(看護師) 역(驛)
  • 오지연 : 산부인과(産婦人科) 레지던트 역(驛)
  • 전성애  : 방배동(方背洞) 아줌마 역(驛) - 경우에게 결혼(結婚) 깨졌다는 소식(消息)을 전(傳)하는 여자(女子)
  • 김현정 : 개인병원(個人病院) 산부인과(産婦人科) 간호사(看護師) 역(驛)
  • 민지영  : 서지영 역(驛) - 혜영(惠永)의 여동생(女同生)
  • 김나연  : 재왕절개(王節槪)로 출산(出産)하는 임산부(妊産婦) 역(驛)
  • 김재흠
  • 반(反)혜라  : 김지혜의 어머니 역(役)
  • 기백(幾百)
  • 김연수 : 개인병원(個人病院) 산부인과(産婦人科) 데스크 직원(職員) 역(驛)
  • 이도우 : 상식(常識)의 사촌(四寸)동생 역(役)
  • 윤배영
  • 신준영  : 양미순의 남편(男便) 역(役)
  • 박성균  :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 역(役)
  • 이대욱
  • 조신제  : 의사(醫師) 역(役)
  • 박우열
  • 서진욱  : 의사(醫師) 역(役)
  • 주우(酒友)  : 의사(醫師) 역(役)
  • 김준형 : 상식(常識)의 사촌(四寸)동생 남자친구(男子親舊) 역(役)
  • 박정옥
  • 김명진 : 자궁(子宮) 안에서 아기가 사망(死亡)한 임산부(妊産婦)의 남편(男便) 역(役)
  • 허준석  : 김이영의 남편(男便) 역(役)
  • 손희순 : 수빈의 할머니 역(役)
  • 김영선(金映宣)  : 산부인과(産婦人科)에 입원(入院)한 환자(患者) 역(驛)
  • 나승호  : 배달원(配達員) 역(驛)
  • 김태영  : 한국병원(韓國病院) 직원(職員) 역(驛)
  • 손영순  : 찬민의(贊民意) 할머니 역(役)
  • 이슬비  : 임승민 역(驛) - 여고생(女高生) 임산부(妊産婦)
  • 김주아 : 사회복지(社會福祉)팀 직원(職員) 역(驛)
  • 한창현  : 경찰(警察) 역(役)
  • 현숙희  : 화장실(化粧室) 청소원(淸掃員) 역(驛)
  • 주부진(株不振) : 정은미의 시어머니(媤어머니) 역(役)
  • 김수련
  • 민영(民營)
  • 권영경  : 소아과(小兒科) 진료(診療)보러온 아이의 엄마 역(役)
  • 홍승범  : 소아과(小兒科) 진료(診療)보러온 아이의 아빠 역(役)
  • 신우철
  • 황윤걸  : 보험사(保險社) 직원(職員) 역(驛)
  • 김득엽(葉) : 임승민의 남자친구(男子親舊) 역(役)
  • 이영실 : 민영주의 시어머니(媤어머니) 역(役)
  • 김미옥
  • 김훈호  : 형사(刑事) 역(役)
  • 이정훈 : 변호사(辯護士) 역(驛)
  • 한동환  : 신부(神父) 역(役)
  • 홍성숙  : 상식(常識)의 형수(兄嫂) 역(役)
  • 송승용 : 민영주 남편(男便)의 친구(親舊) 역(役)
  • 박승찬
  • 정병철  : 임승민의 아이를 입양(入養)하려는 남자(男子) 역(役)
  • 이인선(李仁善) : 경우(境遇)의 어머니 역(役)
  • 홍여진  : 민영주의 어머니 역(役)
  • 신선희 : 개인병원(個人病院)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 역(役)
  • 진(眞)예솔  : 강수아 역(驛) - 영미의 고등학교(高等學校) 동창(同窓)
  • 김성희
  • 정명준 : 전재희의 남편(男便) 역(役)
  • 이성주 : 의사(醫師) 역(役)
  • 전나연
  • 이광영
  • 정다정
  • 김용철
  • 양동재  : 김정숙의 남편(男便) 역(役)
  • 정병호  : 분당(盆唐) 한국병원(韓國病院)의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 역(役)
  • 임병욱 : 영미의 아버지 역(驛)
  • 차영옥  : 영미의 어머니 역(役)
  • 김원배  : 경우(境遇)의 아버지 역(驛)
  • 경인선(京仁線)  : 경우(境遇)의 큰 고모(姑母) 역(驛)
  • 공재원  : 분당(盆唐) 한국병원(韓國病院)의 신경외과(神經外科) 의사(醫師) 역(役)
  • 김결  : 민수영의 가족(家族) 역(驛)
  • 이금주  : 민수영의 어머니 역(役)
  • 안장훈 : 생선(生鮮)가게 사장(社長) 역(役)
  • 김용호
  • Mike : 상식(常識)과 인터뷰 한 남자(男子) 역(役)
  • 최인숙 : 한국병원 본원(本院)의 의사(醫師) 역(役)
  • 김명중 : 의사(醫師) 역(役)
  • 운기호(韻記號) : 흉부외과(胸部外科) 의사(醫師) 역(役)
  • 문성혁 : 확장성(擴張性) 심근병증인(心筋病症人) 산모(産母)의 남편(男便) 역(役)
  • 강수정
  • 최민금  : 희준(犧尊)을 돌보는 여자(女子) 역(役)
  • 지승현  : 의사(醫師) 역(役)
  • 차중원
  • 주성민

아역(兒役) [ 편집(編輯) ]

  • 김희선(金希宣)
  • 김형민
  • 여희구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의 둘째 딸 역(驛)
  • 윤선정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의 첫째 딸 역(驛)
  • 김진원
  • 김미지
  • 방준(芳樽)서  : 수빈 역(驛) - 양미순의 큰딸
  • 김현제
  • 이지우
  • 박승현 : 김희진의 아들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 편집(編輯) ]

  • 김형범  : 김연임의 남편(男便) 역(役) (1~2화(話))
  • 박재훈  : 쌍둥이(雙둥이)를 임신(妊娠)한 임산부(妊産婦)의 남편(男便) 역(役) (2화(話), 5화(話))
  • 임승대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 남편(男便) 역(役) (2화(話))
  • 박주아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 어머니 역(役) (2화(話))
  • 남윤정  : 자궁적출(子宮摘出) 수술(手術)한 환자(患者) 시어머니(媤어머니) 역(役) (2화(話))
  • 문영미  : 김순화 환자(患者)의 보호자(保護者) 역(役) (3화(話))
  • 위양호  : 이문영의 남편(男便) 역(役) (3화(話))
  • 지일주  : 최수진의 남자친구(男子親舊) 역(役) (3화(話))
  • 성지루  : 준석(樽石) 역(役) - 경찰(警察), 박경란의 남편(男便) (4화(話))
  • 강기화  : 고준희 역(驛) - 아이를 가지고 싶어하는 여자(女子) (4화(話))
  • 서현  : 고준희의 남편(男便) 역(役) - 재석이 고준희에게 소개시켜준 남자(男子) (4화(話))
  • 김혜정  : 정은미의 어머니 역(役) (9화(話))
  • 손건우  : 정은미의 남편(男便) 역(役) (9화(話))
  • 박유승  : 유정주의 남편(男便) 역(役) (9화(話))
  • 김정난  : 임승민의 아이를 입양(入養)하려는 여자(女子) 역(役) (10~11화(話))
  • 최준용  : 상식(常識)의 형(兄) 역(役) (10화(話), 13~14화(話))
  • 박정우  : 민영주의 남편(男便) 역(役) (10화(話))
  • 김미연  : 재석이 만나는 여자(女子) 역(役) (11~12화(話))
  • 차현정  : 정유선 역(役) - 상식(常識)의 친구(親舊), 센터장(長) 친구(親舊)의 딸 (12~13화(話), 15~16화(話))
  • 조남석 : 희준(犧尊)의 아빠 역(役) (15화(話))
  • 사현진  : 희준(犧尊)의 엄마 역(役) (15화(話))
  • 우상전(虞裳傳)  : 김희진의 아버지 역(驛) - 지주막하(蜘蛛膜下) 출혈(出血)로 뇌사상태(腦死狀態)가 된 산모(産母)의 아버지 (16화(話))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0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부제(副題) TNmS 시청률(視聽率) [1] AGB 시청률(視聽率) [2]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2월(月) 3일(日) 내 아이를 죽여주세요 9.5% 10.0% 9.3% 10.6%
제(第)2회(回) 2월(月) 4일(日) 산부인과(産婦人科)엔 비밀(祕密)이 많다 10.9% 11.4 % 9.3% 9.6%
제(第)3회(回) 2월(月) 10일(日) 언제나 끝은 와요 11.6% 12.0% 11.0% 11.5%
제(第)4회(回) 2월(月) 11일(日) 삶과 죽음 사이 11.5% 11.9% 10.5% 11.8%
제(第)5회(回) 2월(月) 17일(日) 아픔에 대(對)하여 12.3% 12.2% 11.0% 11.4%
제(第)6회(回) 2월(月) 18일(日) 피와의 전쟁(戰爭) 12.2% 12.8% 9.8% 10.1%
제(第)7회(回) 2월(月) 24일(日) 친구(親舊)와 보호자(保護者) 사이 12.4% 12.8% 12.2% 12.9%
제(第)8회(回) 2월(月) 25일(日) 사람에 대(對)한 예의(禮儀) 10.7% 10.7% 11.0% 11.7%
제(第)9회(回) 3월(月) 3일(日) 마지막에 남기고 싶은 것들 11.4% 11.0% 10.8% 10.9%
제(第)10회(回) 3월(月) 4일(日) 부모(父母)의 자격(資格) 12.7% 12.9% 11.6% 12.0%
제(第)11회(回) 3월(月) 10일(日) 처녀(處女)와 산부인과(産婦人科)의 거리(距離) 10.6% 10.1% 10.3% 10.5%
제(第)12회(回) 3월(月) 11일(日) 인간(人間)의 영역(領域), 신(神)의 영역(領域) 11.6% 11.9% 11.3% 11.4%
제(第)13회(回) 3월(月) 17일(日) 의사(醫師)의 약속(約束) 11.9% 11.4% 11.8% 12.1%
제(第)14회(回) 3월(月) 18일(日) 사랑은 포크레인같이 12.7% 12.5% 12.1% 13.1%
제(第)15회(回) 3월(月) 24일(日) 생각할 시간(時間) 행동(行動)할 시간(時間) 11.4% 11.2% 12.0% 12.9%
제(第)16회(回) 3월(月) 25일(日) 만약(萬若) 운명(運命)같은 게 존재(存在)한다면 10.8% 10.4% 11.9% 12.9%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11.5% 11.5% 11.0% 11.6%

특이(特異) 사항(事項) [ 편집(編輯) ]

3회(回) 〈언제나 끝은 와요〉 편(篇)에 한(限)해 19세(歲) 이상(以上) 시청가(視聽可) 로 분류(分類) · 방송(放送)되었는데, 그 이유(理由)는 성인성(成人性) 질환(疾患)과 여성(女性) 의 성기(性器)와 관련(關聯)된 희귀병(稀貴病)을 다루었기 때문이다. [3] [4]

경쟁(競爭) 프로그램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http://www.tnms.tv
  2.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4년(年) 6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윤(尹)나래 (2010년(年) 2월(月) 10일(日)). ' 산부인과(産婦人科)' 3회(回) 방송분(放送分) '19세(歲) 시청가(視聽可) ' . 아시아투데이 . 2010년(年) 2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4. 문왕식 (2010년(年) 2월(月) 11일(日)). “19禁 '산부인과(産婦人科)'가 논란(論難)에도 빛나는 이유(理由)” . 스타뉴스 . 2010년(年) 2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SBS 수목(樹木) 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2009년(年) 12월(月) 2일(日) ~ 2010년(年) 1월(月) 28일(日))
산부인과(産婦人科)
(2010년(年) 2월(月) 3일(日) ~ 2010년(年) 3월(月) 25일(日))
검사(檢事) 프린세스
(2010년(年) 3월(月) 31일(日) ~ 2010년(年) 5월(月) 20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