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르 위고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빅토르 마리 위고
작가(作家) 정보(情報)
출생(出生) 1802년(年) 2월(月) 26일(日) ( 1802-02-26 )
프랑스 브장송
사망(死亡) 1885년(年) 5월(月) 22일(日) ( 1885-05-22 ) (83세(歲))
프랑스 파리
국적(國籍) 프랑스
직업(職業) 시인(是認) , 극작가(劇作家)
장르 소설(小說) , 시(時) , 희곡(戱曲)
사조(思潮) 낭만주의(浪漫主義)
수상(受賞) 1825년(年) 레지옹 도뇌르 훈장(勳章)
배우자(配偶者) Adele Foucher (1822 - 1868)
동거인(同居人) 쥘리에트 드루에 (1833 - 1883)
레오니 도네 (1843 - )
자녀(子女) 아델 위고 , 샤를 위고 , 프랑수아빅토르 위고 , 레오폴딘 위고
친지(親知) 조르주빅토르 위고 (손자(孫子))
잔(盞) 위고 (손녀(孫女))
주요(主要) 작품(作品)
레 미제라블 , 노트르담의 꼽추 , Les Contemplations , L'Art d'etre grand-pere , 웃는 남자(男子) , 동방시집(東邦媤집) , 바다의 일꾼들 , 93년(年)
영향(影響)
영향(影響) 받은 인물(人物) 존 오언(五言)
서명(署名)

빅토르 마리 위고 ( 프랑스어(프랑스語) : Victor-Marie Hugo , 문화어(文化語) : 빅또르 유고(有故), 1802년(年) 2월(月) 26일(日) ~ 1885년(年) 5월(月) 22일(日) )는 프랑스 의 시인(詩人)·소설가(小說家)·극작가(劇作家)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802년(年) 2월(月) 26일(日) 동부(東部) 프랑스 브장송 에서 나폴레옹 군대(軍隊)의 고급(高級) 장교(將校)로 알려진 조제프 위고(Joseph Hugo, 1774?1828)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파리 의 코르디에 기숙학교(寄宿學校)(Pension Cordier)에서 독서(讀書)와 시(詩) 창작(創作)에 매료(魅了)되었던 1815년(年) ~ 1818년(年) 기간(期間) 중(中), 그는 일기(日記)에 “나는 샤토브리앙 이 아니면 아무것도 되지 않겠다”라고 기록(記錄)함으로써 프랑스의 문호(文豪)가 될 것을 10대(代) 초중반(初中半)의 나이에 다짐했다 한다.

1822년(年)에 첫 시집(詩集) 《송가집과 잡영(雜詠)집 (雜詠集. Odes et Poesies Diverses)》을 간행(刊行)하고 그 해에 결혼(結婚)하였다. 이후(以後) 소설(小說) 《 아이슬란드의 한 (Han d'Islande, 1823)》등(等), 열정적(熱情的)으로 작품(作品)을 발표(發表)하였다. 1825년(年) 프랑스 왕실(王室)로부터 작가(作家)로서의 공로(功勞)를 인정(認定)받아 레지옹 도뇌르 기사(記事) 훈장(勳章) 을 수여(授與)받았는데, 이 무렵부터 여러 잡지(雜誌)에 문학평론(文學評論)을 싣기도 하고 고전주의(古典主義)와 낭만주의(浪漫主義) 간(間)의 문학(文學) 논쟁(論爭)에 참여(參與)하기도 하면서 낭만주의(浪漫主義) 문학(文學) 이념(理念)의 초석(礎石)을 다졌다.

시집(詩集) 《송가집과 발라드집(集)(Odes et Ballades, 1826)》, 소설(小說) 《뷔그-자르갈(Bug-Jargal, 1826)》에 이어 1827년(年) 희곡(戱曲) 《크롬웰 (Cromwell)》의 서문(序文) 발표(發表)를 통해 고전주의(古典主義) 문학(文學)에 정면(正面)으로 대항(對抗)하고 나서면서 낭만주의(浪漫主義) 작가(作家)들을 선도(先導)했다. 또,《동방시집(東邦媤집) (Les Orientales, 1829)》, 《사형수(死刑囚) 최후(最後)의 날(Le Dernier jour d'un condamne, 1829)》 등(等)을 발표(發表)했다. 초기(初期)의 작품(作品)에는 왕당파적(王黨派的)·가톨릭적(的)인 색채(色彩)가 농후(濃厚)하나 그 후(後) 점차(漸次) 자유주의(自由主義) 경향(傾向)이 현저(顯著)하게 되었다.

야심적(野心的)인 위고는 아카데미 프랑세즈 를 지배(支配)하는 의고전파(醫古典派) 와 대립(對立)하여 당시(當時)의 문단(文壇)에 발흥(發興)하던 낭만주의(浪漫主義) 운동(運動)에 참가(參加)하여 자택(自宅)에 같은 경향(傾向)의 젊은 작가(作家)와 화가(畫家)를 모아 차차로(次次로) 낭만파(浪漫派)의 지도자(指導者)가 되어갔다. 희곡(戱曲) 《크롬웰(Cromwell, 1827)》에 붙인 서문(序文)은 고전주의(古典主義) 이론(理論)에 대항(對抗)한 낭만주의(浪漫主義) 연극이론(演劇理論)의 선언서(宣言書)로서 유명(有名)하다. 7월(月) 혁명(革命) 의 해인 1830년(年) 2월(月)에는 위고의 희곡(戱曲) 《 에르나니 》의 초연(初演)에 즈음하여 낭만파(浪漫派)와 고전파(古典派) 간(間)에 문학사상(文學思想) 유명(有名)한 '에르나니 싸움' (La Bataille d'Hernani. 또는 '에르나니 논쟁(論爭)') 이 일어났다.
이 싸움에서 위고는 고전파(古典派)의 방해(妨害)에 대비(對備)하여 미리 수많은 동지(同志)를 '박수(拍手)치는 사람'으로서 극장(劇場) 안에 배치(配置), 청년시인(靑年時人) 고티에 가 빨간 조끼를 입고 싸움의 앞장을 섰던 일화(逸話)는 유명(有名)하다. 상연(上演)은 야유(揶揄)와 박수(拍手)가 엇갈리는 가운데 별다른 지장(支障) 없이 끝나 낭만주의(浪漫主義)는 마침내 결정적(決定的)인 승리(勝利)를 획득(獲得)했다.

이 싸움의 승리(勝利) 후(後)에 낭만주의(浪漫主義)는 고전주의(古典主義)를 압도(壓倒)하여 이후(以後) 1850년경(年頃)까지 문단(文壇)을 점유(占有)했으며, 위고는 더욱 왕성(旺盛)한 활동(活動)을 보여, 소설(小說) 《 파리의 노트르담 (Notre-Dame de Paris, 1831)》로 소설가(小說家)로서의 지위(地位)를 굳혔다. 그는 시집(詩集) 《가을낙엽(落葉)(Les Feuilles d'automne, 1831)》, 《황혼(黃昏)의 노래(Les Chants du crepuscule, 1835》, 《마음의 소리(Les Voix interieures, 1837)》, 《빛과 그늘(Les Rayons et les ombres, 1840)》을 발표(發表)했다. 희곡(戱曲)으로는 상연 금지(禁止)를 당(當)했던 희곡(戱曲)《마리용(龍) 들로름(Marion Delorme, 1831)》을 비롯하여 <왕(王)은 즐긴다>(1832), <뤼크레스 보르지아(Lucrece Borgia)>(1833), <마리 튀도르(Marie Tudor)>(1833), 운문극(韻文劇) 《뤼 블라스(Ruy Blas, 1838)》 등(等)을 발표(發表)했고, 1841년(年)에는 대망(待望)의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會員)이 되었다.

1843년(年) 이후(以後) 10여년(餘年) 간(間) 위고는 거의 작품(作品)을 발표(發表)하지 않고, 정치(政治) 활동(活動)에 전념(專念)하였다. 원인(原因)으로는 희곡(戱曲) 《성주(城主)들(Les Burgraves, 1843)》에 대(對)한 혹평(酷評)과 맏딸의 사고사(事故死)를 들 수 있다. <성주(城主)들>은 13세기(世紀) 라인강(라인江) 주변(周邊)의 성주(城主)들을 주인공(主人公)으로 한 서사적(敍事的) 색채(色彩)가 강(剛)한 것으로 프랑스 극장(劇場)에서의 초연(初演)은 낭만주의(浪漫主義) 연극(演劇)에 염증(厭症)을 보이는 관객(觀客)들의 냉담(冷淡)한 반응(反應)으로 완전히(完全히) 실패(失敗)했으며, 위고도 이후(以後) 극작(劇作)을 포기(抛棄)하다시피 하여 낭만주의극(浪漫主義劇)은 실제로(實際로) 그 생명(生命)이 끝났다고 할 수 있다. 또, 신혼(新婚)이던 열아홉 살 맏딸 레오폴딘 부부(夫婦)가 1843년(年) 9월(月) 4일(日) 센강(江) 하류(下流)의 빌키에 에서 보트 전복(顚覆) 사고(事故)로 사망(死亡)했다. 이로 인(因)해 위고는 6개월(個月)이나 펜을 들지 못할 정도(程度)로 깊은 좌절(挫折)과 혼란(混亂)의 시기(時期)를 보냈다.

1848년(年) 2월(月) 혁명(革命) 을 비롯한 주위(周圍) 정세(情勢)에 자극(刺戟)을 받아 위고는 인도주의적(人道主義的) 경향(傾向)을 더 한층(한層) 굳혔다.

1851년(年)에는 나폴레옹 3세(歲) 의 쿠데타에 반발(反撥)하여 국외(國外)로 추방(追放)을 당(當)했다. 그는 벨기에 를 거쳐 영국(英國) 해협(海峽) 저지섬 건지섬 을 전전(輾轉), 거의 19년(年)에 걸친 망명(亡命) 생활(生活)에 접어들어야 했다. 이 망명(亡命)은 결실(結實)을 가져오기도 했는데, 이는 잡다(雜多)한 일에서 해방(解放)되어 창작(創作)에 전념(專念)한 때문이다. 시집(詩集) 《징벌(懲罰)(Les Chatiments, 1853)》, 《명상시집(冥想詩集)(Les Contemplations, 1856)》, 《 세기(世紀)의 전설(傳說) (La Legende des siecles, 1859)》(제(第)1집(輯)), 소설(小說) 《 레 미제라블 (Les Miserables, 1862)》, 《바다의 노동자(勞動者)(Les Travailleurs de la Mer, 1866)》 등 위고가 집필(執筆)한 대부분(大部分)의 걸작(傑作)들이 이 시기(時期)에 나왔다.

1870년(年) 보불 전쟁(戰爭) 에 의(依)한 나폴레옹 3세(歲) 의 몰락(沒落)과 함께 위고는 공화주의(共和主義) 옹호자(擁護者)로서 민중(民衆)의 열렬(熱烈)한 환호(歡呼) 속에 파리 로 돌아왔다. 그리하여 국민적(國民的) 시인(詩人)으로서 영예(榮譽)에 싸인 비교적(比較的) 평온(平穩)한 만년(晩年)을 보낸다. 이 시기(時期)에 발표(發表)한 작품(作品)은 《두려운 해(L'Annee terrible, 1872)》, 《세기(世紀)의 전설(傳說)》제(第)2집(輯), 제(第)3집(輯) (La Legende des siecles, 1877, 1883)》, 소설(小說) 《93년(年)(Quatrevingt-treize, 1874)》 등(等)이 있다.

가톨릭과 불화(不和)와 유언(遺言) [ 편집(編輯) ]

위고는 그의 대표작(代表作)인 《파리의 노트르담》에서 개인(個人)의 욕망(欲望)에 눈이 어두워 살인(殺人)까지 저지르는 프롤로 주교(主敎)를 그린 바 있다. 가톨릭 교회(敎會)는 위고의 《파리의 노트르담》과 《레미제라블》등(等)의 걸작(傑作)들을 금서(禁書)로 지정(指定)해 신도(信徒)들이 읽지 못하게 하였다. [1]

가톨릭과 화해(和解)하지 못한 위고는 교회(敎會)의 기도(祈禱)마저 거부(拒否)했다. 1881년(年) 8월(月) 31일(日) 이런 유언장(遺言狀)을 썼다.

“신(神)과 영혼(靈魂), 책임감(責任感). 이 세 가지 사상(思想)만 있으면 충분(充分)하다. 적어도 내겐 충분(充分)했다. 그것이 진정(眞正)한 종교(宗敎)이다. 나는 그 속에서 살아왔고 그 속에서 죽을 것이다. 진리(眞理)와 광명(光明), 정의(正義), 양심(良心), 그것이 바로 신(神)이다. 가난한 사람들 앞으로 4만(萬) 프랑의 돈을 남긴다. 극빈자(極貧者)들의 관(棺) 만드는 재료(材料)를 사는 데 쓰이길 바란다.(...)내 육신(肉身)의 눈은 감길 것이나 영혼(靈魂)의 눈은 언제까지나 열려 있을 것이다. 교회(敎會)의 기도(祈禱)를 거부(拒否)한다. 바라는 것은 영혼(靈魂)으로부터 나오는 단(單) 한 사람의 기도(祈禱)이다.”

1885년(年) 5월(月) 22일(日)에 사망(死亡)했다. 그의 죽음은 국장(局長)의 예(例)를 받았고, 그의 유해(遺骸)는 팡테옹 에 안장(安葬)되었다. [2]

작품(作品) 세계(世界) [ 편집(編輯) ]

낭만주의(浪漫主義) [ 편집(編輯) ]

낭만주의(浪漫主義)는 1827년(年)의 <크롬웰(Cromwell)>의 서문(序文)에 제시(提示)되었다. 위고는 여기서 시(詩)의 발전역사(發展歷史)를 서술(敍述)하여, 원시(原始) 시대(時代)를 서정시(抒情詩), 고대(古代)를 서사시(敍事詩), 중세(中世) 이후(以後)를 극(劇)의 시대(時代)라고 했다. 그리고 새로운 낭만주의(浪漫主義)의 연극(演劇)은 근대사상(近代思想)의 근간(根幹)을 이루는 기독교(基督敎) 적(敵) 2원론(原論)에 의거(依據)하여 영혼(靈魂)과 육체(肉體), 하늘과 땅, 숭고(崇高)함과 그로테스크 사이에 영원히(永遠히) 되풀이되는 대화(對話)를 극(劇)의 진수(眞髓)로 해야 하며 이것이야말로 현대(現代)의 완전(完全)한 예술양식(藝術樣式)이라 말한다.

또한 주인공(主人公)을 추상적(抽象的)인 존재(存在)로 그치지 않게 하기 위한 지방색(地方色)의 채용(採用), 천재(天才)의 자유(自由)로운 발양(發揚)(發揚)을 방해(妨害)하는 비현실적(非現實的)인 삼일치의 법칙(法則) 의 폐지(廢止), 자연(自然)(현실(現實))의 모방(模倣)을 예술(藝術)로 승화시키는 운문(韻文)의 채용선 쇄신(刷新) 등(等)은 전세기(傳貰機) 이래(以來) 비극(悲劇)의 쇄신(刷新)을 위해 시도(試圖)되어 왔던 많은 이론(理論)을 종합(綜合) 확인(確認)한 것이나 그 대담(大膽)한 표현(表現)과 명확(明確)함으로 인하여 하나의 강령(綱領)으로서 신성시(神聖視)되었다. 위고는 이러한 이론(理論)에 바탕하여 희곡(戱曲) 《 에르나니 》를 썼다. [3]

일반적(一般的)으로 위고의 희곡(戱曲)에는 강인(强靭)한 극행위(極行爲)(劇行爲)가 결여(缺如)되어 있으며 극(劇)의 본질(本質)인 갈등(葛藤)보다는 줄거리나 대사(大使)의 서사성(敍事性)이나 서정성(抒情性)에 역점(力點)을 두는 결점(缺點)이 있다. 당시(當時) 관객(觀客)의 취미(趣味)는 낭만주의(浪漫主義) 극(劇)의 용만성(龍慢性)(冗漫性)과 소란(騷亂)함에 싫증(싫症)을 느껴 고전적(古典的)인 간결(簡潔)함을 구(求)하고 있었으며, 뮈세 는 일찍부터 그 폐단(弊端)을 통감(痛感), 낭만주의(浪漫主義)의 시적(詩的) 환상(幻想)을 고전적(古典的)인 절도(竊盜)로 다룸으로써 참된 걸작(傑作)을 남겼다.

민중(民衆) 예술(藝術) [ 편집(編輯) ]

위고는 민중예술(民衆藝術)을 특히(特히) 강조(强調)하였다. 그는 "예술(藝術)은 민중(民衆)을 위해 만들어지고 모든 것은 신(神)으로부터 와서 민중(民衆)에게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신(神)은 원칙(原則)이고 민중(民衆)은 "예술(藝術)이 도달(到達)해야 하는 종착점(終着點)"이며 "예술(藝術)과 연극(演劇)은 민중적(民衆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主張)했다. [4] 그의 작품(作品)에는 가난한 노동자(勞動者)들에 대(對)한 한없는 사랑이 묻어 있다. 1869년(年)에 쓴 《황량(荒凉)한 세월(歲月)(Les Annees Funestes)》에서 그는 프산(山) 노동자(勞動者)들의 현실(現實)을 이렇게 그렸다.

"그 사람, 내 아버지, 내 어머니, 나, 우리는 모두 광부(鑛夫)였다.

작업(作業)은 가혹(苛酷)했고 주인(主人)은 착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빵이 모자라서 석탄(石炭)을 깨물고 있었다.

우리는, 그를 불쾌(不快)하게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일을 조금 줄이고 임금(賃金)을 조금 낫게 줄 것을 요구(要求)했다.

그런데 그들은 무엇을 우리에게 주었는가? 총탄(銃彈)이다."

평가(評價) [ 편집(編輯) ]

위고의 83년(年) 간(間)에 걸친 일생(一生)은 19세기(世紀)의 대부분(大部分)을 차지하여 사회(社會)의 변천(變遷)과 함께 그의 사상(思想)과 작품(作品)은 보수주의(保守主義)에서 자유주의 또한 공화주의(共和主義)로 크게 변화(變化)하고 있다. 그러나 일관(一貫)해 흐르는 것은 인류(人類)가 한없이(限없이) 진보(進步)할 것이라는 낙관적(樂觀的) 신뢰(信賴)와 이상주의적(理想主義的) 사회(社會) 건설(建設)을 향(向)한 불 같은 정열(情熱)이다. 위고의 시(詩)는 시대(時代)의 낭랑(朗朗)한 메아리에 불과(不過)하다는 비판(批判)도 이렇게 너무나 낙관적(樂觀的)인 이상주의적(理想主義的) 태도(態度)에 대(對)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정열적(情熱的)인 웅장(雄壯)함은 감상(感傷)에 빠지기 쉬운 낭만파(浪漫派) 시인(詩人)에게는 볼 수 없는 것이며, 그것이야말로 그의 비길 데 없는 천성(天性)과 함께 위고를 낭만파(浪漫派) 지도자(指導者)로 만들었고 19세기(世紀)에 있어서 가장 위대(偉大)한 시인(詩人)의 한 사람이 되게 하였다.

그 외(外) [ 편집(編輯) ]

프랑스 의 축구선수(蹴球選手) 위고 요(要)리스 는 빅토르 위고의 이름에서 본따서 지었다고 한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베르너 풀트 《금서(禁書)의 역사(歷史)》(시공사(施工社))
  2. 앙드레 모루아《빅토르 위고》(우석(隅石))
  3. State Library of Victoria. “Victor Hugo: Les Miserables ? From Page to Stage research guide” . 2014년(年) 7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4. 김찬자《빅토르 위고 연극(演劇)과 그로테스크 미학(美學)》(한국(韓國)프랑스학논집(學論集) 제(第)69집(輯))(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본 문서(文書)에는 지식을(知識乙)만드는지식 에서 CC-BY-SA 3.0 으로 배포(配布)한 책(冊) 소개(紹介)글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내용(內容)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