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티움 그리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비잔티움 그리스 에서는 동(東)로마 제국(帝國) 지배하(支配下)의 그리스 를 적는다.

로마 제국(帝國)의 동서(東西) 분할(分割) [ 편집(編輯) ]

395년(年) , 로마 황제(皇帝) 테오도시우스 1세(歲) 가 사망(死亡)해, 테오도시우스 황제(皇帝)의 아들 아르카디우스 호노리우스 로마 제국(帝國) 을 동서(東西)로 분할(分割)해, 각각(各各) 동(東)로마 서로마 의 황제(皇帝)가 되었다. 이때 분할(分割)에는 현대(現代)의 그리스 공화국(共和國)에 해당(該當)하는 부분(部分)은 동(東)로마 제국(帝國)에 속(屬)하게 되었다.

그리스어를 공용어(公用語)로 전환(轉換) [ 편집(編輯) ]

동(東)로마 제국(帝國) 은 7세기(世紀)가 되면서 제국(帝國)의 공용어(公用語) 라틴어(語) 에서 사실상(事實上) 제국(帝國)의 공용어(公用語)인 그리스어 로 전환(轉換)했지만, 그들은 결코(決코) 스스로를 로마인 으로 여겼으며 그리스인(人)으로는 보지 않았다.

슬라브인(人), 아바르인(人)의 침입(侵入) [ 편집(編輯) ]

540년(年) 경(頃)부터 그리스 지역(地域)에 슬라브인(人) 의 진입(進入)이 시작(始作)되었다. 558년(年) 에는 콘스탄티노플 에 공격(攻擊)을 더한 후(後), 남하(南下)하여 테르모필(毛筆)라이까지 진격(進擊)한 슬라브인(人) 부대(部隊)도 출현(出現)했다. 그 후(後) 티베리우스 2세(歲) 치하(治下)의 580년(年) , 몽골계(系)의 아바르인(人) 과 슬라브인(人)의 대침입(大侵入)이 시작(始作)해 그리스의 제도시(帝都詩)를 차례차례(次例次例) 파괴(破壞)하여 갔다. 아바르인(人)은 도나우강(江) 이북(以北)에 쫓아버릴 수 있었지만, 슬라브인(人)은 그대로 그리스의 마을에 정주(定住)하며 갔다. 그 후(後) 서서(徐徐)아침 페르시아 제국(帝國) 과 동맹(同盟)을 맺은 아바르인(人)은 다시 도나우강을 넘어 발칸반도(半島) 에 침입(侵入)을 개시(開始)했다. 슬라브인도(人度) 공격(攻擊)에 참가(參加)해, 헤라클레이오스 의 치하(治下)가 되면 만(灣)의 해안부(海岸部)를 제외(除外)한 그리스의 대부분(大部分)이 슬라브인(人)의 지배하(支配下)가 되었다. 테살로니키 나 펠로폰네소스 남단(南端)의 모(某)넴바시아(亞) 는 그리스인의 손에 남았지만, 그리스 도시(都市)의 상당수(相當數)는 황폐(荒弊), 슬라브화(化)했기 때문에, 스클라비(非)니아로 불렸다.

동(東)로마 제국(帝國)에 의(依)한 그리스 재정복(財政服) [ 편집(編輯) ]

동(東)로마 제국(帝國)은 그리스를 되찾을 수 있도록, 또 슬라브인(人)의 포(砲)로 를 얻을 수 있도록 여러 번(番) 스클라비(非)니아에 원정(遠征)을 실시(實施)해, 그리스를 수복(收復)하여 나갔다. 니케포로스 1세(歲) 치하(治下)에서는 테마 마케도니아 , 테마 헬라스 , 테마 테살로니카 , 테마 펠로폰네소스 가 설치(設置)되어 있어 그리스인의 재이주(再移住)와 슬라브인(人)의 그리스화가(畫家) 진행(進行)되었다. 토지(土地)의 재개발(再開發)도 진행(進行)되어, 트라키아나 테살리아의 평원(平原)에서는 밀이 생산(生産)되어 테이베로는 직물(織物)의 공장(工場)이 지어져 그 생산물(生産物)이 세(歲)로서 콘스탄티노풀에 납입(納入)되게 되었다. 하지만, 동(東)로마의 지배(支配)는 아테나이의 주교(主敎)가 '도대체(都大體) 여러분에게 무슨 부족(部族)이 있는가. 테바이의 견직물(絹織物)이지 않든지,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에서 취(取)할 수 있던 밀이기도 할 리(理) 없다.그것은 모두 우리가 만든 것이다. 하지만, 모든 물건(物件)은 콘스탄티누(累)폴리스에 흘러 가 버린다.'라고 한탄(恨歎)할 정도(程度)의 중세(中世)에 의(依)한 압정(壓政)에 괴롭힘을 당(當)했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그 때문에 1084년(年)에 코르후(後) 섬이 노르만인에 점령(占領)되었을 때나 후(後)의 십자군(十字軍)의 침입(侵入) 시(時), 현지(現地)의 시민(市民)은 침입자(侵入者)들을 콘스탄티노풀의 중앙정부(中央政府)로부터의 압정(壓政)으로부터의 해방자(解放者)로서 환영(歡迎)했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불가리아 제국(帝國)의 침입(侵入) [ 편집(編輯) ]

1025년(年) , 황제(皇帝) 바실레이오스 2세(歲) 사망시(死亡時)의 동(東)로마 제국(帝國)

10세기(世紀) , 시메온 1세(歲) 아래에서 강대(講對)하게 된 불가리아 제국(帝國) 은 콘스탄티누폴리스을 공격(攻擊)하는 한편(한便), 그리스 본토(本土)에도 공격(攻擊)을 더하고 있어, 한 때는 펠로폰네소스 북단(北端)까지 불가리아군(軍)의 제압하(制壓下)에 들어갔다. 다행히(多幸히)도 불가리아 제국(帝國)은 시메온 1세(歲)의 사망(死亡)에 의(依)해서 그 세력(勢力)이 쇠퇴(衰退)했기 때문에, 그리스 본토(本土)는 동(東)로마 제국(帝國)이 다시 되찾았지만, 997년(年) 에 즉위(卽位)한 사무(事務)일 에 의(依)해서 그리스 본토(本土)는 다시 동(東)로마 제국(帝國)과 불가리아 제국(帝國)의 전장(戰場)이 되었고, 그리스는 큰 피해(被害)를 받았다. 그러나, 1018년(年) 에 로마 제국(帝國)의 황제(皇帝) 바실리오스 2세(歲) 에 의(依)해서 불가리아 제국(帝國)이 멸망(滅亡)당하면서, 그리스에는 평화(平和)가 찾아왔다.

노르만인의 침입(侵入) [ 편집(編輯) ]

남(南) 이탈리아 를 정복(征服)한 노르만인 , 로베르토 기스카르 는 비잔티움 정복(征服)도 검은 빛, 발칸반도(半島) 에 침입(侵入)했다. 이 원정(遠征)은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저항(抵抗)과 로베르토의 병사(病舍)에 의(依)해서 중지(中止)되었지만, 이 후(後)도 노르만인은 1148년(年) , 1185년(年) 에 그리스에 침공(侵攻)했다. 특히(特히) 1185년(年) 에는 테살로니카 가 함락당해, 시민(市民)은 학살(虐殺)되는 등(等) 큰 피해(被害)를 받았다.

십자군(十字軍) 국가(國家)의 수립(樹立) [ 편집(編輯) ]

1204년(年) , 제(第)4차(次) 십자군(十字軍) 에 의(依)해서 동(東)로마 제국(帝國)이 일시적(一時的)으로 멸망(滅亡)당하였다. 이 여파(餘波)로 그리스에는 아테네 공국(公國) , 아카이아 공국(公國) 등(等)의 십자군(十字軍) 국가(國家) 와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계승(繼承)을 자처(自處)하는 귀족(貴族) 정권(政權)인 니케아 제국(帝國) , 에페이로스 공국(公國) , 트라페준타(準打) 제국(帝國) 이 수립(樹立)되었다. 이후(以後) 미하일 8세(歲) 와 니케아 제국(帝國)은 1261년(年) 에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수도(首都) 콘스탄티누폴리스을 되찾았고, 동(東)로마 제국(帝國)을 부활시켰다.

계속(繼續) 되는 내전(內戰)과 오스만의 침략(侵略) [ 편집(編輯) ]

로마 제국(帝國)이 재건(再建)된 뒤로 끊임없는 외세(外勢)의 위협(威脅)과 여러 차례(次例)의 내전(內戰)은 제국(帝國)을 수렁에 빠트렸고, 결국(結局) 1453년(年) , 소아시아(小아시아)에서 발흥(發興)한 오스만 베이국(國) 에 의(依)하여, 동(東)로마 제국(帝國)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陷落) 으로 멸망(滅亡)당하였다. 오스만 제국(帝國) 콘스탄티누(累)폴리스를 수도(首都)로 삼았고, 이후(以後) 사실상(事實上) 동(東)로마 제국(帝國)의 계승국은 모두 멸망(滅亡)당하였다. 또한 그리스 본토(本土)에 있는 대부분(大部分)의 국가(國家)를 멸망(滅亡)시킴에 따라서, 그리스도 오스만 제국(帝國)의 지배하(支配下)에 오스만령(令) 그리스 로 변모(變貌)하게 되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그리스사(史) (신판(新版) 세계(世界) 각국사(各國社)) 사쿠라이 마리코 (편집(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