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15세 이상 시청가
장르 음악(音樂)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KBS 2TV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2년(年) 4월(月) 7일(日) ~ 현재(現在)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05 ~ 7:55
방송(放送) 분량(分量) 110분(分)
방송(放送) 시즌 2
방송(放送) 횟수(回數) 662회(回) (2024년(年) 6월(月) 15일(日) 기준(基準))
추가(追加) 채널 KBS 드라마
KBS 월드
기획(企劃) 하태석 (총괄(總括)프로듀서)
프로듀서 박민정 (KBS 예능본부(藝能本部))
제작(製作) KBS 예능본부(藝能本部), 국악방송(國樂放送) (일부(一部))
연출(演出) 박형근, 신수정, 이희성
작가(作家) 임기홍, 김지은, 강남희, 오드리, 진정(鎭靜)은, 이보람, 김혜진, 조윤아, 손나영
진행자(進行者) 신동엽(新東엽) , 김준현(金峻鉉) , 이찬원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자막(字幕) 폐쇄(閉鎖)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일부(一部) 회차(廻車) 제외(除外)) [1]
전편(前篇) 해피선데이 -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외부(外部) 링크  KBS 2TV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홈페이지

비고(備考):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전설(傳說)을 노래하다의 방영(放映) 목록(目錄)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 트위터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은 KBS 2TV 에서 방송(放送)되는 음악(音樂) 프로그램 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초창기(草創期)에는 출연자(出演者)들을 아이돌로 한정(限定)하여 경합(競合)하다가 《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2 》로 독립(獨立)한 후(後)에는 실력파(實力派) 가수(歌手) 위주(爲主)로 경연(競演)하고 있다. 처음에는 《 나는 가수(歌手)다 》와 달리 경연(競演) 후(後) 음원(音源)을 공개(公開)하지 않았지만 2012년(年) 2월(月) 4일(日) 부터 멜론 등(等) 각종(各種) 음악(音樂) 사이트를 통해 공개(公開)하기 시작(始作)하였다. 당초(當初) 《 자유선언(自由宣言) 토요일(土曜日) 》 2부(部)로 편성(編成)되었다가 2012년(年) 4월(月) 7일(日) 부터 2020년(年) 8월(月) 15일(日) 까지 부분(部分) 개편(改編)으로 《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 전설(傳說)을 노래하다 》로 제목(題目)이 변경(變更)되었으며, 프로그램도 독립(獨立) 편성(編成)하였다. 2020년(年) 8월(月) 22일(日) 부터 《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으로 제목(題目)이 변경(變更)되었다.

방송(放送) 시간(時間)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채널 방송(放送) 기간(期間) 방송(放送) 시간(時間) 비고(備考)
KBS 2TV 2011년(年) 6월(月) 4일(日) ~ 2012년(年) 3월(月) 31일(日)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15 ~ 7:55 자유선언(自由宣言) 토요일(土曜日)
2부(部) 코너 편성(編成)
2012년(年) 4월(月) 7일(日) ~ 2014년(年) 5월(月) 17일(日) 독립(獨立) 편성(編成)
2014년(年) 5월(月) 24일(日) ~ 2017년(年) 1월(月) 21일(日)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05 ~ 7:55
2017년(年) 1월(月) 28일(日) ~ 2017년(年) 5월(月) 27일(日)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00 ~ 7:55
2017년(年) 6월(月) 3일(日) ~ 2021년(年) 6월(月) 26일(日) 1부(部)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05 ~ 6:55 분리(分離) 편성(編成)
2부(部)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55 ~ 7:55
2021년(年) 7월(月) 3일(日) ~ 2022년(年) 2월(月) 26일(日)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05 ~ 7:55 통합(統合) 편성(編成) (60분(分) 지상파(地上波) 중간광고(中間廣告))
2024년(年) 2월(月) 10일(日) ~ 현재(現在)
2022년(年) 3월(月) 5일(日) ~ 2024년(年) 2월(月) 3일(日)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저녁 6:10 ~ 8:05

제작진(製作陣) [ 편집(編輯) ]

  • 프로듀서 : 권재영
  • 연출(演出) : 정미영, 이유민, 구민정, 최승범, 강(剛)하나
  • 작가(作家) : 임기홍, 김지은, 정인해, 오드리, 우수진, 신진영, 진정(鎭靜)은, 장문영, 곽은주
  • 제작대행(製作代行) : 봄 미디어
    • 김성수(金性洙), 이진익, 김동우, 강나영, 안상훈, 배지연
  • FD : 강주희, 한종규, 이정훈

진행자(進行者) [ 편집(編輯) ]

현재(現在) MC [ 편집(編輯) ]

대기실(待機室) 진행(進行) [ 편집(編輯) ]

과거(過去) MC [ 편집(編輯) ]

대기실(待機室) 진행(進行) [ 편집(編輯) ]

보조(補助) MC [ 편집(編輯) ]

  • 문희준(文熙俊)  : 2011년(年) 9월(月) 17일(日) ~ 2011년(年) 9월(月) 24일(日)
  •  : 2012년(年) 7월(月) 21일(日) ~ 2012년(年) 7월(月) 28일(日)

대기실(待機室) [ 편집(編輯) ]

  • 박한별  : 2012년(年) 7월(月) 7일(日)
  • 테이  : 2018년(年) 7월(月) 21일(日)
  • 나태주  : 2021년(年) 9월(月) 18일(日)
  • 박지원(朴智元)  : 2021년(年) 10월(月) 9일(日) ~ 10월(月) 23일(日), 11월(月) 6일(日), 11월(月) 27일(日) ~ 12월(月) 4일(日)
  • 이찬원  : 2021년(年) 10월(月) 30일(日)
  • 영탁  : 2021년(年) 11월(月) 13일(日)
  • 장민호  : 2021년(年) 11월(月) 20일(日), 2022년(年) 7월(月) 9일(日)
  • 라비  : 2021년(年) 12월(月) 11일(日)
  • 조우종  : 2022년(年) 1월(月) 1일(日)
  • 호시  : 2022년(年) 5월(月) 28일(日)
  • 황치열  : 2022년(年) 6월(月) 25일(日)
  • 조민규  : 2023년(年) 7월(月) 15일(日), 2023년(年) 7월(月) 22일(日)
  • 박현빈  : 2023년(年) 8월(月) 26일(日)

그 외(外) [ 편집(編輯) ]

  • 강민경  : 2012년(年) 5월(月) 12일(日)
  • 홍경민  : 2012년(年) 8월(月) 11일(日)
  • 은지원  : 2013년(年) 7월(月) 13일(日)
  • 미르  : 2013년(年) 7월(月) 20일(日)

경연(競演) 방식(方式) [ 편집(編輯) ]

진행(進行) 순서(順序) [ 편집(編輯) ]

  1. 전설(傳說)의 가수(歌手) 오프닝 공연(公演) (작사가, 작곡가(作曲家)의 경우(境遇)는 안함(安含))
  2. 경합(競合) (전설(傳說)의 가수(歌手)의 감상평(鑑賞評)과 명곡판정단(名曲判定團)의 투표(投票) 포함(包含))
  3. 최종(最終) 우승자(優勝者) 결정(決定)

경연(競演) 규칙(規則) 변화(變化) [ 편집(編輯) ]

1회(回)
  1. 당사자(當事者)를 제외(除外)한 나머지 5명(名)이 점수(點數)를 매긴다.
  2. 순위(順位)대로 전설(傳說)의 노래 우선(于先) 선택권(選擇權)을 가진다. (1차(次) 경합(競合)에서 순위(順位)가 높을수록 전설(傳說)을 모시고 펼치는 본격적(本格的)인 2차(次) 경합(競合)에서 원(願)하는 노래를 선택(選擇)해서 부를 수 있다. 다만 1차(次) 경합(競合)에서 경연(競演) 했던 노래는 다시 부를 수 없다.)
  3. 2차(次) 경합(競合)은 승자(勝者)가 다음 가수(歌手)와 붙는 승자(勝者) 연승(連勝) 방식(方式)이다. (평가단(評價團)은 누가 노래를 잘 했느냐가 아닌 마음을 움직인 노래를 선택(選擇))
2회(回) ~ 3회(回)
  1. 당사자(當事者)를 제외(除外)한 나머지 5명(名)이 무기명(無記名)으로 점수(點數)를 매긴다.
  2. 1차(次) 경합(競合) 1등(等)을 한 가수(歌手)는 2차(次) 경합(競合) 본인(本人)의 순서(順序)를 정(定)할 수 있다. (1등(等)을 제외(除外)한 나머지 가수(歌手)들은 순서(順序) 무작위(無作爲))
4회(回) ~ 5회(回)
  1. 200명(名)의 명곡판정단(名曲判定團)의 평가(評價)로 1차(次) 경합(競合) 순위(順位) 결정(決定).
  2. 1위(位)에게만 주어지는 경합(競合) 순서(順序) 결정권(決定權).
  3. 1차(次) 경합(競合) 무대(舞臺) 순서(順序)는 사다리로 결정(決定).
6회(回) ~ 7회(回)
  1. 2차(次) 경합(競合) 곡(曲) 선택(選擇)을 제일(第一) 먼저함(函)
  2. 우승자(優勝者)에게 트로피 수여(授與)
    1. 명곡(名曲) 판정단(判定團)의 투표(投票)를 통해 순위(順位) 결정(決定). (1차(次) 경합(競合) 투표(投票) 시(時), 터치스크린 투표기(投票機) 도입(導入))
    2. 1위에게만 본 경연(競演)에 순서(順序)를 정(定)할 수 있는 기회(機會) 부여(附與).
    3. 1차(次) 경합(競合) 무대(舞臺) 순서(順序)는 사다리로 결정(決定).
10회(回) ~ 15회(回)
  1. 라이벌 경합(競合) : KBS 홈페이지 라이벌전(戰) 투표(投票)를 통해서 서로 어울리는 라이벌을 선정(選定)하여 1:1 방식(方式)으로 1차(次) 경합(競合)을 한다.
  2. 1차(次) 경합(競合) 우승자(優勝者) 선정(選定) 방식(方式) : 각(各) 라운드별(別)로 승자(勝者)를 뽑은 뒤 중앙선거관리위원회(中央選擧管理委員會)가 개발(開發)한 터치스크린 투표기로(投票岐路) 3명(名)의 후보자(候補者) 중(中) 자신(自身)을 감동시킨 단(單) 한 명(名)의 가수(歌手)를 선택(選擇)
  3. 1차(次) 경합(競合) 우승자(優勝者)는 본 경합(競合)에서 자신(自身)이 원(願)하는 순서(順序)에 노래를 부를 수 있다.
18회(回) ~ 19회(回)
  1. 우승자(優勝者)의 혜택(惠澤) : 본인(本人)이 원(願)하는 순서(順序)에 언제든지 나와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71회(回) ~ 139회(回)
  1. (미리 2개(個)의 공을 뽑아 2명(名)의 출연자(出演者)를 함께 공개(公開))
140회(回) ~ 141회(回)
첫번째(番째) 가수(歌手)만 MC가 공(功)을 뽑고 그 첫번째(番째) 가수(歌手)가 대결(對決)하고 싶은 두번째(番째) 가수(歌手)를 지목(指目)하며, 대결(對決)에서 이긴 가수(歌手)가 다시 다음 가수(歌手)를 지목(指目)하는 형식(形式)으로 진행(進行)된다.
142회(回) ~ 현재(現在)
방송분(放送分)에 따라서 한명(名)씩 뽑거나 두 명(名)을 동시(同時)에 뽑는다.

방영(放映) 목록(目錄) [ 편집(編輯) ]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2012년(年)
2013년(年)
2014년(年)
2015년(年)
2016년(年)
2018년(年)
2019년(年)
2020년(年)
2022년(年)
2023년(年)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편성(編成) 변경(變更) [ 편집(編輯) ]

2012년(年)
  • 7월(月) 14일(日) : 올림픽 축구(蹴球) 국가대표(國家代表) 친선경기(親善競技) 대한민국(大韓民國) VS 뉴질랜드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 8월(月) 4일(日) : 2012 런던 올림픽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2014년(年)
2016년(年)
  • 8월(月) 13일(日) (264회(回)) : 리우 올림픽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저녁 5시(時) 45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2017년(年)
  • 11월(月) 25일(日) : KBS 파업(罷業)으로 인해 재방송(再放送)으로 대체(代替)되었다.
2018년(年)
  • 2월(月) 10일(日) (341회(回)) :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오후(午後) 4시(時) 40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2월(月) 17일(日) (342회(回)) :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오후(午後) 4시(時) 45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2월(月) 24일(日) (343회(回)) :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저녁 5시(時) 30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3월(月) 3일(日) (344회(回)) : 공사(工事) 창립(創立) 특집(特輯) 편성(編成)으로 인(因)해 저녁 5시(時) 35분(分)에 방송(放送)
  • 6월(月) 16일(日) :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組別)리그 C조(組) 1경기(競技) 프랑스 VS 호주(濠洲)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 6월(月) 23일(日) (359회(回)) :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組別)리그 F조(組) 2경기(競技) 대한민국(大韓民國) VS 멕시코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저녁 5시(時) 35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9월(月) 1일(日) :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야구(野球) 결승(決勝), 농구(籠球) 결승(決勝), 축구(蹴球) 결승(決勝)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 10월(月) 20일(日) (374회(回)) : KBS 스포츠 2018년(年) KBO 리그 준(準)플레오프 2차전(次戰) 키움 히어로즈 VS 한화 이글스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저녁 6시(時) 40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11월(月) 17일(日) : 축구대표(蹴球代表)팀 평가전(評價戰) 대한민국(大韓民國) VS 호주(濠洲)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2019년(年)
  • 3월(月) 30일(日) : 저녁 5시(時) 55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4월(月) 20일(日) ~ 4월(月) 27일(日) :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400회(回) 특집(特輯)을 맞아서 일본(日本) 지바현(縣) 소재(所在) 마쿠하리 메세 에서 제작(製作)된 에피소드를 방송(放送)했다.
  • 10월(月) 26일(日) (426회(回)) : KBS 스포츠 2019년(年) KBO 리그 한국(韓國)시리즈 4차전(次戰) 두산 베어스 VS 키움 히어로즈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해 저녁 7시(時)에 방송(放送)되었다.
  • 12월(月) 28일(日) : 이미자 노래인생(人生) 60년(年)을 맞아 KBS홀에서 송년특집(送年特輯)을 진행(進行)했다.
2020년(年)
  • 1월(月) 25일(日) : 설특집(特輯) 프로그램 편성(編成)으로 인(因)해 저녁 6시(時)에 방송(放送)되었다.
2021년(年)
  • 2월(月) 13일(日) : 설특집(特輯) 프로그램 편성(編成)으로 인(因)해 오후(午後) 4시(時) 45분(分)에 방송(放送)되었다.
  • 7월(月) 24일(日) ~ 7월(月) 31일(日) : 2021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 12월(月) 18일(日) ~ 12월(月) 25일(日) : 2021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왕중왕전(戰) 특집(特輯)을 맞아 일산(一山) 킨텍스 에서 제작(製作)된 에피소드를 방송(放送)했다.
2022년(年)
2023년(年)
  • 7월(月) 15일(日) : 2023 KBO 프로야구(野球) 올스타전(戰) 중계방송(中繼放送) 결방(決放) 취소(取消)로 평상시(平常時) 정규편성(正規編成)으로 대체함(代替函)
  • 9월(月) 30일(日)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저녁 5시(時)에 방송(放送).
  • 10월(月) 7일(日)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인(因)한 결방(決放).
2024년(年)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3년(年) 2분기(分期) 방송분(放送分)부터 별관(別館) 공개(公開)홀에서 제작(製作)된 회차(回次)에 한(限)해 UHD 영상(映像) 으로 편성(編成)하고 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KBS 2TV 토요일(土曜日) 저녁 6시대(時代) 프로그램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2012.4.7 ~ 현재(現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