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불가리아어(語)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불가리아어(語)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불가리아어(語)
български език
български
사용(使用) 국가(國家)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등(等) 인근(隣近) 주변국(周邊國)들.
사용(使用) 지역(地域) 발칸반도(半島)
언어(言語) 인구(人口) 제(第)1언어(言語): 800만(萬)~850만여(萬餘) 명(名)
전체(全體): 1000만여(萬餘) 명(名)
문자(文字) 키릴 문자(文字)
언어(言語) 계통(系統)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魚群)
    동부(東部) 남슬라브어군(魚群)
     불가리아어(語)
공용어(公用語) 및 표준(標準)
공용어(公用語)로 쓰는 나라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유럽 연합의 기 유럽 연합(聯合)
표준(標準) 불가리아어(語) 과학(科學) 아카데미 ( Институт за български език )
언어(言語) 부호(富豪)
ISO 639-1 bg
ISO 639-2 bul
ISO 639-3 bul 불가리아어(語)

불가리아어(語) ( български [?b????rski] )는 불가리아 공용어(公用語) 이며, 남슬라브어군(魚群) 에 속(屬)하는 언어(言語)이다. 이 언어(言語)는 러시아어(語) , 프랑스어(프랑스語) 의 영향(影響)을 많이 받았으며, 세르비아어(語) 와 같은 남(南)슬라브계 언어(言語)이기도 하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현대(現代) 불가리아어(語)는 1세기(世紀) 중반(中盤) 발칸반도(半島) 동부(東部)에 정착(定着)한 슬라브인(人) 들의 방언(方言)을 직접적(直接的)으로 계승(繼承)한다. 이는 처음에 고대(古代) 교회(敎會) 슬라브어(語) (OCS)를 통해 문헌(文獻)으로 기록(記錄)되었다. [1]

불가리아어(語)의 역사(歷史)는 4개(個)의 시기(時期)로 나뉜다. 첫째는 원시(遠視) 슬라브어(語)로 취급(取扱)되는 Prehistoric Period로, 발칸반도(半島) 동부(東部)에 슬라브인(人)이 진출(進出)한 시기(時期)부터 키릴과 메포지(包紙)(Saints Cyril and Methodius)가 9세기(世紀) 모라바 로 선교(宣敎)를 떠날 때까지를 가리킨다. 둘째는 Old Burgarian 시기(時期)로, 9세기(世紀)부터 11세기(世紀)까지 OCS 문헌(文獻)으로서 나타나는 시기(時期)이다. 셋째는 Middle Bulgrian 시기(時期)이며, 11세기(世紀) 말(末)부터 15세기(世紀) 초(初)까지 문예(文藝) 활동(活動)의 부흥(復興)과 중요(重要)한 구조적(構造的) 변화(變化)가 이루어졌다. 넷째는 Modern Bulgarian 시기(時期)로, Middle Bulgarian 시기(時期)로부터 현대(現代)에 이르기까지, 오스만 점령기(占領期) (15세기(世紀) 초반(初盤)에서 1878년(年))를 포함(包含)하고 있다. [1]

현대(現代) 불가리아어(語)의 가장 중요(重要)한 변화(變化)들은 Modern Period의 초중반(初中盤)에 걸쳐 시작(始作)된 것으로 보인다. 비표준어적(非標準語的)인 요소(要素)의 도입(導入)은 Middle Bulgarian 시기(時期) 보수적(保守的)인 문어(文魚) 적(敵) 관습(慣習)을 인위적(人爲的)으로 규범화(規範化)시킨 정서법(正書法) 개혁(改革)으로 인해 지연(遲延)되었다. [1]

Modern Bulgarian의 첫 두 세기(世紀)는 오스만 의 정복(征服)에 따른 문예(文藝) 활동(活動)의 축소(縮小)로 인해 남아 있는 문헌(文獻)이 많지 않다. 약(約) 1600년경(年頃)에는 Modern Bulgarian을 이전(以前)의 시기(時期)들과 확연히(確然히) 구분(區分)짓게 한(限) 불가리아의 르네상스가 시작(始作)되었다. [1]

불가리아의 문학어는 19세기(世紀) 중반(中盤)에 모습을 갖추기 시작(始作)했다. 이에 앞서 19세기(世紀)엔 정서법(正書法)에 대(對)해 세 개(個)의 주장(主張)들이 서로 대립(對立)했다. 첫째는 보수주의(保守主義)로, 러시아나 세르비아에 보존(保存)된 불가리아 정교회(正敎會) 교회(敎會) 슬라브어(語) 판본(版本)을 전형(典型)으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立場)이었다. 둘째는 진보주의(進步主義)로, 문학어는 동시대(同時代) 불가리아의 영향력(影響力) 있는 특정(特定) 지역(地域) 사용(使用)되는 말을 근본(根本)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셋째는 중립적(中立的)인 입장(立場)이었는데, 이들은 교회(敎會) 슬라브어(語)까지 포함(包含)해 모든 지역(地域)의 방언(方言) 이 공유(共有)하는 특징(特徵)을 방언(方言)의 변화(變化)에 구애(拘礙)받지 않고 사용(使用)해야 한다고 주장(主張)했다. [1]

19세기(世紀) 중반(中盤)에는 불가리아의 북동(北東) 지역(地域)이 문화적(文化的), 경제적(經濟的) 및 정치적(政治的)으로 부상(浮上)했고, 이로 인(因)해 북동부(北東部) 불가리아에서 가장 중요(重要)한 도시(都市) 중(中) 하나이자 불가리아의 첫 근대적(近代的) 도시(都市)인 타(他)르노보(補) 의 방언(方言)이 불가리아 문학어의 모델로 떠올랐다. 1899년(年) 불가리아 교육부(敎育部)에 의(依)해 제정(制定)된 최초(最初)의 불가리아어(語) 정서법(正書法)은 1945년(年) 한 차례(次例) 개정(改正)된 이후(以後)로 현재(現在)까지 내려오고 있다. [1]

현대(現代) 불가리아 문학(文學)어는 동북부(東北部) 타(他)르노보(補) 방언(方言)의 영향(影響)을 받긴 했지만, 동부(東部) 방언(方言)과 함께 불가리아어(語)의 주요(主要) 방언(方言)을 이루는 서부(西部) 방언(方言)의 특징(特徵) 역시(亦是) 갖고 있다. 이는 1879년(年) 불가리아의 수도(首都)가 타르노보에서 서부(西部)의 중심지(中心地)인 소피아 로 바뀐 후(後) 이 지역(地域) 방언(方言)의 영향(影響)을 받게 되어, 결과적(結果的)으로 어떤 지역(地域) 방언(方言)도 대표(代表)하지 않고 인위적(人爲的)으로 통합(統合)된 체계(體系)로 발전(發展)했기 때문이다. [1]

따라서 '정확(正確)한' 불가리아어(語)는 주로(主로) 공식적(公式的)인 상황(狀況) 맥락(脈絡) 아래서 발화(發火)되며, 그렇지 않은 상황(狀況)에서는 지역(地域) 방언(方言)을 통해 대화(對話)가 이루어진다. 불가리아인(人)들의 대화(對話)는 이처럼 그들의 지역적(地域的) 배경(背景)에 따른 구어적(口語的) 요소(要素)와 문어적(文語的) 표준(標準)에 따라 교육(敎育)받은 요소(要素)들 사이의 연속체(連續體)로서 구성(構成)되어 있다. 한편(한便)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후(以後)로는 소피아 근교(近郊)의 인구(人口)와 문화적(文化的) 부상(負傷)으로 인해 서부(西部) 불가리아의 언어적(言語的) 요소(要素)가 한층(한層) 더 주목(注目)받고 있다. [1]

사용(使用) 국가(國家) [ 편집(編輯) ]

  •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국어(國語)이자, 공용어(公用語)이다.)
  •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일부(一部) 사용자(使用者)가 있다.)
  •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일부(一部) 사용자(使用者)가 있다.)
  • 그리스의 기 그리스 (일부(一部) 사용자(使用者)가 있다.)
  • 북마케도니아의 기 북(北)마케도니아 (일부(一部) 사용자(使用者)가 있다.)
  • 미국의 기 미국(美國) (불가리아계(系) 이민자(移民者)가 일부(一部) 사용(使用).)
  • 캐나다의 기 캐나다 (불가리아계(系) 이민자(移民者)가 일부(一部) 사용(使用).)
  •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일부(一部) 사용자(使用者)가 있다.)

기타(其他) 사용(使用) 지역(地域) [ 편집(編輯) ]

2007년(年) 1월(月) 1일(日) 유럽 연합(聯合) 의 공용어(公用語)로 추가(追加)되었다.

불가리아어(語) 알파벳 [ 편집(編輯) ]

키릴 문자(文字)
IPA
로마자(로마字) 표기법(表記法) [2]
А а
/a/
A a
Б б
/b/
B b
В в
/v/
V v
Г г
/?/
G g
Д д
/d/
D d
Е е
/?/
E e
Ж ж
/?/
? ?
З з
/z/
Z z
И и
/i/
I i
Й й
/j/
J j
키릴 문자(文字)
IPA
로마자(로마字) 표기법(表記法)
К к
/k/
K k
Л л
/l/
L l
М м
/m/
M m
Н н
/n/
N n
О о
/?/
O o
П п
/p/
P p
Р р
/r/
R r
С с
/s/
S s
Т т
/t/
T t
У у
/u/
U u
키릴 문자(文字)
IPA
로마자(로마字) 표기법(表記法)
Ф ф
/f/
F f
Х х
/x/
H h
Ц ц
/?/
C c
Ч ч
/?/
? ?
Ш ш
/?/
? ?
Щ щ
/?t/
?T ?t
Ъ ъ
/?/
A a
Ь ь
/j/
Y y
Ю ю
/ju/
JU ju
Я я
/ja/
JA ja

현재(現在)에는 없는 철자(綴字) [ 편집(編輯) ]

아래 두 철자(綴字)는 1945년(年) 문자(文字) 개혁(改革) 이전(以前)에 쓰던 철자(綴字)로서, '?'는 'Ъ'로, '?'는 'Е'로 바뀌었다. 이 중(中) '?'는 제정(帝政) 러시아 시대(時代)에 쓰던 러시아어(語) 에서 쓰던 철자(綴字)이기도 하며, 역시(亦是) 1918년(年) 문자(文字) 개혁(改革)으로 없어졌다.

키릴 문자(文字)
IPA
로마자표기법(로마字表記法)
? ?
/?/
JUS jus
? ?
/e/
JAT jat

불가리아어(語) 배우기 [ 편집(編輯) ]

  • Здравей? (zdravei) 즈드라베이 →안녕(安寧)하십니까?
  • Здрасти? (zdrasti) 즈드라스띠 →안녕?
  • Добро утро (dobro utro) 도브로 우(禹)뜨로 →아침 인사(人事)
  • Добър ден (dob?r den) 도(度)버르 덴 →낮 인사(人事)
  • Добър вечер (dob?r ve?er) 도(度)버르 베체(體)르 →저녁 인사(人事)
  • Лека нощ. (leka no?t) 레까 노쉿트 →안녕히(安寧히) 주무세요
  • Довиждане. (dovi?dane) 도(度)비쥬다네 →안녕히(安寧히) 가세요
  • Кой си ти? (koj si ti) 꼬이 씨(氏) 띠 [회화체(會話體), 남성(男性)] →누구세요?
  • Коя си ти? (kоja si ti) 꼬야 씨(氏) 띠 [회화체(會話體), 여성(女性)] →누구세요?

중성(中性)에 해당(該當)하는 표현(表現)은 Кое си ти? (koe si ti) 꼬에 시(時) 띠 이며 일부(一部) 경우(境遇)를 제외(除外)하고는 매우 드물게 쓰인다.

  • Кой сте Вие? (koj ste vie) 꼬이 스떼 비에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 남성(男性)] →누구세요?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으로 복수(復讐) 동사(動詞)에 사용(使用)하지만 단수(斷水)에도 사용(使用)하며 화자(話者)들은 이 두 문법(文法)의 형태(形態)를 인정(認定)한다. 게다가 격식(格式)을 차린 1인칭(人稱) 단수(單數)의 "당신(當身)"을 뜻하는 "Вие"는 항상(恒常) 복수형(複數型) "당신(當身)"들과 구분(區分)하기 위해 В를 항상(恒常) 대문자(大文字)로 쓴다.)
  • Как се казваш? (kak se kazva?) 깍 세(歲) 까즈바쉬) →이름이 뭐예요?
  • Коя сте Вие? (kоja ste vie) 꼬야 스떼 비에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 여성(女性)] →누구십니까?
  • Кои сте вие? (kоi ste vie) 꼬이 스떼 비에 [복수형(複數型)] →당신(當身)들은 누구십니까?
  • Как си? (kak si) 깍 씨(氏) [회화체(會話體)] →어떻게 지내니?
  • Как сте? (kak ste} 깍 스떼 )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 복수형(複數型)] →어떻게 지내세요?
  • Да (da) 다) →네
  • Не (ne) 네) →아니요
  • Може би (mo?e bi) 모줴 비 →어쩌면
  • Какво правиш? (kakvo pravi?) 까끄보 쁘라비쉬 [회화체(會話體)] →뭐 하니?
  • Какво правите? (kakvo pravite) 까끄보 쁘라비떼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 복수형(複數型)] →뭐 하세요?
  • Добре съм (dobre s?m) 도브레 섬 →잘 지냅니다.
  • Всичко [най-]хубаво (vsi?ko [naj-]hubavo) 브시츠코 [나이-]후(後)바보) →모든 것이 (가장) 잘 되기를.
  • Поздрави (pozdravi) 뽀즈드라비) →안부(眼部) 전(傳)해주세요.
  • Благодаря (blagodarj??) 블라고다랴) →고맙습니다/고마워
  • Моля (molja) 몰랴) →제발요
  • Моля (molja) 몰랴) →괜찮습니다/괜찮아
  • Извинете! (izvinete) 이즈비네떼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 →죄송(罪悚)합니다.
  • Извинявай! (izvinjavaj) 이즈비냐바이 [회화체(會話體)] →미안(未安)합니다
  • Обичам те! (obi?am te) 오비챰 떼 →사랑해
  • Колко е часът? (kolko e ?as??t) 꼴꼬 에 차썻 →몇 시(時)입니까?
  • Говорите ли…? (govorite li…) 고보리떼 리(리) →...를 할 수 있습니까?
    • …английски (anglijski) 앙글리스끼 →영어(英語)
    • …български (b??lgarski) 벌가르스끼 →불가리아어(語)
    • …немски (nemski) 넴스끼 →독일어(獨逸語)
    • …руски (ruski) 루스끼 →러시아어(語)
    • …холандски (holandski) 홀란드스끼 →네덜란드어(語)
    • …гръцки (gr??cki) 그러쯔키 →그리스어
    • …македонски (makedonski) 마께돈스끼 →마케도니아어
    • …италиански (italianski) 이딸리안(吏案)스끼 →이탈리아어(語)
    • …испански (ispanski) 이스판스끼 →에스파냐어(語)
    • …френски (frenski) 프렌스끼 →프랑스어(프랑스語)
    • …японски (iaponski) 야(野)폰스끼 →일본어(日本語)
    • …китайски (kitajski) 끼따이스끼 →중국어(中國語)
    • …корейски (korejski) 꼬레이스끼 →한국어(韓國語)
  • Ще се видим скоро (?te se vidim skoro) 쉬떼 세(歲) 비(非)딤 스꾜로 →나중에 봐요
  • Ще се видим утре (?te se vidim utre) 쉬떼 세(歲) 비(非)딤 우(禹)뜨레 →내일(來日) 봐요

다음은 다른 언어(言語)에서 온 표현(表現)이다. 하지만 격식(格式)을 차린 표현(表現)에서도 자주 사용(使用)하지는 않는다.

숫자(數字) [ 편집(編輯) ]

  1. Едно 에드노
  2. Две 드베
  3. Три 뜨리
  4. Четири 체(體)티리
  5. Пет 뻬트
  6. шест 셰스트
  7. Седем 세(歲)뎀
  8. Осем 오셈
  9. Девет 데베트
  10. Десет 데세트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의 학습(學習)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그리스-불가리아어학과(語學科)에서 불가리아어(語)를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불가리아어(語)가 가장 희귀(稀貴)한 언어(言語)라서 한국어(韓國語)로 된 불가리아어(語) 교재(敎材)는 부족(不足)하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사(社)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 London: Routledge. pp. 188-190.
  2. “1995 Streamlined System for the Romanization of Bulgarian (Official)” . 2012년(年) 10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10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불가리아어(語) 공부(工夫) [ 편집(編輯) ]

언어학적(言語學的) 보고서(報告書) [ 편집(編輯) ]

사전(事前) [ 편집(編輯) ]

사전(事前) 소프트웨어 [ 편집(編輯) ]

영어(英語)-불가리아어(語)-영어(英語)(English-Bulgarian-English) [ 편집(編輯) ]
기타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