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부산대학교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표어(標語) Arise PNU, 같이 더 높게
부산대학교
건학이념(建學理念) 진리(眞理)·자유(自由)·봉사(奉仕)
종류(種類) 국립(國立)
설립(設立) 1946년(年) 5월(月) 15일(日)
총장(總長) 최재원(崔再源)
부총장(副總長) 이재우(교육(敎育)), 이상엽(李相燁)(의무(義務))
학부생(學部生) 수(數) 26,294명(名) (2024)
교직원(敎職員) 수(數) 1,996명(名) (2024)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위치(位置) 부산(釜山)캠퍼스(장전(裝塡)캠퍼스)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금정구(金井區) 부산대학(釜山大學)로63번길 2
아미캠퍼스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서구(西區) 구덕로 179
양산(量産)캠퍼스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시(梁山市) 물금읍 부산대학(釜山大學)로 49
밀양(密陽)캠퍼스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密陽市) 삼랑진읍
삼랑진(三浪津)로 1268-50
교색(驕色) 청색(靑色)      
녹색(綠色)      
상징물(象徵物) 독수리(禿수리)
웹사이트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Map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의 위치(位置)

부산대학교 (釜山大學校, Pusan National University )는 1946년(年) 5월(月) 15일(日) 에 설립(設立)된 종합(綜合) 국립대학교(國立大學校)이며, 부산(釜山)을 대표(代表)하는 거점국립대학교(據點國立大學校) 이다. 광복(光復) 후(後) 최초(最初)로 설립(設立)된 종합국립대학(綜合國立大學)이다.

캠퍼스는 부산(釜山)과 경남(慶南)에 위치(位置)하며,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금정구(金井區) 장전동의 부산(釜山)캠퍼스와 서구(西區) 아미동의 아미캠퍼스,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密陽市) 삼랑진읍 청학리의 밀양(密陽)캠퍼스,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시(梁山市) 물금읍 범어리 양산(量産)캠퍼스로 구성(構成)된다. 1946년(年) 2개(個)의 학부(學部)(인문학부(人文學部), 수산학부(水産學部))로 구성(構成)된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출발(出發)하여 2024년(年) 기준(基準)으로 15개(個)의 단과대학(單科大學), 1개(個)의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5개(個)의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과 9개(個)의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독수리(禿수리) 로 이를 형상화(形象化)한 캐릭터인 ‘산지니(山지니)’가 있고 상징(象徵) 색(色)은 부산대(釜山大) 청색(靑色)과 녹색(綠色)이며 교훈(敎訓)은 진리(眞理)·자유(自由)·봉사(奉仕)이다. 약칭(略稱)으로 부대(部隊) 라고 부르거나 영문(英文) 약칭(略稱) PNU 로 표기(表記)하기도 한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부산대는 1946년(年) 5월(月) 15일(日) 문교부가 대한민국(大韓民國) 첫 국립(國立) 종합대(綜合臺)로 인가(認可)됐다. 1941년(年) 개교(開校)한 관립(官立) 전문학교인(專門學校人) 부산고등수산학교(釜山高等水産學校)를 흡수(吸收)하여 수산학부(水産學部)(이후(以後) 수산과대학(水産科大學))로 개편(改編)하고 인문학부(人文學部)(인문과대학(人文科大學))를 신설(新設)하여 2개(個)의 학부(學部)(단과대학(單科大學))로 시작(始作)한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였다. 그러나 거센 반발(反撥)을 보이던 수산과대학(産科大學)이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으로 분리(分離)해 나가면서 사실상(事實上) 첫 국립(國立) 종합대(綜合臺)는 와해(瓦解)되고 1953년(年) 2차로(車路)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로 승격(昇格)한다. 해방(解放) 후(後) 문교당국(文敎當局)이 부산대(釜山大) 설립(設立)을 인가(認可)하면서 기존(旣存)의 부산고등수산학교(釜山高等水産學校)를 물적(物的) 기반(基盤)으로 삼고 부산대를 건설(建設)하고자 했으나 수산과대학(水産科大學)의 이탈(離脫)로 실패(失敗)하고 만다. 그렇지만 부산대는 민립운동(民立運動)에서 시작(始作)한 대학(大學) 설립(設立)에 경상남도(慶尙南道)가 중심(中心)이 되어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設立)이란 개가(凱歌)를 이뤘다. 부산대의 설립(設立)은 물적(物的) 토대(土臺)가 전혀(全혀) 없었던 상태(狀態)에서 국립대(國立大)를 탄생시켰고 지방(地方) 최고(最高)의 대학(大學)이란 성과(成果)를 이뤘기 때문에 기적(奇跡)이라고 불린다. 부산대(釜山大) 외(外)의 거점국립대(據點國立大)는 모두 기존(旣存)의 전문학교(專門學校)나 도립단과대학(道立單科大學)을 국립(國立)으로 전환(轉換)하여 만들었다. [주(週) 1]

설립(設立) 과정(過程)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무지개문(무지개門)

1945년(年) 8.15 광복(光復)을 맞자 일제(日帝)에 의(依)해 그동안 억눌렸던 민립대학(民立大學) 설립운동(設立運動)이 분출(噴出)하였다. 일제(日帝)는 민립대학(民立大學) 설립(設立)이 배일사상(排日思想)을 고취(鼓吹)한다는 이유(理由)로 탄압(彈壓)하면서 관립(官立) 경성제국대학만을 설립(設立)했다. 결국(結局) 광복(光復)을 맞이할 때까지 경성제국대학 외(外)에는 단(單) 한 개(個)의 민립대학도(民立大學度) 설립(設立)되지 못했다. 각(各) 지역(地域)에 의학(醫學), 사범(師範), 농업(農業) 등(等) 전문학교(專門學校)만 설립(設立)을 허가(許可)한 것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 수립(樹立)(1948) 이전(以前)의 교육정책(敎育政策)은 미군정(美軍政)에서 결정(決定)·집행(執行)하였다. 고등교육(高等敎育)에 대(對)한 개혁(改革) 방향(方向)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시절(時節)의 전문학교(專門學校)를 4년제(年制) 대학(大學)으로 재편(再編)하는 데 있었다.

1945년(年) 해방(解放) 이후(以後) 국가체제도(國家體制度) 제대로 갖추지 못한 어려운 환경(環境)에서도 대한민국(大韓民國)을 이끌어갈 인재(人材) 양성(養成)의 열망(熱望)은 뜨거웠다. 각(各) 지역(地域)에서 대학(大學) 설립운동(設立運動)이 들블처럼 일어났다. 부산(釜山) 지역(地域)에도 5∼6개(個)의 대학(大學) 설립(設立) 기성회(期成會)가 있었고 1945년(年) 10월(月) 당시(當時) 경상남도(慶尙南道)는 이들을 통합(統合)해 숙원사업(宿願事業)인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設立)을 추진(推進)했다. 일본(日本) 식민지(植民地) 교육(敎育)의 잔재(殘滓)를 청산(淸算)하고 우리 민족(民族)을 위한 조선교육(朝鮮敎育)을 재건(再建)하기 위해 대학(大學)을 설립(設立)할 것을 결의(決意)했다. 그 중심(中心)에 경상남도(慶尙南道)와 학무과장(學務課長) 윤인구가 있었다.

당시(當時) 미군정청(美軍政廳)의 학무국(學務局)은 부산대 대학설립기금(大學設立基金)으로 2000만(萬)원을 국고(國庫)에 납부(納付)할 것을 경상남도(慶尙南道)에 요구(要求)했고 경상남도(慶尙南道) 당국(當局)이 감액(減額)을 요구(要求)하자 결국(結局) 1000만(萬)원으로 감액(減額)했다. 당시(當時) 경상남도(慶尙南道) 당국(當局)은 도민(島民)의 숙원(宿願)인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設立)에 총력(總力)을 집중(集中)하여 미군정청(美軍政廳)이 제시(提示)한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기금(設立基金) 1000만(萬) 원 조달(調達)에 매진(邁進)하였다. 경남(慶南) 불교교무원(佛敎敎務院)은 고성(固城) 옥천사(玉泉寺) 사찰(査察) 소유(所有)의 토지(土地) 13만(萬) 5천(千) 평(坪)(당시(當時) 500만(萬) 원 감정(感情))을 내놓았고 [주(週) 2] 지역민(地域民)과 기업(企業)들은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設立)을 위해 십시일반(十匙一飯) 1,000만(萬) 원이 넘는 1,032만(萬) 9,000원의 기금(基金)을 마련해주었다. [주(週) 3] 이 중(中) 1,000만(萬) 원은 미군정청(美軍政廳) 문교부에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기금(設立基金)으로 납입(納入)하였고, 일부(一部)는 대학도서관(大學圖書館)을 채울 막대(莫大)한 양(量)의 장서(藏書) 확보(確保)에 사용(使用)했다.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設立)의 기초작업(基礎作業)이 일단(一旦) 완료(完了)된 뒤 윤인구 당시(當時) 경상남도(慶尙南道) 학무과장(學務課長)이 대학(大學) 설립(設立)을 위한 제반(諸般) 행정절차(行政節次)를 밟았다.

1946년(年) 5월(月) 15일(日) 국립부산대학교(國立釜山大學校)의 설립(設立)이 확정(確定)되었다. 윤인구 경상남도(慶尙南道) 학무과장(學務課長)과 학무과(學務課) 고문관(顧問官) 에디 중위(中尉)가 관계(關係) 기관(機關)과 협의(協議)하여 한미(韓美) 양(兩) 문교부장(文敎部長)의 최종(最終) 결재(決裁)를 얻어낸 것이다. 정식(正式) 교명(校名)은 ‘국립(國立) 부산대학(釜山大學)’으로 정(定)해졌고, 인문학부(人文學部)와 수산학부(水産學富)의 두 학부(學部)가 개설(開設)되었다. 이때의 학부(學部)는 오늘날의 단과대학(單科大學)(Faculty)에 해당(該當)되는 것이었다. 1946년(年) 3월(月) 7일(日)에 공포(公布)된 대학령(大學令) 제(第)2조(條) 후단(後端)에는 인문계(人文系) 및 자연계(自然系)의 학부(學部)가 병설(竝設)될 때는 2개(個) 이상(以上)의 학부(學部)로서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를 구성(構成)할 수 있도록 규정(規定)되어 있었다. [1] [2]

부산대(釜山大) 인문관(人文館)

부산대는 국립(國立) 부산대학교 설립(設立)을 인가(認可)한 1946년(年) 5월(月) 15일(日) 을 개교(個校)일로 기념(記念)하고 있다. 이날 부산대는 인문학부(人文學部)와 수산학부(水産學部) 2개(個) 학부(學部)(단과대학(單科大學))로 개교(開校)했다. 인문학부(人文學部)는 신설(新設)이고 수산학(水産學)부는 당시(當時) 부산경남(釜山慶南)의 유일(唯一)한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이자 4년제(年制) 관립전문학교인(官立專門學校人) 부산고등수산학교(釜山高等水産學校)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를 승격(昇格)시킨 것이다. 당시(當時) '국립(國立)'의 개념(槪念)조차 없는 상황(狀況)에서 민간(民間)에서 뜻을 모아 '국립(國立)'의 길을 처음 연 것이다. 또 당시(當時) 경남(慶南) 소속(所屬)의 국립대(國立大)의 이름을 경남대로 하지 않고 부산대(釜山大)로 확정(確定)한 것은 탁월(卓越)한 선택(選擇)이었다. [주(週) 4]

부산대의 설립(設立)은 해방(解放) 후(後) 정부(政府)에 의(依)해 최초(最初)로 설립(設立)된 국립대(國立大)라는 의미(意味)가 있다. 일제(日帝) 때 경성제국대학이던 서울대(서울大)가 국립대학(國立大學) 체제(體制)로 전환(轉換)되는 설치령(設置令)이 제정(制定)된 게 부산대(釜山大) 설립(設立) 인가일(認可日)보다 3개월(個月) 뒤인 1946년(年) 8월(月) 22일(日)이고 일제(日帝) 때 전문학교(專門學校)이던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等)이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승격(昇格)한 것은 1946년(年) 8월(月) 15일(日)이기 때문이다. 당시(當時) 문교부도 부산대를 "해방(解放) 후(後) 문교부가 창설(創設)한 유일(唯一)한 국립대학(國立大學)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1946 ~1999년(年) [ 편집(編輯) ]

1946년(年) 7월(月) 예과(豫科) 시험(試驗)을 거치고, 1946년(年) 9월(月) 1일(日) 개교(開校)했다. 9월(月) 24일(日) 입학식(入學式)을 거행(擧行)하고 1년(年) 정도(程度)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운영(運營)되었다. 1946년(年) 8월(月) 대학(大學) 총장(總長)으로 임명(任命)된 아서 린 베커(Arthur Lynn Becker 1879~1979, 한국명(韓國名) 백아덕(伯牙德) 白雅悳) 박사(博士)의 취임식(就任式)은 9월(月) 수산과학대학(水産科學大學) 강당(講堂)(현(現) 부경대(釜慶大))에서 열렸다. 수산과대학(水産科大學) 반발(反撥) 등(等)으로 1947년(年) 7월(月) 사임(辭任)했다.

1947년(年) 7월(月) 수산과대학(産科大學)이 '국립(國立)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으로 분리(分離)되면서 종합대학(綜合大學) 체제(體制)가 와해(瓦解)됐다. 형식상(形式上)으로는 1948년(年) 5월(月)에 부산대와 분리(分離)하였다. 부산대는 국립부산대학교(國立釜山大學校) 인문과대학(人文科大學)으로, 소속(所屬)은 문리학부(文理學部), 법학부(法學部), 상학부(商學部)로 편성(編成)됐다.

1952년(年) 4월(月) 5일(日) 부산대총동문회(釜山大總同門會)가 창립(創立)했다. 초대(初代) 회장(會長)은 이상대(국문(國文)48).

1953년(年) 4월(月) 1일(日)에 국립(國立) 부산대학교 설립안(設立案)이 국무회의(國務會議)를 통과(通過)하고, 4월(月) 3일(日) 국무총리(國務總理)의 재가(裁可)를 받아 같은 해 9월(月) 15일(日) 국립학교설치령(國立學校設置令)이 공포(公布)됨에 따라 다시 종합대학(綜合大學)인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로 승격(昇格)되었다. 문리과(文理科)·법정(法廷)·상(賞)과·의과·약학·공과대학 등(等) 6개(個) 단과대학(單科大學)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대학원(大學院)도 설립(設立)되었다. 11월(月) 26일(日) 윤인구 박사(博士)가 초대(初代) 총장(總長)으로 취임(就任)하였다.

1954년(年) 마산(馬山)에 있던 약학과(藥學科)가 부산(釜山)으로 옮겨왔다.

1954년(年) 캠퍼스의 장전동 이전(移轉)이 1954년(年) 확정(確定)돼 1955년(年) 지금(只今)의 부산(釜山)캠퍼스로 이전(移轉)했다. [주(週) 5] [3]

1961년(年) 5·16 쿠데타 직후(直後)인 9월(月) 문교부 의 ‘국립대학(國立大學) 정비(整備) 절차(節次)’에 의(依)해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 부산교육대학 을 흡수(吸收)하고 [4] ,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의 6개(個) 학과(學科)와 법과대학(法科大學)이 폐지(廢止)되었다. 5.16 쿠데타 세력(勢力)의 막가파식(式) 대학정책(大學政策)이 밎은 참극(慘劇)이었다.

1963년(年) 1월(月) 16일(日) 법과대학(法科大學)이 2년(年) 만에 부활(復活)되었다. [5]

1964년(年) 3월(月) 1일(日) 약학과(藥學科)가 대학(大學)으로 승격(昇格)됐다. 또 폐과되었던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의 사학과(史學科), 철학과(哲學科), 수학과(數學科), 물리학과(物理學科), 지리지질학과(地理地質學科)가 복과(福課)되고 정치학(政治學)과는 법과대학(法科大學)이 법정대학(法政大學)으로 개칭(改稱)되어 복(福)과 편입(編入)되었다. 부산교육대학 1963년(年) ,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學) 1964년(年) 에 다시 분리(分離)되었다. [주(週) 6]

1969년(年) 3월(月) 사범대학(師範大學)이 개설(開設)되고 경영대학원(經營大學院)이 문(門)을 열었다.

1972년(年) 3월(月) 사범대학(師範大學) 부속(附屬)고 개교(個校), 7월(月) 행정대학원(行政大學院) 설치(設置)를 인가(認可)받았다.

1973년(年) 11월(月) 공과대학(工科大學) 기계계열(機械系列)(기계공학과(機械工學科), 기계설계공학과(機械設計工學科), 정밀기계공학(精密機械工學)과, 생산기계공학과(生産機械工學科), 조선공학과(朝鮮工學科), 전기공학과(電氣工學科))이(李) 특성화대학(特性化大學)으로 지정(指定)되었다.

1974년(年) 3월(月) 가정대학(家庭大學)이 신설(新設)되었다. 1975년(年)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이 신설(新設)됐다.

1975년(年) 10월(月) 재일(在日) 교포(僑胞) 유학생(留學生) 김오자(문리대(文理大) 사학과(史學科) 73)가 연루(連累)된 '부산대학교 재일(在日) 교포(僑胞) 간첩단(間諜團) 사건(事件)'이 발생(發生)했다. [6] [주(週) 7]

1977년(年) 4월(月) 정부(政府)의 특성화(特性化) 공과대학(工科大學) 육성사업(育成事業)에 따라 기계공학과(機械工學科), 전기기계공학과(電氣機械工學科)(現 전자공학과(電子工學科), 전기(電氣)컴퓨터공학부(工學部)), 조선공학과(朝鮮工學科), 재료공학과(材料工學科)가 특성화(特性化) 학과(學科)로 선정(選定)되었다. [7]

부산대(釜山大) 부만민주항쟁탑(民主抗爭塔)

1979년(年) 부마민주항쟁(駙馬民主抗爭) 이 발생(發生)하였다. 10월(月) 15일(日) 에는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선언문(民主宣言文)이 배포(配布)되었고 [8] , 그 다음날에는 부산대학교 학생(學生) 육천여(六千餘) 명(名)이 민주화(民主化) 시위(示威)를 시작(始作)하였고 10월(月) 18일(日)엔 마산(馬山)으로 시위(示威)가 확산(擴散)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政府)는 부산(釜山)에는 계엄령(戒嚴令)을, 마산(馬山)에는 위수령(衛戍令)을 선포(宣布)했다. 부마민주항쟁(駙馬民主抗爭) [9] 유신(維新) 체제(體制) 가 몰락(沒落)하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10]

1981년(年) 3월(月) 치과대학(齒科大學)이 신설(新設)되고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이 인문대학(人文大學)과 자연과학대학(自然科學大學)으로 분리(分離)됐다.

1982년(年) 3월(月) 인문대학(人文大學)에서 행정학과(行政學科), 정치외교학과(政治外交學科), 사회복지학과(社會福祉學科), 사회학과(社會學科), 심리학과(心理學科)가 사회과학대학(社會科學大學) 소속(所屬)으로 분리(分離)됐다. 예술대학(藝術大學)과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이 신설(新設)됐다. 9월(月) 윤(尹)노빈 철학과(哲學科) 교수(敎授)가 싱가포르에서 가족(家族)과 월북(越北)했다. [주(週) 8]

1987년(年) 3월(月)부터 부대신문(部隊新聞) 편집권(編輯權) 문제(問題) 등(等)을 두고 학원민주화투쟁(學院民主化鬪爭)이 시작(始作)되었다. 5월(月)까지 진행(進行)되었던 이 투쟁(鬪爭)은 학원민주화운동(學園民主化運動)의 성공사례(成功事例)로 일컬어진다. 부산대는 대통령(大統領) 직선제(直選制)와 민주주의(民主主義) 쟁취(爭取)를 내세운 6월(月) 항쟁(抗爭) 에서 주도적(主導的)인 역할(役割)을 하였다. [11]

1988년(年) 11월(月) 환경대학원(環境大學院) 설치(設置)를 인가(認可)받았다.

1990년(年) 7월(月) 25일(日) 부산대를 방문(訪問)한 정원식 문교부장관(長官)이 총장실(總長室)에 4시간여(時間餘) 동안 갇혀있다 풀려났다. 학생(學生) 150여(餘) 명(名)이 총장실(總長室) 복도(複道)와 본관(本館) 현관(玄關) 앞을 점거(占據)한 채 7월(月) 16일(日) 경찰(警察)의 부산대(釜山大) 난입사태(亂入事態)와 전교조 사태(事態)와 관련(關聯)한 장관(長官)의 견해(見解)를 밝히라고 요구(要求)하며 농성(籠城)을 벌였다.

1990년(年) 11월(月) 부산대민주동문회(釜山大民主同門會) 창립총회(創立總會)가 열렸다.

1991년(年) 6월(月) 22일(日) 첫 직선제(直選制) 총장(總長) 선거(選擧)가 이뤄져 장혁표 교수(敎授)가 14대(代) 총장(總長)으로 선출(選出)되었다. 직선제(直選制) 총장(總長) 선출(選出)은 현재(現在)까지도 전통(傳統)으로 이어오고 있다. 대운동장(大運動場)에 본관(本館)을 신축(新築)하고 이전(移轉)하였다. 기존(旣存)의 본관(本貫)은 인문관(人文館)으로 명칭(名稱)을 변경(變更)했다.

1994년(年) 국책공과대학(國策工科大學) 지원사업(支援事業)에 선정(選定)됐다. 공과대학(工科大學)이 국책지원(國策支援) 공과대학(工科大學)으로 지정(指定)돼 시설(施設)이 획기적(劃期的)으로 개선(改善)되었다. 기계공학과(機械工學科)는 전국(全國) 최대(最大) 시설(施設)과 수준(水準)이라는 평가(評價)를 받았다. [12]

1997년(年) 3월(月) 국제대학원(國際大學院)이 설립(設立)됐다. 2004년(年) 3월(月)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체제(體制)로 전환(轉換)했다.

1999년(年) 6월(月) 첫 외부(外部) 인사(人士) 출신(出身)의 총장(總長)으로 박재윤 순천향대학교(順天鄕大學校) 교수(敎授)가 16대(代) 총장(總長)으로 선출(選出)되었다. [13] [14]

2000년(年) ~ 현재(現在) [ 편집(編輯) ]

[주(週) 9]

부산대(釜山大) 밀양(密陽)캠퍼스

2002년(年) 1월(月) 양산(量産)캠퍼스 조성(造成)이 확정(確定)돼 2009년(年) 3월(月) 개교(開校)했다. 그동안 제2캠퍼스 건립(建立)이 오랜 숙원(宿願)이었던 부산대는 부산(釜山)에서 부지(敷地)를 확보(確保)하지 못하자 캠퍼스의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梁山) 설치(設置) 방안(方案)을 교육부(敎育部)에 신청(申請)하였다. [15] 그러나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와 정치권(政治權)이 반대(反對)하면서 갈등(葛藤)이 고조(高調)되었다. [16] [17] 2002년(年) 1월(月) 9일(日) 부산대(釜山大), 부산시(釜山市), 교육부(敎育部) 3자(者)가 부산대(釜山大) 의·치과대학을 양산시로 이전(以前)에 합의(合意)하여 제(第)2캠퍼스 문제(問題)는 해결(解決)됐다. 2003년(年) 8월(月)에 양산(量産)캠퍼스 조성(造成) 공사(工事)가 시작(始作)되었다. [18] [주(週) 10]

2003년(年) 3월(月) 나노과학기술학부(科學技術學部)와 대학원(大學院) 학과(學科)를 신설(新設)했다. 10월(月) 경암 송금조 (주(週))태양(太陽) 회장(會長)이 대학발전기금(大學發展基金) 305억(億)원 쾌척(快擲)을 약속(約束)했다. [주(週) 11]

2005년(年) 예술문화영상학과(藝術文化映像學科)가 신설(新設)됐다. 3월(月) 밀양대와 통합(統合)에 합의(合意)했다.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 가 국립대(國立大) 구조(構造) 개혁(改革)을 본격화(本格化)하자 부산대학교는 밀양대학교(密陽大學校) 와의 통합(統合)에 나서게 되고 2005년(年) 10월(月)에 통합(統合)을 승인(承認) 받아 2006년(年) 3월(月)에 부산대학교 밀양(密陽)캠퍼스를 출범(出帆)시켰다. [19]

2006년(年) 3월(月) 생명자원과학대학(生命資源科學大學)을 신설(新設)하고 나노과학기술학부(科學技術學部)를 나노과학기술대학(科學技術大學)으로 승격(昇格)시켜 밀양(密陽)캠퍼스로 이전(移轉)하였다. 의과대학(醫科大學) 간호학과(看護學科)가 간호대학(看護大學)으로 승격(昇格)되었고 스포츠과학부(科學部)가 신설(新設)되었다. 의과대학(醫科大學) 의예과(醫豫科)와 치과대학(齒科大學) 치의예과(齒醫豫科)는 2006학년도(學年度)부터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과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으로 전환(轉換)되었다.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은 2017학년도(學年度)에 다시 의대(醫大)로 전환(轉換)하였고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은 존속(存續)하기로 했다.

2008년(年) 3월(月)에 전국(全國) 유일(唯一)의 한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이 개원(開院)하였다. [20] 국립(國立) 한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은 해방(解放) 후(後) 지금(只今)까지의 한의학계(韓醫學界) 숙원사업(宿願事業)이었다. 노무현 정부(政府)가 2006년(年) 의대(醫大)가 있는 전국(全國) 국립대(國立大)를 상대(相對)로 공모(共謀)하였고 그해 11월(月) 부산대가 선정(選定)되었다. [21] [22]

2009년(年) 3월(月)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이 개원(開院)하였다. 입학정원(入學定員)은 120명(名)이다. 이에 앞서 정부(政府)는 2008년(年) 8월(月) 29일(日) 전국(全國) 25개(個) 대학(大學)에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설치(設置)를 최종(最終) 인가(認可)했다. [23] 관광(觀光)컨벤션학부(學部)가 설립(設立)되었다.

2009년(年) 양산(量産)캠퍼스가 개교(開校)했다. 부산(釜山)캠퍼스의 한의학전문대학원(韓醫學專門大學院)과 아미캠퍼스의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 간호대학(看護大學)이 양산(量産)캠퍼스로 이전(移轉)하였다. [24]

2010년(年) 10월(月)에 상과대학(商科大學)을 경영대학(經營大學)과 경제통상대학(經濟通商大學)으로 분리(分離)하고 경제통상대학원(經濟通商大學院)이 설립(設立)됐다. 독립(獨立) 학부(學部)였던 관광(觀光)컨벤션학부(學部)가 경제통상대학(經濟通商大學)으로 흡수(吸收)되었다. [25]

2011년(年) 8월(月) 11일(日) 부산대와 부경대(釜慶大)가 협약식(協約式)을 갖고 대학(大學) 통합(統合)을 비롯한 상생(相生) 발전(發展)을 골자(骨子)로 한 '공동발전(共同發展) 선언문(宣言文)'을 채택(採擇)했다. [26]

2014년(年) 5월(月) 기술창업대학원(技術創業大學院)이 문(門)을 열었다. 10월(月) '인문관(人文館)'과 '무지개문(무지개門) 및 옛 수위실(守衛室)'이(李) 등록문화재(登錄文化財) 제(第)641호(號)로 등록(登錄)됐다. [27]

2015년(年) 8월(月) 17일(日) 고현철 국어국문학과(國語國文學科) 교수(敎授)가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 폐지(廢止) 반대(反對) 등(等) 민주주의(民主主義) 실현(實現)을 요구(要求)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8] 고현철 교수(敎授) 투신(投身) 여파(餘波)로 부산대는 총장(總長) 간선제(間選制) 추진(推進) 방침(方針)을 철회(撤回)했다. [29] 부산대 대학본부(大學本部)와 교수회(敎授會)가 '총장(總長) 임용후보자(任用候補者) 직선제(直選制) 선출(選出)'을 위한 세부(細部) 절차(節次)와 학칙(學則) 개정(改正) 방안(方案)에 합의(合意)했다. 고현철 교수(敎授)의 투신(投信)으로 부산대는 총장직선제(總長直選制)를 끝까지 지킨 유일(唯一)한 국립대(國立大)가 됐다. [주(週) 12]

2017년(年) 1월(月) 정부(政府)의 노벨과학상(科學賞) 프로젝트인 기초과학연구원(基礎科學硏究院)(IBS) 연구단(硏究團) 중(中) 하나인 기후물리연구단(氣候物理硏究段)을 유치(誘致)했다. 전국(全國) 국립대(國立大) 중(中) 첫 선정(選定)이며 세계적(世界的) 석학(碩學) 액슬 티머맨이 단장(團長)으로 선임(選任)됐다.

2018년(年) 2월(月) 로스쿨 도입(導入)에 따라 법대(法大)가 폐지(廢止)됐다. 9월(月) 금융대학원(金融大學院)이 개원(開園)했다. 파생금융(派生金融)을 다루며 입학정원(入學定員) 25명(名)이다.

2020년(年) 3월(月) 정보의생명공학대학(情報醫生命工學大學)이 신설(新設)됐다. [30]

3월(月) 사범대학(師範大學) 부설(附設) 예술(藝術) 중(中).고등(高等) 특수학교(特殊學校) 설립(設立)이 확정(確定)됐다. [주(週) 13] [31] [32]


4월(月) 블록체인 융합보안대학원(融合保安大學院)을 유치(誘致)해 2021년(年)부터 운영(運營)된다. [33] [34]

2021년(年) 4월(月) 19일(日) 부산교대와 통합추진(統合推進) 양해각서(諒解覺書)(MOU)를 체결(締結)했다. [주(週) 14] [35] [36] [37]

10월(月) 6일(日) 환태평양(環太平洋) 대학(大學) 협회(協會) 에 정회원교(正會員校)로 가입(加入)했다. [38]

2022년(年) 2월(月) 14일(日) 동남권(東南圈) 창업중심대학(創業中心大學)에 선정(選定)됐다. [39]

7월(月) 21일(日) ‘부처(部處) 협업형(協業型) 인재양성사업(人材養成事業)’에 5개(個) 사업(事業)이 선정(選定)됐다. [주(週) 15] [40] [41]

10월(月) '부산지역(釜山地域) 거점대학(據點大學) 수의과대학(獸醫科大學) 설립요청서(設立要請書)’를 교육부(敎育部)에 제출(提出)했다. [주(週) 16] [42] [43]

2023년(年) 3월(月) 생활환경대학(生活環境大學) → 생활과학대학(生活科學大學)으로 개편(改編), 스포츠과학부(科學部) → 생활과학대학(生活科學大學) 스포츠과학과로(科學過勞) 소속(所屬) 변경(變更)

5월(月) 권역별(圈域別) 반도체공동연구소(半導體共同硏究所) 구축사업(構築事業)에 선정(選定)됐다. [44]

6월(月) 반도체중심대학(半導體中心大學)에 선정(選定)됐다(차량반도체(파워반도체). [45] 조기취업형(早期就業型) 계약학과(契約學科) 선도대학(先導大學) 육성사업(育成事業)에도 선정(選定)됐다. [46]

11월(月) 글로컬대학(大學)에 선정(選定)되었다. 이에 따라 부산대와 부산교대는 교육부(敎育部)에 통합계획서(統合計劃書)를 제출(提出)하기 위(爲)한 준비(準備)에 들어갔다. [47] [48] [주(週) 17]

2024년(年) 3월(月)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신설(新設) 4월(月) 23일(日) 부산대와 부산교대 양(兩) 대학(大學) 총장(總長)이 대학(大學) 통합(統合) 합의서(合意書)에 서명(署名)했다. ‘통합(統合) 부산대(釜山大)’는 오는 2027년(年) 3월(月) 출범(出帆)한다. [49]

총장(總長)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 총장(總長)은 교무(校務)를 통할(統轄)하고 소속(所屬) 교직원(敎職員)을 감독(監督)하며, 학생(學生)을 지도(指導)하고 학교(學校)를 대표(代表)한다. 2024년(年) 5월(月) 17일(日) 최재원(崔再源) 총장(總長)이 임기(任期)를 시작(始作)했다.

부산대는 전국(全國) 국립대(國立大) 유일(唯一)하게 직선제(直選制)로 총장(總長)을 선출(選出)하고 있다. 14대(代) 장혁표 총장(總長) 이후(以後) 현재(現在) 21대(代) 차정인 총장(總長)까지 직선제(直選制)로 선출(選出)됐다.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 압박(壓迫)으로 간선제(間選制) 전환(轉換)을 두고 갈등(葛藤)이 빚어지는 와중(渦中)에 2015년(年) 8월(月) 고현철 교수(敎授)가 직선제(直選制) 사수(死守)를 외치며 투신(投信)했다. 이후(以後) 2015년(年) 11월(月) 치러진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 선거(選擧) 선거인단(選擧人團)은 전체(全體) 정규직(正規職) 교수(敎授) 1185명(名)(87.4%), 직원(職員) 대표(代表) 130명(名)(9.6%), 조교(助敎) 대표(代表) 22명(名)(1.6%), 학생(學生) 대표(代表) 18명(名)(1.3%) 총(總) 1355명(名)으로 구성(構成)됐다.

득표수(得票數)를 명기(明記)해 최다득표자(最多得票者) 2명(名)을 부산대(釜山大) 본부(本部)가 교육부(敎育部)에 총장임용후보자(總長任用候補者)를 추천(推薦)하며 교육부장관(敎育部長官)의 제청(提請)으로 대통령(大統領)이 임용(任用)한다. 임기(任期)는 4년(年)이다. 총장(總長)은 공무원(公務員)으로서 임명(任命)이 국무회의(國務會議) 심의사항(審議事項)이며 장관(長官)에 준(準)하는 대우(待遇)를 받는다. 부산지역(釜山地域) 의전서열(儀典序列) 1위(位)다. 차관급(次官級)인 부산광역시장(釜山廣域市長), 부산시교육감(釜山市敎育監)보다 의전서열(儀典序列)이 높다.

초대(招待) 윤인구 총장(總長)은 1947년(年) 7월(月) 베커 총장(總長) 사임(辭任) 후(後) 종합대학(綜合大學)이 와해(瓦解)되자 부산대학장(釜山大學腸) 서리(署理)를 지냈고 이후(以後) 학장(學長), 총장(總長)까지 총(總) 14년(年)을 학교(學校)의 대표자(代表者)로 재임(在任)했다. 문홍주, 신기석 총장(總長)이 총장(總長)을 2회(回) 했다. 직선제(直選制) 총장(總長) 중(中) 연임(連任)은 김인세 총장(總長)이 유일(唯一)하다.

대수(臺數) 이름 임기(任期)
초대(招待) 윤인구 (尹仁駒) 53.11.26 ∼ 60.05.10
총장서리(總長署理) 김상태 (金尙泰) 62.02.12 ∼ 62.03.12
제(第)2대(代) 문홍주 (文鴻柱) 60.12.29 ∼ 62.02.09
직무대리(職務代理) 정일천 (鄭壹千) 62.02.12 ∼ 62.03.12
제(第)3대(代) 김순식 (金洵植) 62.03.13 ∼ 63.03.18
제(第)4대(代) 신기석 (申基碩) 63.03.27 ∼ 67.12.31
제(第)5대(代) 고광만 (高光萬) 68.01.01 ∼ 69.03.19
제(第)6대(代) 신기석 (申基碩) 69.04.01 ~ 73.02.14
직무대리(職務代理) 허종현 (許宗炫) 73.02.15 ~ 73.04.06
제(第)7대(代) 민병구 (閔丙久) 73.04.07 ~ 73.05.02
제(第)8대(代) 윤천주 (尹天柱) 73.05.10 ~ 75.05.26
제(第)9대(代) 허종현 (許宗炫) 75.06.17 ~ 79.06.16
제(第)10대(代) 박기채 (朴基采) 79.06.17 ~ 80.06.27
제(第)11대(代) 문홍주 (文鴻柱) 80.06.30 ~ 83.08.31
제(第)12대(代) 최재훈 (崔載勳) 83.09.01 ~ 87.08.31
제(第)13대(代) 서주실 (徐柱實) 87.09.01 ~ 91.08.31
제(第)14대(代) 장혁표 (張赫杓) 91.09.01 ~ 95.08.31
제(第)15대(代) 윤수인 (尹洙仁) 95.09.01 ~ 99.08.31
제(第)16대(代) 박재윤 (朴在潤) 99.09.01 ~ 03.08.31
제(第)17대(代) 김인세 (金仁世) 03.09.01 ~ 07.08.31
제(第)18대(代) 김인세 (金仁世) 07.09.01 ~ 11.08.31
직무대행(職務代行) 김덕줄 (金德茁) 11.09.01 ~ 12.01.05
제(第)19대(代) 김기섭 (金琪燮) 12.01.06 ~ 15.09.09
직무대리(職務代理) 안홍배 (安洪培) 15.09.10 ~ 16.05.11
제(第)20대(代) 전호환 (全虎煥) 16.05.12 ~ 20.05.11
제(第)21대(代) 차정인 (車正仁) 20.05.12 ~ 24.05.11
제(第)22대(代) 최재원(崔再源) (崔在元) 24.05.17 ~ 현재(現在)

교육(敎育) [ 편집(編輯) ]

교육(敎育) 이념(理念)과 비전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의 교육(敎育) 이념(理念)은 진리(眞理)·자유(自由)·봉사(奉仕)이다. 더 나아가 진리(眞理)·자유(自由)·봉사(奉仕)의 교육이념(敎育理念)과 대한민국(大韓民國) 교육(敎育)의 근본(根本) 이념(理念)에 입각(立脚)해 학술이론(學術理論)과 응용방법(應用方法)을 가르치고 연구(硏究)하며, 유능(有能)한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는 것에 교육(敎育) 목적(目的)을 두고 있다. 특히(特히) "한국(韓國)을 대표(代表)하는 세계(世界) 속의 명문대학(名門大學)"이라는 비전 하(下)에 국내(國內) 상위(上位) 5개(個) 대학(大學) 진입(進入)과 5개(個) 이상(以上)의 학문(學問) 분야(分野)에서 세계(世界) 100위권(位圈)에 진입(進入)하는 것을 대학(大學)의 발전목표(發展目標)로 삼고 있다.

한편(한便), 2012년(年) 5월(月) 10일(日) 개교(個校) 66돌 기념식(記念式)과 함께 진행(進行)된 "부산대(釜山大) 비전 2030" 선포식(宣布式)에서 올해부터 2030년(年)까지 세계(世界) 100대(代) 명문대학(名門大學)에 진입(進入)하는 목표(目標) 달성(達成)을 위한 3단계(段階) 계획(計劃)을 발표(發表)했다. [50]

교육(敎育) 제도(制度) [ 편집(編輯) ]

정규(正規) 학사(學士) 과정(過程)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의 정규(正規) 학사(學士) 과정(過程)은 부산대학교 학칙(學則) 제(第)62조(條)와 부산대학교 교육과정(敎育課程) 편성(編成) 및 운영규정(運營規定)에 의(依)하여 편성(編成)된다. 그 구성(構成)은 교양교육과정(敎養敎育課程), 전공교육과정(專攻敎育課程), 일반선택교육과정(一般選擇敎育課程)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우선(于先) 교양교육과정(敎養敎育課程)의 과목(科目)들은 반드시 이수(履修)하여야 하는 교양필수과목(敎養必修科目), 학생(學生)이 수강(受講)을 선택(選擇)할 수 있는 교양선택과목(敎養選擇科目)으로 구성(構成)된다. 교양(敎養) 필수(必修) 과정(過程)은 6학점(學點)을 반드시 이수(履修)하여야 하나, 공학교육인증(工學敎育認證)과 관련(關聯)된 학과(學科)는 '공학작문(工學作文) 및 발표(發表)' 과목(科目)을 필수과목(必須科目)으로 하고, '창의적사고(創意的事故)와 글쓰기', '열린생각과 말하기' 과목(科目)은 이수(履修)하지 않는다. 한편(한便), 교양선택과정(敎養選擇過程)은 다시 핵심교양과목(核心敎養科目)과 일반교양과목(一般敎養科目)으로 나뉜다. 핵심교양과목(核心敎養科目)은 6개(個)의 영역(領域)으로 분류(分類)되며 재학생(在學生)은 6개(個)의 영역(領域) 중(中) 5개(個)의 영역(領域)에서 각각(各各) 1개(個) 이상(以上)의 과목(科目)을 수강(受講)하여야 한다. 이와 별도(別途)로 핵심교양과목(核心敎養科目)은 반드시 1과목(科目), 3학점(學點) 이상(以上)을 이수(履修)해야 한다. [51]

전공교육과정(專攻敎育課程)에 포함(包含)된 전공과목(專攻科目)은 크게 최소전공(最少專攻)과 심화전공(深化專攻)으로 구분(區分)하고, 최소전공(最小專攻)은 다시 전공기초(專攻基礎)와 전공일반(專攻一般)으로 구분(區分)하며, 전공일반(專攻一般)은 전공필수(專攻必須)와 전공선택(專攻選擇)으로 구분(區分)한다. 전공교육과정(專攻敎育過程)은 각(各) 과목(科目)의 개설시기(開設時期)에 따라 이수(履修)한다. 참고(參考)로 복수전공(複數專攻), 부전공(副專攻), 연합전공(聯合專攻), 교직(敎職) 중(中)에서 하나를 이수(履修)하지 않는 학생(學生)은 반드시 심화전공(深化專攻)을 이수(履修)해야 한다. [52] 한편(한便), 2001학년도(學年度) 신입생(新入生)부터 최소전공인정학점제(最少專攻人定學點制)를 시행(施行)되면서, 이 제도(制度)가 시행(施行)되는 단과대학(單科大學)의 최소전공인정학점(最小專攻認定學點)은 36학점(學點), 사범대학(師範大學)은 42학점(學點)으로 통일(統一)되었다. 그러나 최소전공인정학점제(最少專攻人定學點制)를 시행(施行)하지 않는 단과대학도(單科大學度) 있으며, 이들 단과대학(單科大學)의 경우(境遇) 이수(履修)해야 하는 전공과정(專攻課程) 학점(學點)이 다르다. [52]

공학교육인증제(工學敎育認證制)도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는 2003년(年) 공과대학(工科大學) 8개(個) 학과(學科)를 대상(對象)으로 한국공학교육인증원(韓國工學敎育認證院)(ABEEK)의 공학교육인증(工學敎育認證)을 신청(申請)하여 2005년(年) 1월(月) 에 새로 7개(個)의 공학인증(工學引證)프로그램을 인증(引證)받았다. 2011년(年) 기준(基準)으로, 공과대학(工科大學) 내(內)의 4학부(學部), 1전(全)공, 4학과(學科)에서 공학교육인증제도(工學敎育認證制度)에 의(依)한 인증(認證)프로그램이 실시(實施)되고 있다.

공학교육인증제도(工學敎育認證制度)로 인증(認證)받은 학부(學部)와 학과(學科) 또는 전공(專攻)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韓國工學敎育人增員)의 인증(引證) 기준(基準)에 맞춰 교육(敎育) 프로그램을 구성(構成)한다. 공학교육인증제도(工學敎育認證制度)를 시행(施行)하는 곳의 학생(學生)은 먼저 인증(引證)프로그램에 따라 전공(專攻)을 이수(履修)하는 전문과정(專門課程)과 인증(引證)프로그램을 포기(抛棄)하는 일반과정(一般過程)을 두고 선택(選擇)할 수 있다. 전문과정(專門課程)을 이수(履修)하는 학생(學生)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韓國工學敎育人增員)과 해당(該當) 인증(引證)프로그램에서 제시(提示)하는 인증기준(認證基準)을 동시(同時)에 충족(充足)하여야 하며, 정(定)해진 인증(引證)프로그램의 교과목(敎科目) 커리큘럼에 따라 과목(科目)을 이수(履修)해야 공학인증(工學認證)을 받을 수 있다. [53] 전문과정(專門課程)을 이수(履修)한 졸업생(卒業生)은 학적부(學籍簿)와 각종(各種) 증명서(證明書) 등(等)에 인증(引證) 사실(事實)이 기재(記載)되며, 증명서(證明書)에서 전공(專攻)을 표기(表記)할 때, 인증(引證)프로그램 이수자(履修者)는 전공(專攻) 명칭(名稱)에 ‘전문(全文)’을 추가(追加)하여 표기(表記)한다. 그러나 일반과정(一般過程)을 이수(履修)한 졸업생(卒業生)은 전공(專攻) 명칭(名稱)에 ‘일반(一般)’을 추가(追加) 기재(記載)해 전문과정(專門課程) 이수자와 차이(差異)를 두게 된다.

공학교육인증제도(工學敎育認證制度)는 인증(引證)프로그램을 이수(履修)하는 학생(學生)이 엔지니어로 일하는 현장(現場)에서 필요(必要)한 능력(能力)과 자질(資質)을 배우고, 기업(企業)에 따라 취업(就業) 자격(資格) 시험(試驗)에서 면제(免除)를 받을 수 있는 등(等) 취업경쟁력(就業競爭力)을 확보(確保)할 목적(目的)으로 시행(施行)되고 있다. [54] 그러나 전자전기공학부(電子前期工學部)가 제도(制度) 운영(運營)의 현실적(現實的)인 어려움과, 공학인증(工學引證) 자체(自體)의 실질적(實質的)인 혜택(惠澤)이 미비(未備)한 점(點)을 들어, 2012학년도(學年度) 8월(月) 졸업생(卒業生)을 끝으로 공학인증(工學引證)프로그램 운영(運營)을 중단(中斷)하기로 하였고, [55] 건축공학과도(建築工學科度) 비슷한 이유(理由)를 들어 공학인증제(工學認證制) 폐지(廢止)를 추진(推進)하고 있다. [56]

장학(奬學) 제도(制度) [ 편집(編輯) ]

부산대 재학생(在學生) 1인당(人當) 장학금(奬學金)은 1년(年)에 300만(萬) 원으로,가장 많은 학생(學生)들이 받고 있는 장학금(奬學金)으로는 소득수준(所得水準)과 연계(連繫)해 받는 국가(國家) 장학금(奬學金), 학과(學科) 내 성적(成跡) 상위(上位) 20%에게 주어지는 성적(成績) 우수(優秀) 장학금(奬學金), 행정기관(行政機關)에서 근무(勤務) 후(後) 주어지는 근로(勤勞) 봉사(奉仕) 장학금(奬學金), 그리고 경제적(經濟的)으로 어려운 학생(學生)에게 주어지는 학업지원(學業支援) 장학금(奬學金)이 있다.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만의 독특(獨特)한 장학금(奬學金)으로 입학(入學) 성적(成績) 우수(優秀) 장학금(奬學金)인 PREMIER(프리미어) 장학금(奬學金), 아동복지시설(兒童福祉施設) 학생(學生)이 입학(入學)했을 때 (학비(學費)가 아닌) ‘생활비(生活費)’를 지원(支援)하는 유니웰 장학금(奬學金), 형제(兄弟), 자매(姊妹)가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에 다니고 있다는 이유(理由)만으로 주어지는 형제자매(兄弟姊妹) 장학금(奬學金)이 있다.

교류제도(交流制度) [ 편집(編輯) ]

국내교류(國內交流) [ 편집(編輯) ]

국제교류(國際交流)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는 세계(世界) 61개(個) 국가(國家)·지역(地域), 612개(個) 대학(大學)·기관(機關)과 교류(交流)하고 있으며, 매년(每年) 많은 학생(學生)들을 해외(海外)로 배출(輩出)하고 있다. 2021년(年)에 우리 대학(大學)은 국내(國內) 대학(大學) 중(中) 6번째(番째)로 환태평양(環太平洋) 대학협회(大學協會) 아프루(APRU)에 가입(加入)해 회원(會員) 대학(大學) 간(間) 국제(國際) 공동연구(共同硏究)와 학생(學生) 교환(交換) 등(等) 다양(多樣)한 분야(分野)에서 협력(協力)하고 있다.

대학(大學)/대학원(大學院) [ 편집(編輯) ]

대학(大學)·학부(學部) [ 편집(編輯) ]

  • 인문대학(人文大學)
  • 사회과학대학(社會科學大學)
  • 자연과학대학(自然科學大學)
  • 공과대학(工科大學)
  • 사범대학(師範大學)
  • 경제통상대학(經濟通商大學)
  • 경영대학(經營大學)
  • 약학대학(藥學大學)
  • 생활과학대학(生活科學大學)
  • 예술대학(藝術大學)
  • 나노과학기술대학(科學技術大學)
  • 생명자원과학대학(生命資源科學大學)
  • 정보(情報)의생명공학대학
  • 간호대학(看護大學)
  • 의과대학(醫科大學)
  • 정보(情報)의생명공학대학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 [ 편집(編輯) ]

  • 인문사회계열(人文社會系列)
  • 자연과학계열(自然科學系列)
  • 공학계열(工學系列)
  • 의학계열(醫學系列)
  • 예·체능계열
  • 학과(學科) 간(間) 협동과정(協同過程)
  • 학(學)·산(算) 협동과정(協同過程)
  • 학(學)·연(燕) 협동과정(協同過程)
  • 계약학과(契約學科)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 편집(編輯) ]

  • 국제전문대학원(國際專門大學院)
  •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
  • 한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 [ 편집(編輯) ]

  • 경영대학원(經營大學院)
  • 경제통상대학원(經濟通商大學院)
  • 행정대학원(行政大學院)
  •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
  • 산업대학원(産業大學院)
  • 환경대학원(環境大學院)
  • 기술창업대학원(技術創業大學院)
  • 금융대학원(金融大學院)
  • 융합의생명과학대학원(融合醫生命科學大學院)







캠퍼스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가 관리(管理)하는 여러 캠퍼스의 위치(位置)

부산대학교는 1946년(年) 설립(設立) 당시(當時) 부산(釜山)에 소재(所在)한 경남(慶南)의 국립대(國立大)였다. 부산(釜山)은 당시(當時) 경남(慶南)의 도청(道廳) 소재지(所在地)로서 경남(慶南)에 소속(所屬)된 시(時)였으나 1963년(年) 정부직할시(政府直轄市)로 승격(昇格)됨으로써 경상남도(慶尙南道) 에서 분리(分離)됐다. 이에 따라 부산대도(釜山大度) 경남(慶南)의 국립대(國立大)가 아니라 부산(釜山)의 국립대(國立大)가 돼 부산(釜山)의 15배(倍)에 달(達)하는, 울산(蔚山)을 포함(包含)한 경남(慶南)을 포기(抛棄)해야 했다. 그러나 양산(量産)캠퍼스와 밀양(密陽)캠퍼스의 확보(確保)로 다시 경남(慶南)에 진출(進出)할 수 있었다. [주(週) 18]

개교(個校) 장소(場所)는 처음에 서구(西區) 대신동의 임시(臨時) 교정(矯正)이었으나 윤인구 초대총장(總長) 때인 1954년(年) 장전동 이전(移轉)이 결정(決定)되었고 1955년(年) 지금(只今)의 부산(釜山)캠퍼스로 이전(移轉)했다.

양산(量産)캠퍼스는 2002년(年) 1월(月) , 박재윤 총장(總長)의 재임(在任) 기간(期間) 중(中)에 조성(造成)이 확정(確定)되었다. 2003년(年) 7월(月) 착공(着工)에 들어갔고 2009년(年) 3월(月) 양산(量産)캠퍼스를 개교(開校)했다.

또 2005년(年) 4월(月) 밀양대와의 통합(統合) 합의(合意)에 따라 2006년(年) 3월(月) 밀양(密陽)캠퍼스가 문(門)을 열었다. 이로써 부산대는 경남(慶南)-부산(釜山) 분리(分離) 후(後) 40여(餘) 년(年) 만에 경남지역(慶南地域)에 재진출(進出)하게 되었다.

2019년(年) 기준(基準)으로 부산대학교는 부산(釜山)캠퍼스, 아미캠퍼스, 양산(量産)캠퍼스, 밀양(密陽)캠퍼스가 있으며, 이 중(中) 학부생(學部生)이 재학(在學) 중(中)인 곳은 부산(釜山)캠퍼스, 양산(量産)캠퍼스, 밀양(密陽)캠퍼스 3곳이다. 이 세 캠퍼스는 부산(釜山) - 양산(量産) - 밀양(密陽) 을 잇는 캠퍼스 벨트로 불리기도 한다. [57]

각(各) 캠퍼스는 분교(分校)의 개념(槪念)이 아닌 학문영역별(學問領域別) 특성화(特性化)를 꾀하고 있다. 부산(釜山)캠퍼스는 종합(綜合) 연구(硏究) 중심(中心) 대학(大學)으로, 양산(量産)캠퍼스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量産釜山大學校病院)과 연계(連繫)한 의·생명과학 특성화(特性化) 캠퍼스로, 밀양(密陽)캠퍼스는 나노와 바이오 분야(分野)가 특성화(特性化)된 캠퍼스로 재편(再編)되었다. [57]

부산(釜山)캠퍼스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전경(前景) 드론

부산(釜山)캠퍼스는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금정구(金井區) 장전동 일대(一帶)에 조성(造成)된 캠퍼스다. 장전(裝塡)캠퍼스라고 불리기도 하며, 2003년(年) 에는 대학공모(大學公募)를 통해 금정(金井)캠퍼스로 정(定)하기도 했다. 금정(金井)캠퍼스의 명칭(名稱)은 캠퍼스가 금정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했다. [58]

부산대(釜山大) 새벽별당(當)

부산(釜山)캠퍼스에는 캠퍼스 개교(個校) 초기(初期)에 건설(建設)된 고 김중업(金重業) 의 건축(建築) 작품(作品)이 다수(多數) 있는데, 특히(特히) 현재(現在) 인문관(人文館)으로 쓰이고 있는 구(舊) 본관(本館) 건물(建物)은 김중업(金重業)의 첫 작품(作品)으로 알려져 있다. [59]

부산(釜山)캠퍼스에는 대학본부(大學本部) 및 대부분(大部分)의 학부(學部), 대학원(大學院)이 설치(設置)되어 있으며, 부산(釜山)캠퍼스 앞에는 유동인구(流動人口)가 많은 상권(商圈)이 형성(形成)되어 있다. [60] [61]

부산(釜山)캠퍼스에서 600m 정도(程度) 떨어진 곳에는 부산(釜山) 도시철도(都市鐵道) 1호선(號線) 부산대역(釜山帶域) 이 있으며, 캠퍼스 외부(外部)에 양산(量産) , 김해시의 시내(市內)버스 를 포함(包含)한 많은 시내버스(市內버스) 노선(路線)이 운영(運營)되고 있다.

한편(한便), 부산(釜山) 금정구(金井區) 마을버스 7번(番) 노선(路線)은 부산(釜山)캠퍼스의 순환(循環)버스 역할(役割)을 하고 있으며, 도시철도역에서 다소(多少) 거리(距離)가 먼 캠퍼스 꼭대기까지 재학생(在學生)을 수송(輸送)해주는 중요(重要)한 수단(手段)이 되고 있다.

밀양(密陽)캠퍼스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밀양(密陽) 캠퍼스

밀양(密陽)캠퍼스는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密陽市) 삼랑진읍 청학리 일대(一帶)에 조성(造成)된 캠퍼스로, "밀양청학(密陽靑鶴)캠퍼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원래(元來) 내이동에 있던 밀양대가 2005년(年) 청학(靑鶴)캠퍼스로 이전(移轉)했다. [62]

밀양대가 통합(統合)된 이후(以後)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의 캠퍼스 특성화(特性化) 정책(政策)에 따라 나노과학기술대학(科學技術大學), 생명자원과학대학(生命資源科學大學)이 캠퍼스에 설치(設置)되었으며 [19] , 2009년(年) 에는 기숙사(寄宿舍) 청학관(靑鶴館) 공사(工事)를 시작(始作)해 2010년(年) 3월(月) 31일(日) 준공(竣工)했다.

특히(特히) 밀양(密陽)캠퍼스의 경우(境遇) 캠퍼스 크기에 맞지 않는 학생(學生) 수(數)와 교통편(交通便) 부족(不足)으로 인해, 대학촌(大學村)이 제대로 형성(形成)되지 않았고 나노과학기술대학(科學技術大學)이 2012년(年) 부터 대부분(大部分)의 수업(授業)을 장전(裝塡)캠퍼스에서 진행(進行)하게 되면서 공동화(空洞化)가 심화(深化)되었다. [63]

밀양대와의 통합(統合) 이후(以後) 관리권(管理權)이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로 넘어왔던 내이(內耳)캠퍼스 부지(敷地)는 산학협력(産學協力)과 국제화(國際化) 기능(機能)이 특화(特化)되도록 리모델링할 예정(豫定)이었으나 2011년(年) 12월(月) 22일(日) 용도(用途)가 폐지(廢止)되고 관리권(管理權)이 국가(國家)로 넘어갔다. [64]

양산(量産)캠퍼스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양산(量産) 캠퍼스

양산(量産)캠퍼스는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시(梁山市) 물금읍 일대(一帶)에 조성(造成)된 캠퍼스이다. 부산대(釜山大) 캠퍼스 이전(以前)은 25년(年)의 숙원사업(宿願事業)으로서 2002년(年) 1월(月) 박재윤 당시(當時) 총장(總長) 때 양산(量産)캠퍼스 조성(造成)이 확정(確定)되었다. 양산(量産)캠퍼스는 부산대학교 제(第)2캠퍼스라고도 불리며, 2003년(年) 에 명칭(名稱) 공모(公募)를 통해 정(定)해진 명칭(名稱)은 부산대학교 열림캠퍼스이다. [58]

2003년(年) 부터 양산신도시(量産新都市) 부지(敷地)에 공사(工事)를 시작(始作)해 [18] 2009년(年) 3월(月) 캠퍼스를 개교(開校)했다. 2009년(年) 6월(月) 에는 국토해양부(國土海洋部) , 건설교통기술평가원(建設交通技術評價院)의 지원(支援)을 받아 분산공유형(分散共有型) 지진실험(地震實驗)센터를 완공(完工)하였다. 이 실험(實驗)센터는 세계(世界) 최고수준(最高水準)의 다지점(店) 진동대 실험시설(實驗施設)로 세계(世界)에서 가장 긴 지점(支店)의 지진실험(地震實驗)이 가능(可能)하다. [65]

현재(現在) 대학단지(大學團地) 내(內)에는 한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 간호대학(看護大學), 정보의생명공학대학(情報醫生命工學大學)이 설치(設置)돼 있다.

단지(團地) 옆에 있는 병원단지(病院團地)에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量産釜山大學校病院)과 어린이병원(病院), 치과병원(齒科病院), 한방병원(韓方病院), 영남권역재활병원(嶺南圈域再活病院) 등(等)이 건립(建立)되어 있다. 양산부산대병원(量産釜山大病院)은 2015년(年) 상급종합병원(上級綜合病院) 및 부산경남권역(釜山慶南圈驛) 응급의료(應急醫療)센터에 선정(選定)되었다.

경남권(慶南圈) 감염병전문병원(專門病院)도 2020년(年) 6월(月)에 유치(留置)돼 2024년(年)에 개원(開院)할 예정(豫定)이다. 경남권(慶南圈) 감영병전문병원(專門病院)은 원래(元來) 영남권(嶺南圈) 감염병원(感染病原)으로 공모(公募)돼 선정(選定)되었으나 대구지역(大邱地域)의 유치(誘致) 여론(輿論)에 밀린 정부(政府)가 원칙(原則)을 뒤엎고 2021년(年) 6월(月) 23일(日) 칠곡경북대병원(漆谷慶北大病院)을 경북권(慶北權) 감염병원(感染病原)으로 선정(選定)하면서 양산부산대병원(量産釜山大病院)은 경남권(慶南圈) 감염병원(感染病原)으로 명칭(名稱)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관할구역도(管轄區域度) 대구(大邱), 경북(慶北), 부산(釜山), 울산(蔚山), 경남(慶南) 5개(個) 시(市)·도(道)에서 부울경(釜蔚慶) 3개(個) 시도(試圖)로 바뀌었다. [66]

경남권(慶南圈) 감염병원(感染病原)은 국비(國費) 407억(億) 원외(院外) 병원(病院) 자부담(自負擔) 360억(億) 원을 추가(追加)로 투입(投入)해 건축(建築) 연면적(延面積) 2만(萬) 3200m 2 에 지하(地下) 3층(層), 지상(地上) 8층(層)의 규모(規模)로 건설(建設)된다. 질병관리본부(疾病管理本部)가 요구(要求)하는 음압병실(陰壓病室) 36개(個), 일반병상(一般病床) 41실(室) 113병상(病床)이 추가(追加) 설치(設置)된다. 감염병전문병원(專門病院)은 해당(該當) 권역(圈域) 감염병(感染病) 환자(患者) 진단(診斷)·치료(治療)·검사(檢事)와 공공(公共)·민간(民間) 의료기관(醫療機關) 감염병(感染病) 대응(對應) 전문인력(專門人力) 교육(敎育)·훈련(訓鍊)을 맡는다.

현재(現在) 양산(量産)캠퍼스 단지(團地) 주변(周邊)에는 수많은 아파트가 들어서 있으며 부산(釜山) 도시철도(都市鐵道) 2호선(號線) 부산대양산(釜山大量産)캠퍼스역(驛) 이 조성(造成)되어 있고, 이 역(驛)과 캠퍼스 사이를 오가는 셔틀버스가 운영(運營)되고 있다.

아미캠퍼스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병원(釜山大學校病院) (본원(本院))에는 대학병원(大學病院), 부산권역응급의료(釜山圈域應急醫療)센터, 임상시험(臨床試驗)센터, 부산지역암(釜山地域癌)센터, 국가지정(國家指定) 외상(外傷)센터, 국가지정(國家指定) 호흡기질환(呼吸器疾患)센터, 융합의학연구동(融合醫學硏究棟)을 보유(保有)한 도심형(都心型) 메디컬센터이이다.

아미캠퍼스는 2017년(年) 까지 총사업비(總事業費) 2,180억(億)원을 들여 외상전문(外相專門)센터, 호흡기전문질환(呼吸器專門疾患)센터, 보건의료연구(保健醫療硏究)센터, 지원시설동(支援施設桐) 등(等)을 단계적(段階的)으로 신축(新築), 리모델링하고 병동(病棟)을 대폭(大幅) 확충(擴充)할 예정(豫定)이다. [67]

대학(大學) 시설(施設) [ 편집(編輯) ]

도서관(圖書館)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새벽벌도서관(圖書館)

새벽벌 도서관(圖書館)을 포함(包含)해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에는 총(總) 6개(個)의 도서관(圖書館)이 있다. 총(總) 265만(萬) 여(餘) 권(卷)의 장서(藏書)를 보유(保有)하고 있고, 4600명(名)의 학생(學生)이 동시(同時)에 이용(利用)할 수 있는 열람실(閱覽室)을 갖추고 있다. 특히(特히) #자유(自由)롭게 책(冊)을 읽을 수 있는 북(北) 카페, #강연회(講演會)와 영화(映畫) 관람(觀覽)을 할 수 있는 오디토리움, 그리고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을 사용(使用)할 수 있는 문창(文創)누리, #건설관(建設館) 3층(層)에 위치(位置)해 있어 건설관(建設館) 도서관(圖書館)이라 불리는 미리내라운지도 갖추고 있다.

-틈새학습공간(學習空間)

부산대 경제통상관(經濟通商館) 틈새학습공간(學習空間)

도서관(圖書館) 뿐만 아니라 학생(學生)들이 캠퍼스 건물(建物) 곳곳에서 공부(工夫)할 수 있도록 ‘틈새학습공간(學習空間)’을 마련해두었다. 부산(釜山), 양산(量産), 밀양(密陽)캠퍼스 총(總) 26개(個) 건물(建物)의 틈새 공간(空間)을 리모델링하여, 100억(億) 원대(臺)의 건물(建物)을 지은 효과(效果)를 냈다. 학생(學生)들은 공강 같은 자투리 시간(時間)에 여기서 학습(學習)을 하며 캠퍼스 라이프를 알차게 보내고 있다.

대학생활(大學生活)원(구(舊) 기숙사(寄宿舍))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기숙사(寄宿舍)는 ‘대학생활(大學生活)원’이라 불리며, 전체(全體) 재학생(在學生)의 14%인 3,852명(名)을 수용(受容)할 수 있다.

대학생활(大學生活)원의 기본(基本) 구조(構造)는 2인(人) 1실(室)로 공동(共同) 샤워실(샤워室)과 화장실(化粧室), 체력단련실(體力鍛鍊室) 등(等)을 부대시설(附帶施設)로 갖추고 있으며, 2009년(年)에 건립(建立)된 BTL 기숙사(寄宿舍)인 웅비관(雄飛館)(부산(釜山))과 행림관(杏林館)(양산(梁山))은 실마다 개별난방(個別暖房)시스템, 에어컨, 화장실(化粧室), 샤워실(샤워室)이 마련되어 있어 공동생활(共同生活)에 따른 불편(不便)을 최소화(最少化)하고 있다.

각(各) 대학생활원(大學生活院)에는 원생(院生)들의 보안(保安)과 안전(安全)을 위하여 입구(入口)에서부터 출입(出入) 관리(管理)시스템을 적용(適用)하고 있으며, 다기능(多技能) 학생증(學生證)카드를 사용(使用)하여 원생(院生) 확인(確認)의 정확성(正確性)과 원생(院生) 출입(出入)의 편리성(便利性)을 강화(强化)하였다. 또한 원생(院生)들의 생활(生活) 편의(便宜)와 학습(學習) 증진(增進)을 위하여 식당(食堂), 휴게실(休憩室), 컴퓨터실(室), 독서실(讀書室), 세탁실(洗濯室) 등(等)의 부대시설(附帶施設)을 갖추고 있다.

부산(釜山)캠퍼스 [ 편집(編輯) ]
  • 진리관(眞理觀) 924명(名) (남)
  • 자유관(自由觀) 584명(名) (여(女))
  • 효원재(再) 304명(名) (남·여(女) 고시준비생(考試準備生))
  • 웅비관(雄飛館) 1,012명(名) (BTL 기숙사(寄宿舍) 남(南)·여(女))
양산(量産)캠퍼스 [ 편집(編輯) ]
  • 행림관(杏林館) 826명(名) (BTL 기숙사(寄宿舍) 남(南)ㆍ여(女))
밀양(密陽)캠퍼스 [ 편집(編輯) ]
  • 비마관(非馬官) 300명(名) (남)
  • 매화관(梅花館) 126명(名) (여(女))
  • 청학관(靑鶴館) 314명(名) (남·여(女))

박물관(博物館) [ 편집(編輯) ]

부산대(釜山大) 박물관(博物館)앞 새벽뜰

부산대학교 캠퍼스(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금정구 장전동) 내(內)에 위치(位置)한 국립부산대학교(國立釜山大學校) 부속(附屬) 박물관(博物館). 1956년(年) 3월(月) 건물(建物)(현(現).별관(別館))이 준공(竣工)되고 64년(年) 5월(月)에 개관(開館)하였다.

피난(避難) 국보문화재(國寶文化財)('56.9~'62.3)를 보관(保管)하였고, 부산시(釜山市) 압수문화재(押收文化財) 보관기관(保管機關)으로 선정(選定)('71.12)되었다.

대학(大學) 설립(設立) 초창기(草創期) 오래된 상징적(象徵的) 건물(建物)인 교내(校內) 박물관(博物館) 앞 자연과학관(自然科學館)을 허물고 그 자리에 훤히 뚫린 푸른 잔디광장(廣場)을 만들고 인근(隣近) 장승터에 이르기까지 화단(花壇)을 조성(造成)해 이 일대(一帶)를 ' 새벽뜰' 로 명명했다. [68]

학생(學生) 활동(活動)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 총학생회(總學生會) [ 편집(編輯) ]

2007년(年) 총학생회(總學生會)에서 내건 현수막(懸垂幕)

부산대학교 총학생회(總學生會)는 학교(學校) 축제(祝祭) 및 각종(各種) 학교(學校) 문제(問題)에 대(對)한 대학(大學) 본부(本部)와의 협의(協議)를 주관(主管)한다. 부마항쟁(抗爭)과 6월항쟁(月抗爭)의 자랑스러운 전통(傳統)을 지닌 부산대 총학생회(總學生會)는 전국적(全國的)인 학생운동(學生運動)의 한 축(軸)을 담당(擔當)해왔다. 부산대 총학생회(總學生會)는 1985년(年) 11월(月) 16일(日), 군사독재(軍事獨裁)의 잔재(殘滓)인 학도호국단(學徒護國團)을 완전히(完全히) 폐지(廢止)함과 동시(同時)에 민주주의적(民主主義的) 총학생회(總學生會)칙이 제정(制定)됨으로써 부활(復活)됐다.

1987년(年) ‘6월항쟁(月抗爭)’으로 전국(全國) 단위(單位)의 대학생(大學生) 조직(組織)이 필요(必要)하다는 의견(意見)에 따라 ‘전대협’이 만들어졌다. 전대협은 전국대학생대표협의회(全國大學生代表協議會) 준말이다. 부산대총학생회(總學生會)는 역대(歷代)로 전대협(全大協) 부회장교(副會長校)와 부산울산경남총학생회협의회(釜山蔚山慶南總學生會協議會) 회장교(會長校)를 맡아왔다. 1991년(年) 6월(月) 전대협(全大協) 5기(期) 출범식(出帆式)이 부산대에서 열렸다. 전대협은 1989년(年) ‘임수경 방북(訪北) 사건(事件)’과 1991년(年) ‘강기훈 유서대필(遺書代筆) 사건(事件)’ 등(等)을 겪으며 1993년(年) 3월(月) 대의원(代議員) 총회(總會)를 통해 해체(解體)를 결정(決定)했고 1993년(年) 5월(月)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韓國大學總學生會聯合)(한총련)으로 재발족(再發足)했다. 1994년(年) 한총련 2기(期) 의장(議長)이 김현준 부산대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이었다. 또 2001년(年)에는 최승환이 부산대 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 및 9기(期) 한총련 의장(議長)으로 선출(選出)됐다. [69] 한총련은 1996년(年) 연세대 통일축전(統一祝典) 폭력(暴力) 사태(事態), 1997년(年) 이석(李錫) 프락치 치사(致死) 사건(事件) 등(等)을 거치면서 1997년(年) 대법원(大法院)으로부터 이적단체(利敵團體)로 규정(規定)됐다. 이에 따라 조직(組織)이 약화(弱化)되면서 각(各) 대학(大學)이 한총련에서 탈퇴(脫退)하고 조직(組織)이 와해(瓦解)됐다.

2005년(年) 4월(月) 30일(日)에 출범(出帆)한 대학생연합단체(大學生聯合團體) ‘한대련(21세기(世紀) 한국대학생연합(韓國大學生聯合))’은 생활(生活) 이슈를 내세웠다. ‘등록금(登錄金), 청년실업(靑年失業) 문제(問題), 대학생(大學生) 주거문제(住居問題)’ 등(等) 대학생(大學生) 현실(現實)을 내세웠고, 시위(示威) 방식(方式)도 문화제(文化祭), 1인(人) 시위(示威) 등(等) 과거(過去)보다 온건(溫乾)한 방식(方式)으로 바꿨다. 한국대학생연합(韓國大學生聯合)은 2006년(年) 1월(月) 강정남 부산대 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을 2기(期) 의장(議長)으로 선출(選出)했다. 2009년(年) 2월(月) 5기(期) 한대련 의장(議長)으로 이원기 부산대 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이 당선(當選)됐다. [70]

대동제(大同祭) [ 편집(編輯) ]

동아리 활동(活動) [ 편집(編輯) ]

교내(校內) 언론(言論)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 내(內)에서 발간(發刊)되는 잡지(雜誌)들, 왼쪽부터 《문창대》, 《효원》

부산대학교 언론사(言論社)는 교내(校內) 방송(放送)을 주관(主管)하는 '부산대학교 방송국(放送局)'과 신문(新聞)을 발행(發行)하는 《부대신문》, 영어(英語) 신문(新聞)을 발행(發行)하는 The Hyowon Herald (효원헤럴드)가 '채널PNU'로 통합(統合)됐고, 부산대학교 홍보실(弘報室)에서 발행(發行)하는 잡지(雜誌) 《문창대》와 재학생(在學生)들이 직접(直接) 발행(發行)하는 학교(學校) 교지(校誌) 《효원》등(等)이 있다.

- 채널PNU

2022년(年) 3월(月) 부산(釜山) 최초(最初)로 올해 3월(月) 부대신문, 부산대방송국(釜山大放送局), 영자신문(英字新聞)을 통합(統合)한 매체(媒體) ‘채널PNU’ 가 출범(出帆)했다. 2021년(年) 부산대(釜山大) 언론사(言論社) 주간(週間)으로 부임(赴任)한 황성욱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學科) 교수(敎授)가 단행(斷行)한 조직(組織) 개편(改編)의 결과(結果)였다. [71]

별도(別途)의 미디어로 활동(活動)하던 부대신문(部隊新聞), 효원헤럴드, 부대방송국(部隊放送局)은 2022년(年) 3월(月) 2일(日) 채널PNU라는 통합(統合) 미디어로 출범(出帆)하여 학기(學期) 중(中) 매주(每週) 뉴스레터와 부대신문, 효원헤럴드를 발행(發行)하고 유튜브 채널과 교내(校內) DID 모니터·스피커로 방송(放送)하고 있다. 2022년(年) 11~12월(月)에는 제(第)1회(回) 부산(釜山) 미디어 리터러시 대회(大會)에서 대상(大賞)(부산시장상(釜山市長上))을, 2022 세명(名) 대학언론상(大學言論上) 대회(大會)에서 최우수상(最優秀賞)(단독(單獨), 1등(等))을 받았다. [72]

- 부산대학교 방송국(放送局)

부산대학교 방송국(放送局)(PUBS)은 1963년(年) 부산대학교 방송실(放送室)로 개국(開國)하여 1972년(年) 부산대학교 방송국(放送局)으로 승격(昇格)되었다. 캠퍼스 곳곳에 스피커가 설치(設置)되어 아침이나 점심시간(點心時間)에 채널PNU가 제작(製作)한 오디오 방송(放送)을 들을 수 있었다. 최근(最近)에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이용(利用)해 자체(自體) 제작(製作) 영상(映像)을 방영(放映)한다.

- 부대신문

《부대신문(釜大新聞)》은 1954년(年) 공식적(公式的)으로 창간(創刊)했다. 1947년(年) 발행(發行)된 타블로이드판 소식지(消息紙)를 전신(前身)으로 하며 1948년(年) 발행(發行)된 부대신문 3호(號)가 부산일보(釜山日報)에 소장(所藏)하고 있음이 확인(確認)되기도 했다. 예산(豫算) 부족(不足)으로 발행(發行) 중단(中斷)과 개간(開墾)을 거듭하였다. 4.19혁명(革命) 이전(以前)에는 주로(主로) 교양(敎養)이나 역사(歷史)에 대(對)한 내용(內容)을 많이 담았으나, 1960년(年) '부대신문 독립선언(獨立宣言)' 이후(以後)로 편집자율권(編輯自律權)을 기반(基盤)을 한 비평(批評)과 사회(社會) 비판(批判)이 실리기 시작(始作)했다. 1985년(年) 신문배포(新聞配布)가 일시적(一時的)으로 중단(中斷)되었다. 이에 1987년(年) 학교(學校)의 일방적(一方的)인 조치(措置)에 반발(反撥)했던 부대신문(部隊新聞)의 모든 기자(記者)가 사퇴(辭退)하는 사태(事態)가 발생(發生)하기도 했다. 또한 1996년(年)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에서 발생(發生)한 '한총련 사태(事態)'로 인해 부대신문사(社) 암실(暗室)에 보관(保管)돼 있던 6천(千)컷 분량(分量)의 필름을 경찰(警察) 측(側)에 의(依)해 무작위(無作爲)로 압수(押收)당하는 등(等), 많은 고초(苦楚)를 겪어야 했다. [73]

최근(最近)에는 컬러지면(紙面)이 많이 늘었으며, 부산대학교 내(內)의 소식(消息)이나 사설(社說) 등(等)이 담겨진다. 정문(正門)이나 캠퍼스 곳곳에 누구나 가져갈 수 있도록 비치(備置)해 둔다. 기자(記者) 10여(餘) 명(名)이 활동(活動)하고 있으며, 취재(取材) 기자(記者)는 대학부(大學部), 사회부(社回附), 문화부(文化部)로 속(屬)하며 편집(編輯) 기자(記者)를 따로 두어 직접(直接) 지면(紙面)을 꾸려 간다.

- The Hyowon Herald (효원헤럴드)

1972년(年) The Budae Times (부대(部隊)타임스)라는 이름의 잡지(雜誌)로 창간(創刊)된 이후(以後), 1984년(年) The Hyowon Herald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타블로이드판으로 발행(發行)된 것이 현재(現在)에 이른다.

위상(位相) [ 편집(編輯) ]

대학평가(大學評價) [ 편집(編輯) ]

최근(最近) 지역대학(地域大學)의 위기(危機)가 갈수록 심화(深化)하고 있는 와중(渦中)에도 부산대학교는 국제적(國際的) 권위(權威)의 3大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기관(機關)들의 대학평가(大學評價) 순위(順位)에서 오히려 가파른 상승세(上昇勢)를 나타내며 국내외(國內外) 명문대학(名門大學)으로의 성장(成長)과 발전(發展)을 거듭했다.

먼저 2023년(年) 6월(月) 발표(發表)된 「2024 QS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순위(順位)에서 본교(本校)는 세계(世界) 611-620위(位), 국내(國內) 종합대학(綜合大學) 순위(順位)(*과학기술특성화대학(科學技術特性化大學)은 제외(除外)한 순위(順位)임) 13위(位)로 올랐다(전년 대비(對比) 8계단(階段) 상승(上昇)). QS가 신규(新規) 지표(指標) 3개(個)를 도입(導入)하면서 국내(國內) 대학(大學) 43개교(個校) 중(中) 29개교(個校)가 순위(順位)가 하락(下落)했지만 부산대의 대학평가(大學評價) 순위(順位)는 크게 상승(上昇)한 것이다. 또한 중국(中國) 상하이교통대학(交通大學)의 「2023 세계대학학술순위(世界大學學術順位)(ARWU;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에서도 세계(世界) 401-500위(位), 국내(國內) 종합대학(綜合大學) 중(中) 7위(位)를 기록(記錄)했다. 이는 작년(昨年) 세계(世界) 501-600위(位), 국내종합대학(國內綜合大學) 9-12위(位)에서 크게 상승(上昇)한 것이다.

특히(特히) THE(Times Higher Education)의 평가(評價) 순위(順位) 상승(上昇)은 더욱 고무적(鼓舞的)이다. THE는 지난 2023년(年) 9월(月) 「2024 THE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순위(順位)를 발표(發表)했다. 여기에는 전(全) 세계(世界) 108개국(個國) 1,904개(個) 대학(大學)이 랭크되었는데, 그중(그中) 국내(國內) 대학(大學)은 총(總) 39개(個)만 포함(包含)되었다.

여기서도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의 도약(跳躍)이 두드러진다. 전년(前年)에는 세계(世界) 1,001-1,200위(位), 국내종합대학(國內綜合大學) 15위(位)였으나, 새로운 순위(順位)에서는 세계(世界) 501-600위(位), 국내종합대학(國內綜合大學) 9위(位)를 기록(記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THE의 평가지표(評價指標) 영역(領域)은 △교육여건(敎育與件)(29.5%) △연구환경(硏究環境)(29%) △연구(硏究)의 질(質)(30%) △산학협력(産學協力)(4%) △국제화(國際化)(7.5%) 등(等) 5개(個)로 구성(構成)되는데, 올해 평가(評價)에서 부산대는 5개(個) 전(全) 영역(領域)에서 높은 상승(上昇)을 보였다. THE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가 예년(例年)보다 더 엄격(嚴格)하고 세분화(細分化)된 지표(指標)를 적용(適用)해 평가(評價)한 점(點)을 감안(勘案)할 때 이번(이番) 큰 폭(幅)의 순위(順位) 상승(上昇)은 더욱 의미(意味)가 있다.

인지도(認知度) [ 편집(編輯) ]

부산대학교는 거점국립대학교(據點國立大學校) 중(中) 가장 경쟁력(競爭力) 높은 우수(優秀) 대학(大學)으로 인식(認識)되고 있다. [74] , 특히(特히)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와는 개교(開校) 이래(以來)로 "한강(漢江) 이남(以南) 최고(最高) 대학(大學)"이(李) 어디인가를 두고 라이벌 관계(關係)로 인식(認識)되었다. [75] 그러나, 2000년대(年代) 이래(以來)로 내부(內部) 갈등(葛藤)의 심화(深化)와, 정부(政府)와의 마찰(摩擦) [76] , 외부(外部)로는 지역(地域) 대학(大學)에 대(對)한 선호도(選好度)가 떨어지고, 수도권(首都圈) 집중(集中) 현상(現象)이 심화(深化)되면서, 예전만큼 위상(位相)이 높지 않은 실정(實情)이다. [77]

1970년대(年代) 이래(以來)로 경제(經濟), 법률(法律), 언론계(言論界) 등(等)에 부산대학교 졸업생(卒業生)이 상당수(相當數) 포진(布陣)되었다. [78] 특히(特히) 2011년(年) 시사저널 의 조사(調査)에 의(依)하면, 대기업(大企業) 임원(任員) 중(中) 부산대(釜山大) 졸업생(卒業生)의 숫자(數字)는 전체(全體) 순위(順位)의 5위(位)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내(內)의 지역(地域) 국립대(國立大) 중(中) 가장 높은 순위(順位)다. 시사저널 측(側)에서는 부산대 출신(出身) 임원(任員)이 많은 원인(原因)을 영남(嶺南) 지역(地域)에 중공업(重工業) 생산(生産) 시설(施設)이 밀집(密集)되어 있고, 부산대(釜山大) 졸업생(卒業生)들의 다수(多數)가 그 곳의 기술직(技術職) 임원(任員)으로 재직(在職)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分析)했다. [78]

대학병원(大學病院) [ 편집(編輯) ]

동문회(同門會) 및 동문(同門) [ 편집(編輯) ]

지역(地域) 동문회(同門會)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주해(註解) [ 편집(編輯) ]

  1. 예컨대 경북대와 전남대는 대구(大邱)와 광주지역(光州地域) 관립전문학교(官立專門學校)가 국립(國立)으로 승격(昇格)된 후(後)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로 합친 것이고 전북대와 충남대(忠南大), 강원대(江原大), 제주대(濟州大), 경상대(慶尙大), 충북대는 도립대학(道立大學)으로 출발(出發)하여 국립(國立)으로 승격(昇格)된 후(後)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가 됐다. 부산대와 함께 1952년(年) 국립종합대학교(國立綜合大學校)로 출발(出發)한 경북대, 전남대는 이들보다 국립대(國立大) 승격(昇格)과 종합대(綜合臺) 전환(轉換)이 늦은 타 국립대(國立大)보다 인지도(認知度)와 교세(敎勢) 등(等)에서 상대적(相對的)으로 강세(强勢)를 보이고 있다.
  2. 1946년(年) 초(初)에 경상남도(慶尙南道) 불교교무(佛敎敎務)원이 부산(釜山)에 6년제(年制) 해동중학교(解凍中學校)를 설립(設立)하고자 경상남도(慶尙南道) 학무과(學務課)에 인가신청서(認可申請書)를 제출(提出)했다. 학무과장(學務課長) 윤인구는 해동중학교(解凍中學校) 설립기금(設立基金)으로 신청(申請)된 고성(固城) 옥천사(玉泉寺) 사답(寺畓) 13만(萬) 5천평(千坪)을 국립대학(國立大學) 설립기금(設立基金)으로 희사(喜捨)해 줄 것을 권고(勸告)하고 일제(日帝)의 적산건물(赤山建物)을 해동중학교(解凍中學校) 교사(敎師)로 선정(選定)하여 그 불하(拂下)해 주겠으며, 나아가서는 학교(學校)의 설립허가(設立許可)를 확정(確定)짓겠다고 언약(言約)했다. 경상남도(慶尙南道) 불교교무원장(佛敎敎務院長) 박원찬은 이 제안(提案)에 대(對)해 난색(難色)을 표명(表明)했다. 그러나, 경남(慶南) 출신(出身)으로 당시(當時) 중앙불교교무원(中央佛敎敎務院) 총무부장(總務部長) 최범술의 지시(指示)와 경상남도(慶尙南道) 내무부장(內務部長) 서상환의 강권(强勸)에 못 이겨 박원찬은 옥천사(玉泉寺) 사답(寺畓) 토지문서(土地文書)를 경상남도(慶尙南道) 당국(當局)에 전달(傳達)했다. 이러하여 6년제(年制) 해동중학교(解凍中學校) 설립(設立)이 인가(認可)되고 영도(影島) 소재(素材)의 적산건물(赤山建物)인 일제(日帝) 때 입정(立正)상업학교(商業學校) 교사(敎師)가 해동중학교(解凍中學校) 교사(敎師)로 알선(斡旋)되었다. 그리고, 경상남도(慶尙南道) 당국(當局)은 김찬성의 후원(後援)을 얻어 영주동의 조흥은행 부산지점(釜山支店)에 의뢰(依賴)하여 옥천사(玉泉寺) 토지(土地)를 500만(萬)원으로 감정(感情)받았다.
  3. 부산대학교 설립기금(設立基金) 1,000만(萬)원 내역(內譯)=경상남도(慶尙南道) 불교교무원(佛敎敎務院) 고성(固城) 옥천사(玉泉寺) 사답(寺畓) 13만(萬) 5천평(千坪)(조흥은행 감정가(鑑定價) 5백만(百萬)원), 부산음식조합(釜山飮食組合)의 대학설립기금(大學設立基金) 모금액(募金額) 105만(萬)원(문병(問病)조 명의(名義)로 납입(納入)), 민립대학설립기성회(民立大學設立期成會) 배인환 회장(會長)과 김찬성 부회장(副會長) 유기처분금(遺棄處分金) 80만(萬)원과 자동차(自動車) 1대(代), 일본인(日本人) 131개(個) 어용단체(御用團體) 강제해산(强制解散) 후(後) 청산금(淸算金)의 국가(國家) 귀속분(歸屬分) 347만(萬) 9,000원
  4. 부산대(釜山大) 설립(設立) 이후(以後) 각(各) 지역(地域)에서는 속속(續續) 국립대(國立大)가 설립(設立)됐다. 관립전문학교(官立專門學校)를 모아 국립대(國立大)로 만들거나(경북대, 전남대(全南大)) 기존(旣存)의 도립대학(道立大學)이나 나중에 생기는 도립대학(道立大學)을 국립(國立)으로 전환(轉換)(경상대, 전북대(全北大), 충남대, 충북대, 제주대(濟州大))했다. 이들의 교명(校名)은 1도(度) 1국립대(國立大) 원칙(原則)에 따라 기존(旣存)의 대학명(大學名)을 폐기(廢棄)하고 해당(該當) 도명(道名)을 대학명(大學名)으로 사용(使用)했다. 경상대는 예외(例外). 1980년대(年代) 이후(以後) 대구(大邱), 광주(光州), 대전(大田)이 직할시(直轄市)가 되면서 도와 분리(分離)되었지만 경북대, 전남대(全南大), 충남대는 기존(旣存) 교명(校名)을 그대로 사용(使用)함으로써 대학(大學) 이름과 소재지(所在地)가 불일치(不一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산대의 명칭(名稱) 확정(確定)은 부산(釜山)의 발전(發展) 가능성(可能性)과 잠재력(潛在力)을 높이 보았으며 그 당시(當時) 부산(釜山)의 특별시(特別市) 승격(昇格) 요구(要求)가 수차례(數次例) 있었기에 특별시(特別市) 승격(昇格)을 염두(念頭)에 두고 이름을 지은 것으로 본다. 결국(結局) 부산(釜山)은 직할시(直轄市)로 승격(昇格)되는 등(等) 국제적(國際的)인 도시(都市)가 되었다. 만약(萬若) 부산대의 교명(校名)이 도명대(度名臺)로 경남대로 정(定)해졌다면 대학명(大學名)이 역시(亦是) 직할시(直轄市)로 승격(昇格)된 부산(釜山)이란 지역명(地域明)과 괴리(乖離)되었을 것이고 부산대(釜山大)보다는 국제화시대(國際化時代)에 덜 적합한 이름이 되었을 것이다.
  5. 부산대는 1953년(年)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승격(昇格)했으나 이에 걸맞은 캠퍼스 부지(敷地)를 구(求)하지 못해 애를 먹었다. 윤인구 초대(初代) 총장(總長)은 1954년(年) 6월(月) 8일(日) 부산대를 찾은 위트컴(미군군수사령관(美軍軍需司令官)) 장군(將軍)에게 종(鐘) 모양(模樣)의 캠퍼스 배치도(配置圖)를 그린 그림을 보여주며 “교육(敎育)에 대(對)한 내 꿈을 사 달라. 부산대의 미래(未來)에 투자(投資)하라”고 부탁(付託)한다. 윤(尹) 총장(總長)의 비전에 감동(感動)한 장군(將軍)은 당시(當時) 경남지사(慶南知事)와 이승만(李承晩) 대통령(大統領)을 설득(說得)해서 장전동 부지(敷地) 50만평(萬坪)을 확보(確保)하는 데 결정적(決定的) 역할(役割)을 했다. 한술 더 떠 장군(將軍)은 캠퍼스 조성(造成)에 필요(必要)한 25만(萬) 달러 상당(相當)의 건축(建築) 자재(資材)를 AFAK 사업(事業)을 통해 지원(支援)하는가 하면 당시(當時) 전차(電車)와 버스 등(等) 대중교통(大衆交通)의 종점(終點)인 온천장(溫泉場)(현재(現在) 부산은행(釜山銀行) 온천동지점(地點))과 부산대(釜山大) 무지개문(무지개門)을 연결(連結)하는 진입도로(進入道路)(길이 1.6km)를 미군(美軍) 434 공병부대(工兵部隊)를 동원(動員)해 건설(建設)해줬다. 부산대(釜山大) 건학(建學)에서 윤인구와 위트컴의 위대(偉大)한 업적(業績)은 2000년대(年代) 이후(以後) 재조명(再照明)되고 있다.
  6. 1961년(年) 9월(月) ‘대학교(大學校) 정비기준령(整備基準令)(각령(閣令) 제(第)283호(號))’에 의(依)해 폐과(閉果) 또는 폐쇄(閉鎖)된 대학(大學)의 운영(運營)에 대(對)한 정부(政府)의 시행(施行) 세칙(稅則)은 오랫동안 만들어지지 않다가 1962년(年) 4월(月) 3일(日)에 그 시행(施行) 요령(要領)이 발표(發表)되었다. 그후(後) 불과(不過) 8개월(個月)도 안되어서 1962년(年) 12월(月) 30일(日) 각의(閣議)에서 국립대학교(國立大學校) 설치령(設置令) 개정(改正)을 결의(決議)하여 전국(全國) 6개(個) 대학(大學) 14학과(學科)의 부활(復活)과 2개(個) 대학(大學)의 4학(學)과 신설(新設)이 결정(決定)되었고, 그후(後) 1964년(年) 국립대학교설치령(國立大學校設置令)이 다시 개정(改正)됨으로써 완전히(完全히) 원상(原狀) 회복(回復)되었다.
  7. 1975년(年) 10월(月) 10일(日) 재일(在日) 교포(僑胞) 유학생(留學生) 김오자(문리대(文理大) 사학과(史學科))가 반(半)(反)정부(政府) 성격(性格)의 전단(傳單)을 살포(撒布)하면서, 이를 추적(追跡)한 경찰(警察)은 김오자와 관계된 인물(人物)을 대거(大擧) 체포(逮捕)했다. 이 사건(事件)으로 부산대 학생(學生) 박준건, 김오자, 김정미, 김준홍, 노승일, 박명근, 이원(利原)이 등(等)과 부산대 철학과(哲學科) 교수(敎授) 하일민과 대학원생(大學院生) 김명수(金命洙) 등(等)이 구속(拘束)되었다. 이 사건(事件)은 11월(月) 22일(日) ‘재일(在日) 교포(僑胞) 간첩단(間諜團) 사건(事件)’으로 명명(命名)되어 언론(言論)에 발표(發表)되었다. 여기에는 총(總) 24명(名)이 연루(連累)되었다. 단순(單純)한 반정부(反政府) 유인물(油印物) 살포(撒布) 사건(事件)을 의도적(意圖的)으로 확대(擴大)하여 간첩(間諜) 사건(事件)으로 조작(造作)했던 것이다. 김오자 씨(氏)는 2019년(年) 재심(再審)을 통해 43년(年) 만에 무죄(無罪)를 선고(宣告)받았다. 서울고법(高法) 형사(刑事)2부(部)(차문호 부장판사(部長判事))는 2019년(年) 8월(月) 22일(日) 김씨(金氏)의 반공법(反共法) 위반(違反) 등(等) 사건(事件) 재심(再審)에서 무죄(無罪)를 선고(宣告)했다. 김씨(金氏)는 1975년(年) 간첩(間諜)으로 몰려 중앙정보부(中央情報部)로 연행(連行)됐다. 그는 이듬해 조총련(朝總聯)의 지시(指示)를 받고 국가(國家) 기밀(機密)을 탐지(探知)하고 주변(周邊) 사람들을 포섭(包攝)했다는 등(等)의 혐의(嫌疑)로 기소(起訴)돼 1심(審)에서 사형(死刑)을, 2심(審)에서 무기징역(無期懲役)을 선고(宣告)받았다. 이후(以後) 가석방(假釋放)될 때까지 9년간(年間) 수형(受刑) 생활(生活)을 했다.
  8. '신생철학(新生哲學)'의 저자(著者)인 윤(尹)노빈 교수(敎授)의 월북(越北) 사건(事件)은 외무장관(外務長官) 출신(出身) 최덕신(崔德新)이나 천도교(天道敎) 교령(敎領) 오익제와 달리 언론(言論)에 단(單) 한 줄도 보도(報道)되지 않았다. 당시(當時)는 신군부인(申君否認) 전두환 군사독재(軍事獨裁)의 폭압체제(暴壓體制)가 절정(絶頂)에 달(達)해 매스컴에도 보도(報道)되지 않아 그가 월북(越北)한 것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다. 월북(越北)한 후(後) 그는 칠보산연락소(七寶山連絡所)에서 ‘조국통일연구원(祖國統一硏究院) 책임지도원(責任指導員)’이란 직위(職位)를 갖고 대남방송(對南放送)의 기사작성자(技士作成者)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평양(平壤)에 살고 있다.
  9. 부산대(釜山大) 역사(歷史)를 개교(個校)부터 1999년(年)까지, 2000년(年)부터 현재(現在)까지로 나눈 분기점(分岐點)은 양산(量産)캠퍼스 확보(確保)다. 제(第)2캠퍼스 마련은 당시(當時) 부산대의 최대(最大) 과제(課題)였다. 양산(量産)캠퍼스 확보(確保)는 제(第)2의 개교(個校)라고 부를 만큼 대단한 일이었다. 부산대는 1955년(年) 현재(現在)의 장전(裝塡)캠퍼스 이전(移轉) 후(後) 급속(急速)한 대학(大學)의 팽창(膨脹)에 따라 대학부지(大學敷地) 부족(不足)으로 대학(大學) 발전(發展)에 지대(至大)한 장애(障礙)를 초래(招來)했다. 재정경제부(財政經濟部) 장관(長官)과 아주대 총장(總長)을 지낸 박재윤 총장(總長)은 1999년(年) 외부(外部) 출신(出身)으로 처음 총장(總長)에 당선(當選)됐고 부산시(釜山市)와 정치권(政治權)과의 갈등(葛藤)을 이기고 양산(量産)캠퍼스를 확보(確保)했다. 양산(量産)캠퍼스는 현재(現在) 의대(醫大),치대(齒大),간호대(看護隊),한의대가 쓰는 메디컬 캠퍼스이며 양산부산대병원(量産釜山大病院)도 자리 잡았다. 34만평(萬坪)의 광활(廣闊)한 도심지(都心地) 소재(所在) 양산(量産)캠퍼스는 향후(向後) 캠퍼스 혁신(革新)파크 유치(誘致) 등(等) 부산대(釜山大) 발전(發展)의 전환점(轉換點)이 핵심(核心) 자원(資源)으로 기능하게 된다
  10. 양산(量産)캠퍼스 부지(敷地)는 양산신도시(量産新都市) 3단계지구(段階地球)의 중심(中心)에 자리잡고 있다. 부산대는 한국토지공사(韓國土地公社)로부터 전체(全體) 부지(敷地) 110만(萬)6889m 2 를 3.3m 2 당(黨) 15만(萬)원에 매입(買入)했다. 토지공사(土地公社)는 부산대(釜山大) 유치(誘致)가 양산신도시(梁山新都市) 성공(成功)에 핵심(核心)임을 인식(認識)하고 해당(該當) 부지(敷地)를 원가(原價) 수준(水準)으로 매각(賣却)했다. 대신(代身)에 금싸라기(金싸라기) 땅인 광안동과 주례동 땅을 부산대(釜山大)로부터 받아갔다. 나머지 300억(億)원은 송금조 태양회장(太陽會長)이 기부(寄附)하기로 약정(約定)했으나 송금조는 195억(億) 원을 기부(寄附)한 후(後) 나머지를 내지 않고 2020년(年) 7월(月) 사망(死亡)했다. 당시(當時) 부산대(釜山大) 입장(立場)에서는 아무런 도시기반시설(都市基盤施設)도 없는 허허벌판에 신도시(新都市) 조성(造成)이라는 장래성(將來性)만 믿고 투자(投資)하는 모험(冒險)이었다. 결과(結果)는 대성공(大成功)이었다. 제(第)2캠퍼스 확보(確保)를 목표(目標)로 추진(推進)된 양산(量産)캠퍼스는 밀양(密陽)캠퍼스와 함께 경남(慶南)의 재진출(再進出)로 부산대(釜山大) 영역(領域)의 확장(擴張)시켰다. 현재(現在) 대학단지(大學團地)엔 의대(醫大), 간호대(看護隊), 치의학전문대학원(齒醫學專門大學院), 한의학전문대학원(韓醫學專門大學院)과 정보의생명공학대학(情報醫生命工學大學)이 자리잡고 있다. 병원단지(病院團地)엔 양산부산대병원(量産釜山大病院), 치과병원(齒科病院), 어린이병원(病院), 재활병원(再活病院), 한방병원(韓方病院), 병원(病院)호텔이 자리잡았고 감염병전문병원(感染病專門病院) 입주(入住)도 확정(確定)됐다. 양산(量産)캠퍼스엔 교육(敎育)과 의료(醫療)가 집적(集積)된 전국(全國)에서 보기 드문 의료집약단지(醫療集約團地)다. 양산부산대병원(量産釜山大病院)의 매출(賣出)은 본원(本院)인 부산대병원(病院)을 능가(凌駕)하고 있다. 현재(現在) 전체(全體) 부지(敷地) 110만(萬)6889m 2 중(中) 절반(折半)만 개발(開發)되었고 나머지 54만(萬)2000m 2 는 미개발지(未開發地)로 향후(向後) 부산대(釜山大) 발전(發展)에 큰 역할(役割)을 할 것이다. 1990년대(年代) 당시(當時) 협소(狹小)한 캠퍼스로 큰 고민(苦悶)에 빠졌던 부산대(釜山大) 입장(立場)에서 남은 광활(廣闊)한 신도시(新都市) 대학부지(大學敷地)는 향후(向後) 부산대의 성장동력(成長動力)이다. 이 문제(問題)와 별개(別個)로 장전(裝塡)캠퍼스의 과밀화(過密化) 문제(問題)는 풀어야 할 큰 숙제(宿題)다.
  11. 2003년(年) 10월(月) 15일(日), 주식회사(株式會社) 태양(太陽)의 송금조 회장(會長)이 학교(學校) 발전(發展)을 위해 부산대(釜山大)에 305억(億)원 기부(寄附) 약정(約定)을 학교(學校) 측(側)과 체결(締結)했다. 먼저 100억(億)원을, 당시(當時) 총장(總長)이었던 김인세 총장(總長)에게 전달(傳達)하고, 나머지 205억(億)원은 2004년(年)부터 2009년(年)까지 6차례(次例)에 나눠 발전기금(發展基金)으로 기부(寄附)하겠다는 내용(內容)이었다. 이에 학교(學校) 측(側)은, 그에게 명예박사(名譽博士) 학위(學位)를 수여(授與)하고, 다음 해에는 학교(學校) 본관(本館) 옆에 동상(銅像)을 세워 그를 기렸다. 그러나 총(總) 305억(億)원 중(中) 195억(億) 원을 기부(寄附)한 송금조 회장(會長)이 돌연(突然) 2008년(年) 학교(學校) 측(側)을 상대(相對)로 기부약정(寄附約定)에 대(對)한 채무부존재(債務不存在) 확인소송(確認訴訟)을 제기(提起)하였다. 기부금(寄附金) 중(中) 일부(一部)가 기부(寄附) 목적(目的)이었던 "양산(量産)캠퍼스 부지매입금(敷地買入金)"이(李) 아닌 "캠퍼스 건립비(建立費), 교수(敎授) 연구비(硏究費) 등(等)"으로 전용(轉用)됐다는 것이다. 2009년(年) 5월(月) 7일(日) 1심(審) 재판부(裁判部)는 기부금(寄附金)을 내기로 약정(約定)한 이상(以上) 남은 기부(寄附) 약속(約束)을 지켜야 한다는 판단(判斷)으로, 원고(原告)의 소송(訴訟)을 기각(棄却)했다. 2심(審) 재판부(裁判部)도 "원고(原告)와 피고(被告)가 기부약정(寄附約定) 당시(當時) 사용용도(使用用途)를 '부산대 캠퍼스 건설(建設) 및 연구지원(硏究支援) 기금(基金)'으로 정(定)했다"고 판단(判斷)하고, 1심(審)과 마찬가지로 원고(原告)의 소송(訴訟)을 기각(棄却)했다. 대법원(大法院)은 2012년(年) 10월(月) 송금조 회장(會長)의 2심(審) 판결(判決) 불복(不服)에 따른 상고심(上告審)에서 부산대(釜山大) 승소(勝訴) 판결(判決)을 내렸다. 부산대는 당시(當時) 기부금(寄附金)을 잘못 사용(使用)한 부분(部分)을 사과(謝過)하고, 경암교육문화재단(敎育文化財團)도 기부금(寄附金) 잔액(殘額)을 내는 방향(方向)으로 논의(論議)하면서 양측(兩側)의 갈등(葛藤)은 일단락(一段落)됐다. 그러나 부산대(釜山大) 측(側)의 화해(和解) 노력(努力)에도 불구(不拘)하고 송금조는 끝내 나머지 약정(約定) 기부금(寄附金) 110억(億)원을 내지 않고 2020년(年) 7월(月) 사망(死亡)했다. 언론(言論)은 그를 기부(寄附)의 대명사(代名詞)라 부르지만...송금조의 305억(億) 부산대(釜山大) 기부(寄附) 약정(約定)이 그의 탈세(脫稅)를 세무당국(稅務當局)이 눈감아주는 대가(代價)로 이루어졌다는 증언(證言)도 있다. 그가 경영(經營)하던 사업체(事業體)의 탈세(脫稅)가 들통나자 부산일보 사장(社長) 김상훈(金相勳)이 중재(仲裁)하여 탈세(脫稅) 추징액(追徵額)만큼 부산대(釜山大)에 기부(寄附)하는 조건(條件)으로 성사(成事)된 기부(寄附)였다는 것이다.
  12. 이명박(李明博) 정부(政府)에 이은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는 국립대(國立大)의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를 폐지(廢止)하고 간선제(間選制)로 전환(轉換)을 강제(强制)하였다. 교육부(敎育部)가 재정(財政) 지원(支援) 등(等)을 무기(武器)로 국립대(國立大) 총장(總長) 선출(選出) 방식(方式)을 간선제(間選制)로 바꾸도록 압박(壓迫)하고 정원(定員) 축소(縮小) 등(等) 일방적(一方的) 구조조정(構造調整)을 추진(推進)해온 행태(行態)를 비판(批判)하는 목소리가 더욱 거세어졌다. 2012년(年) 3월(月) 30일(日) 교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에서 대학(大學) 선진화(先進化)를 근거(根據)로 요구(要求)한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 폐지(廢止)"를 부산대가 거부(拒否)하고 이로 인(因)해, "대학(大學) 교육역량강화(敎育力量强化) 지원사업(支援事業) 선정(選定)"에서 부산대가 탈락하면서 국고(國庫) 지원(支援)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부산대는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를 폐지(廢止)하지 않으면 '교육역량(敎育力量) 강화사업(强化事業)' 지원대상(支援對象)에서 제외(除外)하거나 지원금(支援金)을 대폭(大幅) 삭감(削減)하는 등(等)의 교육부(敎育部) '국립대학교(國立大學校) 선전화(宣傳化) 방안(方案)'에 밀려 2012년(年) 7월(月)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를 폐지(廢止)하고 간선제(間選制)를 도입(導入)하는 내용(內容)으로 학칙(學則)을 개정(改正)했다. 이후(以後) 총장(總長) 직선제(直選制) 수호(守護)를 주장(主張)하는 부산대(釜山大) 교수회(敎授會)와 3년(年) 넘게 갈등(葛藤)을 빚어왔다.
  13. 부산대 부설(附設) 특수학교(特殊學校)는 21학급(學級) 138명(名)(중학교(中學校) 54명(名), 고등학교(高等學校) 84명(名)) 규모(規模)이며 2022년(年) 3월(月) 개교(開校)할 계획(計劃)이었다. 그러나 3년(年) 이상(以上) 착공(着工)이 미뤄졌고 2026년(年) 개교(個校)로 목표가(目標價) 미뤄졌다
  14. 부산대와 부산교대 양측(兩側)은 거제동 부산교대 캠퍼스에 ‘지역거점종합교원양성기관(地域據點綜合敎員養成機關)’ 구축(構築)을 통합(統合)의 대전제(大前提)로 하고 유(有)·초(初)·중등(中等)·특수(特殊)·평생교육(平生敎育) 등(等) 모든 교육(敎育) 과정(過程)을 집약(集約)하는 구상(構想)에 합의(合意)했다. 두 대학(大學)은 지난해 11월(月)부터 통합(統合)을 전제(前提)로 한 ‘공동발전방안(共同發展方案) 기초연구(基礎硏究)’를 수행(遂行)하고, ‘뉴(New) 종합교원양성체제(綜合敎員養成體制)안’을 내놓기도 했다.
  15. ‘부처(部處) 협업형(協業型) 인재양성사업(人材養成事業)’은 반도체(半導體) 등(等) 국가혁신성장(國家革新成長)을 선도(先導)할 14개(個) 신산업(新産業)·첨단산업(尖端産業) 분야(分野)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는 사업(事業)이다.부산대는 △미래형자동차(未來形自動車) 기술융합혁신인재양성사업(技術融合革新人材養成事業) △반도체(半導體) 전공(專攻)트랙사업(事業) △이차전지산업(二次電池産業) 기술인력양성사업(技術人力養成事業) △차세대(次世代) 바이오헬스산업(産業) 혁신인재양성사업(革新人材養成事業) △의료인공지능(醫療人工知能) 융합인재양성사업(融合人材養成事業) 등(等) 5개(個)로 전국(全國) 2위(位) 성적(成跡)이다.
  16. 부산대가 제출(提出)한 계획안(計劃案)에는 수의과대학(獸醫科大學) 신설(新設)을 위해 부산(釜山)캠퍼스와 양산(量産)캠퍼스 등(等) 모두 32만여(萬餘)㎡에 교육(敎育)·연구(硏究) 시설(施設)을 갖추고 수의연구실험(囚衣硏究實驗), 산업동물(産業動物), 가축방역(家畜防疫)·재난관리(災難管理) 분야(分野)에 걸쳐 의생명융합(醫生命融合) 교육과정(敎育課程)을 구축(構築)한다는 내용(內容)이 담겼다. 신입생(新入生) 정원(定員)은 40명(名)이며, 교수(敎授) 등(等) 전문교원(專門敎員)을 20명(名) 이상(以上) 확보(確保)한다는 계획(計劃)이다. 부산대는 수의과대학(獸醫科大學) 설립(設立) 요청(要請)에 대(對)한 교육부(敎育部)의 답변(答辯)을 받은 뒤 ‘보건계열(保健系列) 정원(庭園) 증원(增員) 요청(要請)’과 함께 수의과대학(獸醫科大學) 신설(新設) 내용(內容)을 담은 상세신청서(詳細申請書)를 제출(提出)할 예정(豫定)이다. 교육부(敎育部)의 최종(最終) 정원(庭園) 승인(承認)을 받으면 그 다음 해부터 신입생(新入生)을 모집(募集)할 수 있다. 수의과대학(獸醫科大學) 정원(定員)의 경우(境遇) 농림축산부(農林畜産部) 관할(管轄)로 대한수의사회(大韓隨意社會)와 협의(協議)를 거쳐 결정(決定)하는 구조(構造)이다.
  17. 글로컬대학(大學) 30 사업(事業)은 교육부(敎育部)가 비수도권대학(非首都圈大學)의 혁신(革新)을 이끌기 위해 선정(選定) 대학(大學)에 5년간(年間) 1000억(億)원의 사업비(事業費)를 지원(支援)하는 사업(事業)이다. 전국(全國) 108개(個) 대학(大學)이 94개(個) 혁신기획서(革新企劃書)를 제출(提出)했고 2023년(年) 6월(月) 20일(日) 부산대(釜山大).부산교대를 비롯한 15개(個) 혁신기획서(革新企劃書)가 예비(豫備) 선정(選定)됐다. 부산대의 글로컬대학사업(大學事業) 공동(共同) 신청(申請) 제안(提案)을 받은 부산교대는 2023년(年) 5월(月) 17일(日) 교수회의(敎授會議)에서 부산대(釜山大)와의 통합(統合)을 위한 글로컬대학(大學) 신청(申請)을 결정(決定)했다. 4월(月) 18일(日) 교육부(敎育部)에서 글로컬대학(大學) 30 사업(事業)을 발표(發表)하였고 부산대가 4월(月) 21일(日) 부산교대에 공동(共同) 참여(參與)를 제안(提案)해 △부산교대 자체(自體) 설문조사(設問調査)(5월(月) 10일(日)) △부산교대 평의원회(評議員會)(5월(月) 15일(日)) △교수회의(敎授會議)(5월(月) 17일(日))를 거쳐 최종(最終) 결정(決定)됐다.
  18. 부산시(釜山市)의 분리(分離)에 따라 국립대(國立大)가 없어진 경남(慶南)은 도립진주농과대학(道立晋州農科大學)의 국립(國立) 승격(昇格)을 요구(要求)하였고 1968년(年) 국립(國立)으로 전환(轉換)하게 된다. 진주농과대학(晋州農科大學)은 1972년(年) 7월(月) 그 이름을 경상대학(經常大學)으로 개칭(改稱)하였다. 이에 앞서 마산대학(馬山大學)을 인수(引受)한 삼양학원(三養學院) 이사장(理事長)에 대통령(大統領) 경호실장(警護室長) 박종규가 1970년(年) 2월(月) 18일(日) 취임(就任)했고 5월(月) 20일(日)에는 학교법인(學校法人) 삼양학원(三養學院)의 이름을 경남학원(慶南學院)으로 바꿨다. 이어 1971년(年) 12월(月) 교명(校名)을 경남대학(慶南大學)으로 변경(變更)하였다. 이 때문에 6개월(個月) 차이(差異)로 이름을 빼앗긴 경상대는 교명(校名) 찾기에 매진(邁進)했으나 실패(失敗)했다. 경상대는 국립대(國立大)임에도 도명(道名)을 교명(校名)으로 사용(使用)하지 못함으로써 거점국립대(據點國立大) 이미지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부산대(釜山大) 건학(建學)스토리” . 부산대(釜山大) 홈페이지.  
  2. “박창희 대기자(大記者)의 人香萬里(인향만리(隣鄕萬里)) <2-2> 지역(地域) 정신(精神)을 세운 사람들- 부산대(釜山大) 초대총장(總長) 윤인구(下)” . 국제신문(國際新聞). 2016년(年) 3월(月) 20일(日).  
  3.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위트컴 장군(將軍)] <3>세기(世紀)의 빅딜” . 국제신문(國際新聞). 2022년(年) 11월(月) 14일(日).  
  4. “네이버 백과사전(百科事典) "부산대학교 "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 《국립학교설치령(國立學校設置令)》각령(閣令) 제(第)1148호(號), 1963년(年) 1월(月) 16일개정(日改正), 1963년(年) 3월(月) 1일(日) 시행(施行) 국립학교설치령(國立學校設置令) 제개정(改正) 이유(理由) 및 <별표(別表) 1> 국립대학교(國立大學校) 현황(現況) 참조(參照)
  6. ' 재일교포(在日僑胞) 간첩단(間諜團)' 김오자씨(氏) 43년(年) 만에 재심(再審) 무죄(無罪)”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9년(年) 8월(月) 22일(日).  
  7. “부산(釜山)·경북(慶北)·전남(全南)·충남(忠南) 4개(個) 특성화(特性化) 대학(大學) 선정(選定)” . 《매일경제(每日經濟)》. 1977년(年) 4월(月) 4일(日).  
  8. “네이버 백과사전(百科事典) "부마민주항쟁(駙馬民主抗爭) "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9. 정범구 (2004년(年) 10월(月) 17일(日)). “송기인, "부마 항쟁(抗爭), 유신(維新) 체제(體制) 무너뜨린 위대(偉大)한 시민항쟁(市民抗爭) " . 노컷뉴스.  
  10. “네이버 백과사전(百科事典) 〈부마민주항쟁(駙馬民主抗爭)〉” . 두산백과사전(百科事典).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1. “6월항쟁(月抗爭)-넉넉한 터” . 부산대학교 대학사자료관(大學史資料館). 2020년(年) 11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9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지방대학(地方大學) 우수(優秀) 특성학과(特性學科) 지리적(地理的) 이점(利點) 살려 취업률(就業率) 100%” . 매일경제(每日經濟)(자료추출(資料抽出):네이버). 1996년(年) 11월(月) 30일(日).  
  13. “부산대(釜山大) 총장후보(總長候補)에 박재윤 전(前) 장관(長官) 선출(選出)” . 매일경제(每日經濟)(자료추출(資料抽出):네이버). 1999년(年) 6월(月) 18일(日).  
  14. “부산대총장(總長)에 박재윤씨(氏)” . 동아일보(東亞日報)(자료추출(資料抽出):네이버). 1999년(年) 8월(月) 31일(日).  
  15. “부산대(釜山大) 역외이전(域外移轉) 논란(論難) 재연(再演) 조짐(兆朕)”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1년(年) 1월(月) 22일(日).  
  16. “‘불씨’ 남긴 부산대(釜山大) 제(第) 2 캠퍼스 합의(合意)” . 동아일보(東亞日報). 2002년(年) 2월(月) 5일(日).  
  17. “(교육(敎育))부산대 박재윤총장(總長) 단식농성(斷食籠城)” . 동아일보(東亞日報). 2002년(年) 1월(月) 2일(日).  
  18. “부산대(釜山大) 양산(量産) 제(第)2캠퍼스 착공(着工)”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3년(年) 8월(月) 27일(日).  
  19. “부산대(釜山大) 밀양(密陽)캠퍼스 개교(開校) 기념식(記念式)”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6년(年) 3월(月) 2일(日).  
  20. 박준모 (2006년(年) 11월(月) 15일(日)). “한의학대학원(韓醫學大學院) 부산대(釜山大)에 설치(設置)” . 뉴시스 . 2011년(年) 11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21. 한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부산대(釜山大) 2008년(年) 설치(設置) 《국정(國政)브리핑》2006.11.15
  22. 한의전문대학원(韓醫專門大學院) 설치(設置) 부산대(釜山大) "오는 2008년(年) 3월(月) 개교(開校) 예정(豫定)" 《뉴시스》2006.11.15
  23. 25개(個) 대학(大學)에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최종(最終) 설치인가(設置認可) 《정책(政策)브리핑》2008.09.01
  24. 김상진; 송봉근 (2009년(年) 2월(月) 12일(日)). “의료(醫療)허브 꿈꾸는 부산대(釜山大) 양산(量産)캠퍼스 시대(時代) 열리다” . 중앙일보(中央日報).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5. 이종민 (2010년(年) 4월(月) 20일(日)). “부산대(釜山大), 경영대(經營大)ㆍ경제통상대(經濟通商臺)ㆍ경제통상대학원(經濟通商大學院) 신설(新設)” . 연합뉴스(聯合뉴스).  
  26. “부산대(釜山大)- 부경대(釜慶大) 통합(統合) 전격(電擊) 합의(合意)” . 교수신문. 2011년(年) 8월(月) 11일(日).  
  27. “부산대(釜山大), 인문관(人文館) · 무지개문(무지개門) 및 옛 수위실(守衛室), 문화재(文化財) 등록(登錄)” . 교수신문. 2014년(年) 11월(月) 18일(日).  
  28. ““총장직선제(總長直選制) 포기(抛棄) 참담(慘澹)”…부산대(釜山大) 교수(敎授) 투신(投身) 사망(死亡)” . 한겨레. 2015년(年) 8월(月) 17일(日).  
  29. “부산대(釜山大), 총장(總長) 간선제(間選制) 추진(推進) 방침(方針) 철회(撤回)” . 부산일보(釜山日報). 2015년(年) 8월(月) 18일(日).  
  30. “윤영석(尹永碩) "부산대(釜山大) 양산(量産)캠퍼스 정보(情報)의생명공대 2022년(年) 준공(竣工) "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9년(年) 5월(月) 27일(日).  
  31. “부산대(釜山大)에 전국(全國) 장애학생(障礙學生) 위한 예술(藝術) 특수학교(特殊學校) 설립(設立) 확정(確定)” . 연합뉴스(聯合뉴스). 2020년(年) 3월(月) 25일(日).  
  32. ' 장애학생(障礙學生) 특화교육(特化敎育)' 한다더니…국립대 특수학교(特殊學校) 설립(設立) 지지부진(遲遲不進)” . 연합뉴스(聯合뉴스). 2023년(年) 9월(月) 30일(日).  
  33. “융합보안대학원(融合保安大學院)에 강원대(江原大)·부산대·성균관대(成均館大)·순천향대(對)·충남대 선정(選定)” . 전자신문(電子新聞). 2020년(年) 4월(月) 12일(日).  
  34. “부산대학교, 블록체인 분야(分野) 융합보안대학원(融合保安大學院) 유치(誘致) 확정(確定)” . 뉴시스. 2020년(年) 4월(月) 9일(日).  
  35. “부산교대, 부산대와 통합(統合) MOU 체결(締結)한다”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1년(年) 3월(月) 30일(日).  
  36. “19일(日) 부산교대·부산대 통합(統合) MOU…갈등(葛藤) 최정점에 이를 듯”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1년(年) 4월(月) 15일(日).  
  37. “거센 반발(反撥) 속 부산교대-부산대(釜山大) 통합(統合) MOU 체결(締結)”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1년(年) 4월(月) 19일(日).  
  38. 대학(大學)저널. “부산대(釜山大), 환태평양대학협회(環太平洋大學協會) 가입(加入)” . 2023년(年) 10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39. “동남권(東南圈) '창업중심대학(創業中心大學)'에 부산대(釜山大) 선정(選定)” . channelpnu. 2022년(年) 2월(月) 27일(日).  
  40. “부산대(釜山大), '부처(部處) 협업형(協業型) 인재양성사업(人材養成事業)' 5개(個) 분야(分野) 선정(選定)”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2년(年) 7월(月) 5일(日).  
  41. “부처(部處) 협업형(協業型) 인재양성사업(人材養成事業) 143개(個) 대학(大學) 선정(選定)” . 대학(大學)저널. 2022년(年) 7월(月) 21일(日).  
  42. “부산대(釜山大) 수의과대학(獸醫科大學) 설립(設立) 본격(本格) 추진(推進)”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2년(年) 7월(月) 21일(日).  
  43. “`수의대(獸醫大) 신설(新設) 포기(抛棄)하지 않았다` 부산대(釜山大), 교육부(敎育部)에 설립요청서(設立要請書) 제출(提出)” . 데일리벳. 2022년(年) 10월(月) 27일(日).  
  44. “반도체(半導體) 공동연구소(共同硏究所) 부산대가 꿰찼다” . 국제신문(國際新聞). 2023년(年) 5월(月) 15일(日).  
  45. “부산대(釜山大), 반도체(半導體) 중심(中心) 대학(大學) 날개 달았다”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3년(年) 6월(月) 13일(日).  
  46. “부산대(釜山大), 조기취업형(早期就業型) 계약학과(契約學科) 선도대학(先導大學) 육성사업(育成事業) 선정(選定)” . 뉴시스. 2023년(年) 6월(月) 26일(日).  
  47. ' 1천억(千億) 지원(支援)' 지방대(地方大) 10곳 발표(發表)…통폐합(統廢合) 추진(推進) 4곳 모두 합격(合格)” . 뉴시스. 2023년(年) 11월(月) 13일(日).  
  48. “부산대(釜山大)·부산교대 통합추진위원회(統合推進委員會) 출범(出帆)…20일(日) 첫 회의(會議)” . 연합뉴스(聯合뉴스). 2023년(年) 11월(月) 16일(日).  
  49. “부산대(釜山大)·부산교대 최종(最終) 합의(合意)… ‘통합(統合) 부산대(釜山大)’ 닻 올랐다”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4년(年) 4월(月) 23일(日).  
  50. 김광수(金光守) (2012년(年) 5월(月) 10일(日)). “부산대(釜山大) “2030년(年)까지 세계(世界) 100위권(位圈) 진입(進入)”” . 한겨레.  
  51. “부산대학교 학생지원(學生支援)시스템, 교육(敎育) 과정(過程) 안내, 교과목(敎科目) 개요(槪要)(교양과목(敎養科目))” . 2020년(年) 11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3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52. “부산대학교 학생지원(學生支援)시스템, 교육(敎育) 과정(過程) 안내, 교과목(敎科目) 개요(槪要)(전공과목(專攻科目))” . 2020년(年) 11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1년(年) 3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53. “부산대학교 공학교육인증(工學敎育引證) 관련(關聯) 학칙(學則)” .  
  54. “한국공학교육인증원(韓國工學敎育認證院) 홈페이지, 인증소개(引證紹介), 인증혜택(引證惠澤)” .  
  55. “(매우 중요(重要)) 전자전기공학부(電子前期工學部) 공학인증(工學引證) 프로그램 중단(中斷) 관련(關聯) 안내” . 2011년(年) 11월(月) 23일(日).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6. 김동우 (2011년(年) 12월(月) 8일(日)). “일방적(一方的)인 공학인증(工學引證) 종료(終了)에 ‘학생(學生)들 발만 동동’” . 부대신문.  
  57. 박동민 (2006년(年) 7월(月) 27일(日)). “부산대(釜山大), 캠퍼스별(別) 연구(硏究)ㆍ의료(醫療)ㆍ나노로 특화(特化)” . 매일경제(每日經濟).  
  58. 석동빈 (2003년(年) 5월(月) 15일(日)). “(부산(釜山)/경남(慶南))부산대 명칭공모(名稱公募) 결정(決定) '금정-열림(熱淋)캠퍼스 ' . 동아일보(東亞日報).  
  59. 김기현(金起炫) (2006년(年) 12월(月) 8일(日)). “근대건축물(近代建築物) 대거(大擧) 문화재(文化財)로” . 문화일보(文化日報).  
  60. 정호진 (2007년(年) 4월(月) 17일(日)). “(상권(上卷) 大해부(解剖)-3부(部) 지역상권(地域商圈)) (8) 부산대(釜山大) 상권(商圈)‥1020이 주고객(株顧客)…3040 여성(女性)도 가세(加勢)” . 한국경제(韓國經濟).  
  61. 이호진 (2004년(年) 12월(月) 25일(日)). “부산대앞 상권(商圈)이 변(變)한다” . 부산일보(釜山日報).  
  62. “국립(國立) 밀양대 2006년(年)까지 삼랑진(三浪津)으로 이전(移轉)”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2년(年) 9월(月) 17일(日).  
  63. 장혜린 (2012년(年) 3월(月) 8일(日)). “나노대(臺) 밀양(密陽) 수업(授業), 대부분(大部分) 부산(釜山)으로 옮겨” . 부대신문.  
  64. 추슬기(錘瑟機) (2012년(年) 3월(月) 9일(日)). “5년간(年間) 방치(放置)돼 있던 내이(內耳)캠퍼스 결국(結局) 국고(國庫)로” . 부대신문.  
  65. 신동명 (2009년(年) 6월(月) 3일(日)). “부산대(釜山大) 지진실험(地震實驗)센터 준공(竣工)” . 한겨레. 2015년(年) 4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8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66. ' 경북권(慶北權) 감염병전문병원(感染病專門病院)'에 칠곡(漆谷)경북대병원(病院) 선정(選定)” . 뉴스1. 2021년(年) 6월(月) 23일(日).  
  67. “부산대병원(釜山大病院) 아미동캠퍼스 새단장(丹粧)” . 동아일보(東亞日報). 2010년(年) 9월(月) 8일(日).  
  68. https://www.fnnews.com/news/202404251623302819
  69. “9기(期) 한총련의장(議長)에 부산대 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1년(年) 4월(月) 6일(日).  
  70. “한대련 의장(議長) 당선(當選) 이원기 부산대 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 . 부산일보(釜山日報). 2009년(年) 2월(月) 13일(日).  
  71. “[인터뷰] “대학(大學) 언론사(言論社) 최초(最初)로 네이버 입점(入店)해 지역(地域) 대학생(大學生) 이야기 전(傳)하고 싶어”” . 부산일보(釜山日報). 2022년(年) 7월(月) 3일(日).  
  72. “부산대언론(釜山大言論) 부활(復活)의 주역(主役)들 한자리에” . 채널PNU. 2023년(年) 1월(月) 11일(日).  
  73. 이상윤 (2004년(年) 8월(月) 5일(日)). “96년(年) 경찰(警察)에 압수(押收)된 사진(寫眞) 6천(千)컷 부산대(釜山大) '돌려주오 ' . 부산일보(釜山日報).  
  74. 부수정 (2011년(年) 9월(月) 6일(日)). “국내(國內) 최고(最高) 지방(地方) 명문대(名門大)는? 경북대(慶北大)ㆍ부산대 선두(先頭) 쟁탈전(爭奪戰)” . 한국경제(韓國經濟).  
  75. 김재욱 (2008년(年) 10월(月) 14일(日)). “<국감현장(國監現場)>경북대(慶北大) 경쟁상대(競爭相對)는 부산대(釜山大)?” . 뉴시스 . 2012년(年) 10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76. 송아영 (2012년(年) 7월(月) 6일(日)). “부산대(釜山大) 잇따른 잡음(雜音) ‘삐걱’” . 한국대학신문(韓國大學新聞).  
  77. 송지혜 (2010년(年) 12월(月) 14일(日)). " 지방대(地方大) 출신(出身)은 빠릿빠릿하지 못해...서울 없나? " . 오마이뉴스.  
  78. 이철현 (2011년(年) 5월(月) 1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대기업(大企業) 임원(任員) 그들은 누구인가” . 시사저널.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