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반공주의(反共主義)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반공주의(反共主義)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반공주의(反共主義) 포스터

반공주의(反共主義) (反共主義, anti-communism) 또는 반공산주의(反共産主義) (反共産主義)는 공산주의(共産主義) 의 이데올로기 및 그 이데올로기가 따르는 것에 반대(反對)하는 것을 말한다.

냉전(冷戰) 붕괴(崩壞) 이후(以後) 공산주의(共産主義) 정치(政治)를 대표(代表)했던 소련(蘇聯) 의 붕괴(崩壞)로 반공주의(反共主義) 운동(運動)은 세계적(世界的)으로 퇴조(退潮)하는 모습을 보이나 대한민국(大韓民國) 과 같이 공산주의(共産主義) 이념(理念)과 대치(對峙)하는 지역(地域)과 같은 경우(境遇) 주요(主要)한 이데올로기로써 여전히(如前히) 남아 있다.

반공주의(反共主義)를 내세우는 상당수(相當數)의 사람들은 대부분(大部分) 좌우(左右) 정치학(政治學)에서 우익(右翼) 에 속(屬)한 사람으로써 대표적(代表的)으로 자본주의자(資本主義者)는 공산주의(共産主義) 성경(聖經) 에서 근거(根據)하는 공유재산제도(共有財産制度) 등(等)을 비판(批判)하며, 파시즘 을 추종(追從)하는 사람들은 프롤레타리아 혁명(革命)과 같은 계급(階級) 투쟁(鬪爭)을 비판(批判)한다. [1] 한편(한便) 좌파(左派) 내(內)에서도 반공주의적(反共主義的)인 시각(視角)을 가진 세력(勢力)은 아나키스트 들로, 공산주의(共産主義) 혁명(革命)이 국가(國家)의 종식(終熄)이 아닌 공산주의(共産主義) 국가(國家)의 탄생(誕生)으로 인(因)한 중앙집권적(中央集權的) 권력화(權力化)와 당(黨)의 의존(依存)한 일당제(一黨制) 체제(體制)에 대(對)해서 비판(批判)한다. 극단적(極端的)인 반공주의자(反共主義者)의 경우(境遇), 정통(正統) 마르크스 레닌주의(主義) 뿐만이 아니라, 사회주의(社會主義) 와 연관(聯關)되어 있는 사회민주주의(社會民主主義) 와 같은 비슷한 제도(制度)도 맹비난(猛非難)하기도 한다.

세계(世界)의 반공주의(反共主義) [ 편집(編輯) ]

과거(過去) 반공정책(反共政策)을 실시(實施)했거나 공산주의(共産主義)에 적대적(敵對的)이였던 국가(國家)들

미국(美國)의 반공주의(反共主義) [ 편집(編輯) ]

조지프 매카시 에 의(依)해 무분별(無分別)한 반공주의(反共主義)의 광풍(狂風)이 불어닥친 시대(時代)를 일컫는 매카시즘 시대(時代) 당시(當時)에는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로 의심(疑心)받는 자(者)는 직장(職場)에 도태(淘汰)되거나 국외(國外)로 추방(追放)되었다. 이를테면 찰리 채플린 의 경우(境遇) 영화(映畫) 《모던 타임즈》가 자본주의(資本主義)를 비판(批判)하는 내용(內容)이어서,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로 의심(疑心)받아 추방당하는 수모(受侮)를 받았다. 그외(外) 독일계(獨逸系) 공산주의(共産主義) 작가(作家)인 베르톨트 브레히트 도 반공주의자(反共主義者)들의 탄압(彈壓)으로 동독(東獨) 으로 떠나기도 했다. 매카시즘 은 근거(根據) 없는 마녀(魔女)사냥으로 불리어 희생자(犧牲者)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였고, 이후(以後) 비판(批判)을 많이 받았으나, 냉전(冷戰) 기간(期間) 당시(當時)에 미국(美國) 정가(定價) 내(內)에 잠입(潛入)한 소련(蘇聯) 의 간첩(間諜)을 찾아낸 적도 있었다. [2]

미국(美國)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大統領) 은 ' 공산주의(共産主義) 희생자(犧牲者)를 위한 국가기념일(國家記念日)’에 대(對)한 메시지에서 "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 들의 탄압(彈壓)의 결과(結果)로 사망(死亡)한 1억(億) 명(名) 이상(以上)의 사람들을 추도(追悼)한다"며, "오늘날 우리는 자유(自由)와 정의(正義), 그리고 모든 인간(人間)의 삶의 가치(價値)에 대(對)한 깊은 존경(尊敬) 등(等) 민주주의(民主主義) 의 핵심(核心) 원칙(原則) 위에 세워진 평화(平和)와 번영(繁榮)의 미래(未來)를 모든 사람이 지킬 수 있도록 돕겠다는 우리의 약속(約束)을 거듭 강조(强調)한다." 라고 한 반공주의적(反共主義的)인 선언(宣言)을 한 적도 있었다.

일본(日本)의 반공주의(反共主義) [ 편집(編輯) ]

20세기초(世紀初) 지식인(知識人)들에 의(依)해서 유입(流入)된 사회주의(社會主義)는 대역사건(大逆事件) ( 1910년(年) ),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 1925년(年) )등(等)으로 탄압(彈壓)받았다. 1930년대(年代) 군부(軍部)가 권력(權力)을 잡은 뒤에도 일본공산당원 등(等)의 좌파(左派) 인사(人士)들 중(中)에는 고문(拷問) 과 회유(懷柔) 때문에 사상(思想) 전향(轉向)을 한 사람도 있다고 한다. 1947년(年) 일본(日本)이 완전히(完全히) 민주주의(民主主義) 형태(形態)의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로 들어설 당시(當時) 공산주의(共産主義)를 합법화(合法化)했지만, 1950년대(年代) 후반(後半)에 들어서 반공주의(反共主義)가 강화(强化)된 일본(日本)에서는 공산주의(共産主義) 및 이와 유사(類似)한 계열(系列)의 사상(思想)들이 쉽게 사회(社會)에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에 대(對)한 반응(反應)으로 1960년대(年代) 부터 1970년대(年代) 까지 몇몇 좌익(左翼) 세력(勢力)들은 일본(日本) 적군파(赤軍派) (일본(日本) 무장투쟁단체(武裝鬪爭團體))와 같은 테러리즘 과 같은 행위(行爲)로써 자신(自身)의 정치적(政治的)인 표출(表出)을 하였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반공주의(反共主義) [ 편집(編輯)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인(人) 1920년대(年代) 자유시(自由詩) 참변(慘變) 이나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독립운동(獨立運動)에 있어 방법론(方法論)에 있어 차이(差異)가 있어 사회주의자(社會主義者)와 민족주의자(民族主義者) 간(間)의 갈등(葛藤)에서 시작(始作)된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의 반공주의(反共主義)는 해방(解放) 직후(直後) 만주(滿洲) 한반도(韓半島) 북부(北部)에 진주(進駐)한 소련군(蘇聯軍) 들의 기독교(基督敎) 탄압(彈壓)과 소유(所有)를 공유화(共有化)하는 것에 대(對)한 반발(反撥)로 한반도(韓半島) 이북(以北)에 거주(居住)하는 주민(住民)들이 대규모(大規模)로 월남(越南)하면서 견고(堅固)하게 형성(形成)되었다.

건국직후(建國直後)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반공주의(反共主義) 이념(理念)은, 사상(思想)의 자유(自由)가 보장(保障)되는 민주주의(民主主義) 이념(理念)과 맞지 않아 헌법(憲法) 이나 법률(法律)에 의(依)해 공식적(公式的)으로 선언(宣言)된 것은 아니며 단지(但只) 재산권(財産權) 을 침해(侵害)하는 공산주의(共産主義) 에 대항(對抗)하여 경제적(經濟的) 자유(自由)를 지킬 목적(目的)으로 시행(施行)하였으나, 이후(以後) 1948년(年) 여수(麗水)·순천(順天) 사건(事件) 이후(以後) 제정(制定)된 국가보안법(國家保安法) 에 근거(根據)하여 시장(市場)의 자유(自由)를 중시(重視)하는 자본주의(資本主義) 체제(體制)에 반(反)하는 공산주의(共産主義) 활동(活動)에 대(對)해 국가변란(國家變亂)이라고 하면서 본격적(本格的)으로 강력(强力)한 반공정책(反共政策)을 시행(施行)하였다. 이는 정부(政府) 정책(政策)을 비판(批判)하는 사람들을 탄압(彈壓)하는데 활용(活用)되기도 하여 한국전쟁(韓國戰爭) 기간(期間) 및 전후(前後) 이승만(李承晩) , 박정희(朴正熙) , 전두환(全斗煥) 대통령(大統領) 시절(時節)에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 들이 반정부적(反政府的)인 행위(行爲)를 했다는 이유(理由)로 국외(國外)로 추방(追放)되거나 처벌(處罰)되었으며, 거창(居昌) 양민(良民) 학살(虐殺) 사건(事件) , 인혁당 사건(事件) , 동백림 사건(事件) 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968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政府)는 국가재건과업(國家再建課業)의 제(第)1목표(目標)인 반공체제(反共體制)를 강화(强化)함으로써 국가(國家)의 안전(安全)을 위태롭게 하는 공산계열(共産系列)의 활동(活動)을 봉쇄(封鎖)하고 국가(國家)의 안전(安全)과 국민(國民)의 자유(自由)를 확보(確保)함을 목적(目的)으로 하는 반공법(反共法) 을 제정(制定)하면서 국가보안법(國家保安法) 제(第)1조(條)에서 정(定)한 단체(團體) 중(中)에서 "공산계열(共産系列)의 노선(路線)에 따라서 활동(活動)하는 단체(團體)"를 특정하여 법률(法律)에 의(依)하여 반공주의(反共主義)를 공식화(公式化)하였다. 현재(現在) 법률상(法律上) 공식적(公式的)인 반공주의(反共主義)는 1980년(年)에 폐지(廢止)되어 존재(存在)하지 않으나 여전히(如前히) 대한민국(大韓民國) 사회(社會) 내(內)에서 강(强)한 정치적(政治的)인 논쟁(論爭)거리로 남아있다.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는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부터 가톨릭 액션 이라는 가톨릭 교회(敎會) 평신도(平信徒)들의 사회운동(社會運動)을 통해 반공(反共)을 가장 중요(重要)한 목표(目標)로 삼았다. 한국(韓國)의 가톨릭교회는 1920년대(年代) 초(初)부터 교황(敎皇)의 반공적(反共的) 교서(敎書)들을 소개(紹介)하는 방식(方式)으로 가톨릭 교리(敎理)와 반공주의(反共主義)가 결합(結合)되었다. 당시(當時) 천주교(天主敎)의 최고(最高) 지도자(指導者)들은 앞장서서 신자(信者)들의 반공적(反共的) 행동(行動)을 촉구(促求)하였다. 노기남(盧基南) 주교(主敎)는 총선거(總選擧)를 앞두고 관할교구(管轄敎區) 교회(敎會)들에 공문(公文)을 보내 "공산주의적(共産主義的) 세력(勢力) 밑에 강제(强制) 노동(勞動)을 하고 있는 노동자(勞動者)들이 하루 바삐 천주(千株)께서 주신 인권(人權)과 자유(自由)를 찾기 위하여, 또 그리스도를 반대(反對)하는 공산주의자(共産主義者)들이 회개(悔改)하기 위하여"성모께 특별(特別)한 전구(電球)를 간청(懇請)할 것을 명(命)했다. 또 1950년(年)2월(月) 주교(主敎)들은 교회(敎會)의 사회적(社會的) 입장(立場)을 집대성(集大成)한 공동교서(共同敎書) '사회질서(社會秩序) 재건(再建)에 대(對)하여 교도(敎徒)와 동포(同胞)에게 고함(高喊)'에서 "공산주의(共産主義)야말로 인민(人民)의 아편(阿片)'이라고 주장(主張)했다. [3]

기타(其他) 국가(國家)들의 반공주의(反共主義) [ 편집(編輯) ]

터키 , 모로코 , 태국(泰國) , 칠레 , 콘도르 작전(作戰) 에 동참(同參)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國家)들이 등(等)이 과거(過去)에 강력(强力)한 반공주의(反共主義) 정책(政策)을 실시(實施)하였다.

대(對)한 비판(批判) 및 반박(反駁) [ 편집(編輯) ]

반공주의자(反共主義者)들은 사회적(社會的) 불평등(不平等)과 갈등(葛藤)의 원인(原因)을 개인(個人)의 의지박약(意志薄弱)이나 외부(外部)의 선동(煽動) 등(等)으로 돌리면서 노력(努力)하기만을 강요(强要)하고, 평등(平等)을 위한 진정성(眞情性)을 보이지 않는다라는 이유(理由)로 비판(批判)받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연유(緣由) 공산주의(共産主義) 이념(理念)에 따라 자본주의(資本主義)를 비판(批判)할 경우(境遇) 전체주의적(全體主義的), 독재주의적(獨裁主義的) 명분(名分)을 내세워 무력(武力)을 행사(行使)하여 개개인(個個人)을 탄압(彈壓)하여 비판(批判)받는 경우(境遇)도 많다. 반면(反面) 한반도산주의(韓半島山注意)]] 이념(理念)을 따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 무력혁명(武力革命)을 통해 사회(社會)를 개혁(改革)하여 사회적(社會的) 평등(平等)을 완성(完成)하려는 시도(試圖)가 먼저 있었고, 그 과정(過程)에서 민간인(民間人)이 희생(犧牲)된 사건(事件) 또한 많이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 채택(採擇)한 인민민주주의(人民民主主義) , 주체사상(主體思想) 도 형식상(形式上)으로는 대의민주주의(代議民主主義) 에 속(屬)하지만, 실제로(實際로)는 항상(恒常) 공산당(共産黨)의 의견(意見)을 따르게 함으로써 국민(國民)의 기본권(基本權) 침해(侵害) 및 민주주의(民主主義) 의 후퇴(後退)가 발생(發生)하는 사태(事態)가 발생(發生)하여 이와 대치(代置)되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등지(等地)에서 반공주의(反共主義)가 정당화(正當化)되는 경우(境遇)도 많았다.

반공주의(反共主義) 문학(文學)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Welch, David. Modern European History, 1871-2000. p. 57
  2.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60711271
  3. 강인철《한국천주교의역사사회학(韓國天主敎醫歷史社會學)》(한신대학교(學校) 출판부(出版部), P 133~134)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