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민족일보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민족일보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민족일보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종류(種類) 일간지(日刊紙)
창간일(創刊日) 1961년(年) 2월(月) 13일(日)
폐간일(廢刊日) 1961년(年) 5월(月) 19일(日)
조용수

민족일보 (民族日報)는 1961년(年) 2월(月) 13일(日) 부터 1961년(年) 5월(月) 19일(日) 까지 발행(發行)되었던 대한민국(大韓民國) 진보(進步) 성향(性向) 일간지(日刊紙)였다. 발행인(發行人)은 조용수 였고, 논설위원(論說委員)은 송지영 , 양호민 이었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이승만(李承晩) 의 하야(下野)로 치러진 1960년(年) 5대(代) 총선(總選) 에서 사회대중당(社會大衆黨) 을 창당(創黨)한 진보세력(進步勢力)은 민의원(民議員) 4석(席), 참의원(參議院) 1석(席)의 대참패(大慘敗)를 당(當)하며 자유당(自由黨)이 몰락(沒落)한 국회(國會)에서 민주당(民主黨) 의 일당독주(一黨獨走)를 허용(許容)했다.

창간(創刊) [ 편집(編輯) ]

조용수 , 양호민 등(等)의 진보성향(進步性向) 언론인(言論人)들은 진보정당(進步政黨)의 재건(再建) 및 대북강경책(對北强勁策)의 허구(虛構)를 국민(國民)들에게 알리는 언론(言論)이 필요(必要)하다는 것을 간파(看破)하고, 망명정객(亡命政客) 이영근 을 통해 민단(民團) 으로부터 자금(資金)을 조달(調達)받아 1961년(年) 2월(月) 13일(日) 에 민족일보를 창간(創刊)한다. 이 신문(新聞)은 창간(創刊) 준비(準備) 당시(當時)에는 ‘대중일보(對中一步)(大衆日報)’라는 이름으로 시작(始作)하였다가, ‘민족일보’로 바꾸어 등록허가(登錄許可)를 받은 블랭킷판 4면제(免除)의 단간제(制)(單刊制) 신문(新聞)이었다. [1]

창간(創刊) 이전(移轉)인 1월(月) 29일(日), 민주당(民主黨) 김준섭 의원(議員)으로부터 "내달(來달) 2월(月) 13일(日)에 창간(創刊)한다는 신문(新聞)이 조총련(朝總聯) 의 자금(資金)을 조달(調達)받아서 만든다더라"라고 색깔론(色깔論) 공세(攻勢)를 받았다. 이에 국무원(國務院) 사무처(事務處)가 민족일보(民族日報)를 인쇄(印刷)하고 있던 서울신문(서울新聞) (당시(當時) 정부(政府) 직할기업체(直轄企業體))에 대(對)하여 민족일보(民族日報) 인쇄(印刷)를 즉각(卽刻) 중지(中止)하라는 통고(通告)를 하였다. 이때문에 민족일보는 3일간(日間) 휴간(休刊)하였다. 국무원(國務院) 사무처측(事務處側)에서는 인쇄계약(印刷契約)이 정부(政府)의 사전양해(事前諒解)없이 이루어졌고 언론창달(言論暢達)과 정부(政府)의 재산관리(財産管理)는 별개(別個)라는 입장(立場)을 보였다. 민족일보 측(側)에서는 분명(分明)한 언론탄압(言論彈壓)이며 손해배상(損害賠償) 소송(訴訟)과 국제신문인협회(國際新聞人協會)에 고발(告發)하겠다고 하였다. 당시(當時) 민주당 대변인(代辯人)은 정부관리하(政府管理下)의 기업체(企業體)에게 정부(政府)가 어떤 지시(指示)를 내리든 정부(政府)의 재량(裁量)이지만 공익기관인(公益機關人) 신문(新聞)이므로 민족일보측(民族日報側)에 5일전(日前) 미리 통고(通告)하여 여유(餘裕)를 주는게 옳았다고 하였다. [2] 신문(新聞)의 논조(論調)는 북한(北韓)을 "북괴(北傀)"로 지칭(指稱)하고, 김일성(金日成)을 니키타 흐루쇼프의 꼭두각시"로 묘사(描寫)하는 등(等) 반공주의(反共主義) 성향(性向)에 충실(忠實)했다.

폐간(廢刊) [ 편집(編輯) ]

1961년(年) 5·16 군사정변(軍士政變) 으로 정권(政權)을 탈취(奪取)한 박정희(朴正熙) 가 "용공분자(容共分子) 색출(索出)"이라는 목적(目的) 하(下)에 대북강경책(對北强勁策)과 노동자(勞動者) 탄압(彈壓)을 비판(批判)해오던 민족일보(民族日報)를 희생양(犧牲羊)으로 삼아 발행인(發行人) 조용수와 논설위원(論說委員) 송지영을 비롯한 민족일보(民族日報) 수뇌부(首腦部) 10인(人)을 구속(拘束)한 뒤 5월(月) 19일(日) 92호(號)를 마지막으로 폐간(廢刊) 선고(宣告)를 내렸고, 10월(月) 31일(日) 최종공판(最終公判)에서 조용수, 안신규(新規), 송지영에게 사형(死刑)을 선고(宣告)했다.

송지영 논설위원(論說委員), 안신규(新規) 감사(監査) 등(等)은 무기징역형(無期懲役刑)을 받았다.

1961년(年) 12월(月) 20일(日) 박정희(朴正熙)가 형(兄)을 재가(再嫁)한 다음날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에서 조용수에 대(對)한 사형(死刑)이 집행(執行)되었다. [3]

1961년(年) 9월(月) 공부보의(工夫補宜) 자료(資料)에 의(依)하면, 당시(當時) 동아일보가 23만(萬) 3,774부(部), 한국일보가 17만(萬) 4,565부(部), 조선일보(朝鮮日報) 13만(萬) 3,368부(部), 경향신문이 8만(萬) 185부(部), 민족일보가 4만(萬) 532부(部)를 발행(發行)했다. 창간(創刊) 첫해에 민족일보가 가두판매(街頭販賣)만으로 4만(萬) 여부(與否)나 팔려 당시(當時) 민족일보(民族日報)에 대(對)한 국민(國民)들의 폭발적(暴發的)인 반응(反應)을 알 수 있다. [4]

명예회복(名譽回復) [ 편집(編輯) ]

국내외(國內外) 각계(各界)의 진정(陳情)과 호소(呼訴)로 사형언도자(死刑言渡子) 3명(名) 중(中) 감사(感謝) 안신규(新規)(安新奎), 논설위원(論說委員) 송지영 (宋志英)은 무기징역(無期懲役)으로 감형(減刑)되었으나, 사장(社長) 조용수는 사형(死刑)이 집행(執行)되었다. 이른바 ‘민족일보사건(事件)’이라 일컬어지는 이 사건(事件)은 명목상(名目上)으로 신문인(新聞人)이 극형(極刑), 또는 중형(重刑)을 받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의 필화사건(筆禍事件)이다. 《민족일보》와 조용수 사건(事件)은 지난 2006년(年) 11월(月) 과거사위원회(過去事委員會) 로부터 명예(名譽)를 회복(回復) 받았고, 2008년(年) 1월(月) 16일(日)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刑事合議)22부(部)가 재심(再審)에서 북한(北韓)의 활동(活動)에 동조(同調)했다는 특수범죄(特殊犯罪) 처벌(處罰)에 관(關)한 특별법(特別法) 혐의(嫌疑)로 사형(死刑)이 선고(宣告)됐던 조용수에게 무죄(無罪)를 선고(宣告)했다. [3]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韓國民族文化大百科)” .  
  2.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1030300329101023&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61-03-03&officeId=00032&pageNo=1&printNo=4637&publishType=00010 민족일보 중지조치(中止措置) 국무원사무처(國務院事務處) ], 경향신문(京鄕新聞), 1961년(年) 3월(月) 3일(日)
  3.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4. 현대인물열전(現代人物列傳)-조용수 Archived 2016년(年) 3월(月) 10일(日) - 웨이백 머신 (pdf)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