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미망(迷妄)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미망(迷妄)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미망(迷妄)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6년(年) 10월(月) 23일(日) ~ 1997년(年) 5월(月) 1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수,목 밤 9시(時) 50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방송(放送) 횟수(回數) 56부작(部作)
원작(原作) 박완서
기획(企劃) 이은규
연출(演出) 소원영
극본(劇本) 임충
출연자(出演者) 채시라 , 최불암 , 김수미 , 홍리나 , 김상중 외(外)

미망(迷妄) 》은 1996년(年) 10월(月) 23일(日) 부터 1997년(年) 5월(月) 1일(日) 까지 방영(放映)한 문화방송 수목(水木)드라마 작품(作品)이다.

해프닝 관련(關聯) 이모저모 [ 편집(編輯) ]

한편(한便), 이 드라마는 원작(原作)과는 전혀(全혀) 다른 이야기 전개(展開)로 논란(論難)이 일기도 했다. [1]

그리고 2019년(年) 개국(開國)한 MBC ON 에서 다시 방송(放送) 중(中)이고 극적(劇的) 흥미(興味)를 위해 원작(原作)에 없었던 전태임(채시라 분(分)) 이종상(김상중 분(分)) 박승재(전광렬 분(分))의 삼각관계(三角關係)를 크게 부각(浮刻)시켰으며 [2] 이 과정(過程)에서 승재가 친구(親舊)의 아내인 태임에게 "태임씨(氏)"란 호칭(呼稱)을 쓴 점(點), 태임과 승재가 술집에서 만나 술을 마시고, 질투(嫉妬)에 눈먼 승재의 아내(강문영 분(分))가 남편(男便)의 얼굴을 할퀴는 동시(同時)에 양주(洋酒)를 마시며 밤을 새운다는 내용(內容)을 삽입(揷入)시켰는데 태임의 딸인 여란이 승재(升齋)에게 연정(戀情)을 품은 뒤 승재의 부인(夫人)이 보는 앞에서 입을 맞추고 전화(電話)의 사용(使用)이 일상적(日常的)인 데다 기차(汽車) 안에서 "이번(이番)에 내리실 역(驛)은 ○○입니다"라는 현대적(現代的)인 안내방송(案內放送)이 나온 점(點), 남편(男便)이 아내를 자전거(自轉車) 뒤에 태우고 마을을 돌아다니는 장면(場面)이 사극(史劇)으로서 최소한(最小限)의 역사인식(歷史認識)도 결여(缺如)한 것인 한편(한便) 보는 이에게 실소(失笑)를 자아냈다는 혹평(酷評)이 있었다. 게다가, 1997년(年) 1월(月) 30일(日) 방영분(放映分) 중(中) 채시라 (전태임 역(役))가 수술(手術)을 받는 장면(場面)에서 벗은 어깨를 유난히 강조(强調)했으며 [3] 최불암 (전처(前妻)만 역(驛))이(李) 칼부림을 당(當)하는 장면(場面)이나 일본인(日本人)의 앞잡이를 폭행(暴行)하는 장면(場面)에서 잔혹(殘酷)한 느낌을 주었다는 혹평(酷評)이 있었고 김주승 이 해당(該當) 작품(作品)에 캐스팅되어 연습(練習)까지 몇 차례(次例) 했지만 [4] 돈 문제(問題)로 파기(破棄)한 뒤 SBS 《 형제(兄弟)의 강(江) 》으로 옮겨 MBC 측(側)으로부터 항의(抗議)를 받아왔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결방(決放) 및 2회(回) 연속(連續) 방영(放映) [ 편집(編輯) ]

  • 1996년(年) 12월(月) 18일(日) : 17~18회(回) 연속(連續) 방영(放映)
  • 1996년(年) 12월(月) 19일(日) : 특집(特輯) 자연(自然) 다큐멘터리 〈황새〉 1~2부(部) 편성(編成)으로 결방(決放)
  • 1997년(年) 1월(月) 1일(日) : 특집(特輯) MBC 뉴스데스크 로 인(因)해 순연(順延)되어 10시(時)부터 21~22화(話) 연속(連續) 방영(放映)
  • 1997년(年) 1월(月) 2일(日) : 신년(新年) 특선영화(特選映畫) 《 미세스 다웃파이어 》 편성(編成)으로 결방(決放)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1996년(年) 10월(月) 23일(日)부터 1997년(年) 2월(月) 27일(日) 최종회(最終回)까지 <미망(迷妄)>과 경쟁(競爭)한 KBS 2TV 머나먼 나라 의 전작(前作)인 전설(傳說)의 고향(故鄕) 은 당초(當初) 사극(史劇) 조광조 후속(後續) 월화(月火)드라마로 기획(企劃)되었으나 <미망(迷妄)>의 집필자(執筆者)이면서 전설(傳說)의 고향(故鄕) 원작자(原作者)였던 임충 작가(作家)가 본인(本人)의 또다른 작품(作品)인 SBS 사극(史劇) 만강(萬康) 과 같은 시간(時間)에 방영(放映)되는 것을 원(願)하지 않자 [5] 미니시리즈 컬러 후속(後續) 수목극(水木劇)으로 기획(企劃)됐던 신고(申告)합니다 와 편성(編成)을 맞바꿨다.
  • 하지만 수목(水木)드라마 경쟁자(競爭者)인 KBS 2TV 머나먼 나라 와 SBS TV 형제(兄弟)의 강(江) 시청률(視聽率)로 인하여 고전(苦戰)면치못하게 될 뻔 했으나 SBS의 형제(兄弟)의 강(江) 이 끝난 뒤 상승(上昇)했다.
  • 당초(當初) 50부작(部作) 예정(豫定)이었으나 56부작(部作)을 6회(回)를 늘려 잔여(殘餘) 횟수(回數) 시청률(視聽率)이 크게 좋아졌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양성희 (1997년(年) 1월(月) 17일(日)). “드라마에서는 ‘원작(原作)의 감동(感動)’ 살릴 수 없나”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16년(年) 2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양성희 (1997년(年) 4월(月) 1일(日)). “MBC[미망(迷妄)] KBS[용의눈물], 어이없는 史劇”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20년(年) 7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양성희 (1997년(年) 2월(月) 10일(日)). “TV속 性과 폭력(暴力) ‘위험수위(危險水位)’”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20년(年) 7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4. 박중현 (1996년(年) 9월(月) 3일(日)). “연기자(演技者) 출연약속(出演約束) 위반(違反) TV3사(社)(社) PD 공동대응(共同對應)”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20년(年) 7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5. 김경애 (1996년(年) 6월(月) 28일(日)). “차인표(車仁杓)-장동건 2년(年)만의 승부(勝負)” . 한겨레신문(新聞) . 2016년(年) 1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문화방송 수목(水木)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강가(江가)에 앉아서 울다
(1996년(年) 10월(月) 16일(日) ~ 1996년(年) 10월(月) 17일(日))
미망(迷妄)
(1996년(年) 10월(月) 23일(日) ~ 1997년(年) 5월(月) 1일(日))
내가 사는 이유(理由)
(1997년(年) 5월(月) 7일(日) ~ 1997년(年) 10월(月) 9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