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문희옥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문희옥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문희옥
기본(基本) 정보(情報)
출생(出生) 1969년(年) 7월(月) 27일(日) ( 1969-07-27 ) (54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강원도(江原道) 태백시(太白市)
(현(現)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태백시(太白市) )
성별(性別) 여성(女性)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거주지(居住地)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장르 트로트
학력(學歷) 서울예술전문대학(藝術專門大學) 실용음악학과(實用音樂學科) 전문학사(專門學士) (졸업(卒業))
가족(家族) 남편(男便)
어머니 김한순
아들 김동건
언니 문희자
종교(宗敎) 개신교(改新敎) ( 순복음 )
소속사(所屬社) 무소속(無所屬)
웹사이트 다음 펜카페
대표곡(代表曲)
천방지축(天方地軸) 1987년(年)
삼수갑산(三水甲山) 비둘기 1987년(年)
빈손 1987년(年)
가는 님 가는 정(情) 1988년(年)
사랑의 거리 1989년(年)
강남(江南) 멋쟁이 1990년(年)
성(性)은 김이요 1991년(年)
사랑은 촛불 1991년(年)
순정(純情) 1993년(年)
현해탄(玄海灘) 1993년(年)
해변(海邊)의 첫사랑 1994년(年)
정(情) 때문에 1998년(年)
하늘 땅만큼 2002년(年)
미스터 박(朴) 2004년(年)
사랑이 남아있을 때 2006년(年)
반달(半달)손톱 2013년(年)
이봐요 2013년(年)
정읍사(井邑詞) 2017년(年)
평행선(平行線) 2019년(年)

문희옥 (文喜玉, 1969년(年) 7월(月) 27일(日) ~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가수(歌手) 이다.

현재(現在) 거주지(居住地)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문희옥은 강원도(江原道) 태백시(太白市) 에서 2남(男) 3녀(女) 중(中)에서 4째로 태어났다. 이후(以後) 학업(學業)을 위해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로 상경(上京)하였으며, 서울 은광여자고등학교(女子高等學校) 2학년(學年)에 재학(在學) 중(中)이던 1986년(年)에 학교(學校) 장기(長技)자랑에서 주현미 의 〈비내리는 영동교(永東橋)〉를 불러 실력인정(實力認定)을 받아 작곡가(作曲家) 안치행이 운영(運營)하던 소속사(所屬社) 안타(安打)프로덕션에서 1여년간(餘年間) 트레이닝을 받았다. 그리고 1987년(年) 에 전라도(全羅道), 경상도(慶尙道), 함경도(咸鏡道) 등(等) 지방(地方) 사투리 창작곡(創作曲)들을 담은 《8도(度) 디스코 사투리 메들리》(이호섭 작사(作詞)/안치행 작곡(作曲))를 발표(發表)하며 가수(歌手)로 데뷔하였다. 데뷔 당시(當時) 문희옥은 고등학교(高等學校) 3학년(學年) 재학(在學) 중(中)에 있었으며 《8도(度) 디스코 사투리 메들리》에 수록(收錄)된 노래 《천방지축(天方地軸)》( 전라도(全羅道) 사투리 ), 《삼수갑산(三水甲山) 비둘기》( 함경도(咸鏡道) 사투리 ) 등(等) 각(各) 지방(地方)의 사투리 노랫말로 구성(構成)된 창작곡(創作曲)들을 감칠맛나게 불러 당시(當時) 일주일(一週日) 만에 360만장(萬張)이라는 어마어마한 음반판매량(音盤販賣量)을 기록(記錄)했다. 데뷔와 동시(同時)에 큰 성과(成果)를 거두자 자신(自身)이 다니던 고등학교(高等學校)의 주선(周旋)으로 학교(學校) 강당(講堂)에서 생애(生涯) 처음으로 리사이틀 공연(公演)을 하였다. 하지만 기대(期待)했던 만큼이나 성공(成功)을 거두지 못했는데 그 이유(理由)는 문희옥처럼 하이틴 스타가 트로트 장르를 한다는 것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시(當時) 시대상(時代相)으로 사투리는 공중파(空中波) 무대(舞臺)에서 활동(活動)하기가 금지(禁止)되었기 때문에 그 해에 표준어(標準語) 가사(歌詞)로 된 앨범 《빈손》(이정화 작사(作詞)/안치행 작곡(作曲))을 발표(發表)하였다.

1988년(年) 문희옥은 어려운 가정형편(家庭形便) 속에서도 열심히(熱心히) 공부(工夫)하여 서울예술대학(藝術大學) 실용음악학과(實用音樂學科)에 입학(入學)하였고 대학생(大學生) 가수(歌手)가 되었으며 그 해 슬로우 템포의 정통(正統) 트로트 《가는 님 가는 정(情)》(정은이 작사(作詞)/ 남국인 작곡(作曲))을 발표(發表)하였다. 데뷔와 동시(同時)에 큰 성과(成果)를 거두어 대중(大衆)들의 사랑을 받았던 문희옥은 1989년(年)에 정통(正統) 트롯 리듬을 경쾌(輕快)하게 현대화(現代化)한 폭스트롯 《사랑의 거리》(정은이 작사(作詞)/ 남국인 작곡(作曲)/ 김용년 편곡(編曲))로 방송(放送) 음악다방(音樂茶房) 등지(等地)의 인기(人氣)차트에서 상위권(上位圈)에 올라 가수(歌手)로서의 전성기(全盛期)를 맞이하면서 트로트 가수(歌手)의 막내로서 기대(期待)를 모았다. 《 사랑의 거리 》는 정재은 이 1984년(年)에 먼저 취입(吹入)하여 불렀는데 2절(節)까지 밖에 없었는데 문희옥이 2집(輯) 타이틀곡(曲)으로 리메이크 하면서 2절(節)이 끝나고 1절(節)을 한번(番) 더 반복(反復)하면서 3절(節)로 하였다. 또한 일본(日本) 오사카에서 교포(僑胞) 위문(慰問) 공연(公演)을 시작(始作)으로 일본(日本)에도 진출(進出)하였다. 문희옥은 1990년(年)에 《강남(江南) 멋쟁이》(정은이 작사(作詞)/ 남국인 작곡(作曲))가 히트하여 인기가도(人氣街道)를 달리고 있을 때 당시(當時) KBS 가요대상(歌謠大賞)을 수상(受賞)한 선배가수(先輩歌手) 현철(賢哲) 과 혼성(混成)듀엣으로 《잘했군 잘했어 메들리》를 발표(發表)하였는데 기존(旣存)에 무명가수(歌手)가 혼성(混成) 듀엣한(限) 음반(音盤)이 아닌 인기가수(人氣歌手)로서 혼성(混成) 듀엣한(限) 음반(音盤)으로서 처음이었다. 그리고 《항구(港口) 메들리》, 《해금가요(解禁歌謠) 메들리》 등(等)을 발표(發表)하면서 기존(旣存)의 메들리 음반(音盤)을 발표(發表)하고 정통(正統) 트로트를 고수(固守)하던 이미자(李美子) , 김연자 , 주현미 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몇 안되는 정통(正統) 트로트 가수(歌手)이자 메들리 가수(歌手)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1991년(年)에 발표(發表)한 엔카풍(風)의 정통(正統) 트로트 《성(性)은 김이요》(조동산 작사(作詞)/ 원희명 작곡(作曲))는 문희옥하면 떠오르는 노래 중(中) 하나로 손 꼽히며 당시(當時) 제(第)14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 때 김씨(金氏) 후보자(候補者)들에게 전폭적(全幅的)인 지지(支持)를 받으면서 상위권(上位圈)에 재도입(再導入)에 성공(成功)했다. 그리고 선거철(選擧철)을 맞아 각(各) 유세장(遊說場)에서 가사(歌詞)바꿔 부르기 노래로 각광(脚光)을 받아 드디어 트로트계(界) 정상(頂上)의 자리에 안착(安着)했다.

데뷔와 동시(同時)에 트로트 장르에서 최고(最高) 가수(歌手)로 명성(名聲)을 떨치던 문희옥은 1990년(年) 대(代) 《순정(純情)》, 《해변(海邊)의 첫사랑》, 《현해탄(玄海灘)》을 히트시키며 트로트 여제(女帝)로 등극(登極)하였지만 락(落) , 댄스 음악(音樂)이 1990년(年) 대(臺)에 대한민국(大韓民國) 가요계(歌謠界)의 주류(主流)를 이루었고 포크 , 트로트 음악(音樂)은 슬럼에 빠졌다. 그 중(中)에서 정통(正統) 트로트를 고수(固守)하는 가수(歌手)였던 문희옥은 방송출연(放送出演) 비중(比重)이 줄어들었다. 1995년(年)에 회사원(會社員) 김(金) 씨(氏)와 결혼(結婚)한 이후(以後) 약(約) 3년간(年間) 공백기(空白期)를 가지게 되었지만 1998년(年)에서야 《정(情) 때문에》(박용진 작사(作詞)/ 박용진(朴用鎭) 작곡(作曲))가 히트하면서 가수(歌手) 재개(再開)에 성공(成功)하였다. 문희옥은 주로(主로) 트로트 음악(音樂)을 하였으나 지금(只今)까지의 정통(正統) 트로트에서 벗어난 세미(美) 트로트 장르를 시도(試圖)하기도 했다. 그 중(中) 2002년(年)에 발표(發表)한 《하늘 땅만큼》(정찬우 작사(作詞)/ 김정호 작곡(作曲))은 패스트 템포 리듬의 트로트로 자신(自身)의 음악적(音樂的) 성향(性向)을 다양하게 해주는 색다른 음악(音樂)이었다. 2006년(年)에는 《사랑이 남아있을 때》(김병걸 작사(作詞)/ 임종수 작곡(作曲))를 발표(發表)하고 정통(正統) 트로트로 성향(性向)을 바꿔 다시금 트로트 여제(女帝)의 영향력(影響力)을 행사(行使)했다. 특히(特히) 문희옥은 다양한 음악(音樂) 장르를 소화(消化)해내며 SBS 오락(娛樂)프로그램 《 도전(挑戰) 1000곡(曲) 》에서 여러번(番) 우승(優勝)을 거머쥐고 2011년(年)에 방송(放送)한 tvN 오락(娛樂)프로그램 《오페라스타 2011》에 출연(出演)하여 실력파(實力派) 가수(歌手)로 인정(認定)받았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데뷔 [ 편집(編輯) ]

정규(正規) 앨범 [ 편집(編輯) ]

번호(番號) 음반(音盤) 정보(情報) 트랙 리스트
1 문희옥 1집(輯)
  1. 가는 님 가는 정(情)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2. 당신(當身)을 보내지 않았어요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3. 청춘(靑春) 걸음마 (남석현 作詞/남석현 作曲)
  4. 가지 말아요 (성윤 作詞/남석현 作曲)
  5. 이별(離別) 약속(約束)은 없었잖아요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6. 미련(未練) 때문이야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7. 당신(當身)을 위해 (추세호 作詞/추세호 作曲)
  8. 나 어떻게 되버려도 (추세호 作詞/추세호 作曲)
  9. 그대 일로해(一路海) (추세호 作詞/추세호 作曲)
  10. 달래 아씨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1. 잊을꺼야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2. 우리는 좋아해요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3. 이 세상(世上)의 어린이 (건전가요(健全歌謠))
2 문희옥 2집(輯)
  1. 사랑의 거리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2. 팔도(八道) 아줌마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3. 연인(戀人)들의 돛단배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4. 빗물이야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5. 아라리(阿喇唎)요 (금(金)나영 作詞/남국인 作曲)
  6. 팔도(八道) 아줌마 (경음악(輕音樂))
  7. 찬바람 (손석우 作詞/손석우 作曲)
  8. 분녀의 첫사랑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9. 오지 않는 사람을 (손석우 作詞/손석우 作曲)
  10. 광동(廣東) 아가씨 (김설강(金設講) 作詞/남국인 作曲)
  11. 바보처럼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2. 사랑의 거리 (경음악(輕音樂))
3 문희옥 3집(輯)
  1. 강남(江南) 멋쟁이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2. 비내리는 동성로 (권혁식 作詞/남국인 作曲)
  3. 정(情)때문에 미련(未練)때문에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4. 손님 (권혁식 作詞/남국인 作曲)
  5. 애만 쓰다가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6. 강남(江南) 멋장이 (경음악(輕音樂))
  7. 밤차(밤車)로 갑니다 (고향(故鄕) 作詞/남국인 作曲)
  8. 사랑의 욕심(欲心)장이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9. 이별(離別)의 꽃 한송이 (윤익삼 作詞/남국인 作曲)
  10. 사모(思慕)의 정(情)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1. 정의 블루스 (고향(故鄕) 作詞/남국인 作曲)
  12. 돌아서는 그 사람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4 외출(外出)(外出)
  1. 성(性)은 김이요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
  2. 사랑은 촛불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
  3. 후회(後悔) (함중아 作詞/함중아 作曲)
  4. 바보같은 사랑 (이현준 作詞/이현준 作曲)
  5. 정든 님 (송정숙, 함중아 作詞/함중아 作曲)
  6. 성(性)은 김이요 (반주(伴奏) 음악(音樂))
  7. 향수(鄕愁) (김동찬 作詞/심재현 作曲)
  8. 하나야 (조동산 作詞/신대성 作曲)
  9. 두 번째(番째) 작별(作別) (조동산 作詞/신대성 作曲)
  10. 내 마음에 쏙드는 남자(男子) (김동찬 作詞/박현진 作曲)
  11. 타박네 (김동찬 作詞/심재현 作曲)
  12. 사랑은 촛불 (반주(伴奏) 음악(音樂))
5 비상(非常)(飛翔)
  1. 현해탄(玄海灘)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원희명 編曲)
  2. 순정(純情) (장경수 作詞/이현준 作曲/김용년 編曲)
  3. 추억(追憶)은 추억(追憶)대로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원희명 編曲)
  4. 내이름 내모습은 잊어도 (박범준 作詞/박범준 作曲/김용년 編曲)
  5. 여자(女子)의 과거(過去)는 흘러간 노래 (지명길 作詞/김용년 作曲/김용년 編曲)
  6. 현해탄(玄海灘) (경음악(輕音樂)) (원희명 作曲/원희명 編曲)
  7. 손뼉이 짝 (지명길 作詞/김용년 作曲/김용년 編曲)
  8. 사랑할 수 밖에 없었다 (김동찬 作詞/심재현 作曲/김광석 編曲)
  9. 사랑의 불나비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원희명 編曲)
  10. 머물 곳은 어디인가 (김동찬 作詞/심재현 作曲/김광석 編曲)
  11. 사랑의 열매 (장경수 作詞/이현준 作曲/김용년 編曲)
6 문희옥 골든 히트
  1. 해변(海邊)의 첫사랑 (이수진 作詞/설운도(薛雲道) 作曲)
  2. 슬픈 미르네바
  3. 사랑의 거리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4. 성(性)은 김이요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
  5. 빈손 (이정화 作詞/안치행 作曲)
  6. 순정(純情)
  7. 환상(幻想)의 그림자
  8. 허상(虛像)
  9. 강남(江南) 멋장이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0. 가는 님 가는 정(情) (정은이 作詞/남국인 作曲)
  11. 현해탄(玄海灘)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원희명 編曲)
  12. 환상(幻想)의 그림자
7 행복(幸福)(幸福)
  1. 옛남자(男子)
  2. 아무런 약속(約束)도 없이
  3. 사랑을 잃어버린 나
  4. 발등이 찍혔네
  5. 장희빈(張禧嬪)
  6. 멈출 수 없는 사랑
  7. 사연(事緣)
  8. 여우같은 여자(女子)
  9. 추억(追憶)속의 여자(女子)
  10. 현해탄(玄海灘)
8 애(愛)
  1. 정(情) 때문에
  2. 나의 사람아
  3. 잊어야 한다면
  4. 비의 탱고
  5. 정(情) 때문에 (MR)
  6. 발등이 찍혔네
  7. 상처(傷處)
  8. 해변(海邊)의 첫사랑 (이수진 作詞/설운도(薛雲道) 作曲)
  9. 성(性)은 김이요 (조동산 作詞/원희명 作曲)
  10. 나의 첫사랑 (MR)
9 16주년(周年) 기념음반(記念音盤)
  1. 미스터 박(朴)
  2. 하늘 땅만큼
  3. 너는 내 남자(男子)
  4. 남의 속도 모르면서
  5. 정말(正말) 좋았네
  6. 당신(當身)이 최고(最高)야
  7. 가지말아요
  8. 딱 걸렸어
  9. 꼭 한번(番)만
  10. 빈손
  11. 유행가(流行歌)
  12. 바보
  13. 장미꽃(薔薇꽃) 한송이
  14. 뭐야 뭐야
  15. 영수증(領收證)을 써줄거야
  16. 나만의 여인(女人)
  17. 갈테면 가라지
  18. 갈매기 사랑
  19. 삼수갑산(三水甲山) 비둘기
  20. 천방지축(天方地軸)
10 문희옥 10집(輯)
  1. 사랑이 남아있을 때 (디스코)
  2. 사랑이 남아있을 때 (트롯)
  3. 미스터 박(朴)
  4. 하늘 땅만큼
  5. 정(情) 때문에
  6. 강남(江南) 멋장이
  7. 성(性)은 김이요
  8. 해변(海邊)의 첫사랑
  9. 사랑의 거리
  10. 순정(純情)
  11. 발등이 찍혔네
  12. 빈손
  13. 삼수갑산(三水甲山) 비둘기
  14. 천방지축(天方地軸)
  15. 사랑이 남아있을 때 (디스코 MR)
  16. 사랑이 남아있을 때 (트롯 MR)
11 문희옥 11집(輯)
  1. 반달(半달)손톱
  2. 이봐요
  3. 그 사람 집은 태백(太白)이라네
  4. 사랑이 남아있을 때
  5. 미스터 박(朴)
  6. 하늘 땅만큼
  7. 정(情) 때문에
  8. 강남(江南) 멋쟁이
  9. 성(性)은 김이요
  10. 해변(海邊)의 첫사랑
  11. 사랑의 거리
  12. 천방지축(天方地軸)
  13. 반달(半달)손톱 (MR)
  14. 이봐요 (MR)
  15. 그 사람 집은 태백(太白)이라네 (MR)

출연작(出演作)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출연작(出演作) [ 편집(編輯) ]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배우자(配偶者) : 김홍선
  • 어머니 : 김한순
    • 아들 : 김동건

주요(主要) 수상경력(受賞經歷) [ 편집(編輯) ]

  • 2019년(年) 팝켓 아시아 뮤직 어워드 10대(代) 가수상(歌手賞)
  • 2014년(年) 제(第)20회(回) 대한민국(大韓民國) 연예예술상(演藝藝術尙) 성인가요(成人歌謠) 가수상(歌手賞)
  • 2012년(年) 제(第)12회(回) 대한민국(大韓民國) 전통가요대상(傳統歌謠對象) 여자(女子) 7대가수상(代價受賞)
  • 2011년(年) KBS 트로트 대축제(大祝祭) 올해의 가수상(歌手賞)
  • 2006년(年) 제(第)40회(回) 가수(歌手)의 날 특별공로상(特別功勞賞)
  • 2003년(年) 제(第)5회(回) 한국예술실연자대상(韓國藝術室硏子對象) 특별공로상(特別功勞賞)
  • 2002년(年) 제(第)36회(回) 가수(歌手)의 날 모범가수상(模範歌手賞)
  • 1992년(年) 제(第)7회(回) 골든 디스크 SKC 장려상(奬勵賞)
  • 1989년(年) 제(第)4회(回) 골든 디스크 본상(本賞)
  • 1987년(年) 제(第)2회(回) 골든 디스크 신인가수상(新人歌手賞)
  • 1987년(年) MBC 인기가요(人氣歌謠)20 여자신인상(女子新人賞)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