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文在寅)

이 페이지는 지속적인 문서 훼손 또는 정책 위반 등으로 인하여 영구적으로 준보호되어 있습니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문재인(文在寅)
문재인(2017년)
문재인(文在寅)(2017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
임기(任期) 2017년(年) 5월(月) 10일(日)~2022년(年) 5월(月) 9일(日)
국무총리(國務總理) 이낙연(李洛淵) (2017년(年)~2020년(年))
정세균(丁世均) (2020년(年)~2021년(年))
김부겸(金富謙) (2021년(年)~2022년(年))
전임(前任): 박근혜(朴槿惠) (제(第)18대(代))
후임(後任): 윤석열(尹錫悅) (제(第)20대(代))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953년(年) 1월(月) 24일(日) ( 1953-01-24 ) (71세(歲))
출생지(出生地)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남도(慶尙南道) 거제군(巨濟郡) 거제면 명진리
거주지(居住地)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시(梁山市) 하북면 지산리
본관(本館) 남평 (南平)
학력(學歷)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법학(法學) 학사(學事)
경력(經歷) 법무법인(法務法人) 부산(釜山) 변호사(辯護士)
청와대(靑瓦臺) 민정수석(民政首席)
대통령비서실장(大統領祕書室長)
제(第)1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대표(代表)
정당(正當)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부모(父母) 문용형(型)(부(簿)), 강한옥 (모(某))
배우자(配偶者) 김정숙(金正淑)
자녀(子女) 문준용 , 문다혜
종교(宗敎) 천주교(天主敎) (세례명(洗禮名): 티모테오) [1]
서명(署名)
웹사이트 제(第)19대(代) 대한민국(大韓民國) 청와대(靑瓦臺) 홈페이지 - 공식(公式) 웹사이트
군사(軍事) 경력(經歷)
복무(服務) 대한민국(大韓民國) 국군(國軍)
복무기간(服務期間) 1975년(年) 8월(月)~1978년(年)
소속(所屬) 육군(陸軍)
최종계급(最終階級) 병장(兵長)
근무(勤務) 특수전사령부(特殊戰司令部) 제(第)1공수특전여단(空輸特典旅團) 제(第)3특전대대(特戰隊臺)
참전(參戰) 판문점(板門店) 미루나무 제거(除去) 작전(作戰) (후방지원(後方支援)) [2]

문재인(文在寅) (文在寅, 1953년(年) 1월(月) 24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 이다. 본관(本貫)은 남평 (南平)이며, [3] 노무현(盧武鉉) 과 법무법인(法務法人) 부산(釜山)에서 변호사(辯護士)로 활동(活動)했고, 참여정부(參與政府) 청와대(靑瓦臺) 민정수석(民政首席) 대통령비서실장(大統領祕書室長) 을 거쳐 제(第)1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대표(代表)를 역임(歷任)했다.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재학(在學) 시절(時節) 학생운동(學生運動)을 이끌며 박정희(朴正熙) 유신(維新) 독재(獨裁)에 항거(抗拒)하다가 1975년(年) 서대문구치소 에 투옥(投獄)됐고 대학(大學)에서 제적당했다. 출소(出所) 후(後)에는 신체(身體) 검사(檢査)도 받지 않은 상태(狀態)로 군(軍)에 강제(强制) 징집(徵集)되었다. 특전사(特戰司) 로 군복무(軍服務)를 마친 후(後) 복학(復學)해 다시 학생운동(學生運動)을 이끌며 전두환(全斗煥) 군부(軍部) 독재(獨裁)에 항거(抗拒)하다가 1980년(年) 청량리구치소(淸凉里拘置所)에 투옥(投獄)됐으나, 조영식 경희대 총장(總長)의 신원보증(身元保證) 하(下)에 옥중(獄中)에서 사법시험(司法試驗) 에 합격(合格)하며 석방(釋放)되었다. 1982년(年) 사법연수원(司法硏修院) 수료(修了) 후(後) 학생운동(學生運動) 전력(前歷)으로 판사(判事) 임용(任用)이 거부됐다고 알려졌으며, 부산(釜山)에서 노무현(盧武鉉) 변호사(辯護士)와 합동법률사무소(合同法律事務所)를 운영(運營)하며 인권변호사(人權辯護士)로 활동(活動)했다.

2002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운동(選擧運動)을 할 때 새천년민주당(새千年民主黨) 노무현(盧武鉉) 후보(候補)의 "선거대책위원장(選擧對策委員長)을 맡아달라"는 요청(要請)을 거부(拒否)했다. 2003년(年)에 참여정부(參與政府) 의 초대(招待)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민정수석(民政首席)을 역임(歷任)했다. 2004년(年) 자리에서 물러나 히말라야산맥 으로 트래킹을 떠났으나, 도중(途中)에 노무현(盧武鉉) 탄핵(彈劾) 소추(訴追) 소식(消息)을 듣고 즉시(卽時) 귀국(歸國)하여 변호인단(辯護人團)의 간사(幹事)를 맡았다. [4] 2005년(年) 다시 청와대(靑瓦臺) 에 들어가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시민사회수석(市民社會首席), 민정수석(民政首席), 정무특보(政務特報)를 거쳐 참여정부(參與政府) 마지막 대통령비서실장(大統領祕書室長) 을 지냈다.

2012년(年) 제(第)19대(代) 총선(總選) 에서 부산(釜山) 사상구(沙上區) 에 출마(出馬)하여 당선(當選)되었다. 동년(同年) 대선(大選) 출마(出馬)를 선언(宣言)했으며 손학규(孫鶴圭) , 김두관(金斗官) , 정세균(丁世均) 등(等)과 겨루어 전국(全國) 순회경선(巡廻競選) 13회(回) 전승(全勝)을 거두며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제(第)18대(代) 대선(大選) 후보(候補)로 확정(確定)되어 출마(出馬)하였으나 새누리당(새누리黨) 박근혜(朴槿惠) 후보(候補)에게 패배(敗北)하였다. 2015년(年) 2월(月) 8일(日)에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대표(代表)에 선출(選出)되었고, 2016년(年) 1월(月)까지 새로 개편(改編)된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대표(代表)를 지냈다. 대표직(代表職)에서 물러난 후(後) 제(第)20대(代) 총선(總選) 에 출마(出馬)하지 않았지만,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소속(所屬) 후보(候補)들을 위해 지원(支援) 유세(遊說)를 다녔다. 2016년(年) 11월(月) 박근혜(朴槿惠) 대통령(大統領) 탄핵(彈劾) 국면(局面) 시기(時期) 상임고문(常任顧問)으로 활동(活動)했다. [5]

2017년(年) 3월(月) 10일(日), 박근혜(朴槿惠) 가 대통령직(大統領職)에서 파면(罷免) 되어 조기(早期) 대선(大選)이 결정(決定)되자 대권(大權)에 재도전하였고, 이재명(李在明) , 최성(崔星) , 안희정(安熙正) 과 겨루어 전체(全體) 표수(票數)의 과반(過半)을 얻어 결선투표(決選投票) 없이 2017년(年) 4월(月) 3일(日)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대선(大選) 후보(候補) 경선(競選) 에서 최종(最終) 승리(勝利)하여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제(第)19대(代) 대선(大選) 후보(候補)가 되었다. [6] 2017년(年) 5월(月) 9일(日) 치러진 대선(大選)에서 41.1%를 득표(得票)하여 24%를 득표(得票)한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 홍준표(洪準杓) 후보(候補)를 누르고 당선(當選)되었으며 [7] , 대통령(大統領) 이 파면(罷免)되어 치러진 궐위선거(闕位選擧)이기 때문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中央選擧管理委員會) 당선인(當選人) 결정(決定) 시간(時間)인 2017년(年) 5월(月) 10일(日) 8시(時) 9분(分) 대통령직(大統領職) 인수위원회(引受委員會)를 구성(構成)하지 않고 바로 제19대 대통령(大統領)에 취임(就任)했다. [8]

대통령(大統領) 퇴임(退任) 후(後) 2023년(年) 자신(自身)의 자택(自宅) 근처(近處)인 경상남도(慶尙南道) 양산시(梁山市) 하북면 지산리(평산마을1길 17)에 「평산책방(冊房)」(사업자등록번호(事業者登錄番號) 448-70-00490)을 개업(開業)하여 대표자(代表者)로 있다. [9]

대통령(大統領)이 되기 이전(以前)

출생(出生)과 가계(家計)

문재인(文在寅)은 1953년(年) 1월(月) 24일(日) 경상남도(慶尙南道) 거제군(巨濟郡) 거제면 명진리 694-1번지(番地)에서 아버지 문용형(文用刑)(文龍炯)과 어머니 진주(晉州) 강씨(姜氏) 강한옥 사이에서 2남(男) 3녀(女) 중(中) 장남(長男)으로 태어났다. [10] 아버지 문용형(型)은 함경남도(咸鏡南道) 흥남시 운성리 솔안마을 출신(出身)으로 함흥농고(咸興農高) 졸업(卒業) 후(後) 일제시대(日帝時代) 흥남읍사무소(興南邑事務所)에서 농업계(農業界) 계장(係長)으로 근무(勤務)했다. [11] [12]

문재인(文在寅)은 충선공(衝先攻) 문익점 의 23대손(代孫)이다. 함경도(咸鏡道)에 뿌리 내린 것은 20대조(代祖) 문천봉이 조선(朝鮮) 태종(太宗) 9년(年)(1409)에 동북면 별패(別牌) 첨절제사(僉節制使)로 파견(派遣)되면서 부터다. 솔안마을은 조선(朝鮮) 정조(正祖) 때 6대조부(大棗部) 문조격(門調格)이 터를 잡았다.

아버지 문용형(型)은 한국(韓國) 전쟁(戰爭) 발발(勃發) 후(後) 1950년(年) 12월(月) 23일(日)에 흥남(興南) 철수(撤收) 작전(作戰) 무렵에 메러디스 빅토리호(號) 에 가족(家族)과 함께 탑승(搭乘)했다. 거제(巨濟) 에 정착(定着)한 후(後) 공무원(公務員) 경력(經歷)을 제시(提示)하며 거제도(巨濟島) 포로수용소(捕虜收容所) 의 노무자(勞務者)로 일자리를 얻었고 그의 부인(夫人)은 계란(鷄卵) 행상(行商)을 했다. 이후(以後) 문씨(文氏) 가족(家族)은 부산(釜山) 으로 이사(移徙)했다. 문재인(文在寅)은 남항국민학교(南港國民學校) 에 다니던 시절(時節), 극심(極甚)한 가난 때문에 학교(學校) 바로 위의 '신선성당(新鮮聖堂)'에서 양동이(洋동이)를 들고 줄을 서서 정기적(定期的)으로 배급(配給)을 타먹어야 했다고 말했다. 문재인(文在寅)은 천주교(天主敎) 에 입교(入敎)하고 세례(洗禮) 를 받았다.

학창(學窓) 시절(時節)

1965년(年)에 남항초등학교(南港初等學校) 를 졸업(卒業)한 문재인(文在寅)은 경남중학교 에 입학(入學)했고, [13] 1968년(年) 중학교(中學校)를 졸업(卒業)한 후(後)에는 경남고등학교 에 수석(首席) 입학(入學)했다. [14] 고교(高校) 시절(時節) 초기(初期)에는 학내(學內)에서 '문과(文科)에 문재인(文在寅), 이과(理科)에 승효상 '이란 말이 있을 정도(程度)로 학업(學業)에서 두각(頭角)을 나타냈지만, 말기(末期)에는 극도(極度)로 가난한 자신(自身)의 처지(處地)에 낙망(落望), 술·담배에도 손을 대며 방황(彷徨)을 하다 끝내 대학(大學) 입시(入試)에 실패(失敗)하였다. [15] 문재인(文在寅)은 졸업(卒業) 후(後) 1971년(年) 종로학원 진입(進入) 시험(試驗)에서 일등(一等)을 하며 학원비(學院費)를 면제(免除)받고 재수(再修)를 시작(始作)하였다고 알려진다. [16] 그러나 서울에서 계속(繼續) 재수(再修) 생활(生活)을 이어갈 만큼의 형편(形便)이 못되었기 때문에, 이후(以後)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설립자(設立者)이자 당시(當時) 경희대 총장(總長)이었던 조영식 이 문재인(文在寅)에게 '4년(年) 전액(全額) 장학금(奬學金)'을 약속(約束)하며 경희대 입학(入學)을 권유(勸誘)하였고, 문재인(文在寅)은 그 권유(勸誘)를 받아들여 1972년(年)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법대(法大)에 수석(首席)으로 입학(入學)하였다고 알려졌으나, [17] 이런 일화(逸話)의 사실관계(事實關係)가 검증(檢證)되지 않았다는 의혹(疑惑)도 존재(存在)한다. [18] 문재인(文在寅)은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법대(法大) 시절(時節) 총학생회(總學生會) 총무부장(總務部長)으로서 예비(豫備) 검속(檢束)에 걸린 총학생회장(總學生會長)을 대신(代身)해 집회(集會)를 주도(主導)하다가 1975년(年) 4월(月) 11일(日) 집회(集會) 때 구속(拘束)되어 서대문구치소 에 수감(收監)되었고, 그 해 6월(月) 집회(集會) 및 시위(示威)에 관(關)한 법률(法律) 위반(違反)으로 징역(懲役) 8월(月)에 집행유예(執行猶豫) 1년(年)을 선고(宣告)받고 대학(大學)에서도 제적당했다.

군(軍) 복무기(服務機)

출소(出所) 후(後) 신체검사(身體檢査)를 받지 않은 상태(狀態)에서 강제(强制)로 군(軍)에 징집(徵集)된 문재인(文在寅)은 1975년(年) 8월(月) 육군(陸軍) 에 입대(入隊)하였고 대한민국(大韓民國) 39향토보병사단(鄕土步兵師團) 신병훈련소(新兵訓鍊所)를 거쳐 육군특수전사령부(陸軍特殊戰司令部) 예하(隸下) 제(第)1공수특전여단(空輸特典旅團) 제(第)3특전대대(特戰隊臺) 대대본부(大隊本部) 작전(作戰)과에서 복무(服務)했다. 문재인(文在寅)은 특수(特殊) 훈련(訓鍊)에서의 우수(優秀)한 평가(評價) 결과(結果)로 인해 특전사(特戰司) 복무(服務) 중(中) 당시(當時) 특전사령관(特戰司令官) 정병주 와 공수여단장(空輸旅團長) 전두환(全斗煥) 으로부터 두 차례(次例)의 최우수(最優秀) 특전사(特戰司) 표창(表彰)을 수상(受賞)하기도 했다. [19]

인권변호사(人權辯護士) 활동(活動)

전역(轉役) 후(後)에는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에 복학(復學)해 1980년(年) 복학생(復學生) 대표(代表)로 신군부(新軍部) 세력(勢力)에 항거(抗拒)하다가 5·18 광주(光州) 민주화(民主化) 운동(運動) 하루 전(前)에 시행(施行)된 5·17 비상계엄(非常戒嚴) 전국확대(全國擴大) 조치(措置) 로 시행(施行) 당일(當日) 밤 형사(刑事)들에게 권총(拳銃)이 겨누어진 채로 [20] 긴급(緊急) 체포(逮捕)되었고 바로 청량리구치소(淸凉里拘置所)에 수감(收監)되었다. 옥중(獄中)에서 제22회 사법시험(司法試驗) 에 합격(合格)한 후(後) 풀려난 문재인(文在寅)은 사법연수원(司法硏修院) 에 들어갔다. 동기(動機)였던 박원순(朴元淳) , 고승덕 , 조영래 사이에서 1등(等)을 했으나 학생운동(學生運動) 전력(前歷) 때문에 성적(成績)이 차석(次席)으로 밀렸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21] 이는 검증(檢證)되지 않았다는 의혹(疑惑)도 존재(存在)한다. [18] 사법연수원(司法硏修院)에서 연수원(硏修院) 내(內) 최고상인(最高商人) 법무부장관상도(法務部長官賞度) 수상(受賞)했다고 알려졌으나, [21] 희망(希望)하던 판사(判事) 임용(任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以後) 문재인(文在寅)은 몇몇 로펌의 영입(迎入) 제의(提議)를 거절(拒絶)하고, [22] 고향(故鄕)인 부산(釜山) 으로 내려갔다. [22] 그곳에서 변호사(辯護士) 노무현(盧武鉉) 을 만나 함께 합동법률사무소(合同法律事務所)를 운영(運營)하며 인권변호사(人權辯護士) 생활(生活)을 했다. 또한 부산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장(人權委員長), 부산민주시민협의회(釜山民主市民協議會) 상임위원(常任委員) 등(等)을 역임(歷任)하였다. 합동(合同) 변호사(辯護士) 사무소(事務所)에서 노무현과 인연(因緣)을 맺은 것을 계기(契機)로 30년(年) 가까이 가장 친(親)한 친구(親舊)이자 최측근(最側近)으로 활동(活動)했다. [23] 노무현(盧武鉉)이 정계(政界)에 입문(入門)하여 청문회(聽聞會) 스타가 된 뒤에도 부산변호사협회(釜山辯護士協會) 인권(人權) 위원장(委員長)을 지내면서 인권(人權) 변호사(辯護士)로 일했으며 부산(釜山) 미국문화원(美國文化院) 방화(放火) 사건(事件) , 동의대학교(同意大學校) 사건(事件) 등(等) 굵직한 시국사건(時局事件)을 변론(辯論)했다. 그는 1996년(年) 8월(月) 발생(發生)한 페스카마호(號) 사건(事件) 에서 조선족(朝鮮族) 선원(船員)들의 변호(辯護)를 맡았다. [24]

1988년(年)에는 김영삼(金永三) 으로부터 노무현, 김광일 과 함께 국회의원(國會議員) 영입(迎入) 제안(提案)을 받았지만, 문재인(文在寅)은 3명(名) 중(中) 유일(唯一)하게 정치입문(政治入門)을 거절(拒絶)했으며, [25] 정계입문(政界入門)을 결심(決心)한 노무현(盧武鉉)과 김광일은 국회의원(國會議員)에 당선(當選)되었다. 정계진출(政界進出)을 거절(拒絶)한 문재인(文在寅)은 이 후(後) 1990년대(年代)부터 2002년(年)까지 부산(釜山) 지역(地域)에서 인권변호사(人權辯護士)로 활동(活動)하며 여러 시국(時局), 노동(勞動) 관련(關聯) 사건(事件)들을 맡으며 활발히(活潑히) 활동(活動)했다. 1990년(年)에는 '낙동강변(洛東江邊) 살인사건(殺人事件)'으로 불리는 부산(釜山) 엄궁동 2인조(人組) 살인사건(殺人事件) 의 피고인(被告人)을 변호(辯護)하였고 당시(當時) 유죄(有罪)를 선고(宣告)받았으나, 사건(事件) 31년(年) 후(後)인 2021년(年) 검찰(檢察)의 고문(拷問)으로 인한 허위자백(虛僞自白) 사실(事實)이 인정(認定)되어 피고인(被告人) 전원(全員)이 무죄(無罪) 선고(宣告)를 받았다. 이 외(外)에도 동의대학교(同意大學校) 사건(事件)에서도 변호인단(辯護人團)을 꾸려 재판(裁判)을 진두지휘(陣頭指揮)했으며 2002년(年)에는 1980년(年) 가족(家族) 간첩단(間諜團) 사건(事件)에 연루(連累)되어 15년(年)을 복역(服役)하고 출소(出所)한 신귀영 씨(氏)의 재심(再審)에 변호인단(辯護人團)으로 참여(參與)하기도 했다. [26] 1995년(年) 문재인(文在寅)은 노무현(盧武鉉)과 함께 운영(運營)했던 기존(旣存)의 합동(合同) 사무소(事務所)를 '법무법인(法務法人) 부산(釜山)'으로 개칭(改稱)하고 대표(代表) 변호사(辯護士)로 이름을 올렸다.

2002년(年) 노무현(盧武鉉)이 제(第)16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 출마(出馬)하자 새천년민주당(새千年民主黨) 부산(釜山) 선대위원장직(選對委員長職)을 맡아 노무현(盧武鉉)의 당선(當選)에 기여(寄與)했다. 문재인(文在寅)은 노무현(盧武鉉)의 당선(當選) 이후(以後) 변호사(辯護士) 업무(業務)에 복귀(復歸)하려 했으나, 당선(當選) 직후(直後) 노무현(盧武鉉)의 민정수석비서관(民政首席祕書官) 제의(提議)를 받고 "정치(政治)하라고 하지 마라, 그리고 민정수석(民政首席)으로 끝내겠다"는 2가지 조건(條件)을 내걸고 민정수석비서관직(民政首席祕書官職)을 수락(受諾)하였다.

참여정부(參與政府) 시절(時節)

문재인(文在寅)은 참여정부(參與政府) 초대(初代)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민정수석(民政首席)을 지냈으나, 녹내장(綠內障) 고혈압(高血壓) 등(等) 건강(健康) 악화(惡化)로 1년(年) 만에 청와대(靑瓦臺) 를 떠났다. 그러나 민정수석(民政首席)을 그만두고 네팔 산행(山行) 도중(途中) [27] 연락(連絡)이 두절(杜絶)된 상황(狀況)에서 영자(英字) 신문(新聞)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大統領)의 탄핵(彈劾) 소식(消息) 을 듣고 즉시(卽時) 귀국(歸國)하여 변호인단(辯護人團)을 꾸렸으며 [28] , 2005년(年) 다시 청와대(靑瓦臺)에 들어가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시민사회수석(市民社會首席), 민정수석(民政首席), 정무특보(政務特報)를 거쳐 참여정부(參與政府) 마지막 대통령비서실장(大統領祕書室長) 을 지냈다. [22]

청와대(靑瓦臺) 안에서 이정호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시민사회수석(市民社會首席), 이호철 대통령비서실(大統領祕書室) 국정상황실장(國政狀況室長) 등(等)과 함께 PK 인맥(人脈)을 대표(代表)했는데, '왕수석(王首席)'으로 불리며 한나라당(한나라黨) 으로부터 '왕수석인(王首席人) 문재인 수석(首席)의 월권(越權)과 청와대(靑瓦臺)의 시스템 경시(輕視)로 인해 국정(國政) 원칙(原則)이 파괴(破壞)됐다'는 비난(非難)을 받으며 2인자(人者)로 주목(注目)받기도 했다. [29] 비서실장(祕書室長) 시절(時節)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國務總理) 가 부적절(不適切)한 관계(關係)에 있는 인사(人士)들과 내기 골프를 쳤다는 소식(消息)을 듣고 고심(苦心)하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大統領)에게 해임(解任)을 촉구(促求)하기도 했으며 [30] , 청와대(靑瓦臺)에서 근무(勤務)하던 시절(時節) 모든 직원(職員)에게 존댓말(尊待말)을 쓰는 것으로 유명(有名)했고, 자신(自身)의 주장(主張)을 내세우기보다 다양한 의견(意見)을 듣고 상황(狀況)을 명확(明確)하게 정리(整理)해내는 업무(業務) 스타일을 보였다는 평(評)이 있다. [31] 또한 참여정부(參與政府) 들어 검사장(檢事長)으로 승진(昇進)한 17명(名) 중(中) 문재인과 이호철 비서관(祕書官)의 경남고등학교 동문(同門)은 한 명(名)도 없었는데, 두 사람은 동창회(同窓會)에 얼굴을 비추지도(悲秋指導) 않았고, 고등학교(高等學校) 동창(同窓)인 고위(高位) 공직자(公職者)가 문재인(文在寅)의 방(房)에 들렀다가 얼굴도 못 본 채 나온 바가 있으며, 청와대(靑瓦臺) 출입기자단(出入記者團)과 식사(食事)나 환담(幻談) 자리도 갖지 않았다고 한다. [32]

2006년(年) 11월(月) 6일(日) 국정자문회의(國政諮問會議) 의원(議員) 138명(名)을 보궐(補闕)할 때 국정자문위원(國政諮問委員)으로 추가(追加) 보선(補選)되었다. [33] 노무현(盧武鉉) 전(前) 대통령(大統領)은 문재인(文在寅)에 대(對)해 "노무현(盧武鉉)의 친구(親舊) 문재인이 아니라 문재인(文在寅)의 친구(親舊) 노무현(盧武鉉)이다. 내가 알고 있는 최고(最高)의 원칙주의자(原則主義者)"라고 말했다. [34]

2007년(年)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당시(當時) 문재인(文在寅)은 노무현에게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을 도보(徒步)로 넘어갈 것을 제의(提議)하였고, 노무현(盧武鉉)이 이를 받아들여 방북(訪北) 당시(當時) 노무현은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을 도보(徒步)로 넘어갔다.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에서는 별도(別途)의 철책선(鐵柵線)이 없었으므로, 도로(道路)에 노란색(노란色) 페인트로 임시(臨時) 선(線)을 그렸다. 문재인은 당시(當時) 노무현과 함께 남북출입사무소(南北出入事務所)까지 동행(同行)한 뒤, 다시 서울로 돌아와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의 진행(進行)을 총괄(總括)했다.

정치(政治) 활동(活動)

노무현재단(盧武鉉財團) 이사장(理事長) 시절(時節) 봉하(烽下)마을 봉화산(烽火山) 에서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에서 연설(演說)하는 문재인(文在寅)(2012년(年))

2008년(年) 참여정부(參與政府)가 끝난 뒤 경남(慶南) 양산시로 내려가 칩거(蟄居)하였고, 동년(同年) 9월(月)부터 자신(自身)이 세운 법무법인(法務法人) 부산(釜山)으로 5년(年)만에 복귀(復歸)하여 대표(代表) 변호사(辯護士)로 취임(就任)하였다. 그러나 이듬 해 노무현(盧武鉉) 전(前) 대통령(大統領)이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連累)되자, 담당(擔當) 변호사(辯護士)를 맡았으며 노무현(盧武鉉)의 검찰(檢察) 출석(出席) 당시(當時)에도 직접(直接) 변호인단(辯護人團)으로 조사(調査)에 입회(立會)하였다. 1달 뒤인 5월(月) 23일(日) 노무현은 결국(結局) 서거(逝去)하였고, 그는 국민장(國民葬) 위원회(委員會)에서 상주(喪主)를 맡아 장례절차(葬禮節次) 전체(全體)를 총괄(總括)하였다. 서거(逝去) 이듬 해인 2010년(年)부터 2012년(年)까지 노무현재단(盧武鉉財團) 의 이사장직(理事長職)을 맡았다. [22] 그후(後) 2011년(年) 8월(月) 신동아(新東亞) 여론(輿論) 조사(調査)에서 '당신(當身)이 원(願)하는 국회의원(國會議員)' 부문(部門)에서 지지율(支持率) 1위(位)를 차지했고 [35] , 2012년(年) 4월(月) 11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제(第)19대(代) 총선(總選) 에서 부산(釜山) 사상구(沙上區) 에 출마(出馬)하여 국회의원(國會議員) 에 당선(當選)되었다. 이후(以後)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의 대선(大選) 예비주자(豫備走者)의 한 사람으로 거론(擧論)되다가 6월(月) 초(初) 출마(出馬)를 발표(發表)했다.

2012년(年) 제(第)18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2012년(年) 6월(月) 17일(日) 서대문(西大門) 독립공원(獨立公園) 에서 "보통(普通) 사람이 중심(中心) 된 정의(正義)로운 나라를 만들겠다"라고 대선(大選) 출마(出馬)를 공식(公式) 선언(宣言)했다. [36] 슬로건은 "사람이 먼저다", 캠프명(名)은 "담쟁이 캠프"로 정(定)해졌다. 이후(以後), 8월(月) 25일(日)부터 9월(月) 16일(日)까지 열린 국민참여경선(國民參與競選)에서 손학규(孫鶴圭) , 김두관(金斗官) , 정세균(丁世均) 과 겨루어 전국(全國) 순회경선(巡廻競選) 13회(回) 전승(全勝)을 거두며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의 제(第)18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후보(候補)로 선출(選出)되었다. 그리고 2012년(年) 11월(月) 18일(日) 2기(期) 지도부(指導部) 총사퇴(總辭退)에 의(依)해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의 대표권한대행(代表權限代行)이 되었다.

유력(有力) 대권후보(大權候補)로 떠오른 안철수(安哲秀) 단일화(單一化) 를 추진(推進)하였지만, [37] 단일화(單一化) 과정(過程)을 둘러싼 문제(問題)로 11월(月) 23일(日) 안철수(安哲秀)가 대선(大選) 후보직(候補職)을 사퇴(辭退)하였다. [38] [39] 진보정의당(進步正義黨) 심상정(沈想奵) 대선(大選) 후보(候補)도 후보(候補) 등록(登錄)을 앞두고 문재인(文在寅) 지지(支持)를 선언(宣言)하며 대선(大選) 후보직(候補職)을 사퇴(辭退)하였다. 또, 상도동계(系) 인(人) 김현철 , 김덕룡(金德龍) , 문정수 의 지지(支持)를 받았으며, 대선후보급인(大選候補級人) 문국현 , 박찬종(朴燦鍾) 의 지지(支持)를 받았다. 또, 보수인사(保守人士)로 알려졌던 윤여준(尹汝雋) 의 찬조연설(贊助演說)이 화제(話題)가 되기도 했다. [40] 그밖에 김영삼의 측근(側近)으로 김대중(金大中) 비자금(祕資金) 사건(事件)을 폭로(暴露)한 것으로 유명(有名)한 강삼재 또한 그에 대(對)한 지지(支持)를 선언(宣言)한다. [41]

문재인(文在寅)은 김대중, 노무현 정부(政府)의 6·15 공동선언(共同宣言) , 10·4 공동선언(共同宣言) 에 기초해 대북(對北) 포용(包容) 정책(政策)을 계승(繼承),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42] 또한 외교정책(外交政策)과 관련(關聯), 한반도(韓半島)를 둘러싼 주요(主要) 관련국가(關聯國家)들과 한반도(韓半島) 문제(問題)를 함께 논의(論議)하겠다는 입장(立場)을 보였다. [42]

이후(以後) 12월(月) 새누리당(새누리黨) 박근혜(朴槿惠) 후보(候補)와 통합진보당(統合進步黨) 이정희(李正姬) 후보(候補)와 함께 토론(討論)에 참석(參席)했다. 문재인(文在寅) 측(側)은 국가정보원(國家情報院)에서 자신(自身)을 비방(誹謗)하는 여론조작(輿論造作)을 벌인다고 12월(月) 11일(日) 공개(公開)하였다. 문재인(文在寅) 측(側)은 그런 활동(活動)을 벌인 직원(職員) 중(中) 한명(名)을 지목(指目)했다. 3차(次) TV 토론(討論)이 끝난 12월(月) 16일(日) 오후(午後) 11시(時) 서울지방경찰청(地方警察廳)은 증거(證據)가 발견(發見)되지 않았다고 발표(發表)했는데, 이러한 경찰(警察)의 발표(發表)는 뒤에 허위(虛僞)로 밝혀졌다 . 이후(以後) 2012년(年) 12월(月) 19일(日) 선거(選擧)에서 탈락(脫落) 후보(候補) 사상(史上) 최다(最多)이자, 역대(歷代)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의 후보(候補)들 중(中) 두 번째(番째)로 많은 14,692,632표(票)(48.0%)를 득표(得票)했지만 새누리당(새누리黨)의 박근혜 후보(候補)에게 약(約) 100만(萬) 표(票) 차이(差異)로 패배(敗北)하였다. [22] 다음날 문재인(文在寅)은 패배(敗北)를 승복(承服)하는 기자회견(記者會見)을 열었다. [43]

대선(大選) 패배(敗北) 이후(以後)

2015년(年)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기념행사(記念行事)에 참석(參席)한 문재인(文在寅)(왼쪽), 김무성(金武星) (가운데), 천호선 (오른쪽)

2013년(年) 4월(月) 9일(日) 발표(發表)된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의 대선평가보고서(大選評價報告書)에 따르면, 패배(敗北)의 주원인(主原因)은 캐릭터 정립(定立) 실패(失敗)로 국민(國民)들에게 인상(印象)을 남기지 못했다는 판단(判斷)이다. 또한, 설문조사(設問調査) 결과(結果) 당내(黨內)에서 4번째(番째)로 [44] 패배(敗北)의 책임(責任)이 크다고 평가(評價)되었다. [45]

그러나, 오랫동안 칩거(蟄居)하던 기존(旣存)의 대선(大選) 패배(敗北) 후보(候補)들과는 달리 빠르게 정계(政界)에 복귀(復歸)하며 패배책임(敗北責任)을 지고 물러나 있어야하지 않냐는 논란(論難)이 일었다. [46] 노무현(盧武鉉) 대통령(大統領) 서거(逝去) 4주기(周忌) 추도식(追悼式)을 기점(起點)으로,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현안(懸案)에 대(對)한 입장(立場)도 자주 밝히며 대선(大選) 재도전(再挑戰)의 가능성(可能性)을 열어 보였다. [47] [48]

2014년(年) 3월(月) 새로 창당(創黨)된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이 지방선거(地方選擧)를 앞두고 문재인과 손학규(孫鶴圭) 를 공동(共同) 선대위원장(選對委員長)으로 임명(任命)되었다. [49] [50] 29일(日) 경남도지사(慶南道知事) 후보(候補) 김경수(金慶洙) 구동태 목사(牧師)를 방문(訪問)한 뒤 "신당(新黨)이 영남지역(嶺南地域)에서 정면승부(正面勝負)를 해야 한다는 주장(主張)에 공감(共感)한다"며, "정당공천제(政黨公薦制) 폐지(廢止)가 통합(統合)의 고리"라는 입장(立場)을 보였다. [51] 4월(月) 18일(日) 세월호(歲月號) 침몰(沈沒) 사고(事故) 당시(當時) 사망자(死亡者) 수(數)가 늘어난 것에 대(對)하여 "왜이렇게도 무기력(無氣力)하냐"며 "우리의 수준(水準)이 부끄럽다"고 말했다. [52]

6월(月) 15일(日) 새 총리(總理) 후보(候補)로 문창극 이 지명(指名)되자 "국민(國民)도 불행(不幸)하고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에도 불행(不幸)한 길"이라고 강력히(强力히) 비판(批判)했다. [53] 이튿날 본인(本人)의 트위터 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문창극 총리(總理) 후보자(候補者) 강행(强行)은 통합(統合)으로 가는 길이 아닙니다. 반쪽(半쪽) 정부(政府)를 고집(固執)하고 오히려 폭(幅)을 더 좁히는, 거꾸로 가는 길입니다. 국민(國民)도 불행(不幸)하고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에도 불행(不幸)한 길입니다. … 세월호(歲月號) 이후(以後) 이제는 제발 국민통합(國民統合)의 길로 가달라는 민심(民心)을 외면(外面)하면 안됩니다.

? 문재인(文在寅) [54]

17일(日) "사회적(社會的) 가치(價値) 기본법(基本法)"을 발의(發議)했다. [55] 이는 정부(政府),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 공기업(公企業) 등(等) 공공기관(公共機關)이 정책(政策)을 수립(樹立)하고 집행(執行)하는 데 있어 이윤(利潤)과 효율(效率)만을 중시(重視)할 것이 아니라 인권(人權), 노동권(勞動權), 안전(安全), 생태(生態), 사회적(社會的) 약자(弱者) 배려(配慮), 양질(良質)의 일자리, 상생(相生) 협력(協力) 등(等) "사회적(社會的) 가치(價値)"를 중시(重視)하는데 초점(焦點)을 두고 있다. [55] 또한 대통령(大統領) 직속(直屬)의 "사회적(社會的) 가치(價値) 위원회(委員會)"를 설치(設置)하는 것또한 포함(包含)하고 있다. [55] 10월(月) 27일(日)에는 신해철(申海澈) 의 쾌유(快癒)를 기원(祈願)하기도 했다. [56]

12월(月) 19일(日) 통합진보당(統合進步黨) 이 헌재(憲裁) 판결(判決)로 해산(解散)되자 안타깝다는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57] [58] "민주주의(民主主義)가 상처(傷處)를 입었다"고 비판(批判)했다. [57] [58] 그러면서 "우리가 민주주의(民主主義)를 하는 이유(理由)는 다름을 포용(包容)하는 유일(唯一)한 제도(制度)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59] 한편(한便) 이 무렵 박근혜(朴槿惠) 대통령(大統領)의 지지율(支持率)이 하락(下落)하면서, 15.8%가 "다음에는 문재인을 찍겠다"는 반응(反應)을 보였다. [60]

당(黨) 대표(代表) 재임(在任)

2014년(年) 12월(月) 29일(日)에는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黨權) 도전(挑戰)을 선언(宣言)했다. [61] 그는 당(黨) 대표(代表)가 되면 2016년(年)에 치러질 차기(次期) 총선(總選)에 출마(出馬)하지 않겠다고 하였으며, 출마(出馬) 선언(宣言) 이후(以後) 약(約) 5개월(個月) 만에 박원순(朴元淳) 서울시장(市長)을 제치고 대선(大選) 후보(候補) 지지율(支持率) 1위(位)를 탈환(奪還)하였다. [62] 이후(以後) 2015년(年) 2월(月) 8일(日)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제(第)1차(次) 전당대회(全黨大會)에서 41.8%를 얻은 박지원(朴智元) 후보(候補)를 앞선 45.3%를 얻으며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黨代表)에 당선(當選)되었으며, [63]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개편(改編)된 후(後)에도 계속(繼續) 대표(代表)를 지냈다.

4월(月) 6일(日) "국회의원(國會議員) 정수(定數)가 부족(不足)하다"며, "국민(國民)에게는 그렇게 인식(認識)되지 않고 있지만, OECD( 경제(經濟) 협력(協力) 개발(開發) 기구(機構) ) 주요(主要) 국가(國家)와 비교(比較)하면 (인구수(人口數) 대비(對比) 의원(議員) 비율(比率)이) 낮다", "국회의원(國會議員) 수(數)를 늘리면 정당명부(政黨名簿) 비례대표제(比例代表制)를 도입(導入)할 수 있다"고 말했다. [64] 새정치민주연합 내(內) 일부(一部) 의원(議員)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주장(主張)이 제기(提起)되었으나, [64] 안철수(安哲秀) 는 이러한 문재인(文在寅)의 주장(主張)을 비판(批判)했으며, [65] 새누리당(새누리黨) 은 그를 비판(批判)하는 논평(論評)을 냈다. [65] 같은 날 해외자원개발(海外資源開發) 국정조사(國政調査)의 증인(證人)으로 서겠다고 밝혔으며 이명박(李明博) 전(前) 대통령(大統領)의 합류(合流)를 요구(要求)했으나, [66] 새누리당은 이를 "정치(政治) 공세(攻勢)"라고 비난(非難)했다. [67]

5월(月) 말(末)부터 메르스가 유행(流行)하기 시작(始作)했고, 6월(月) 4일(日) 박근혜(朴槿惠) 대통령(大統領)의 메르스 대처(大處)에 대(對)해 "정부(政府)의 대응(對應)을 보면 세월호(歲月號) 참사(慘事) 때와 마찬가지로 무능(無能)하고 부실(不實)하기 짝이 없다"고 비판(批判)했다. [68]

연말(年末)이 다가오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분열조짐(分裂兆朕)을 서서히(徐徐히) 보이기 시작(始作)했고, 이 무렵 안철수(安哲秀)를 필두(筆頭)로 한 "신당(新黨) 창당설(創黨說)"이(李) 제기(提起)되었다. [69] 하지만 문재인(文在寅)은 이에 대(對)해 그런 일은 애초(애初)부터 없었다는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당(黨)의 혁신(革新)을 위해 노력(努力)하겠다는 입장(立場)을 밝혔다. [69] 그러나 이후(以後) 분열조짐(分裂兆朕)을 보이더니, 결국(結局) 12월(月) 13일(日) 안철수(安哲秀) 의 탈당(脫黨)을 필두(筆頭)로 당(黨)은 분열(分裂)된다. [70] 문재인(文在寅)은 이를 두고 "정말(正말) 정치(政治)가 싫은 날"이라고 말했으나, "아무리 파도(波濤)가 높고 바람이 강(强)하게 불어도 총선승리(總選勝利)에 이르는 새정치연합의 항해(航海)는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포기(抛棄)하지는 않을 것임을 선언(宣言)했다. [70] 하지만 당내(黨內)의 비판(批判)이 계속(繼續)되는 가운데, 27일(日)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의원(所屬議員) 67명(名)이 문재인(文在寅)에게 "총선(總選)에서 공천(公薦) 권한(權限) 일체(一切)를 선거대책위원회(選擧對策委員會)에 위임(委任)할 것"을 요구(要求)했다. [71] 다음날 새정치민주연합은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으로 개명(改名)했는데, [72] 이는 안철수계(安哲秀系)의 흔적(痕跡)을 지우는 행보(行步)라는 평(評)을 받는다. [73]

2016년(年) 1월(月) 19일(日) 기자회견(記者會見)을 열고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당대표(黨代表)를 사퇴(辭退)한다고 말했으며, [74] [75] 이에 김종인(金鍾仁) 은 "그러리라 믿어요", "시기(時期)의 문제(問題)일 뿐"이라고 주장(主張)했다. [74]

당(黨) 상임고문(常任顧問) 시절(時節)

문재인과 김종인(金鍾仁) 외(外) 당내(黨內) 최고위원(最高委員)

3월(月) 19일(日) 차기(次期) 정권교체(政權交替)를 위해 20대(代) 총선(總選) 불출마(不出馬)를 선언(宣言)했다. [76] 그는 "불출마선언(不出馬宣言)을 하면서도 다행(多幸)스러운 것은 배재정이라는 훌륭한 사람을 사상(思想)의 차기(次期) 국회의원(國會議員)으로 예약(豫約)해놓고 떠난다는 것"이라며 "배재정을 국회(國會)로 보내주시면 제가 함께 사상(思想)을 책임(責任)지고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76]

5월(月) 23일(日) 노무현(盧武鉉) 전(前) 대통령(大統領) 서거(逝去) 7주기(周忌) 행사(行事)에 참여(參與)했다. [77] 27일(日) 안동(安東) 을 방문(訪問)했고, [78] 7월(月) 25일(日) 울릉도(鬱陵島) 에 이어 독도(獨島) 를 방문(訪問)했다. [79] [80] 이를 두고 "오래전(오래前)부터 한·일 역사(歷史) 문제(問題)의 상징(象徵)인 독도(獨島) 방문(訪問)을 추진(推進)해 왔다"며, "이번(이番) 방문(訪問)은 8·15 광복절(光復節)을 앞두고 영토(領土) 주권(主權)을 확고히(確固히) 하자는 목적(目的)"이라는 입장(立場)을 보였다. [80] 이번(이番) 독도(獨島) 방문(房門)에는 최낙정 전(前) 해양수상부(海洋受賞部) 장관(長官)이 동행(同行)했다. [80] 안동(安東) 방문(訪問)에 대(對)해서는 TK 민심(民心)을 잡으려는 의도(意圖)로 분석(分析)된다. [78] 8월(月) 6일(日) 김대중(金大中) 전(前) 대통령(大統領) 서거(逝去) 7주기(周忌) 추모행사(追慕行事)에 참여(參與)했다. [81]

2016년(年) 10월(月) 말(末)부터 박근혜(朴槿惠)-최순실 게이트 가 알려지면서 박근혜(朴槿惠) 정권(政權)을 향(向)한 민심(民心)이 폭발(爆發)했고, 이때 문재인(文在寅)은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에 거국중립내각(擧國中立內閣)을 요청(要請)했다. [82] 안철수 등(等) 일부(一部) 야권(野圈)에서 이에 대(對)한 비판(批判)이 나왔으나 별다른 일은 발생(發生)하지 않았다. 이 무렵 문재인(文在寅)은 실권자(實權者)로 떠올랐다는 평(評)이 있다. [83]

집회(集會)에서 표창원(表蒼園) 과 연설(演說)하는 문재인(文在寅) (2016년(年))

11월(月) 26일(日) 열린 촛불집회(集會)에 참석(參席)하여 "200만(萬) 촛불이 세상(世上)을 바꾸는 횃불이 될 것"이라고 발언(發言)했으며, "박근혜 대통령(大統領) 스스로 내려오든 탄핵(彈劾)으로 끌려 내려오든 박(朴) 대통령(大統領) 퇴진(退陣)은 시간(時間) 문제(問題)", "그렇다면 박(朴) 대통령(大統領)은 한시(한時)라도 빨리 스스로 내려오는 것이 국민(國民)들을 덜 고생(苦生)시키고 국정(國政) 공백(空白)과 국정(國政) 혼란(混亂)을 최소화(最少化)하는 길"이라고 박근혜(朴槿惠)의 하야(下野)를 촉구(促求)했다. [84] 이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서 대통령(大統領)은 우리의 대통령(大統領)이 아니었다. 최순실 일가(一家)의 대통령(大統領)이었다. 돌이켜보면 2012년(年) 12월(月)부터 오늘까지 지난 4년(年) 동안 대한민국(大韓民國)에 대통령(大統領)은 없었다"라며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를 규탄(糾彈)했다. [84] 3일(日) 후(後)에는 "국회(國會)는 흔들림 없이 탄핵(彈劾) 절차(節次)를 밟아야 한다. 우리당(黨)과 저는 퇴진운동(退陣運動)과 탄핵추진(彈劾推進)을 흔들림 없이 해나가겠다"는 입장(立場)을 밝혔다. [85] 이후(以後) 12월(月) 9일(日) 국회(國會)에서 박근혜(朴槿惠)의 탄핵안(彈劾案)이 가결(可決)되자 "국민(國民)이 이겼다"고 주장(主張)했으나, 그러면서도 "끝이 아니라 시작(始作)"이라고 덧붙였다. [86] 이 무렵부터 문재인(文在寅)은 지지율(支持率) 1위(位)로 차기(次期) 유력(有力) 대권주자(大權走者)로 꼽혔다. [87]

2017년(年) 3월(月) 10일(日) 박근혜(朴槿惠)는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의 판결(判決)을 통해 최종(最終) 파면(罷免)되었다. 이후(以後) 각종(各種) 여론조사(輿論調査)에서 지지율(支持率) 1위(位)를 기록(記錄)하면서 "문재인 대세론(大勢論)"이(李) 굳어지는 등(等) 차기(次期) 유력(有力)한 대권주자(大權走者)로 굳어졌다. [88] 그러나 이에 기타 야당(野黨)들의 반문연대(反文連帶) 논의(論議)가 진행(進行)되면서 다소(多少) 위기(危機)를 맞이하기도 했다. [89]

2017년(年)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19대(代) 대선(大選) 포스터

2017년(年) 3월(月) 24일(日) 동영상(動映像)을 통해 "완전히(完全히) 새로운 대한민국(大韓民國)을 바라는 온 국민(國民)의 뜻을 모아 이제 정권교체(政權交替)의 첫발을 내딛는다"라고 대선(大選) 출마(出馬)를 공식(公式) 선언(宣言)했다. [90] 상도동계(系) 인(人) 김현철 , 김덕룡(金德龍) , 문정수 , 박종웅의 지지(支持)를 받았으며, [91] [92] [93] [94] [95] 그의 캠프 자문(諮問)그룹 출범식(出帆式)에는 장(長)·차관급(次官級) 인사(人事) 49명(名)이 참석(參席)했다. 동아일보(東亞日報) 기자(記者)를 거쳐 네이버 미디어서비스 실장(室長)(미디어 담당(擔當) 이사(理事)),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운영위원장(運營委員長) 등(等)을 역임(歷任)한 윤영찬 네이버 부사장(副社長)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담당본부장(擔當本部長)으로 영입(迎入)했고, 주요(主要) 여성계(女性界) 인사(人士)인 남인순(南仁順) 의원(議員)을 여성본부장(女性本部長)으로 영입(迎入)했다.

당내(黨內) 경선(競選)은 이재명(李在明) , 최성(崔星) , 문재인(文在寅), 안희정(安熙正) 의 4자(字) 구도(構圖) 대결(對決)이 확정(確定)되었다. 3월(月) 22일(日)에는 전국(全國) 동시투표소(同時投票所) 투표(投票)를 진행(進行)하였고, 3월(月) 25일(日) 호남(湖南) 지역(地域)을 시작(始作)으로 각(各) 지역별(地域別) ARS 투표(投票)와 순회투표(巡廻投票)를 차례(次例)로 진행(進行)하였다. [96] 4월(月) 3일(日) 수도권(首都圈) 지역(地域) 경선(競選)에서 문재인(文在寅)은 60.4%를 득표(得票)하며 1위(位)에 오르는 동시(同時)에, 전(全) 지역(地域)에서 1위(位) 압승(壓勝)을 거두면서 과반(過半) 이상(以上) 득표(得票)로 인해 최종결선(最終決選) 투표(投票) 없이 곧바로 대한민국(大韓民國)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후보(候補)로 선출(選出)되었다. [97] 경선(競選) 승리(勝利) 후(後) "오늘 우리에게 승자(勝者)와 패자(敗者)는 없다. 승자(勝者)가 있다면 그건 바로 촛불을 밝힌 국민(國民)들"이라며 "국민(國民)의 명령(命令)을 받들어 국민(國民) 대통령(大統領) 시대(時代)를 열겠다"고 약속(約束)하는 동시(同時)에 "세 동지(同志)가 저의 영원(永遠)한 정치적(政治的) 동지(同志)로 남기를 소망(所望)한다"며 "그 동안 어느 캠프에 있었든, 누구를 지지(支持)했든, 이제부터 우리는 하나다"라고 강조(强調)하며 세 후보(候補) 지지세력(支持勢力) 결집(結集)에 나섰다. [98]

" 페미니스트 대통령(大統領)"을 선언(宣言)하며 "남녀(男女) 동수(同數) 내각(內閣)"을 공약(公約)했으며, " 준조세(準租稅) 금지법(禁止法)을 만들어 기업(企業)을 중앙(中央) 정부(政府) 권력(權力)의 횡포(橫暴)에서 벗어나게 하겠다"고 말했다. [99] 또한 "개성공단(開城工團) 확장(擴張)"을 추가적(追加的)으로 공약(公約)했고, [100] 아울러 댓글공작(工作), 정치개입(政治介入) 등(等)으로 논란(論難)이 된 국가정보원(國家情報院) 을 개혁(改革)하겠다고 나섰다. [101] 이 외(外)에도 "공공부문(公共部門) 81만개(萬個) 일자리 창출(創出)", [102] "광화문(光化門) 대통령(大統領) 시대(時代)" 등(等)을 공약(公約)했다. 안보(安保)에 있어서는 "6자(者) 회담(會談)을 비롯한 다양한 양자(量子)·다(多)지회담(會談)을 적극(積極) 활용(活用)해 한반도(韓半島) 비핵화(非核化)·평화체제(平和體制)를 구축(構築)하겠다"고 약속(約束)했으며, [103] 이 외(外)에도 북핵(北核)에 관(關)해서는 이에 대응(對應)할 우리 군(軍)의 핵심전력(核心戰力)을 조기(早期)에 전력화(戰力化)하겠다고 말했다. [104]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 홍준표(洪準杓) 후보(候補), 국민의당(國民의黨) 안철수(安哲秀) 후보(候補), 바른정당(바른政黨) 유승민(劉承旼) 후보(候補), 정의당(正義黨) 심상정(沈想奵) 후보(候補)와 함께 4월(月) 23일(日), 4월(月) 28일(日), 5월(月) 2일(日) 세 차례(次例)에 걸쳐 진행(進行)된 토론(討論)에 참석(參席)했다. 5인(人) 구도(構圖)로 이루어진 토론(討論)을 거치면서 여러 분야(分野)에서 서로 간(間)의 공방(攻防)이 오갔다. 이후(以後) 5월(月) 9일(日)에 치러진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41.1%를 득표(得票)해 24%를 득표(得票)한 홍준표(洪準杓) 후보(候補)를 누르고 당선(當選)되었다. [105] 이미 이어져온 1강(强) 구도(構圖)를 통해 개표(開票) 초반(初盤)부터 사실상(事實上) 당선(當選)이 확정(確定)되었으며, [106] "함께 경쟁(競爭)한 후보(候補)들에도 감사(感謝)와 위로(慰勞)를 전(傳)한다"며 "새로운 대한민국(大韓民國)을 위해 그 분들과도 함께 손잡고 미래(未來)를 위해 같이 전진(前進)하겠다"고 당선(當選) 소감(所感)을 밝혔다. [105] 궐위선거인(闕位選擧人) 관계(關係)로 별다른 인수위원회(引受委員會) 없이 곧바로 취임(就任)했다.

대통령(大統領) 재임(在任) 시절(時節)

취임식(就任式)

국민의당(國民의黨) 을 방문(訪問)한 문재인(文在寅)
기회(機會)는 평등(平等)할 것입니다. 과정(過程)은 공정할 것입니다. 결과(結果)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으로 취임(就任)하였다. 국회(國會)에서 진행(進行)된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의 취임식(就任式)은 취임(就任) 선서(宣誓)로만 진행(進行)되었는데 이는 19대(代) 대선(大選)이 박근혜(朴槿惠) 전(前) 대통령(大統領) 탄핵(彈劾)에 따른 보궐선거(補闕選擧) 여서 공식(公式) 취임식(就任式)을 치를 여유(餘裕)가 없었기에 행사(行事)를 간소화(簡素化)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취임선서식(就任宣誓式)은 입장(立場)부터 퇴장(退場)까지 20분(分) 정도(程度)밖에 걸리지 않을 만큼 빠르게 진행(進行)되었다. 이날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한 번(番)도 경험(經驗)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107]

취임(就任) 선서(宣誓)가 끝난 후(後) 청와대(靑瓦臺) 로 떠나면서 거리에 나온 시민(市民)들에게 감사(感謝)의 뜻을 표했다. 청와대(靑瓦臺) 경호실(警護室)도 시민(市民)들의 접근(接近)을 크게 제지(制止)하지 않으며 배려(配慮)했다. [108]

국정(國政) 방향(方向)

문재인(文在寅)은 "국민(國民) 통합(統合)"을 강조(强調)했다. 취임(就任) 첫날 야(野)4당(黨)을 방문(訪問)하여 협조(協助)를 부탁(付託)하였다. [109]

문재인(文在寅) 정부(政府)의 국정(國政) 방향(方向)은 '탕평(蕩平)'과 '협치(協治)', '개혁(改革)'과 '변화(變化)', '대화(對話)'와 '소통(疏通)', '능력(能力)'과 '전문성(專門性)'으로 대표된다. 국무총리(國務總理) 후보자(候補者)로 전라남도지사(全羅南道知事) 인(人) 이낙연(李洛淵) 을 지명(指名)했으며, 청와대(靑瓦臺) 비서실장(祕書室長)으로는 임종석(任鍾晳) 을 지명(指名)했다. 둘은 친문(親文) 색채(色彩)가 옅은 사람으로 문재인이 이들을 지명(指名)한 것과 관련(關聯)하여 매우 높은 평가(評價)를 받는다는 평(評)이 있다. 국정원장(國精院長)으로는 서훈(徐薰) 이, 청와대(靑瓦臺) 경호실장(警護室長)으로는 주영훈 이 내정(內定)되었다. [110]

외교(外交)

한미(韓美) 관계(關係)

도널드 트럼프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이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을 2017년(年) 6월(月) 30일(日) 백악관(白堊館) 로즈 가든에서 맞이하고 있다.

2017년(年) 6월(月) 1일(日), 미국(美國) 상원(上院)에서 국방(國防) 예산(豫算)을 담당(擔當)하는 미국(美國) 민주당(民主黨) 상원(上院) 원내총무(院內總務) 딕 더빈 의원(議員)은 청와대(靑瓦臺) 에서 문재인 대통령(大統領) 에게 "(한국(韓國)이) 사드 배치(配置) 를 원(願)치 않으면 (미국정부(美國政府)가) 사드 배치(配置) 관련(關聯) 예산(豫算)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다"고 말했다. [111] [112]

2017년(年) 6월(月) 29일(日)(미국(美國) 동부시간(東部時間)),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워싱턴D.C. 미국(美國) 의회(議會) 폴 라이언 하원(下院) 의장(議長) 등(等) 하원(下院) 지도부(指導部)와 가진 간담회(懇談會)에서 “ 사드 배치(配置) 는 한미동맹(韓美同盟)에 기초한 합의(合意)이고 한국(韓國) 국민(國民)과 주한미군(駐韓美軍) 의 생명(生命)을 보호(保護)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113] [114]

워터게이트 사건(事件) 의 특종(特種) 기자(記者)였던 밥 우드워드 가 트럼프 대통령(大統領)에 대(對)해 취재(取材)한 것을 출간(出刊)한 책(冊)인 《 공포(恐怖): 백악관(白堊館)의 트럼프 》에 의(依)하면, 도널드 트럼프 가 문재인을 단정적(斷定的)으로 싫어한다고 밝히고 있다. [115] 또한 "트럼프가 북한(北韓) 같은 적국(敵國)보다 동맹(同盟)인 한국(韓國)에 더 화(火)를 낸다”며 참모(參謀)들이 우려(憂慮)했다는 사실(事實)도 언급(言及)되었다. [115]

헤리티지 재단(財團) 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先任硏究員)은 “미국(美國)은 공개적(公開的)으로는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과 그의 노력(努力)을 지지(支持)하며 얼굴에 미소(微笑)를 띠고 있지만, 미(美) 정부(政府) 관계자(關係者)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상당수(相當數)가 문(文) 대통령(大統領)의 대북(對北) 정책(政策)에 대(對)해 매우 우려(憂慮)하거나 심지어(甚至於) 분노(憤怒)하고 있다”고 밝혔다. [116]

한중(韓中) 관계(關係)

2017년(年) 5월(月) 10일(日), 시진핑 주석(主席)은 문재인(文在寅)의 당선(當選)에 축전(祝電)을 보내며 "한국(韓國)이 그러하듯 중국(中國)도 아주 어렵게 이뤄낸 양국관계(兩國關係) 성과(成果)를 유지(維持)하고 보호(保護)하길 희망(希望)한다", "상호(相互) 존중(尊重)을 바탕으로 정치적(政治的) 신뢰(信賴)를 견고히 하며 차이점(差異點)을 적절(適切)하게 처리(處理)하고, 양국관계(兩國關係)의 개선(改善) 및 안정적(安定的)인 발전(發展)을 추진(推進)해 가겠다"라고 밝혔다. [117] 한중(韓中) 관계(關係)에 있어 사드 배치(配置) 문제(問題) 가 수면(水面)위로 떠오르고 있는데, 관영언론(官營言論) 환구시보(環球時報) 는 " 한반도(韓半島) 사드 배치(配置) 문제(問題) 는 박근혜(朴槿惠) 전(前) 대통령(大統領)과 보수정권(保守政權)의 가장 큰 실수(失手)"라며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의 승리(勝利)가 사드 배치(配置) 문제(問題) 로 발생(發生)된 충격(衝擊)과 긴장(緊張)된 한·중관계(中關係)를 개선(改善)하는 계기(契機)가 될 것이라고 기대(期待)한다"고 밝혔다. [117]

2017년(年) 6월(月) 30일(日),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사드 배치(配置) 여부(與否)를 결정(決定)하는 건 한국(韓國) 주권(主權) 적(敵) 사안(事案)이라며 중국(中國) 이 부당(不當)하게 간섭(干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118] [119]

그는 2017년(年) 12월(月) 베이징 대학(大學) 을 방문(訪問)하여 강연(講演)을 하면서, 중국몽(中國夢) 을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中國)을 산봉우리(山봉우리)의 대국(大國)이라고 표현(表現)하였고, 동시(同時)에 대한민국(大韓民國)은 소국(小國)이라고 주장(主張)하였다. [120]

한일(韓日) 관계(關係)

아베 신조(新潮) 총리(總理)는 "한(韓)·일(日) 양국(兩國)은 전략적(戰略的)인 이익(利益)을 공유(共有)하는 가장 중요(重要)한 관계(關係)"라며 "앞으로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과 함께 손을 맞잡고 미래(未來) 지행의 한일관계(韓日關係) 를 폭넓은 분야(分野)에서 발전시켜가고 싶다"고 밝혔다. [117] 그러나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제(第)31회(回) 임시(臨時) 국무회의(國務會議)에서 "우리는 다시는 일본(日本)에게 지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발언(發言)하였다. 한편(한便)으로는 "위안부(慰安婦) 관련(關聯) 합의(合意)는 재교섭(再交涉)을 할 수 없다"는 입장(立場)을 보였다. [117]

남북(南北) 관계(關係)

2018년(年) 4월(月) 27일(日), 판문점(板門店) 에서 김정은(金正恩) 국무위원장(國務委員長)(왼쪽)과 악수(握手)를 나누는 문재인(文在寅)

문재인(文在寅)은 북한(北韓)에 대(對)한 전략(戰略)으로 장기적(長期的)인 통일(統一)로 이끄는 정책(政策)을 언급(言及)하였으며, 북한(北韓)에 대(對)한 UN 경제(經濟) 제재(制裁)와 병행(竝行)하여 대화(對話)를 통해서, 평화(平和) 협정(協定)과 북한(北韓) 핵(核) 미사일 개발(開發) 중단(中斷)을 교환(交換)하는 방식(方式)을 제안(提案)하였다. [121]

북한(北韓) 사드 배치(配置) 를 비난(非難)하며 " 미국(美國) 사드 를 제 땅으로 끌어가라"고 주장(主張)했고 "남조선(南朝鮮) 당국(當國)이 '사드배치(配置)가 북핵위협(北核威脅)에 대비(對備)하기 위해 미국(美國)과 공동(共同)으로 결정(決定)한 것이며 전임정부(前任政府)의 결정(決定)이지만 정권(政權)이 교체(交替)됐다고 해서 그 결정(決定)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고 떠들고 있다"고 비난(非難)했다. [122] [123]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을 할 것이라고 시사(示唆)했으며, 여건(與件)이 된다면 평양(平壤) 도 갈 것이라고 밝혔다. [124] 북한(北韓)은 "남조선(南朝鮮) 당국(當國)이 정녕(丁寧) 촛불 민심(民心)을 대변(代辯)하는 정권(政權)이라면 미국(美國) 상전(上典)의 강요(强要)를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이제라도 제정신(제精神)을 차리고 사드 배치(配置) 철회(撤回)를 요구(要求)하는 남조선(南朝鮮) 각계(各界)의 민심(民心)을 따르는 것이 마땅한 처사(處事)일 것"이라고 밝혔다. [125]

경제(經濟) 정책(政策)

집권(執權)하자마자 증세론(增稅論), 일자리 창출(創出) 공약(公約), 복지(福祉) 공약(公約), 탈핵(脫核) 정책(政策) 등(等)이 물 위로 떠올랐다. [126]

문재인(文在寅) 정부(政府)의 목표(目標)는 "국민(國民)의 삶을 책임(責任)지는 정부(政府)"이며, 저출산(低出産)·고령화(高齡化), 빈곤(貧困), 보육(保育), 교육(敎育), 의료(醫療) 분야(分野)에서 복지(福祉)를 확대(擴大)할 것으로 예상(豫想)되고 있다. [126] 한편(한便)으로는 취임(就任)하자마자 10조(兆)원 규모(規模)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追加更正豫算)을 편성(編成)하는 것이 목표(目標)이기도 하다. [126]

부동산(不動産) 정책(政策)으로는 서민(庶民)을 위한 주거복지(住居福祉)와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에 초점(焦點)을 두고 있다. [127] "매년(每年) 17만(萬) 가구(家口)씩 5년간(年間) 총(總) 85만(萬) 가구(家口)의 공적(公的) 임대주택(賃貸住宅)을 공급(供給)하는 것"이 목표(目標)이다. [127]

그러나 2018년(年) 7월(月) 취업자(就業者) 증가폭(增加幅)이 5000명(名)을 기록(記錄)해 고용(雇傭) 상황(狀況)이 2010년(年) 1월(月) 이후(以後) 역대(歷代) 최악(最惡)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실업자(失業者)는 2017년(年) 7월(月) 대비(對備) 8만(萬)1000명(名) 증가(增加)한 103만(萬) 9000명(名)이었으며, 고용률(雇傭率)은 61.3%로 2017년(年) 같은 달보다 0.3%포인트 감소(減少)했다. [128]

취임(就任) 1년차(年次)(2017~2018)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으로 취임(就任)했다. 궐위(闕位) 선거(選擧)로 당선(當選)된 대통령(大統領)이라 갑작스럽게 취임(就任)하는 바람에 내각(內閣)은 박근혜(朴槿惠) 정부(政府)의 구성(構成)인 채로 유지(維持)됐으나 [129] 다들 사임(辭任) 의사(意思)를 밝혔고, 바로 다음날 황교안(黃敎安) 국무총리(國務總理)와 박승춘(朴勝椿) 국가보훈처장(國家報勳處長)의 사표(辭表)가 수리(修理)되었다. [130] 또한 박근혜(朴槿惠) 정권(政權) 시기(時期) 논란(論難)이 되었던 국정교과서(國定敎科書)에 대(對)한 폐지(廢止)를 지시(指示)하였고, 아울러 이명박(李明博) 정부(政府) 시절(時節)부터 중단(中斷)되어왔던 임을 위(爲)한 행진곡(行進曲) 에 대(對)한 제창(提唱) 또한 지시(指示)하였다. [131]

1기(期) 내각(內閣)에 지명(指名)한 장관(長官) 및 후보자(候補者)의 절반(折半) 이상(以上)이 대통령(大統領) 공약(公約)이었던 고위공직자(高位公職者) 불가(不可) 5대(代) 비리(非理) 의혹(疑惑)이 있는 등(等) 인사(人事) 문제(問題)가 계속(繼續)해서 불거지자, [132] 이에 반발(反撥)하는 야당(野黨)들의 국회(國會) 보이콧으로 인해 국회(國會)가 장기간(長期間) 마비(痲痹)되는 사태(事態)가 벌어졌다. [133] [134] 인사(人事) 파동(波動) 과정(過程)에서 안경환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 후보(候補)와 조대엽 고용노동부(雇傭勞動部) 장관(長官) 후보(候補)가 각종(各種) 결격(缺格) 사유(事由)로 인한 논란(論難)으로 자진사퇴(自進辭退)하였다. [135] [136]

8월(月) 2일(日), 정부(政府)는 8 · 2 부동산(不動産) 대책(對策)을 발표(發表)했다. 강남(江南) 3구(具) 를 비롯한 서울 11개구(個區)와 세종시(世宗市) 를 투기지역(投機地域)으로, 투기지역(投機地域) 및 서울 14개구(個區)와 경기도(京畿道) 과천시(果川市) 를 투기과열지구(投機過熱地區)로, 투기과열지구(投機過熱地區) 및 부산(釜山) 7개구(個區)와 및 경기도(京畿道) 6개시(個市)를 조정대상지역(調整對象地域)으로 지정(指定)했고, 투기지역(投機地域)과 투기과열지구(投機過熱地區)의 주택담보대출비율(住宅擔保貸出比率) (LTV)· 총부채상환비율(總負債償還比率) (DTI)을 각각(各各) 60%와 50%에서 40%로 일괄(一括) 하향(下向) 조정(調整)하기로 했다. 또한 2018년(年) 4월(月)부터 다주택자(多住宅者)가 조정대상지역(調整對象地域) 내(內) 주택(住宅)을 양도(讓渡)할 시(時)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를 중과(重課)하기로 하였다. [137]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문(文) 대통령(大統領) 취임(就任) 100일(日) 기자회견(記者會見) , JTBC

8월(月) 17일(日) 취임(就任) 100일(日) 기념(記念)하여 기자(記者) 회견(會見)을 열었으며, 사전(事前) 각본(脚本) 없이 진행(進行)되었다. [138]

2017학년도(學年度) 대학수학능력시험(大學修學能力試驗) 을 하루 앞둔 2017년(年) 11월(月) 15일(日) 포항(浦項) 지진(地震) 이 발생(發生)하면서,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대학수학능력시험(大學修學能力試驗) 을 1주일(週日) 연기(延期)하는 결정(決定)을 내렸다. [139]

한편(한便), 암호화폐(暗號貨幣) 열풍(烈風)이 거세지면서 정부(政府)에서는 암호화폐(暗號貨幣) 규제(規制) 정책(政策)들을 마련하였다. 이 과정(過程)에서 거래소(去來所) 폐쇄(閉鎖) 등(等)의 초강경(超强勁) 대책(對策)이 나오자, 암호화폐(暗號貨幣) 투자자(投資者)들은 박상기(朴相基)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 , 최흥식 금융감독원장(金融監督院長) 해임(解任)을 청원(請願)하는 등(等) 강(剛)하게 반발(反撥)하였다. [140]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여자(女子) 아이스하키 단일팀(單一팀)에 대(對)해 논란(論難)이 불거지면서 20대(代) 지지층(支持層)이 이탈(離脫)하였고, 지지율(支持率) 59.8%를 기록(記錄)했다. [141] 2018년(年) 4월(月) 27일(日)에는 1차(次)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이 이루어지고 판문점(板門店) 선언(宣言) 이 발표(發表)되었다.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과 남북관계(南北關係) 개선(改善)에 대(對)한 기대(期待)로 인해 지지율(支持率) 70%대(臺)를 기록(記錄)했다. [142]

취임(就任) 2년차(年次)(2018~2019)

2018년(年) 5월(月) 26일(日)에는 판문점(板門店) 에서 2차(次)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이 이루어졌으며, 지방선거(地方選擧)를 하루 앞둔 6월(月) 12일(日)에는 싱가포르 에서 북미정상회담(北美頂上會談) 이 이루어졌다.

6월(月)까지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과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의 지지율(支持率)은 각각(各各) 70%대(臺), 50%대(臺)를 유지(維持)했으며, 제(第)7회(回) 전국동시지방선거(全國同時地方選擧) 에서 여당(與黨)인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이 압승(壓勝)을 거두면서 문(文) 대통령(大統領)의 국정운영(國政運營)에 힘이 실리게 되었다. [143] 그 원인(原因)으로는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에 대(對)한 기대감(期待感)과 자유한국당(自由韓國當)에 대(對)한 실망감(失望感)이 꼽혔다. [144] 성공적(成功的)인 남북(南北) 정상회담(頂上會談), 촛불집회(集會) 를 통한 보수(保守) · 진보(進步) 지형(地形) 역전(逆轉), 소통(疏通) · 겸손(謙遜) · 안정감(安定感) 등(等) 문(文) 대통령(大統領)의 개인기(個人技), 매력적(魅力的)인 대안(對案)을 제시(提示)하지 못하는 보수야당(保守野黨) 등(等)이 문(文) 대통령(大統領)과 민주당의 지지(支持) 원인(原因)이 되었다는 평가(評價)가 있었다. [145]

2019년도(年度) 최저임금(最低賃金)이 2018년(年) 대비(對比) 10% 오르게 되면서, 7월(月) 17일(日)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2020년(年)까지 최저임금(最低賃金) 1만(萬) 원을 이룬다는 목표(目標)는 사실상(事實上) 어려워졌다. 결과적(結果的)으로 대선(大選) 공약(公約)을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을 사과(謝過)드린다."고 공약(公約) 파기(破棄)를 인정(認定)하였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중요(重要)한 것은 올해와 내년(來年)에 이어서 이뤄지는 최저임금(最低賃金)의 인상(引上) 폭(幅)을 우리 경제(經濟)가 감당(堪當)해내는 것"이라며 속도(速度) 조절론(調節論)을 공식화(公式化)했다. [146]

8월(月) 7일(日)에는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이 인터넷전문은행(專門銀行) 은산분리(銀産分離) 완화(緩和)를 추진(推進)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 바른미래당(바른未來黨) 등(等) 야당(野黨)은 적극(積極) 환영(歡迎)했고, 기존(旣存) 지지층(支持層)에 가까웠던 정의당(正義黨) 참여연대(參與連帶) , 경실련(經實聯) 등(等)은 반대(反對)하였다. 기존(旣存)에 반대(反對) 목소리를 냈던 여당(與黨) 일부(一部) 의원(議員)들은 침묵(沈默)했고, 홍영표(洪永杓) 여당(與黨) 원내대표(院內代表)는 찬성(贊成) 의사(意思)를 밝히면서도 안전장치(安全裝置)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노무현(盧武鉉) 전(前) 대통령(大統領)이 한미(韓美) FTA 를 추진(推進)해 기존(旣存) 지지층(支持層)들의 반발(反撥)을 샀던 것과 비슷한 측면(側面)이 일부(一部) 있다. [147]

비슷한 시기(時期)에, 2018년(年) 한국(韓國) 폭염(暴炎) 으로 인해 청와대(靑瓦臺)와 여당(與黨)은 주택(住宅) 전기료(電氣料) 누진제(累進制)를 7~8월(月) 동안 한시적(限時的)으로 완화(緩和)하는 안을 추진(推進)하기로 하였다. 김태년(金太年) 여당(與黨) 정책(政策)위의장(議長)은 "1단계(段階) 상한(上限)은 200㎾h에서 300㎾h로 100㎾h 조정(調整)하고, 2단계(段階) 구간(區間)도 400㎾h에서 500㎾h로 100㎾h 조정(調整)하기로 했다"며 "한전 이사회(理事會)를 거쳐 정부(政府)에서 최종(最終) 확정(確定)하면 요금인하(料金引下) 효과(效果)는 2761억(億)원으로, 가구당(家口當) 평균(平均) 19.5%의 인하효과(引下效果)가 기대(期待)된다"고 밝혔다. [148]

경제(經濟) 정책(政策)에 관(關)한 논란(論難)이 계속(繼續)되는 가운데, 8월(月) 말(末)에는 황수경 통계청장(統計廳長)을 경질(更迭)하고 강신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韓國保健社會硏究院) 선임연구위원(先任硏究委員)을 새 통계청장(統計廳長)에 임명했다. 이에 대(對)해 정부(政府) 정책기조(政策基調)에 맞지 않는 통계조사(統計調査) 결과(結果)가 나오자 통계청(統計廳)에 대(對)해 압박성(壓迫性) 인사(人事)를 했다는 비판(批判)이 제기(提起)되었다. [149]

8월(月) 30일(日)에는 장관급(長官級) 인사(人士) 5명(名)과 차관급(次官級) 인사(人事) 4명(名)에 대(對)한 개각(改閣)을 단행(斷行)하였다. 김상곤 사회부총리(社會副總理) 겸(兼) 교육부(敎育部) 장관(長官) 의 후임(後任)으로 유은혜(兪銀惠)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의원(議員), 송영무 국방부(國防部) 장관(長官) 의 후임(後任)으로 정경두(鄭景斗) 합동참모본부(合同參謀本部) 의장(議長)을 발탁(拔擢)했다. 또한 여성가족부(女性家族部) 장관(長官) 후보자(候補者)에 진선미(陳善美)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의원(議員), 고용노동부(雇傭勞動部) 장관(長官) 후보자(候補者)에 이재갑(李載甲) 근로복지공단(勤勞福祉公團) 이사장(理事長), 산업통상자원부(産業通商資源部) 장관(長官) 후보자(候補者)에 성윤모(成允模) 특허청장(特許廳長)을 각각(各各) 발탁(拔擢)했다. [150] 장관(長官) 교체(交替)에 대(對)해서는 문책성(問責性) 인사(人事)라는 풀이가 나온다. 송영무 국방부(國防部) 장관(長官)은 기무사(機務司) 계엄령(戒嚴令) 문건(文件) 처리(處理)와 관련(關聯) 보고(報告) 과정(過程) 등(等)에서 부적절(不適切)하게 처신(處身)했다는 비판(批判)을 받은 바 있으며, 김상곤 사회부총리(社會副總理) 겸(兼) 교육부(敎育部) 장관(長官)은 유치원(幼稚園) · 어린이집 영어교육(英語敎育) 금지(禁止), 자사고(自私高) · 특목고(特目高) 폐지(廢止), 수능(修能) 전(全) 과목(科目) 절대(絶對) 평가(評價) 강행(强行), 대입제도(大入制度) 개편(改編) 등(等) 논란(論難)을 빚었다. 또한 백운규(白雲揆) 산업통상자원부(産業通商資源部) 장관(長官)은 탈원전(脫原電) 정책(政策) 으로, 김영주(金榮珠) 고용노동부(雇傭勞動部) 장관(長官)은 '고용(雇傭) 쇼크'로 논란(論難)을 빚었다. 정현백 여성가족부(女性家族部) 장관(長官)은 홍대(弘大) 몰카 수사(搜査)가 '편파(偏頗) 수사(搜査)'라는 집회(集會) 현장(現場)에 다녀온 전적(戰績)이 논란(論難)이 되었고, 그 이전(以前)에는 여성(女性) 비하(卑下) 논란(論難)이 있는 탁현민 청와대(靑瓦臺) 행정관(行政官)의 경질(更迭)을 건의(建議)해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지지자(支持者)들로부터 비판(批判)을 받은 바 있다. [151]

9월(月) 11일(日), 판문점(板門店) 선언(宣言) 비준동의안(批准同意案)이 국무회의(國務會議) 에서 의결(議決)되었고, 통일부(統一部) 는 비준동의안(批准同意案)과 함께 비용추계서(費用秋階序)를 국회(國會)에 제출(提出)했다. 비용추계서(費用推計書)에 따르면, 2019년(年)에 철도(鐵道)·도로(道路) 협력(協力)과 산림협력(山林協力) 등(等) 판문점선언(板門店宣言) 이행(履行)을 위해 2986억(億) 원이 추가(追加)로 소요(所要)될 것으로 예상(豫想)됐다. [152]

9월(月) 13일(日), 정부(政府)는 9 · 13 부동산(不動産) 대책(對策)을 발표(發表)했다. 서울·세종(世宗) 전역(全域)과 부산(釜山)·경기(京畿) 일부(一部) 등(等) 집값이 급등(急騰)한 조정대상지역(調整對象地域) 2주택(住宅) 이상(以上) 보유자(保有者)에 대(對)해 주택분(住宅分) 종합부동산세(綜合不動産稅) 최고세율(最高稅率)을 참여정부(參與政府) 수준(水準) 이상(以上)인 최고(最高) 3.2%로 중과(重課)하고, 세(稅) 부담(負擔) 상한(上限)도 150%에서 300%로 올린다. 종부세(綜不稅) 과세표준(課稅標準) 3억(億)∼6억(億)원 구간(區間)을 신설(新設)해 세율(稅率)을 0.7%로 0.2%포인트 인상(引上)한다. [153]

9월(月) 18일(日)~20일(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에서 제(第)3차(次)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이 개최(開催)되었다. 역대(歷代) 대통령(大統領)들 중(中) 김대중(金大中) , 노무현(盧武鉉) 전(前) 대통령(大統領)에 이어 3번째(番째)로 평양(平壤)을 방문(訪問)하였다. 9월(月) 19일(日), 김정은(金正恩) 국무위원장(國務委員長)은 가까운 시일(時日) 안에 서울 을 방문(訪問)하겠다고 하였다. [154] 또한 20일(日)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國務委員長)과 함께 백두산(白頭山) 천지(天地) 를 방문(訪問)하였다. [155] 리얼미터 여론조사(輿論調査) 결과(結果), 경제(經濟) 문제(問題)로 하락(下落)했던 지지율(支持率)은 6.4%p 상승(上昇)한 59.4%를 기록(記錄)했다. [156]

9월(月) 21일(日), 정부(政府)는 주택(住宅) 가격(價格) 안정(安定)을 위해 <수도권(首都圈) 주택공급(住宅供給) 확대(擴大) 방안(方案)>을 발표(發表)했다. 정부(政府)는 이날 수도권(首都圈) 공공택지(公共宅地) 17곳에서 3만(萬) 5000호(號)를 공급(供給)할 계획(計劃)을 밝혔으며, 앞으로 남은 택지(宅地) 13곳 중(中) 4∼5곳은 330만(萬)㎡ 이상(以上) 대규모(大規模) 공공택지(公共宅地), 즉(卽) '3기(期) 신도시(新都市)'를 조성(造成)해 20만(萬) 호(號)를 공급(供給)하겠다고 밝혔다. 발표(發表)된 공공택지(公共宅地) 17곳은 옛 성동구치소(城東拘置所) 자리와 대포동 재건(再建)마을, 비공개(非公開) 9개(個) 부지(敷地) 등(等) 서울 11곳, 광명(光明) 하안(何晏)2 · 의왕(義王) 청계2 · 성남(城南) 신촌(新村) · 시흥(始興) 하중(荷重) · 의정부(議政府) 우정(友情) 등(等) 경기(景氣) 5곳, 검암(檢癌) 역세권(驛勢圈) 등(等) 인천(仁川) 1곳이다. 3기(期) 신도시(新都市)의 위치(位置)는 분당(盆唐) , 일산(一山) 등(等) 1기(期) 신도시(新都市) 서울시(서울市) 사이가 될 것이라고 설명(說明)했다. [157]

9월(月) 25일(日)(뉴욕 현지시각(現地時刻)),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은 미국(美國) 뉴욕에서 아베 신조(新潮) 일본(日本) 총리(總理)를 만나 "위안부(慰安婦) 피해(被害) 할머니와 국민(國民)의 반대(反對)로 화해(和解)·치유재단(治癒財團) 이 정상적(正常的) 기능(機能)을 못하고 고사(考査)할 수밖에 없는 상황(狀況)"이라면서 화해(和解)·치유재단(治癒財團)을 해산(解散)하겠다는 뜻을 통보(通報)했다. [158]

11월(月) 9일(日), 김동연(金東兗) 부총리(副總理) 겸(兼) 기획재정부(企劃財政部) 장관(長官) 장하성(張夏成) 청와대(靑瓦臺) 정책실장(政策室長) 이 동시(同時)에 교체(交替)되었고, 후임(後任)으로 각각(各各) 홍남기(洪楠基) 국무조정실장(國務調整室長) 김수현 청와대(靑瓦臺) 사회수석(社會首席) 이 지명(指名)되었다. 김동연(金東兗) · 장하성(張夏成) 동시(同時) 교체(交替)에 대(對)해, 실질적(實質的) 성과(成果)가 없는 경제(經濟) 현실(現實) 및 정책(政策)에 대(對)한 엇박자(拍子) 노출(露出)로 인한 문책성(問責性) 인사(人事)라는 분석(分析)이 제기(提起)되었다. [159]

11월(月) 26일(日), 금융위원회(金融委員會) 는 당정협의(黨政協議)를 거쳐 '카드수수료(手數料) 개편방안(改編方案)'을 확정(確定)했다. 개편안(改編案)에 따르면, 카드수수료율(手數料率)을 낮춰주는 우대수수료율(優待手數料率) 적용(適用) 구간(區間)이 2019년(年)부터 연매출(年賣出) 5억(億)원 이하(以下) 가맹점(加盟店)에서 30억(億)원 이하(以下) 가맹점(加盟店)으로 대폭(大幅) 확대(擴大)된다. 구체적(具體的)으로는, 연매출(年賣出) 5~10억(億)원 구간(區間) 가맹점(加盟店)의 평균(平均) 수수료율(手數料率)은 2.05%에서 1.4%로, 연매출(年賣出) 10~30억(億)원 구간(區間) 가맹점(加盟店)의 평균(平均) 수수료율(手數料率)도 2.21%에서 1.6%로 인하(引下)된다. 또한 연매출(年賣出) 500억(億)원 이하(以下)의 일반가맹점(一般加盟店)이 부담(負擔)하는 카드수수료율도(手數料率度) 이번(이番)에 2% 이내(以內)로 인하(引下)하도록 했으며, 체크카드 수수료율(手數料率) 또한 낮추기로 했다. [160] 정부(政府)의 대책(對策)에 대(對)해 가맹점주(加盟店主)들은 환영(歡迎)한다는 뜻을 밝혔다. [161] 그러나 혜택(惠澤) 대상(對象)에 포함(包含)되지 않는 매출(賣出) 3억(億) 원 이하(以下)의 가맹점(加盟店)이 전체(全體) 영세상인(零細商人)의 4분(分)의 3을 차지하는데, 이들은 오히려 환급금(還給金)으로 인해 이득(利得)을 보는 상태(狀態)이며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引下) 이후(以後)에는 환급금(還給金)이 줄어든다. 따라서 많은 매출(賣出)을 올리는 자영업자(自營業者)들만 혜택(惠澤)을 볼 것이라는 불만(不滿)이 제기(提起)되었다. [162] 카드회사(會社)들과 카드노조(勞組) 또한 반발(反撥)하였다.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引下) 발표(發表) 이후(以後), 증권사(證券社)들은 카드사(社)의 2019년(年) 순이익(純利益)이 2018년(年)보다 최대(最大) 60% 정도(程度)까지 감소(減少)할 것이라는 전망(展望)을 내놓았으며, 특히(特히) 롯데그룹 은 롯데카드를 외부(外部)에 매각(賣却)하기로 결졍하였다. 금융노조(金融勞組) 관계자(關係者)는 "정부(政府)가 발표(發表)한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안이(引下安易) 실현(實現)되면 모든 카드사(社)는 적자(赤字)를 내라는 것"이라며 "카드사(社)에서 일하는 노동자(勞動者)들은 거리에 나 앉게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163]

12월(月) 10일(日), 홍남기(洪楠基) 후보자(候補者)가 부총리(副總理) 겸(兼) 기획재정부(企劃財政部) 장관(長官)에 취임(就任)했다. 그 다음날에는 청와대(靑瓦臺) 및 민간(民間)과의 소통(疏通)을 강화(强化)하겠다는 의지(意志)를 밝혔다. [164] 앞서 홍(洪) 후보자(候補者)는 청문회(聽聞會)에서 "혁신성장(革新成長)과 함께 소득주도성장(所得主導成長) 을 추진(推進)하되 속도(速度) 조절(調節)과 부작용(副作用) 보완(補完)은 필요(必要)하다"는 입장(立場)을 밝힌 바 있다. [165]

12월(月) 14일(日), 국민연금(國民年金) 개편안(改編案)이 발표(發表)되었다. 1안(案)은 '현행유지(現行維持)' 방안(方案)으로 소득대체율(所得代替率)을 40%로 유지(維持)하는 것이고, 2안(案)은 기초연금(基礎年金)을 40만(萬)원으로 올려 소득대체율(所得代替率)을 40%로 맞추는 방안(方案)이다. 3안(案)은 소득대체율(所得代替率)을 45%로 올리기 위해 보험료율(保險料率)을 현행(現行) 9%에서 12%로 올리는 방안(方案), 4안(案)은 소득대체율(所得代替率)을 50%로 끌어올리고 보험료율(保險料率)은 13%로 인상(引上)하는 방안(方案)이다. [166]

12월(月) 19일(日),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는 3기(期) 신도시(新都市) 계획(計劃)을 발표(發表)했다. 남양주(南楊州) 왕숙(王肅)(1134만(萬)㎡), 하남(河南) 교산(校山)(649만(萬)㎡), 인천(仁川) 계양(桂陽) 계양(桂陽)테크노밸리(335㎡), 과천(果川) 과천(果川)(155만(萬)㎡) 4곳이 3기(期) 신도시(新都市) 개발(開發) 대상(對象)이다. 또한 수도권(首都圈) 광역급행철도(廣域急行鐵道) A선(船) 의 금년도(今年度) 착공(着工) 및 C선(船) 의 조기(早期) 착공(着工), 신안산선(新安山線) 의 내년(來年) 하반기(下半期) 착공(着工), 서울 지하철(地下鐵) 3호선(號線) 의 하남(河南) 교산지구(校山地球) 연장(延長) 등(等)의 철도교통(鐵道交通) 대책(對策)을 발표(發表)했다. [167]

12월(月) 21일(日), 경제(經濟) 문제(問題)와 청와대(靑瓦臺) 특별감찰반(特別監察班) 비위(非違) 의혹(疑惑) 등(等)으로 인하여, 국정수행(國政遂行)에 대(對)한 부정평가(否定評價)가 긍정평가(肯定評價)보다 높은 첫 여론조사(輿論調査) 결과(結果)가 나왔다. 한국(韓國)갤럽 여론조사(輿論調査) 결과(結果) 긍정평가(肯定評價)는 45%, 부정평가(否定評價)는 46%를 기록(記錄)했다. [168]

1월(月) 4일(日), 유홍준 광화문대통령시대위원회(光化門大統領時代委員會) 자문위원(諮問委員)은 "집무실(執務室)을 현(現) 단계(段階)에서 광화문(光化門) 청사(廳舍)로 이전(移轉)하면 청와대(靑瓦臺) 영빈관(迎賓館)·본관(本貫)·헬기장(場) 등(等) 집무실(執務室) 이외(以外) 주요기능(主要機能) 대체부지(代替敷地)를 광화문(光化門) 인근(隣近)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結論)을 내렸다"고 밝혀,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의 공약(公約) 중(中) 하나인 대통령(大統領) 집무실(執務室)의 광화문(光化門) 이전(移轉)이 사실상(事實上) 파기(破棄)되었다. [169]

1월(月) 8일(日), 임종석(任鍾晳) 비서실장(祕書室長)은 주요(主要) 참모진(參謀陣) 개편(改編)을 발표(發表)했다. 임종석(任鍾晳) 대통령비서실장(大統領祕書室長) 후임(後任)에는 노영민(盧英敏) 주중국대사(駐中國大使)가, 한병도(韓秉道) 정무수석(政務首席) 후임(後任)에는 강기정(姜琪正) 전(前)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의원(議員)이, 윤영찬 국민소통수석(國民疏通首席) 후임(後任)에는 윤도한 전(前) MBC 논설위원(論說委員)이 각각(各各) 내정(內定)되었다. [170]

1월(月) 29일(日), 홍남기(洪楠基) 경제부총리(經濟部總理) 겸(兼) 기획재정부(企劃財政部) 장관(長官)은 국가균형발전(國家均衡發展)을 위해 총사업비(總事業費) 24조(兆) 1000억(億)원 규모(規模)의 23개(個) 사업(事業)에 대(對)해 예비타당성조사(豫備妥當性調査) 를 면제(免除)한다고 발표(發表)하였다. 이번(이番) 프로젝트의 취지(趣旨)가 지역균형발전인(地域均衡發展人) 점(點)을 고려(考慮)해 서울, 경기(京畿), 인천(仁川) 등(等) 수도권(首都圈)을 대상(對象)으로 하는 사업(事業)은 예타(豫妥) 면제(免除) 대상(對象)에서 원칙적(原則的)으로 제외(除外)되었으나, 서울 지하철(地下鐵) 7호선(號線) 의 옥정-포천(抱川) 연장선(延長線)은 수도권(首都圈)이지만 낙후(落後)된 접경지역(接境地域)을 고려(考慮)하여 예타(豫妥) 면제(免除) 대상(對象)에 포함(包含)되었다. 특히(特히) 거제(巨濟), 통영(統營) 등(等) 경남(慶南)과 울산(蔚山), 전북(全北) 군산(群山), 전남(全南) 목포(木浦) 등(等) 고용(雇傭)·산업위기(産業危機) 지역(地域)은 지역(地域)의 어려움을 추가(追加)로 고려(考慮)했다. 기업(企業)과 일자리, 연구개발(硏究開發) 투자(投資)의 수도권(首都圈) 집중(集中)으로 인하여 수도권(首都圈)-비수도권간(非首都圈間) 격차(隔差)가 확대(擴大)되고 있기 때문에, 지역(地域)의 성장발판(成長발板) 마련을 위해 전략적(戰略的) 투자(投資)에 나서겠다는 것이 정부(政府)의 취지(趣旨)다. [171]

취임(就任) 3년차(年次)(2019~2020)

조국(曺國) 전(前) 민정수석(民政首席)을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 후보자(候補者)로 지명(指名)했다가 후보자(候補者) 가족(家族) 관련(關聯) 논란(論難)으로 인해 지명(指名) 철회(撤回)를 요청(要請)받았으나 "법률(法律)을 위반(違反)했거나 후보자(候補者) 본인(本人)이 직접(直接) 책임질만한 일이 드러난 것이 없다"는 이유(理由)로 신임(新任)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에 임명했다.

유신헌법(維新憲法) 에 그 기원(起源)을 두고 있는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義) 수호(守護)를 외치는 한기총 ,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 , 우리공화당(우리共和黨) 과 같은 종교계(宗敎界)와 정치계(政治界) 등(等)의 우파(右派) 세력(勢力)이 중심(中心)이 되어 광화문광장(光化門廣場) 과 청와대(靑瓦臺) 앞에서 10월(月)에 세 차례(次例)에 걸쳐 대규모(大規模) 야간집회(夜間集會)를 개최(開催)하여 하야(下野)를 요구(要求)받았다.

11월(月) 19일(日)에 사전(事前) 각본(脚本)없이 자유(自由)롭게 진행(進行)하는 국민(國民)과의 대화(對話)를 생방송(生放送)으로 진행(進行)하며 임기(任期) 중(中)에 남방정책(南方政策)을 추진(推進)하며 아세안연합(聯合) 10개국(個國)과 정상회담(頂上會談)을 했던 문재인(文在寅)은 11월(月) 25일(日)부터 한(韓)·아세안 특별정상회의(特別頂上會議)와 한·메콩강 정상회의(頂上會議)를 잇달아 개최(開催)하였다.

2020년(年) 1월(月) 3일(日) 평택(平澤) 부두(埠頭)를 방문(訪問)하여, 올해 수출(輸出) 1호차(號車)를 선적(船積)하는 자동차(自動車) 운반선(運搬船) 앞으로 수출(輸出) 차량(車輛) 운전사(運轉士)들이 정렬(整列)하여 서있는 앞에 조촐하게 연설대(演說臺)를 두고 연설(演說) 을 하였다. [172] 수출(輸出) 강국(强國)에 중심(中心)을 두는 내용(內容)으로 연설(演說) 장면(場面)은 대국민(對國民) 담화(談話) 형식(形式)이 아닌 격식(格式)을 갖춘 신년(新年) 인사(人事)처럼 길게 편집(編輯) 없이 방송(放送)되었다.

코로나19 사태(事態)

2020년(年) 1월(月) 20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입(流入)되었다.

취임(就任) 4년차(年次)(2020~2021)

2020년(年) 7월(月) 말(末)부터 전국적(全國的)으로 호우(豪雨) 피해(被害)가 동시다발적(同時多發的)으로 발생(發生)하면서, 문재인(文在寅)은 8월(月) 3일(日) 어쩔 수 없이 여름 하계휴가(夏季休暇)를 포기(抛棄)하고 전국(全國)의 수해(水害) 복구(復舊)를 시찰(視察)하는 데에 전념(專念)하기로 결정(決定)하였다. [173]

4.7 재보선(再補選) 참패(慘敗)

2021년(年) 4월(月) 7일(日) 열린 서울시장(市長) , 부산시장(釜山市長) 보궐선거(補闕選擧) 에서 여당(與黨)이 참패(慘敗)하였고, 비슷한 시기(時期) 지지율(支持率) 또한 사상(史上) 최초(最初)로 20%대(臺)로 떨어졌다. [174] 이로 인해 임기말(任期末) 레임덕 우려(憂慮)가 제기(提起)되기도 했다. [175]

취임(就任) 5년차(年次)(2021~2022)

2021년(年) 한미정상회담(韓美頂上會談) 에서 조 바이든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과 만나 한국군(韓國軍)에게 얀센 백신 100만(萬) 회분(回分)을 지원(支援)받는 성과(成果)를 낸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2022년(年) 5월(月) 9일(日) 에 퇴임(退任)했다. [176] 다음날 후임(後任)으로 윤석열(尹錫悅) 이(李) 대통령(大統領)으로 취임(就任)했다. [177]

퇴임(退任) 이후(以後)

퇴임(退任) 이후(以後) 양산시(梁山市) 하북면 에 지어진 새 자택(自宅)으로 이사(移徙)하였다.

11월(月)에는 곰이와 송강(松江)이 를 정부(政府)에 반납(返納)하였다. [178]

12월(月) 3일(日) 서훈(徐薰) 전(前) 국가안보실장(國家安保室長) 연평도(延坪島) 해역(海域) 공무원(公務員) 피격(被擊) 사망(死亡) 사건(事件) 으로 구속(拘束)되었다. [179] 12월(月) 7일(日) 한동훈은 문재인이 연평도(延坪島) 해역(海域) 공무원(公務員) 피격(被擊) 사망(死亡) 사건(事件) 의 수사(搜査) 대상(對象)이 될 가능성(可能性)을 언급(言及)하였다. 민주당(民主黨)은 한동훈의 발언(發言)에 불쾌감(不快感)을 드러냈다. [180]

평가(評價)

긍정적(肯定的) 평가(評價)

비지니스포스트는 ‘합리적(合理的)이고 중심(中心)이 잘 잡혀있어 안정(安定)된 성품(性品)을 지녔다’고 평가(評價)했다. [22] 미국(美國)의 시사(時事) 잡지(雜誌) 애틀랜틱은 북한(北韓)의 '핵(核) 드라마'에서 김정은(金正恩) 북한(北韓) 노동당(勞動黨) 위원장(委員長)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이 변덕스럽고 매혹적(魅惑的)인 스타라면, 이 드라마를 실제(實際) 연출(演出)하는 이는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이라고 평가(評價)했다. [181] CNN은 대북(對北) 외교(外交)를 두고 "문재인(文在寅)에게 모자(帽子)를 벗어 경의(敬意)를 표해야한다"는 반응(反應)을 내놨다. 김정은과 트럼프 대통령(大統領)을 한 자리에 모으는 한국(韓國) 대통령(大統領)의 외교(外交) 기술(技術)을 매우 높게 산다는 이야기도 덧붙였다. [182]

부정적(否定的) 평가(評價)

노무현 정부(政府) 시절(時節) 아들 문준용 고용정보원(雇用情報院) 채용(採用) 과정(過程)에서 여러 가지 특혜(特惠) 의혹(疑惑)이 불거져 정치적(政治的) 논란(論難)이 되기도 했다. 이후(以後) 권력(權力)에 의(依)한 특혜(特惠)는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대북관(對北觀)에 있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政權)과 그를 옹호(擁護)하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내(內) 세력(勢力)에 대(對)한 전향적(前向的)인 입장(立場)을 취(取)하는 것이 일부(一部) 보수파(保守派)들에 의(依)해 논란(論難)을 빚었다. 그러한 대북(對北) 정책(政策)을 관철(貫徹)하거나 주장(主張)하는 과정(過程)에서 간혹(間或) 국제적(國際的) 외교(外交) 문제(問題)나 법적(法的) 문제(問題) 등(等)이 제기(提起)되기도 하였다. 다만 전체적(全體的)으로는 역대(歷代) 정부(政府) 중(中) 가장 성공(成功)한 평화적(平和的) 대북(對北) 정책(政策)이었다고 평가(評價) 받는 것도 사실(事實)이다.

대통령(大統領) 취임(就任) 이후(以後)에는 양극화(兩極化)를 초래(招來)한 대기업(大企業) 중심(中心)의 성장주의(成長主義) 경제정책(經濟政策)에 대(對)한 반성(反省)에서 소득주도성장론(所得主導成長論) 과 최저임금(最低賃金) 인상(引上) 등(等) 양극화(兩極化) 해소(解消)를 위한 상생(相生) 포용(包容) 정책(政策)을 펼쳤으나, 이에 대(對)해서 기존(旣存) 일부(一部) 학계(學界)에서 부작용(副作用)을 지적(指摘)하며 비판(批判)을 가(加)하였다. 진보(進步) 성향(性向)의 주상영 건국대 교수(敎授)조차 "기업구조조정(企業構造調整)이나 공공부문(公共部門) 개혁(改革), 증세(增稅) 논의(論議) 등(等) 경제(經濟) 효율성(效率性) 향상(向上) 정책(政策)이 없을 경우(境遇) 금융위기(金融危機) 발생(發生), 불평등(不平等) 심화(深化), 수요(需要) 부족(不足)의 문제(問題)를 겪게 될 것"이라고 지적(指摘)했고 [183] , 더불어민주당 국민경제상황실(國民經濟狀況室) 부단장(副團長)을 맡았던 주진형 전(前) 한화투자증권 대표(代表)는 최저임금(最低賃金) 인상(引上) 정책(政策)에 대(對)해 "부모(父母) 없는 아이"라고 강(剛)하게 비판(批判)하기도 하였다. [184] 진보(進步) 측(側)에서는 최저임금(最低賃金) 인상(引上)이 노동자(勞動者)의 권리(權利)를 보장(保障)하는 기본(基本) 장치(裝置)를 든든히 구축(構築)하는 것이며, 선진국(先進國)의 기본(基本)이라고 반박(反駁)에 대(對)해 비판(批判)했다.

문재인(文在寅) 케어에 대(對)해서 이국종(李國鍾) 교수(敎授)는 "보급(普及)을 강화(强化)할 생각은 안 하고 ‘돌격(突擊) 앞으로!’만 외치니, 그게 되겠나"라고 비판(批判)했다. [185] 탈핵(脫核) 정책(政策)에 대(對)해서는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공과대학(工科大學)의 일부(一部) 학생(學生)들이 반대(反對) 의견(意見)을 표명(表明)하였다. [186] 김종인(金鍾仁) 은 2020년(年) 발간(發刊)된 그의 회고록(回顧錄) '영원(永遠)한 권력(權力)은 없다'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非常對策委員會) 대표(代表)를 맡았던 2016년(年) 총선(總選) 당시(當時) 문재인을 직접(直接) 만나 본 경험(經驗)을 회고(回顧)해 '인간적(人間的)인 배신감(背信感)마저 느꼈다. 이런 건 정치(政治) 도의(道義)를 떠나 기본적(基本的)인 인성(人性)의 문제(問題)다'라며 문재인을 평가(評價)하였다. [187]

학력(學歷)

경력(經歷)

저서(著書)

단독(單獨) 저서(著書)
  • 《문재인(文在寅)의 운명(運命) (노무현(盧武鉉) 대통령(大統領)과 함께한 30년(年) 동지(同志) 문재인(文在寅), 두사람의 운명(運命) 같은 동행(同行))》. 가교(架橋). 2011년(年) 6월(月) 15일(日). ISBN   978-89-7777-188-8 .  
  • 《문재인(文在寅)의 운명(運命) (2017년(年) 제(第)19대(代) 대통령(大統領) 당선(當選) 기념(記念) 특별판(特別版))》. 북(北)팔. 2017년(年) 5월(月) 16일(日). ISBN   979-11-6156-587-3 .  
  • 《사람이 먼저다 (문재인의 힘)》. 퍼플카우. 2012년(年) 8월(月) 6일(日). ISBN   978-89-97838-02-8 .  
  • 《문재인이 드립니다 (꿈을 놓아버린 이 땅의 청춘(靑春)들을 위한 포토(포토)에세이)》. 리더스북(北). 2012년(年) 8월(月) 8일(日). ISBN   978-89-01-14936-3 .  
  • 《1219 끝이 시작(始作)이다》. 바다출판사. 2013년(年) 12월(月) 10일(日). ISBN   978-89-5561-690-3 .  
  • 《대한민국(大韓民國)이 묻는다 (완전히(完全히) 새로운 나라, 문재인이 답(答)하다)》. 21세기(世紀)북스. 2017년(年) 1월(月) 20일(日). ISBN   978-89-509-6884-7 .  
공저(共著)
  • 《10명(名)의 사람이 노무현을 말하다》. 오마이북(北). 2010년(年) 5월(月) 13일(日). ISBN   978-89-964305-0-6 .  
  • 《그 남자(男子) 문재인(文在寅) (함께 만드는 세상(世上))》. 리얼텍스트. 2012년(年) 9월(月) 17일(日). ISBN   978-89-964898-2-5 .  
  • 《문재인(文在寅), 김인회의 검찰(檢察)을 생각한다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權力) 검찰(檢察)의 본질(本質)을 비판(批判)하다)》. 오월의(五月醫)봄. 2011년(年) 11월(月) 23일(日). ISBN   978-89-966875-2-8 .  
  • 《만화(漫畫) 문재인(文在寅)》. 마이디팟. 2012년(年) 10월(月) 3일(日). ISBN   978-89-6733-174-0 .  
  • 《운명(運命)에서 희망(希望)으로 (문재인이 말하고, 심리학자(心理學者) 이나미가 분석(分析)하다)》. 다산(茶山)북스. 2017년(年) 3월(月) 23일(日). ISBN   979-11-306-1171-6 .  

관련(關聯) 서적(書籍)

  • 《문재인(文在寅) 스타일 (안철수(安哲秀)와 박원순의 아름다운 합의(合意)를 이끌어 낸 문재인식(文在寅式) 리더십)》. 미르북스. 2011년(年) 10월(月) 17일(日). ISBN   978-89-97213-03-0 .  
  • 《정치심리극장(政治心理劇場)》. 리더스북(北). 2012년(年) 9월(月) 24일(日). ISBN   978-89-01-15081-9 .  
  • 《문재인이 이긴다》. 리얼텍스트. 2012년(年) 11월(月) 20일(日). ISBN   978-89-964896-3-4 .  
  • 《문재인(文在寅) 스토리 (그 남자(男子), 문재인(文在寅)에 대(對)해 알고 싶은 56가지 이야기)》. 모악. 2017년(年) 2월(月) 15일(日). ISBN   979-11-88071-00-5 .  
  • 《그래요 문재인(文在寅) (위기(危機)와 희망(希望)의 길목에서 문재인을 말하다)》. 은행나무(銀杏나무). 2017년(年) 4월(月) 20일(日). ISBN   978-89-5660-141-0 .  
  • 《좋아요 문재인(文在寅)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역사(歷史)를 바꾼 문재인(文在寅)의 아름다운 발걸음)》. 북로(北路)그컴퍼니. 2017년(年) 8월(月) 22일(日). ISBN   979-11-87292-71-5 .  

역대(歷代) 선거(選擧) 결과(結果)

실시년도(實施年度) 선거(選擧) 대수(臺數) 직책(職責) 선거구(選擧區) 정당(正當)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순위(順位) 당락(當落) 비고(備考)
2012년(年) 총선(總選) 1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부산(釜山) 사상구(沙上區)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65,336표(票)
55.05%
1위(位) 초선(初選)
2012년(年) 대선(大選) 18대(代) 대통령(大統領) 대한민국(大韓民國)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14,692,632표(票)
48.02%
2위(位) 낙선(落選)
2017년(年) 대선(大選) 19대(代) 대통령(大統領) 대한민국(大韓民國)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13,423,800표(票)
41.08%
1위(位)

가족(家族) 관계(關係)

  • 조부(祖父): 문정기(文廷夔, 1882년(年) ~ 6.25전쟁(戰爭) 행방불명(行方不明))
  • 조모(某): 신안 주씨(朱氏) (新安朱氏)
  • 아버지: 문용형(型)(文龍炯, 1920년(年) ~ 1978년(年))
  • 어머니: 강한옥 (1928년(年) ~ 2019년(年))
    • 누나: 문재월 (1949년(年) ~)
    • 배우자(配偶者): 김정숙(金正淑) (1954년(年) ~)
      • 아들: 문준용 (1982년(年) ~)
      • 딸: 문다혜(1983년(年) ~)
    • 여동생(女同生): 문재성(1955년(年) ~)
    • 여동생(女同生): 문재실(1957년(年) ~)
    • 남동생(男동생): 문재익(文在益, 1958년(年) ~)

출연(出演)

TV

  • MBC PD수첩(手帖) 》 (1991년(年) 4월(月) 2일(日))
  • KBS 1TV 《대통령(大統領) 당선자(當選者) 다큐멘터리》 (2002년(年) 12월(月) 20일(日))
  • SBS 《대통령(大統領)을 만든 사람들》 (2002년(年) 12월(月) 20일(日))
  • CBS 《이종훈(李鍾勳)의 뉴스쇼》 (2010년(年) 5월(月) 22일(日))
  • MBC 《다큐 그 날 - 봉하(烽下)마을의 그 날》 (2011년(年) 5월(月) 24일(日))
  • MBC 시사매거진 2580 》 (2011년(年) 8월(月) 7일(日))
  • SBS 힐링캠프 》 (2012년(年) 1월(月) 9일(日))
  • MBC 100분(分) 토론(討論) - 민주통합당(民主統合黨) 경선후보(競選候補) 4인(人) 합동토론(合同討論)》 (2012년(年) 8월(月) 28일(日))

라디오

다큐멘터리

수상(受賞)

  • 1983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 법무부장관상(法務部長官賞)
  • 2014년(年) 제(第)16회(回) 백봉신사상(史上)
  • 2015년(年) 제(第)17회(回) 백봉신사상(史上)
  • 2017년(年) 대서양협의회(大西洋協議會) 세계시민상(世界市民上)
  • 2018년(年) 미국(美國) 타임지(誌) 선정(選定) '세계(世界)에서 가장 영향력(影響力) 있는 인물(人物) 100인(人)' 지도자부문(指導者部門)
  • 2018년(年) 포춘(Fortune)이 선정(選定)한 '세계(世界)에서 가장 위대(偉大)한 지도자(指導者) 50인(人)’ 중(中) 4위(位) [189]

같이 보기

각주(各州)

  1. “천주교(天主敎) 신자(信者) 文 대통령(大統領) 관저(官邸)서 축복식(祝福式)…세례명(洗禮名)은?” . 《매일경제(每日經濟)》. 2017년(年) 5월(月) 15일(日) . 2017년(年) 6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문(文) 대통령(大統領)의 세례명(洗禮名)은 디모테오, 김(金) 여사(女史)의 세례명(洗禮名)은 골롬바이다. 디모테오는 '하느님을 공경(恭敬)하는 자(者)', 골롬바는 '평화(平和)의 상징(象徵)인 비둘기'를 뜻한다.  
  2. 문(文) 대통령(大統領)“미루나무 작전(作戰) 참여(參與)” 발언(發言) 중(中) ‘참여(參與)’에 눈길 가는 이유(理由)
  3. ' 문재인과 남평문씨(文氏)'…나주(羅州) 곳곳에 남평문씨(文氏) 흔적(痕跡)”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7년(年) 5월(月) 10일(日).  
  4. 이태명 기자(記者) (2004년(年) 3월(月) 22일(日)). “康법무(法務) '탄핵(彈劾) 변론(辯論)' 논의(論議) 파문(波紋) ‥ 문재인(文在寅) 前수석(首席) 만나”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15년(年) 1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5. 김정남 (2016년(年) 11월(月) 28일(日)). “문재인(文在寅) "탄핵(彈劾) 반드시 될 것이라 확신(確信) " . 《노컷뉴스》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6. 이상헌(李相憲) 기자(記者) (2017년(年) 4월(月) 3일(日)). “문재인(文在寅), 민주당(民主黨) 대선후보(大選候補)로 대권(大權) 재도전(再挑戰)…경선(競選) 득표율(得票率) 57%(종합(綜合))”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7년(年) 4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7. 류정민 (2017년(年) 5월(月) 10일(日)). “19대(代) 대선(大選) 개표완료(開票完了), 文 41.1%…역대(歷代) 최다표차(最多票差) 승리(勝利)(속보(速報))” . 《뉴스1》.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8. 염혜원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첫 행보(行步)...약식(略式) 취임식(就任式)으로 5년(年) 임기(任期) 시작(始作)” . 《YTN》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9. 이창원 (2023년(年) 5월(月) 8일(日)). “‘평산책방(冊房)’은 책(冊)을 팔지만 ‘서점(書店)’은 아니다!...수상한 이중구조(二重構造)” . 《최보식의언론(醫言論)》.  
  10.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당선자(當選者) 주요(主要) 약력(略歷)” . 《매일신문(每日新聞)》. 2017년(年) 5월(月) 9일(日)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김진우 (2012년(年) 12월(月) 4일(日)). “대선(大選) 후보(候補) 인물탐구(人物探究) 가족(家族) 이야기 문재인(文在寅)”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12년(年) 1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이상우(이상우)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당선인(當選人)은 누구인가]인권변호사에서 '새로운 대한민국(大韓民國) 리더'로” . 《인천일보》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1년(年) 선후배(先後輩)’ 김무성(金武星)-문재인, 경남중 동창회(同窓會)서 나란히” . 《 한겨레 》.  
  14. “[뉴 파워엘리트 50인(人)] 서병수(徐秉洙) 새누리당(새누리黨) 사무총장(事務總長), 문재인(文在寅)·김무성(金武星)과 경남고 동문(同門)… 심상정(沈想奵)과도 ‘친분(親分)’” . 《 이투데이 》.  
  15. 서상현 기자(記者) (2012년(年) 9월(月) 16일(日)). “문재인(文在寅), 1등(等) 하면서도 별명(別名)이 문제아(問題兒) 두 번째(番째) 경남고 대통령(大統領) 동기(同期)들 들썩” . 중앙(中央)SUNDAY . 2012년(年) 9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16. 손병호 기자(記者) (2012년(年) 9월(月) 20일(日)). “문재인과 감나무”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12년(年) 9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17. 김명일 기자(記者) (2012년(年) 8월(月) 3일(日)). “대선주자(大選走者) 7인(人) 현미경(顯微鏡) 검증(檢證) 학력(學歷) 학창시절(學窓時節)” . 일요시사(日曜示唆) . 2012년(年) 8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18. “서민(徐珉) “대깨문(대깨文) 집단(集團) 난독(難讀)? ‘文 경희대(慶熙大)’ 언급(言及)도 안 했는데”” . 《동아일보(東亞日報)》. 2020년(年) 10월(月) 10일(日) . 2020년(年) 11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19. 특전사(特戰司) 및 표창장(表彰狀) 기사문(記事文)
  20. 지영호 기자(記者) (2015년(年) 1월(月) 7일(日)). “재수생(再修生) 문재인(文在寅) 그가 패배(敗北)를 책임지는 방식(方式)” . 머니투데이 . 2015년(年) 1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21. 최영해 기자(記者) (2003년(年) 1월(月) 23일(日)). “민정수석(民政首席) 내정(內定) 문재인씨(文在寅氏),82년(年) 盧와 변호사동업(辯護士同業) 20년(年) 친구(親舊)”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03년(年) 1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22. 김(金)디모데; 나병현 (2017년(年) 5월(月) 9일(日)). “[Who Is ?] 문재인(文在寅) 19대(代) 대통령(大統領)” . 《비즈니스포스트》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23. 박형남 기자(記者) (2009년(年) 5월(月) 25일(日)). “영원(永遠)한 비서실장(祕書室長) 문재인(文在寅) 항상(恒常) 盧곁에서 이제는 홀로” . 스포츠서울닷컴. 2009년(年) 5월(月) 2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배성재 기자(記者) (2011년(年) 10월(月) 15일(日)). " 선상폭력(船上暴力)이 빚은 조선족(朝鮮族)의 우발적(偶發的) 범행(犯行)… '운명'처럼 변호(辯護) 맡았다 " . 한국일보(韓國日報) . 2012년(年) 7월(月) 2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12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25. 김대영 기자(記者) (2012년(年) 9월(月) 26일(日)). “문재인(文在寅), 노무현(盧武鉉)과 동시(同時)에 국회입성(國會入城)할 뻔” . 매일경제(每日經濟) . 2012년(年) 9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2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0010158?sid=102
  27. 김범현 기자(記者) (2004년(年) 2월(月) 28일(日)). “문재인(文在寅) 전(前) 민정수석(民政首席), 네팔로 여행(旅行) 떠나” . 오마이뉴스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28. 윤경민 기자(記者) (2004년(年) 3월(月) 15일(日)). “盧 대통령(大統領) 변호인단(辯護人團) 오늘 선임(選任)”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염영남 기자(記者) (2003년(年) 6월(月) 11일(日)). “문재인(文在寅) 청와대(靑瓦臺) 민정수석(民政首席), 실체적(實體的) 권능(權能)의 2인자(人者) 행보(行步)로 구설수(口舌數)” . 주간한국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0. 서양원 기자(記者) (2007년(年) 3월(月) 9일(日)). “문재인(文在寅) 비서실장(祕書室長), 직언(直言) 서슴지 않는 대통령(大統領) 복심(腹心)”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1. 남도영 기자(記者) (2009년(年) 5월(月) 25일(日)). “(노(盧) 前대통령(大統領) 국민장(國民葬)) 위기(危機)마다 늘 곁에… 영원(永遠)한 비서실장(祕書室長) 문재인(文在寅)” . 국민일보(國民日報) 쿠키뉴스. 2012년(年) 10월(月) 2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2. 박종렬 가천의과학대학교(歌天醫科虐待學校) 경영대학원(經營大學院) 교수(敎授) (2011년(年) 6월(月) 23일(日)). “(박종렬 교수(敎授)의 제왕학(帝王學)) 문재인(文在寅), 박근혜(朴槿惠)의 운명적(運命的) 대항마(對抗馬)인가?” . 스포츠서울닷컴. 2014년(年) 2월(月) 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3. 강봉석 기자(記者) (2006년(年) 11월(月) 6일(日)). “與, 국정자문위원회(國政諮問委員會) 대폭(大幅) 확대(擴大)” . 기호일보. 2014년(年) 2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4. 이종탁 기자(記者) (2010년(年) 5월(月) 17일(日)). “(이종탁이 만난 사람)노무현 재단(財團) 상임이사(常任理事) 문재인(文在寅) 변호사(辯護士)”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5. 류정민 기자(記者) (2011년(年) 8월(月) 22일(日)). “신동아(新東亞) 80주년(周年) 여론(輿論) 조사(調査), 문재인(文在寅) 1위(位) 차지했다” . 미디어오늘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6. 문재인(文在寅) 고문(拷問) 대선(大選) 출마(出馬) 선언(宣言)...경선(競選) 열기(熱氣) 고조(高調) YTN 2012년(年) 6월(月) 17일(日)
  37. 야권(野圈) 단일화(單一化) 협상(協商) 개시(開始) "국민(國民) 참여(參與) 단일화(單一化)" vs. "박근혜 이기는 단일화(單一化)" YTN 2012년(年) 11월(月) 13일(日)
  38. 안철수(安哲秀) 후보(候補) 전격(電擊) 사퇴(辭退)한 이유(理由)는? 조선일보(朝鮮日報) 2012년(年) 11월(月) 23일(日)
  39. 안철수(安哲秀) 후보(候補) 사퇴(辭退) 배경(背景)은?‥단일화 의견차(意見差) 좁히지 못해 MBC 2012년(年) 11월(月) 24일(日)
  40. 이혜미, 윤여준(尹汝雋), 文 찬조연설(贊助演說), "반대(反對) 진영(陣營)도 설득(說得)하는 사람" ,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2012년(年) 12월(月) 12일(日)
  41. 김성휘 (2012년(年) 12월(月) 14일(日)). “강삼재 전(前) 한나라당 부총재(副總裁) 文 지지선언(支持宣言)” . 《머니투데이》 . 2017년(年) 5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42. 서상현; 유광준 (2012년(年) 12월(月) 11일(日)). “[박근혜(朴槿惠)-문재인 대선공약(大選公約) 비교(比較)] 대북(對北) 정책(政策), 안보(安保)·외교정책(外交政策)” . 매일신문(每日新聞).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43. 김덕원 (2012년(年) 12월(月) 20일(日)). “문재인(文在寅) 후보(候補) “패배(敗北) 승복(承服)”…야권(野圈) 개편(改編) 불가피(不可避)” . 《KBS》. 2017년(年) 10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2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44. 1위(位)는 한명숙(韓明淑) , 2위(位)는 이해찬(李海瓚) , 3위(位)는 박지원(朴智元) 순(巡)이다.
  45. 김지영 (2013년(年) 5월(月) 20일(日)). " 친노(親盧), 살아있네!" 대선평가(大選評價) '문재인 책임(責任)' 삭제(削除)” . 《 데일리안(데일리안) 》.  
  46. 박석원, 박석원 (2013년(年) 1월(月) 3일(日)). “문재인측(文在寅側) '너무 빠른 정치(政治) 복귀(復歸) 아니냐' 당(黨)안팎 지적(指摘)에…” . 《 한국일보(韓國日報) 》.  
  47. 하어형(下語形) (2013년(年) 5월(月) 23일(日)). ' 3대비전' 가다듬는 문재인(文在寅)…정치복귀(政治復歸) 수순(手順)” . 《 한겨레 》.  
  48. 전창훈 (2013년(年) 5월(月) 20일(日)). " 5년(年) 뒤엔 바꾸자"는 문재인(文在寅), 대선(大選) 재도전(再挑戰)?” . 《 부산일보(釜山日報) 》.  
  49. 박대로. “문재인(文在寅)·손학규(孫鶴圭),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지방선거(地方選擧) 공동선대위원장(共同選對委員長) 추진(推進)”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0. 구교형. “[단독(單獨)]문재인(文在寅)·손학규(孫鶴圭), 야(野) 공동선대위원장(共同選對委員長) 맡는다”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1. 기자(記者), 경남(慶南)cbs 이상현(李相賢). “문재인(文在寅) "정당공천제(政黨公薦制) 폐지(廢止)는 통합(統合)의 고리…영남(嶺南)에 집중지원(集中支援)해야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2. “[진도(珍島) 여객선(旅客船) 침몰(沈沒)] 문재인(文在寅), 세월호(歲月號) 사망자(死亡者) 추가(追加) 소식(消息)에 “이렇게 무기력(無氣力)할 수가”” . 2014년(年) 4월(月) 18일(日)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3. 추인영. “문재인(文在寅) "文 총리강행(總理强行), 통합(統合)으로 가는 길 아냐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4.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7162
  55. 김혜원 (2014년(年) 6월(月) 17일(日)). “문재인(文在寅) '사회적(社會的) 가치(價値) 기본법(基本法)' 발의(發議), 무슨 내용(內容) 담겼나” . 《아시아경제(아시아經濟)》 . 2017년(年) 5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56.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8년(年) 1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57. 박정엽 (2014년(年) 12월(月) 20일(日)). “문재인(文在寅) "헌재(憲裁) 결정(決定) 너무나 안타깝다 " . 《뷰스앤뉴스》 . 2017년(年) 5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58. “[통합진보당(統合進步黨) 해산(解散)] “정당(政黨)은 국민(國民)으로 존재가치(存在價値) 심판(審判) 받는 것이 원칙(原則)”…문재인(文在寅) 소신(所信) 발언(發言)” . 《스타서울TV》. 2014년(年) 12월(月) 20일(日) . 2017년(年) 5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1176758
  60. http://www.ajunews.com/view/20141219174131958
  61. “문재인(文在寅), 당대표(黨代表) 출마(出馬) 선언(宣言) "정치인생(政治人生) 걸겠다"…사실상 '총선(總選) 지면 정계은퇴(政界隱退) ' .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4년(年) 12월(月) 30일(日).  
  62. 문재인 당대표(黨代表) 출마(出馬) 선언(宣言), 대선후보(大選候補) 지지율(支持率) 5개월(個月)만 1위(位) 탈환(奪還)!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2014년(年) 12월(月) 30일(日)
  63. 문재인(文在寅) 당선(當選) '45.3%' 득표(得票)… "박근혜 정부(政府)와 전면전(全面戰)" 노컷뉴스, 2015년(年) 2월(月) 8일(日)
  64. 임형섭; 김동현 (2015년(年) 4월(月) 6일(日)). “문재인(文在寅) "국회의원(國會議員) 정수(定數) 부족(不足)…400명(名)은 돼야 "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65. 정윤훈 (2015년(年) 4월(月) 6일(日)). “문재인(文在寅), 국회의원(國會議員) 400명(名) 발언(發言) 논란(論難) 커지자 "개인적(個人的) 생각 " . 《위클리오늘》 . 2017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66. 위미정 (2015년(年) 4월(月) 6일(日)). “자원외교(資源外交) 국정조사(國政調査) 마감 D-1…문재인 대표(代表) "증인(證人) 서겠다 " . 《OBS NEWS》 . 2017년(年) 5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67. 정동욱 (2015년(年) 4월(月) 6일(日)). “문재인(文在寅) "MB, 청문회(聽聞會) 증인(證人) 같이 나가자"…새누리 "정치(政治) 공세(攻勢) " . 《MBC》 . 2017년(年) 5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68. 박태정; 박소영 (2015년(年) 6월(月) 4일(日)). “문재인(文在寅) "메르스 대응(對應), 세월호 때처럼 무능(無能)하고 부실(不實) " . 《뉴스1》 . 2017년(年) 5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69. 전혜정 (2015년(年) 8월(月) 31일(日)). “문재인(文在寅) "분당, 처음부터 없었다…'혁신'에 職 걸겠다 " . 《뉴시스》. 2018년(年) 1월(月) 2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0. “‘안철수 새정치연합 탈당(脫黨)’…문재인 “정말(正말) 정치(政治)가 싫어지는 날” 심경(心境) 토로(吐露)” . 《서울신문(서울新聞)》. 2015년(年) 12월(月) 13일(日)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1. 최지용; 이준호 (2015년(年) 12월(月) 27일(日)). " 새정치 의원(議員) 67명(名), 문대표(文代表) 2선(線) 후퇴(後退) 요구(要求) " . 《오마이뉴스》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2. 권인경 (2015년(年) 12월(月) 28일(日)).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새 당명(黨名)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확정(確定)” . 《스타투데이》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3. 이권열 (2015년(年) 12월(月) 28일(日)). “새정치(政治) 당명(黨名)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안철수 흔적(痕跡) 지웠다” . 《MBN》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4. 김현민 (2016년(年) 1월(月) 19일(日)). “문재인(文在寅) 기자회견(記者會見), 당대표(黨代表) 사퇴의사(辭退意思)에 김종인(金鍾仁) “시기(時期)의 문제(問題)일 뿐”” .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5. “[사설(社說)] 사퇴(辭退)하는 문재인 대표(代表)” . 《민중(民衆)의소리》. 2016년(年) 1월(月) 27일(日) . 2017년(年) 5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76. 박주연 (2016년(年) 3월(月) 19일(日)). “문재인(文在寅) "대선(大選) 정권교체(政權交替) 위(爲)해 불출마(不出馬)…약속(約束) 지킬 것 " . 《뉴시스》 수정판(修訂版).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77. 김다솜; 강신우; 정현덕 (2016년(年) 5월(月) 23일(日)). “문재인 "오늘 추도식(追悼式) 노(盧) 대통령(大統領) 영전(靈前)에 바치는 가장 뜻깊은 선물(膳物) " . 오마이뉴스.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78. “문재인(文在寅) 안동(安東) 방문(訪問)...TK 민심(民心) 잡기 나서” . YTN. 2016년(年) 5월(月) 27일(日).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79. 장영락 (2016년(年) 7월(月) 25일(日)). “문재인(文在寅), 울릉도(鬱陵島)·독도(獨島) 방문(訪問)… 오늘(25일(日)) 경비대원(警備隊員) '식사(食事) 봉사(奉仕) ' . 《MoneyS》.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80. 강태화 (2016년(年) 7월(月) 25일(日)). “문재인(文在寅) 오늘 독도(獨島) 방문(訪問) “영토주권(領土主權) 확고(確固)히”” . 《중앙일보(中央日報)》 수정판(修訂版).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81. 《DJ 추모행사(追慕行事)서 박수(拍手)치는 문재인(文在寅) 전(前) 대표(代表)》 , 뉴스1  
  82. 이상헌(李相憲) (2016년(年) 11월(月) 1일(日)). “거국내각(擧國內閣) 놓고 문재인(文在寅)·안철수(安哲秀) 또 충돌(衝突)…野 내부(內部)도 혼선(混線)” . 연합뉴스(聯合뉴스).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83. 이병익 (2016년(年) 11월(月) 27일(日)). “문재인(文在寅)은 헌법개정(憲法改正)에 적극(積極) 나서라” . 2018년(年) 11월(月) 1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11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84. “문재인(文在寅) 200만(萬) 촛불, "2012년(年) 12월(月)부터 오늘까지 대한민국(大韓民國)에 대통령(大統領)은 없었다…200만 촛불은 세상(世上)을 바꾸는 횃불돼 박근혜 퇴진(退陣)은 시간문제(時間問題) " . 조선일보(朝鮮日報). 2016년(年) 11월(月) 27일(日).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85. 임현우 (2016년(年) 11월(月) 29일(日)). “문재인(文在寅) “朴대통령(大統領) 정치적(政治的) 술책(術策)… 퇴진운동(退陣運動)·탄핵(彈劾) 계속(繼續)”” . 한국경제(韓國經濟).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86. “[박근혜(朴槿惠) 탄핵(彈劾) 가결(可決)] 문재인(文在寅), “국민(國民)이 이겼다…끝이 아니라 시작(始作)”” . 스포츠경향(傾向). 2016년(年) 12월(月) 9일(日).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87. 박재영 (2016년(年) 12월(月) 9일(日)). “반기문 지지율(支持率) 문재인과 공동(共同) 1위(位) 등극(登極)↑ 이재명(李在明)과 ‘3강(强) 체제(體制)’” . 서울경제(서울經濟).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88. 천현우 (2017년(年) 3월(月) 10일(日)). “본격(本格) '대선(大選) 정국(政局)' 전환(轉換), 문재인 대세론(大勢論) 이어지나?” . MBC.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89. 라다솜 (2017년(年) 3월(月) 10일(日)). “[박근혜(朴槿惠) 파면(罷免)] "문재인 대세론(大勢論) 막자"… 제(第)3지대(地帶) 反文 빅텐트 본격화(本格化)” . 중부일보.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20년(年) 4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90. “文, 대선출마(大選出馬) 선언(宣言)…"국민(國民)이 정권교체해(政權交替海) 대한민국(大韓民國) 바꾼다 "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7년(年) 3월(月) 24일(日)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1. 전혜정 (2017년(年) 4월(月) 16일(日)). ' YS 차남(次男)' 김현철 "문재인(文在寅) 돕겠다"…김덕룡도 합류(合流)” . 《뉴시스》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2. 정유경(鄭有慶) (2017년(年) 4월(月) 19일(日)). “‘상도동계(系) 좌장(座長)’ 김덕룡(金德龍) “양심적(良心的) 보수(保守)는 문재인(文在寅) 지지(支持)”” . 《한겨레》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3. 나혜윤 (2017년(年) 4월(月) 19일(日)). “YS 차남(次男) 김현철 "문재인이 영호남(嶺湖南) 통합(統合)할 유일(唯一)한 후보(候補) " . 《뷰스앤뉴스》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4. 김광수(金光守) (2017년(年) 4월(月) 28일(日)). “[르포] 30년(年) 만에 부산(釜山)서 손잡은 YS와 DJ 아들” . 《한겨레》 . 2017년(年) 4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95. 박상휘 (2017년(年) 5월(月) 4일(日)). “YS측근(側近) 박종웅 前의원(議員) 문재인(文在寅) 지지(支持)…"시대적(時代的) 난제(難題) 해결(解決)할 것 " . 《뉴스1》 . 2017년(年) 5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96. 서혜림 (2017년(年) 3월(月) 13일(日)). “민주(民主), 대선경선(大選競選) 4파전(巴戰) 확정(確定)…내일(來日) '공명(公明) 경선(競選) 선언식(宣言式) '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7. 김재은 (2017년(年) 4월(月) 3일(日)). “문재인(文在寅), 수도권(首都圈)도 60.4% 압승(壓勝)..합산(合算) 57%로 본선(本選) 직행(直行)(상보(詳報))” . 《이데일리》. 2017년(年) 7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8. 전예진; 은정진 (2017년(年) 4월(月) 3일(日)). “문재인(文在寅) "적폐청산해(積弊淸算海) 국민통합(國民統合)…이번(이番) 대선(大選)은 정의(正義)와 불의(不義)의 대결(對決) " . 《한국경제(韓國經濟)》 수정판(修訂版) . 2017년(年) 5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99. 임형섭 (2017년(年) 1월(月) 10일(日)). “文 "4대재벌(代財閥) 개혁(改革) 집중(集中)"…총수(總帥) 사면권(赦免權) 제한(制限)·준조세금지법(準租稅禁止法) 도입(導入)(종합(綜合))”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0. 한전진(限前進) (2017년(年) 2월(月) 10일(日)). “문재인(文在寅) ″개성공단(開城工團) 2천만평(千萬坪) 확장(擴張)…기업(企業) 北진출(進出) 장려(奬勵)할 것″”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1. “문재인(文在寅) “검찰(檢察)·국정원(國精院) 수사권(搜査權) 없애겠다”” . 2017년(年) 1월(月) 5일(日)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2. 기자(記者), 허진 (2017년(年) 3월(月) 14일(日)). “[팩트체크] 문재인(文在寅) “공공부문(公共部門) 일자리 81만개(萬個) 만들 수 있다””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3. 이재우. “[공약점검(公約點檢)-정치(政治)·안보(安保)①] 문재인(文在寅), '북핵(北核)·한반도(韓半島) 평화체제(平和體制) 우리가 주도(主導)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4. 기자(記者), 민병권. “[문재인 대선(大選) 공약(公約)집 발표(發表)]북핵(北核) 완전(完全) 폐기(廢棄)땐 한반도(韓半島) 평화협정(平和協定) 추진(推進)”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5. 19대(代) 대선(大選) 개표완료(開票完了), 文 41.1%…역대(歷代) 최다표차(最多票差) 승리(勝利)(속보(速報)) - 뉴스1 , 2017년(年) 5월(月) 10일(日)
  106. “문재인(文在寅) 당선인(當選人), 오늘부터 임기(任期) 시작(始作)...향후(向後) 정국(政局)은?①” . 《YTN》. 2017년(年) 5월(月) 10일(日). 2017년(年) 12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2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107. “[영상(映像)] 문(文) 대통령(大統領) “한 번(番)도 경험(經驗)하지 못한 나라 만들겠다”” . 《KBS》.  
  108. 시민(市民)들과 '셀카' 촬영(撮影)도…취임식 격식(格式) 깨고 소통(疏通) 집중(集中) - SBS 8 뉴스 , 2017년(年) 5월(月) 10일(日)
  109.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야(野)4당(黨) 대표(代表) 릴레이 면담(面談)…국정협조(國政協助) 당부(當付) - the300 인터넷 뉴스, 2017년(年) 5월(月) 10일(日)
  110. 3大요직(要職) 인선(人選)에 숨은 국정(國政) 키워드는…'탕평'·'개혁'·'전문성'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7년(年) 5월(月) 10일(日)
  111. 조준형. " 韓 사드 원(願)치않으면 예산(豫算) 다른데 쓸수 있다고 文대통령(大統領)에 전(傳)해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12. 장윤희. “美 더빈 의원(議員) '사드예산(豫算) 철회(撤回) 가능성(可能性) 발언(發言)' 논란(論難)”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13.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사드 번복(飜覆)없다”…미 의회(議會) “감사(感謝)하다”” . 2017년(年) 6월(月) 30일(日)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14. 기자(記者), 김경민.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사드 번복(飜覆) 의사(意思) 없어...북한 방어용(防禦用)" 미국(美國) 의회(議會) 설득(說得)”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15. “밥 우드워드 ‘공포(恐怖)’ 출간(出刊)…“트럼프, 문(文) 대통령(大統領) 싫어한다”” . 《채널A》. 2018년(年) 9월(月) 12일(日) . 2018년(年) 10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116. “미국(美國) 싱크탱크 “미(美) 정부(政府) 웃고있지만, 한국(韓國) 대북정책(對北政策)에 분노(憤怒)”” . 《중앙일보(中央日報)》. 2018년(年) 10월(月) 28일(日) . 2018년(年) 10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117. 정인지 (2017년(年) 5월(月) 10일(日)). " 문(文) 대통령(大統領) 취임(就任) 축하(祝賀)하지만"…'주판' 두드리는 美·中·日” . 《머니투데이》. 2017년(年) 12월(月) 3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2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118. 김도원.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사드 배치(配置)는 주권(主權) 사안(事案)...중국(中國) 간섭(干涉) 부당(不當)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19. 김성곤(金星坤). “文대통령(大統領) “사드 배치(配置) 주권적(主權的) 사안(事案)…중국(中國) 부당(不當) 간섭(干涉) 옳지 않다”(종합)”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20. “문재인(文在寅), 베이징대 강연(講演)…"작은 나라지만 중국(中國)몽 같이 " . 2017년(年) 12월(月) 15일(日) . 2021년(年) 2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121. Frank, Ruediger.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의 대북(對北) 정책(政策) 전략(戰略)” . 《the diplomat.comc》 (영어(英語)) . 2017년(年) 8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122. 뉴스, SBS (2017년(年) 6월(月) 10일(日)). “北 "美, 사드 당장(當場) 제땅으로 끌어가라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23. 곽명일 (2017년(年) 6월(月) 10일(日)). “北 "美, 사드 당장(當場) 제땅으로 끌어가라 "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24.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여건(與件)되면 평양(平壤) 간다”…남북정상회담 추진(推進) 가능성(可能性) 주목(注目)”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25. 홍국기. “北단체(團體) "미국(美國), 노골적(露骨的)으로 사드배치(配置) 강박(强迫)" 비난(非難)”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26. 송현수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문재인(文在寅) 시대(時代) 개막(開幕)] 관심(關心) 끄는 경제정책(經濟政策)” . 《부산일보(釜山日報)》 수정판(修訂版).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27. 이창환 (2017년(年) 5월(月) 10일(日)). “[문재인(文在寅) 정부(政府)] 부동산(不動産) 정책(政策) “임대(賃貸) 확대(擴大)와 도시재생(都市再生)에 방점(傍點)”…보유세(保有稅) 인상(引上)은 발 빼” . 《조선비즈》.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28. “7월(月) 취업자(就業者) 수(數) 5000명(名) 증가(增加) ···캄캄한 고용지표(雇傭指標)” . 2018년(年) 8월(月) 17일(日).  
  129. 정유경(鄭有慶). “황교안(黃敎安) 퇴임(退任)…‘문재인(文在寅) 내각(內閣)’ 구성(構成) 늦어지나”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30. 유선(有線)의. “황교안 총리(總理)·박승춘(朴勝椿) 보훈처장(報勳處長) 사표(辭表) 먼저 수리(受理), 이유(理由)는?”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31. 김승욱. “文대통령(大統領), 국정역사교과서(國政歷史敎科書) 폐지(廢止)·'님을(乙)위한 행진곡(行進曲)' 제창(提唱) 지시(指示)(종합(綜合))”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32. “文정부(政府) 인사(人士), 절반(折半) 이상(以上)이 대통령(大統領) 공약(公約) ‘5대(代) 비리(非理)’ 의혹(疑惑)” .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2017년(年) 7월(月) 12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33. “야(野)3당(黨) 국회(國會) 파상공세(波狀攻勢)…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ㆍ바른정당(바른政黨) “당분간(當分間) 상임위(常任委) 보이콧”” . 《중앙일보(中央日報)》. 2017년(年) 6월(月) 19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34. “7월(月) 임시국회(臨時國會) 첫 본회의(本會議) 무산(霧散)…야3당, 동맹(同盟) 보이콧” . 《연합뉴스(聯合뉴스)TV》. 2017년(年) 7월(月) 11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35. “[속보(速報)] 안경환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 후보자(候補者) 전격(電擊) 사퇴(辭退)” . 《YTN》. 2017년(年) 6월(月) 16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36. “조대엽 고용장관(雇傭長官) 후보자(候補者) 32일(日)만에 자진사퇴(自進辭退)…안경환 이어 두번째(番째)(종합(綜合))”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7년(年) 7월(月) 13일(日) . 2017년(年) 7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137. “[8.2부동산대책(不動産對策)] 서울·과천(果川)·세종(世宗) 돈줄 죈다…다주택자는 LTV·DTI 30%” .  
  138. 이상헌(李相憲). “곳곳서 '손 번쩍'…질문(質問) 쏟아진 '無각본(脚本)' 기자회견(記者會見)(종합(綜合))” . 2021년(年) 10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39. “`수능(修能) 연기(延期)`는 文대통령(大統領) 아이디어…참모(參謀)들도 깜짝 놀라” .  
  140. ' 거래소(去來所) 폐쇄(閉鎖)' 초강수(超强手)에 암호화폐(暗號貨幣) 테마주(株) 하한가(下限價) '폭락(暴落) ' .  
  141. “[논평(論評)] 지지율(支持率) 59.8%와 남북(南北) 단일팀(單一팀) 논란(論難)” .  
  142. “文대통령(大統領) 지지율(支持率), 넉달 만에 70% 회복(回復)…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 효과(效果)” .  
  143. 고상민 (2018년(年) 6월(月) 18일(日)). ' 지방선거(地方選擧) 압승(壓勝)' 민주당(民主黨) 지지율(支持率) 57%…사상(史上) 최고(最高)[리얼미터]” . 《연합뉴스(聯合뉴스)》.  
  144. “[데일리안(데일리안) 여론조사(輿論調査)] 지방선거(地方選擧)에서 보수(保守)가 보수(保守)를 탄핵(彈劾)한 이유(理由)” . 《데일리안(데일리안)》.  
  145. “문재인(文在寅) 정부(政府) 1년(年), 고공지지율(高空支持率) 떠받치는 ‘4개(個)의 기둥’” . 2018년(年) 5월(月) 8일(日).  
  146. 전병남 (2018년(年) 7월(月) 17일(日)). “文, 최저임금(最低賃金) 1만(萬) 원 공약(公約) 파기(破棄) 사과(謝過)…속도(速度) 조절(調節) 공식화(公式化)” . 《SBS NEWS》.  
  147. “은산분리(銀産分離) 완화(緩和)에 입도(入島) 뻥끗 못한 여당(與黨)···'FTA 악몽(惡夢)'에 떤다” . 《중앙일보(中央日報)》. 2018년(年) 8월(月) 8일(日).  
  148. “당정(黨政), 주택전기료(住宅電氣料) 누진제(累進制) 완화(緩和)…1·2단계(段階) 각(各) 100㎾h씩 상향(上向)” . 2018년(年) 8월(月) 7일(日).  
  149. “통계청장(統計廳長) 경질(更迭) 놓고 '소득조사(所得調査) 신뢰문제(信賴問題)' vs '압박성(壓迫性) 인사(人事)' 논쟁(論爭)”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8년(年) 8월(月) 28일(日).  
  150. 이상헌(李相憲) (2018년(年) 8월(月) 30일(日)). “교육(敎育) 유은혜(兪銀惠)·국방(國防) 정경두(鄭景斗)·여성(女性) 진선미(陳善美)…文대통령(大統領) 중폭(中幅) 개각(改閣)” . 《연합뉴스(聯合뉴스)》.  
  151. “김상곤·송영무·백운규(白雲揆)·김영주·정현백, 교체(交替)된 장관(長官) 5인방(人坊) '왜? ' . 2018년(年) 8월(月) 30일(日).  
  152. “판문점선언(板門店宣言) 비준동의안(批准同意案) 국회(國會) 제출(提出)…내년(來年) 2천(千)986억(億)원 추가(追加) 소요(所要)(종합(綜合))” .  
  153. “서울·세종(世宗) 등(等) 2주택(住宅) 이상(以上) 종부세(綜不稅) 최고(最高) 3.2% 중과(重課)(2보(報))” .  
  154. “김정은(金正恩) '서울방문(訪問)' 약속(約束)에…시민들 "놀라운 변화(變化) " .  
  155.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방문(訪問)...두 정상(正常) 부부(夫婦) 동반(同伴) 산책(散策)” .  
  156. “6주간(週間) 하락(下落)하던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지지율(支持率) 급반등(急反騰) … 평양(平壤) 정상회담(頂上會談) 효과(效果) '톡톡 ' .  
  157. “분당(盆唐)·일산(一山)과 서울 사이에 ‘3기(期) 신도시(新都市)’ 4∼5곳 만든다” .  
  158. “문(文) 대통령(大統領), 아베 만나 ‘위안부(慰安婦) 화해치유재단(和解治癒財團)’ 해산(解散) 뜻 통보(通報)” .  
  159. “[속보(速報)] '김앤장(金앤張)' 결국(結局) 아웃…경제부총리(經濟部總理) 홍남기(洪楠基) 靑정책실장(政策室長) 김수현” . 2018년(年) 11월(月) 9일(日).  
  160. “내년(來年)부터 연매출(年賣出) 30억(億) 가게까지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引下)” .  
  161. “가맹점주(加盟店主)들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引下) 환영(歡迎)…의무수납제(義務收納制) 폐지(廢止)해야”” .  
  162. “누구를 위한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引下)인가…영세상인은 아니다” .  
  163. “카드수수료(手數料) 인하(引下) 후폭풍(後暴風)…순익급감(純益急減)에 매각(賣却)·구조조정(構造調整) 한파(寒波)” .  
  164. “홍남기(洪楠基) 취임(就任) 일성(一聲) "최저임금(最低賃金) 보완(補完)…김수현(金秀顯) 매주(每週) 만나겠다 " .  
  165. “홍남기(洪楠基) 청문회답변(聽聞會答辯)서…김동연 부총리(副總理) ‘멘트’ 보는 듯” .  
  166. “국민연금(國民年金) 보험료(保險料) 9%→9~13%…소득대체율(所得代替率) 40%→40~50% 추진(推進)” . 《연합뉴스(聯合뉴스)》.  
  167. “남양주(南楊州)·하남(河南)·과천(果川)·인천(仁川) 계양(繼養)에 '3기(期) 신도시(新都市)' 만든다” .  
  168. “文지지율(支持率) 첫 '데드크로스', 뒤집은 정부(政府) 드물다는데…” . 《중앙일보(中央日報)》.  
  169. “대통령집무실(大統領執務室) 광화문(光化門) 이전(移轉) 보류(保留)…현정부(現政府)서 사실상(事實上) 무산(霧散)(종합(綜合))” . 2018년(年) 1월(月) 4일(日).  
  170. “임종석(任鍾晳), 오후(午後) 4시(時) 비서실장(祕書室長) 노영민(盧英敏)·정무수석(政務首席) 강기정(姜琪正) 등(等) 발표(發表)(종합(綜合))” . 뉴시스. 2019년(年) 1월(月) 8일(日).  
  171. “정부(政府), 국가균형발전(國家均衡發展) 위(爲)해 24조(兆)원대(臺) 23개(個) 사업(事業) 예타면제(豫妥免除)” . 연합뉴스(聯合뉴스). 2019년(年) 1월(月) 29일(日).  
  172. “文 대통령(大統領), 평택항(平澤港) 2020년(年) 수출(輸出) 1호(號) 전기차(電氣車) 출발(出發) 현장(現場) 방문(訪問)” . 쉬핑뉴스넷. 2020년(年) 1월(月) 3일(日).  
  173. “文, 호우(豪雨) 피해(被害)로 여름휴가(休暇) 취소(取消)… 작년(昨年)엔 日수출규제(輸出規制)로 못 가” . 《중앙일보(中央日報)》. 2020년(年) 8월(月) 3일(日).  
  174. “文대통령(大統領) 지지율(支持率) 30% 무너졌다...10·20대서 21%까지 추락(墜落)” .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21년(年) 4월(月) 30일(日) . 2021년(年) 7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175. “참패(慘敗) 후(後) '레임덕 위기(危機)' 文, 뭔가 크게 바뀌긴 할까” . 《 뉴스코리아 》. 2021년(年) 4월(月) 10일(日) . 2021년(年) 7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176. 이완(弛緩) (2022년(年) 5월(月) 9일(日)). “임기(任期) 마친 문재인(文在寅) 대통령(大統領) “갈등(葛藤)의 골(骨) 메우고 국민(國民) 마음 모으길”” . 한겨례 . 2022년(年) 5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77. 보도국(報道局) (2022년(年) 5월(月) 10일(日)). “윤석열(尹錫悅) 대통령(大統領) 임기(任期) 시작(始作)…10시(時) 국회(國會)서 취임행사(就任行事)”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22년(年) 5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178. 김한영 (2022년(年) 11월(月) 10일(日)). “文 반납(返納)한 풍산개(豐山개) '곰이'·'송강', 광주(光州) 우치동물원(憂恥動物園)으로 오나?(종합)” . 《노컷뉴스》 . 2022년(年) 1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179. 김유아 (2022년(年) 12월(月) 8일(日)). “서훈(徐薰) 구속(拘束) 일주일(一週日)…삭제(削除)·월북(越北) 판단(判斷) 놓고 공방(攻防) 계속(繼續)”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22년(年) 1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180. 김단비 (2022년(年) 12월(月) 7일(日)). “한동훈, 文 수사(搜査) 가능성(可能性) 언급(言及)…“헌법(憲法) 초월(超越)한 통치행위(統治行爲) 없어”” . 《채널a》 . 2022년(年) 1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181. “美 주간지(週刊誌) "북핵(北核) 드라마, 주연(主演) 트럼프·김정은(金正恩), 연출(演出) 문재인(文在寅)" 평가(評價)” . 《중앙일보(中央日報)》. 2018년(年) 3월(月) 13일(日) . 2018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82. " 문재인(文在寅)에게 경의(敬意)를 표(票)하라" 외교(外交) 성과(成果) 외신(外信)들 반응(反應)” . 2018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83. ““소득주도성장론(所得主導成長論), 재분배(再分配)에 매몰(埋沒)되면 성공(成功) 가능성(可能性) 낮다”…진보경제학계 내부(內部)서 쓴 소리” . 2018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84. “주진형 “최저임금(最低賃金) 정책(政策) 이상(異常)해… 부모(父母) 없는 아이”” . 《한국일보(韓國日報)》. 2017년(年) 7월(月) 21일(日) . 2018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85. “이국종(李國鍾), 과거(過去) ‘문재인(文在寅) 케어’ 비판(批判) 재조명(再照明)…“‘돌격(突擊) 앞으로!’만 외쳐”” . 《중앙일보(中央日報)》. 2017년(年) 11월(月) 22일(日) . 2018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86. “서울대(서울大) 공대생(工大生)들 "탈원전(脫原電), 工學 전체(全體)에 대(對)한 위협(威脅) " . 2018년(年) 7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87. “김종인(金鍾仁) "문(文) 대통령(大統領)에 배신감(背信感), 인성(人性)이 문제(問題)···박(朴) 대통령(大統領)은 건달(乾達) 힘자랑 같았다 " . 2020년(年) 3월(月) 21일(日) . 2020년(年) 4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188. 이기석 기자(記者) (2011년(年) 5월(月) 24일(日)). “봉하(烽下)마을의 전설(傳說)은 계속(繼續)된다” . 오마이뉴스 . 2012년(年) 6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189. 박세회(迫歲回) (2018년(年) 4월(月) 20일(日)). “문(文) 대통령(大統領), ‘타임 100인(人)’ 이어 포춘 ‘위대(偉大)한 리더’ 4위(位)” . 《한겨레》 . 2018년(年) 4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제(第)19대(代) 대한민국(大韓民國) 대통령(大統領)
전임(前任)
박근혜(朴槿惠)
황교안(黃敎安)
(권한대행(權限代行))
2017년(年) 5월(月) 10일(日)~2022년(年) 5월(月) 9일(日) 후임(後任)
윤석열(尹錫悅)
이승만(李承晩)   · 윤보선   · 박정희(朴正熙)   · 최규하   · 전두환(全斗煥)   · 노태우(盧泰愚)   · 김영삼(金永三)   · 김대중(金大中)   · 노무현(盧武鉉)   · 이명박(李明博)   · 박근혜(朴槿惠)   · 문재인(文在寅)   · 윤석열(尹錫悅)
전임(前任)
김한길(金한길) · 안철수(安哲秀)
박영선(朴映宣) (국민공감혁신위원장(國民共感革新委員長))
문희상(文喜相) (비상대책위원장(非常對策委員長))
제(第)2대(代) 새정치민주연합(새政治民主聯合) 대표(代表)
2015년(年) 2월(月) 8일(日)~2015년(年) 12월(月) 28일(日)
후임(後任)
문재인(文在寅)(당명(黨名) 변경(變更))
전임(前任)
문재인(文在寅)(당명(黨名) 변경(變更))
제(第)1대(代)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대표(代表)
2015년(年) 12월(月) 28일(日)~2016년(年) 1월(月) 26일(日)
후임(後任)
김종인(金鍾仁) (비상대책위원회(非常對策委員會) 대표(代表))
추미애(秋美愛)
전임(前任)
이재신
제(第)1대(代) 민정수석비서관(民政首席祕書官)
2003년(年) 2월(月) 25일(日)~2004년(年) 2월(月) 13일(日)
후임(後任)
박정규
제(第)1대(代) 시민사회수석비서관(市民社會首席祕書官)
2004년(年) 5월(月) 16일(日)~2005년(年) 1월(月) 20일(日)
후임(後任)
이강철
전임(前任)
박정규
제(第)3대(代) 민정수석비서관(民政首席祕書官)
2005년(年) 1월(月) 20일(日)~2006년(年) 5월(月) 2일(日)
후임(後任)
전해철(全海澈)
전임(前任)
이병완
제(第)29대(代) 대통령비서실장(大統領祕書室長)
2007년(年) 3월(月) 12일(日)~2008년(年) 2월(月) 24일(日)
후임(後任)
류우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