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文明)과 수학(數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문명(文明)과 수학(數學) (5부작(部作))
장르 다큐멘터리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EBS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1년(年) 12월(月) 19일(日) ~ 12월(月) 27일(日) (본방송(本放送))
방송(放送) 시간(時間) 월(月) ~ 수(數)
21시(時) 50분(分) ~ 22시(時) 40분(分)(본방송(本放送))
방송(放送) 분량(分量) 각(各) 50분(分)
책임(責任)프로듀서 이연규
제작(製作) EBS
연출(演出) 김형준
구성(構成) 김미란
출연자(出演者) 남명렬 ( 나레이션 , 진행(進行))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다큐프라임 홈페이지

문명(文明)과 수학(數學) 》은 EBS 5부작(部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EBS 다큐프라임 을 이용(利用)해 2011년(年) 12월(月) 19일(日) 밤 9시(時) 50분(分)을 시작(始作)으로 2주(週)에 걸쳐 방영(放映)했다. 고대(古代) 이집트에서 현대(現代) 강대국(强大國)까지 문명(文明)을 이룩한 여러 국가(國家)의 초석(礎石)이 된 수학사(數學史)를 추적(追跡)하는 다큐멘터리 로 2년(年)이 넘는 제작(製作) 기간(期間) 유럽, 이집트, 인도(印度)를 위시(爲始)한 전(全) 세계(世界) 육(陸) 국(局)에서 수학사상(數學思想) 중요(重要)한 순간(瞬間)을 재연(再演)했다. 방송통신위원회(放送通信委員會)가 주관(主管)하는 2012방송통신위원회방송대상(放送通信委員會放送大賞)에서 대상(對象)을, 제(第)48회(回) 백상예술대상(藝術大賞)에서 작품상(作品賞)을, 대한수학회에서 특별공로상(特別功勞賞)을 각각(各各) 받았다.

방송(放送) 일시(一時) [ 편집(編輯) ]

2011년(年) 12월(月) 19일(日), 20일(日), 21일(日), 26일(日), 27일(日) 밤 9시(時) 50분(分) ~ 10시(時) 41분(分)

방송일시(放送日時) 제목(題目)
12월(月) 19일(日)(월(月)) 밤 9시(時) 50분(分) 1부(部). 수(數)의 시작(始作)
12월(月) 20일(日)(화(火)) 밤 9시(時) 50분(分) 2부(部). 원론(原論)
12월(月) 21일(日)(수(水)) 밤 9시(時) 50분(分) 3부(部). 신(神)의 숫자(數字)
12월(月) 26일(日)(월(月)) 밤 9시(時) 50분(分) 4부(部). 움직이는 세계(世界), 미적분(微積分)
12월(月) 27일(日)(화(火)) 밤 9시(時) 50분(分) 5부(部). 남겨진 문제(問題)들

소개(紹介) [ 편집(編輯) ]

자문(諮問) [ 편집(編輯) ]

EBS 다큐프라임 <문명(文明)과 수학(數學)>은 기획(企劃) 초기(初期) 단계(段階)부터 대한수학회 국가수리과학연구소(國家修理科學硏究所) 소속(所屬) 수학(數學) 교수진(敎授陣)에 자문(諮問)받아 정확(正確)한 내용(內容) 검증(檢證)을 지향(志向)했다. 한양대학교 명예교수(名譽敎授) 김용운 과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수학과(數學科) 교수(敎授) 김영욱은 2011년(年) 11월(月) 12일(日) 국립과천과학관(國立果川科學館)에서 열린 제(第)1회(回) 수학문화축전(數學文化祝典)에서 본 프로그램을 주제(主題)로 수학(數學)을 주제(主題)로 대중(大衆)에게 강연(講演)하기도 했다.

영상(映像) [ 편집(編輯) ]

  • 인도(印度), 이집트, 그리스, 영국(英國), 프랑스, 독일(獨逸)의 수학자(數學者)를 연기(演技)한 연기자(演技者) 100여(餘) 명(明)과 국외(國外) 올 로케이션으로 촬영(撮影)됐다.
  • Full CANON 5Dmark2 카메라를 사용(使用)한 촬영(撮影)으로 생동감(生動感) 있는 화면(畵面)을 영상(映像)에 담았다.
  • 1년(年) 간(間)의 요청(要請) 끝에 영국(英國) 박물관(博物館)이 비공개(非公開)로 소장(所藏) 중(中)인 3500년(年) 전(前) 만들어진 아메스 수학(數學) 파피루스를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로 촬영(撮影)했다.
  • 영국(英國) 울즈소프에 있는 뉴턴 생가(生家)를 직접(直接) 찾아가 300년(年) 전(前) 뉴턴이 만유인력(萬有引力)을 발견(發見)한 사과나무(沙果나무) 아래에서 직접(直接) 뉴턴을 재연(再演)했다.

수상(受賞) 이력(履歷) [ 편집(編輯) ]

  • 2012 방송통신위원회방송대상(放送通信委員會放送大賞) 대상(對象)(대통령상(大統領賞)).
  • 제(第)48회(回) 백상예술대상(藝術大賞) 작품상(作品賞).
  • 2012 대한수학회 특별공로상(特別功勞賞).
  • 제(第)39회(回) 한국방송대상(韓國放送大賞) 프로듀서상(賞)·작가상(作家賞).
  • 2012 대한민국(大韓民國)콘텐츠대상(對象) 방송(放送) 영상(映像)그랑프리 작가상(作家賞)(국무총리(國務總理) 표창(表彰)).
  • 2012 대한민국과학문화상(大韓民國科學文化賞).
  • 2012 그리메상(上) 다큐멘터리 최우수상(最優秀賞).

내용(內容) [ 편집(編輯) ]

1부작(部作)은 수학(數學)이 어떻게 시작(始作)되었는지 다루는 내용(內容)이다. 유목민(遊牧民)들이 양(孃)을 재산(財産)으로 할 때 양(孃)을 1대(對) 1로 대입(代入)해 돌멩이로 표시(表示)하다가 쐐기문자(文字)로 표시(標示)한다는 내용(內容)이 나온다. 또한 이집트에서 수학(數學)이 발달(發達)한 이유(理由)와 어떻게 문제(問題)를 풀었는지에 대(對)해서도 나온다. 2부작(部作)의 시대적(時代的) 배경(背景)은 그리스로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에 대(對)해 나온다. 피타고라스의 정리(整理)에 관(關)한 내용(內容), 그리고 피타고라스의 철학(哲學)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證明)한 히파(派)수스에 관(關)한 내용(內容)이 나오며 유클리드의 원론(原論)에 관(關)한 내용(內容)도 나온다. 3부작(部作)은 0의 발명(發明)과 삼각법(三角法), 수학자(數學者) 브라마굽타에 대(對)해서 나온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