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무용총(舞踊塚)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무용총(舞踊塚)

무용총(舞踊塚) (舞踊塚, JYM458)은 중국(中國) 지린성(지린省) 지안현(縣) 통구에 있는 고구려(高句麗) 고분(古墳) 이다. 고분(古墳) 내부(內部)의 오른쪽 벽(壁)에는 수렵도(狩獵圖)가 그려져 있고, 왼쪽 벽(壁)에는 검은색(검은色) 말을 탄 사람과 무용(舞踊)을 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는 사람들의 그림이 있다. 그림에서 무용(舞踊)을 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는 사람으로 인하여 이 고분(古墳)은 무용총(舞踊塚)이라고 명명(命名)되었다. [1] 2004년(年) 유네스코 세계유산(世界遺産) 으로 등록(登錄)된 고대(古代) 고구려(高句麗) 왕국(王國)의 수도(首都)와 무덤군(軍) 에 포함(包含)되어 있다. 무용총(舞踊塚)은 1935년(年) 5월(月) 만주국(滿洲國) 안동(安東) 도호부(都護府)의 학교(學校) 감독(監督)에 의(依)해 처음 발견(發見)되어, 중국(中國) 동북(東北) 지방(地方) 지배(支配) 기간(期間) 동안 이케우치(憂恥) 히로시와 우메하라 스에지를 포함(包含)한 일본(日本) 학자(學者)들에 의(依)해 발굴(發掘)된 12기(基)의 고구려(高句麗) 고분(古墳) 중(中)의 하나이다. [2]

위치(位置) [ 편집(編輯) ]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남서쪽(南西쪽)으로 약(約) 3 km 거리(距離)에 길림성(吉林省) 집안시 가 있고, 북쪽(北쪽) 500m 거리(距離)에 집안 통화간(通貨間) 철도(鐵道)가 있다. 근처(近處)에는 다른 고분(古墳)들도 위치(位置)해 있다. 무용총(舞踊塚)의 남쪽(南쪽)에는 각저총(角觝塚) 이 있다. [3] 이 외(外)에도 무용총(舞踊塚)의 서남쪽(西南쪽)에는 산연화총(散蓮花塚) , 삼실총(三室塚) , 통구사신총(四神塚) , 오희분 등(等)의 우산하(雨傘下) 고분군(古墳群)이 있다. [4]

벽화(壁畫) [ 편집(編輯) ]

무덤의 현실(現實)(玄室) 우벽상(禹壁像)에 14인(人)의 남녀(男女) 무용(舞踊)도(舞踊圖)가 있다. 이 무용(舞踊)도와 함께 좌우(左右) 벽면(壁面)에는 사냥·우마차(牛馬車)·공양(供養)도(供養圖), 혹은(或은) 주실(主室)·주인(主人)·시녀(侍女)·기마(騎馬)·무인(武人)·종자(從者)·궁시(弓矢)·패도(佩刀)·안구(鞍具) [5] ·식기(食器)·식탁(食卓)·씨름 등(等)이 그려져서 당시(當時)의 생활상(生活相)의 편모(鞭毛)를 엿볼 수 있으며, 그 효과(效果)와 어

울러서 유목적인(遊牧的人) 감각(感覺)이 넘친다. 특히수렵생활(特히狩獵生活)에 익숙했던 고구려인(高句麗人)의 한 측면(側面)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6]

주벽(酒癖) 벽화(壁畫) 접객(接客)도 [ 편집(編輯) ]

고분벽화기(古墳壁畫機) 제(第)2기(基)의 회화(繪畫)로 당시(當時) 고구려인(高句麗人)의 생활(生活)을 구체적(具體的)으로 표시(表示)한 매우 윤곽(輪廓)이 뚜렷한 벽화(壁畫)인데 이는 주인(主人)의 생전(生前) 기록(記錄)이다. 입구(入口)에서 마주보이는 현실(現實) 주벽(酒癖)에는 무덤의 주인(主人)이라 믿어지는 인물(人物)이 장막(帳幕)을 걷어 올린 방(房)에서 삭발(削髮)한 승려(僧侶) 두 사람과 대좌(對坐)하고 있고 그보다 훨씬 비율(比率)이 작게 그려진 시동(始動)(侍童)이 한쪽 발을 구부리고 시종하는 정경(情景)이 그려져 있다. 매우 활달(豁達)한 필치(筆致)의 사실적(事實的)인 그림이나, 식탁(食卓)과 그 위에 놓여진 음식물(飮食物)들이 수평(水平)위(水平位)로 그려졌고, 또 서로 앞뒤로 겹치지 않은 채 전체(全體) 공간(空間)에 산개(山개)(散開)해 있어 화면(畵面)의 깊이가 없는 것이 흠(欠)이다. 그리고 창방(昌枋) 위 네 곳에 그려진 우산(雨傘) 모양(模樣)의 초화문(草花紋)은 육조시대(六朝時代)(六朝時代) 불상(佛像)의 광배(光背)(光背)를 무늬화(化)한 것이며, 천장(天障)의 연화문(蓮花紋)(蓮花紋)과 함께 짙은 불교(佛敎)의 색채(色彩)를 띠고 이 현실(現實)의 분위기(雰圍氣)를 몹시 비현실적(非現實的)인 어두운 것으로 만든다. [7]

수렵도(狩獵圖) [ 편집(編輯) ]

무용총(舞踊塚) 수렵도(狩獵圖)

무용총(舞踊塚)의 현실(現實) 서쪽(西쪽) 벽(壁)에 있는 벽화(壁畫)이다. 무용총(舞踊塚)에 있는 벽화(壁畫) 가운데서 가장 회화적(繪畫的)인 효과(效果)가 뚜렷한 장면(場面)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고구려(高句麗) 무사(武士)들의 사냥 광경(光景)을 아무 기교(技巧)없이 표현(表現)했다. 도안화(圖案化)한 산맥(山脈) 으로 윗부분(윗部分)의 사슴 사냥 장면(場面)과 아래 부분(部分)의 호랑이(虎狼이) 사냥 장면(場面)과를 분리(分離)시키는 계선(界線)(界線)의 효과(效果)를 냈고, 그 아래에 계속(繼續)하여 우측(右側)으로 사슴 사냥의 그림이 연(連)하여 있다. 제일(第一) 윗부분(윗部分)의 달아나는 두 마리 사슴을 반대(反對) 방향(方向)으로 달리며 돌아서서 활을 쏘는 모습 등(等)은 화면(畵面)의 단조로움을 깨며 말과 함께 달리는 두 마리 개의 순간적(瞬間的)인 동작(動作)이나 전체(全體) 동물(動物)의 움직임도 잘 파악(把握)되어 있다. 산개(散開)한 마상(馬上)(馬上) 인물(人物)의 상위(上位)에 하늘을 표시(表示)하는 새 모양(模樣)의 무늬가 상징적(象徵的)으로 그려져 있다. 유목민(遊牧民)의 취향(趣向)을 보이는 역동적(力動的)인 벽화(壁畫)이면서 환상적(幻想的)인 면(面)이 많이 강조(强調)된다. [8]

우차도(禹車道) [ 편집(編輯) ]

우차도(禹車道)(牛車圖)는 수렵도(狩獵圖)와 함께 현실(現實) 서쪽(西쪽) 벽(壁)에 있는 벽화(壁畫)의 일부(一部)이나 수렵도(狩獵圖)와는 아무런 연관(聯關)을 맺지 않는 독자적(獨自的)인 그림이다. 수렵도(狩獵圖)와 우차도(禹車道) 사이에는 한대(寒帶) (漢代)의 화상석(畫像石)(畵像石)에서 볼 수 있는 연리수(年利數)(連理樹)라는 환상적(幻想的)인 형태(形態)의 나무 모양(模樣)이 그려져 있어 양쪽면(兩쪽面)을 절단(切斷)하는 효과(效果)를 갖는데 화면(畵面)의 여백(餘白)을 메우기 위해 넣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아래 위에 각(各) 한 대(臺)씩의 포장마차(布帳馬車)가 그려져 있으며, 수레의 앞면(앞面)은 붉은 색(色)으로 윤곽(輪廓)을 둘렀고, 온아(溫雅)한 풍모(風貌)의 빨간 옷을 입은 마부(馬夫)가 소 옆에 채찍을 들고 서 있다. 수렵도(狩獵圖)의 동적(動的)인 화면(畵面)과 대조적(對照的)으로 정적(靜的)이며 평온(平穩)하고 한가(閑暇)한 공기(空氣)가 감도는 그림이다. 서 있는 소의 사지(四肢)는 복잡(複雜)을 피해(被害) 단순화(單純化)했는데 전체적(全體的)으로 간결(簡潔)한 표현(表現)을 보인다. 서로 연관(聯關)지을 수 없는, 주제(主題)를 달리한 두 개(個)의 그림을 같은 벽면(壁面)에 그리는 것은 고구려(高句麗) 벽화미술(壁畫美術)의 하나의 특색(特色)이라 할 수 있다. [9]

무용(舞踊)도 [ 편집(編輯) ]

무용총(舞踊塚) 현실(現實)의 동측(東側) 벽(壁)에 있는 벽화(壁畫)이다. 남녀(男女) 14명(名)의 춤추는 장면(場面)이 그려져 있는 데서 무용총(舞踊塚)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 춤추는 인물(人物)의 동작(動作)이 매우 부자연스럽고 일반적(一般的)인 고구려(高句麗)의 벽화(壁畫)와 마찬가지로 평면적(平面的)인 표현(表現)이다. 당시(當時)의 복식(服飾)(服飾)을 고증(考證)할 수 있는 풍속화(風俗畫) 이다. [10]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저 옛날 ‘흉노족’은 우리 민족(民族)의 한 갈래였다!” . 브레이크 뉴스. 2008년(年) 12월(月) 11일(日).  
  2. 박(朴)아림, 고구려(高句麗) 무용총(舞踊塚) 편년(編年)의 재검토(再檢討), 고구려(高句麗) 발해(渤海) 연구(硏究), 2009년(年) 7월(月), 제(第)34집(輯), 69-100면(面) 중(中) 70면(面)
  3. 태왕릉(胎王陵) 북서쪽(北西쪽)의 우산(雨傘) 남쪽(南쪽) 기슭에 무용총(舞踊塚)과 각저총(角觝塚)이 나란히 있는데 북쪽(北쪽)에 있는 것이 무용총(舞踊塚), 남쪽(南쪽)에 있는 것이 각저총(角觝塚)이다
  4. 박(朴)아림, 고구려(高句麗) 무용총(舞踊塚) 편년(編年)의 재검토(再檢討), 고구려(高句麗) 발해(渤海) 연구(硏究), 2009년(年) 7월(月), 제(第)34집(輯),69-100면(面) 중(中) 71-72면(面)
  5. 말안장(말鞍裝)에 딸린 기구(器具)
  6. 무용총(舞踊塚),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7.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무용총(舞踊塚) 주벽(酒癖) 벽화(壁畫) 접객(接客)도〉
  8.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무용총(舞踊塚) 수렵도(狩獵圖)〉
  9.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무용총(舞踊塚) 주벽(酒癖) 벽화(壁畫) 접객(接客)도〉
  10.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무용총(舞踊塚) 주벽(酒癖) 벽화(壁畫) 접객(接客)도〉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