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무신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무신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무신
장르 사극(史劇)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2년(年) 2월(月) 11일(日) ~ 2012년(年) 9월(月) 15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토요일(土曜日) ~ 일요일(日曜日) 오후(午後) 8시(時) 4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6부작(部作) + 스페셜 1부작(部作)
추가(追加) 채널 MBC 드라마넷 ( 케이블방송(放送) )
기획(企劃) 김정호
프로듀서 김호준, 주선(周旋)
연출(演出) 김진민 , 김흥동
조연출(助演出) 남성우 , 김슬아, 김서곤
각본(脚本) 이환경
출연자(出演者) 김주혁(金柱赫) , 김규리 , 정보석 , 박상민 , 주현
해설(解說) 김종성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무신 홈페이지

무신 》(武神)은 2012년(年) 2월(月) 11일(日) 부터 2012년(年) 9월(月) 15일(日) 까지 방송(放送)되었던 MBC 주말(週末) 드라마 이다.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탄생(誕生) 1000주년(周年)을 기념(記念)하여 고려(高麗) 무신(武臣) 정권(政權) 기(基) 인물(人物)인 김준 의 삶과 대몽항쟁(大夢抗爭) 을 조명(照明)한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이다.

이 드라마는 극(劇) 초반(初盤) 선정성(煽情性)과 폭력성(暴力性) 논란(論難)을 딛고 실감(實感)나는 격구대회(擊毬大會) 장면(場面) 등(等)으로 남성(男性) 시청자(視聽者)들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成功)했지만 담당(擔當) PD 김진민의 파업(罷業) 동참(同參) 등(等)으로 시청률(視聽率)이 다시 떨어지기도 했다. [1] 하지만 정보석 , 김주혁(金柱赫) , 홍(洪)아름 , 박상민 등(等) 주요(主要) 배우(俳優)들의 열연(熱演)과 작품(作品)에 대(對)한 애정(愛情)으로 시청자(視聽者)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데 성공(成功)했으며 이 같은 인기(人氣)에 힘입어 50부작(部作)에서 6편(篇) 늘린 56회(回)로 막(幕)을 내렸다. [2]

한편(한便), 이 작품(作品)은 1999년(年) KBS 에서 기획(企劃)한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태조(太祖) 왕건(王建) )부터 공민왕 시대(時代)까지 다루는 《고려사(高麗史) 10년(年) 시리즈》 중(中) 한 작품(作品)으로 《 무인시대(武人時代) 》 후속작(後續作)이었으나, [3] [4] [5] 그 자리에 《 불멸(不滅)의 이순신(李舜臣) 》이 편성(編成)되면서 중단(中斷)되었던 작품(作品)이었다. [6] 그 당시(當時) 노무현(盧武鉉) 대통령(大統領)이 《 불멸(不滅)의 이순신(李舜臣) 》의 원작(原作)인 김훈(金訓)의 《 칼의 노래 》를 극찬(極讚)한 점(點)을 염두(念頭)에 두고 “코드 맞추기용 드라마 아니냐”는 비판(批判)이 있었지만, 이에 제작진(製作陣)은 그 전(前)에 이미 기획(企劃)된 작품(作品)이라고 밝혔다. [6]

등장인물(登場人物) [ 편집(編輯) ]

주인공(主人公)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김준 주변인물(周邊人物) [ 편집(編輯) ]

최우(崔瑀) 주변인물(周邊人物) [ 편집(編輯) ]

최향 주변인물(周邊人物) [ 편집(編輯) ]

고려(高麗) 황실(皇室) [ 편집(編輯) ]

몽고(蒙古) [ 편집(編輯) ]

주요(主要) 무인(無人) [ 편집(編輯) ]

승려(僧侶) [ 편집(編輯) ]

도방(道傍)의 시녀(侍女) [ 편집(編輯) ]

최양백의 측근(側近) [ 편집(編輯) ]

  • 장태성  : 원발(原發) 역(驛) - 고려(高麗) 군관(軍官)
  • 백원길  : 견가(譴呵) 역(驛) - 고려(高麗) 군관(軍官)
  • 서성광  : 우(右)가 역(驛) - 고려(高麗) 군관(軍官)

조정인물(調整人物) [ 편집(編輯) ]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2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7] AGB 시청률(視聽率) [8]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2월(月) 11일(日) 7.4% 9.8% 7.1% 7.7%
제(第)2회(回) 2월(月) 12일(日) 7.6% 9.5% 8.4% 9.2%
제(第)3회(回) 2월(月) 18일(日) 6.8% 7.8% 7.2% 8.2%
제(第)4회(回) 2월(月) 19일(日) 8.7% 8.8% 8.2% 8.3%
제(第)5회(回) 2월(月) 25일(日) 9.5% 10.3% 9.5% 10.2%
제(第)6회(回) 2월(月) 26일(日) 9.8% 10.9% 9.7% 10.2%
제(第)7회(回) 3월(月) 3일(日) 10.7% 10.8% 10.2% 11.1%
제(第)8회(回) 3월(月) 4일(日) 11.6% 12.2% 11.8% 12.5%
제(第)9회(回) 3월(月) 17일(日) 9.0% 9.7% 9.6% 10.2%
제(第)10회(回) 3월(月) 18일(日) 8.6% 9.2% 10.0% 10.7%
제(第)11회(回) 3월(月) 24일(日) 9.4% 10.6% 9.8% 11.3%
제(第)12회(回) 3월(月) 25일(日) 10.5% 11.1% 10.8% 12.1%
제(第)13회(回) 3월(月) 31일(日) 10.3% 13.9% 10.6% 11.3%
제(第)14회(回) 4월(月) 1일(日) 10.9% 12.0% 12.2% 13.2%
제(第)15회(回) 4월(月) 7일(日) 8.3% 9.8% 9.0% 9.9%
제(第)16회(回) 4월(月) 8일(日) 10.0% 11.5% 11.2% 12.4%
제(第)17회(回) 4월(月) 14일(日) 10.2% 11.6% 10.1% 11.0%
제(第)18회(回) 4월(月) 15일(日) 10.0% 10.2% 10.6% 11.4%
제(第)19회(回) 4월(月) 21일(日) 9.5% 10.4% 9.5% 10.2%
제(第)20회(回) 4월(月) 22일(日) 11.2% 12.3% 10.3% 11.2%
제(第)21회(回) 4월(月) 28일(日) 9.7% 10.7% 10.0% 10.6%
제(第)22회(回) 4월(月) 29일(日) 11.3% 13.2% 11.0% 11.8%
제(第)23회(回) 5월(月) 5일(日) 9.8% 10.5% 11.3% 12.4%
제(第)24회(回) 5월(月) 6일(日) 10.7% 11.5% 12.3% 13.8%
제(第)25회(回) 5월(月) 12일(日) 9.2% 10.3% 10.5% 11.8%
제(第)26회(回) 5월(月) 13일(日) 10.7% 12.4% 13.1% 14.0%
제(第)27회(回) 5월(月) 19일(日) 10.6% 11.6% 10.6% 11.9%
제(第)28회(回) 5월(月) 20일(日) 11.4% 12.5% 12.5% 14.0%
제(第)29회(回) 5월(月) 26일(日) 9.7% 10.4% 10.1% 11.2%
제(第)30회(回) 5월(月) 27일(日) 10.5% 11.4% 10.4% 11.9%
제(第)31회(回) 6월(月) 2일(日) 11.2% 12.7% 12.3% 14.2%
제(第)32회(回) 6월(月) 3일(日) 11.6% 12.7% 10.7% 11.6%
제(第)33회(回) 6월(月) 9일(日) 10.5% 11.8% 10.5% 11.4%
제(第)34회(回) 6월(月) 10일(日) 12.1% 13.6% 10.8% 12.3%
제(第)35회(回) 6월(月) 16일(日) 10.6% 10.7% 10.0% 10.9%
제(第)36회(回) 6월(月) 17일(日) 11.4% 11.8% 11.7% 13.0%
제(第)37회(回) 6월(月) 23일(日) 10.4% 12.0% 10.5% 11.2%
제(第)38회(回) 6월(月) 24일(日) 13.1% 15.1% 13.1% 14.1%
제(第)39회(回) 6월(月) 30일(日) 11.2% 12.0% 11.6% 13.1%
제(第)40회(回) 7월(月) 1일(日) 12.8% 14.1% 12.3% 13.7%
제(第)41회(回) 7월(月) 7일(日) 11.4% 12.6% 10.6% 11.7%
제(第)42회(回) 7월(月) 8일(日) 13.0% 14.0% 13.2% 14.8%
제(第)43회(回) 7월(月) 14일(日) 12.6% 14.5% 12.2% 13.0%
제(第)44회(回) 7월(月) 15일(日) 13.6% 15.1% 12.6% 13.5%
제(第)45회(回) 7월(月) 21일(日) 11.1% 12.0% 11.4% 11.0%
제(第)46회(回) 7월(月) 22일(日) 12.8% 14.4% 12.0% 12.8%
제(第)47회(回) 8월(月) 12일(日) 8.6% 9.6% 7.0% 8.0%
제(第)48회(回) 8월(月) 18일(日) 10.3% 11.8% 10.1% 11.3%
제(第)49회(回) 8월(月) 19일(日) 13.6% 16.1% 12.0% 13.0%
제(第)50회(回) 8월(月) 25일(日) 12.5% 15.4% 10.9% 11.8%
제(第)51회(回) 8월(月) 26일(日) 13.3% 15.4% 11.5% 12.1%
제(第)52회(回) 9월(月) 1일(日) 12.8% 14.0% 11.2% 12.7%
제(第)53회(回) 9월(月) 2일(日) 14.9% 16.6% 13.0% 13.8%
제(第)54회(回) 9월(月) 8일(日) 11.3% 12.1% 10.0% 10.3%
제(第)55회(回) 9월(月) 9일(日) 11.8% 12.8% 12.2% 13.7%
제(第)56회(回) 9월(月) 15일(日) 11.8% 12.7% 11.1% 11.8%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10.8% 12.0% 10.8% 11.7%
스페셜
제(第)1회(回) 9월(月) 16일(日) 7.0% 7.8% 5.8% 6.6%

결방(決放)과 연장(延長) [ 편집(編輯) ]

  • 2012년(年) 6월(月) 25일(日)  : 무신 방영(放映) 분량(分量)이 50부작(部作)에서 6회(回) 연장(延長)되어 56부작(部作)으로 변경(變更).확정(確定)되었다. [11]

에피소드 [ 편집(編輯) ]

  • 2011년(年)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침몰선박(沈沒船舶)에서 발굴(發掘)된 유물(遺物) [18] 이 재현(再現)되었다. [19]
  • 2012년(年) 8월(月)에는 출연(出演) 중(中)이던 배우(俳優) 승규(僧規) 가 귀가(歸家) 중(中) 오토바이 사고(事故)로 세상(世上)을 떠났다. [20]

[21]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한지숙 (2012년(年) 3월(月) 11일(日)), 《MBC ‘무신’ 시청률(視聽率) 반(半)토막, KBS ‘넝쿨째굴러온당신’ 30% 육박(肉薄)》 , 헤럴드POP , 2018년(年) 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2. 조정원(調停員) (2012년(年) 9월(月) 15일(日)), 《막방(放) ‘무신’, 역사의식(歷史意識) 고취(鼓吹) “고려(高麗)의 자존심(自尊心)을 잃지 말라”》 , 헤럴드POP , 2018년(年) 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3. `암흑시대(暗黑時代)' 고려사(高麗史) 복원(復元) 활발(活潑) 연합뉴스(聯合뉴스) 1999년(年) 1월(月) 29일(日)
  4. (인터뷰-이환경 ‘제국(帝國)의 아침’작가(作家)) “사극(史劇) 통해 민족사관(民族史觀) 전달(傳達) 중(中)” 파이낸셜뉴스 2002년(年) 3월(月) 3일(日)
  5. <연합(聯合)인터뷰> 「제국(帝國)의 아침」 작가(作家) 이환경 연합뉴스(聯合뉴스) 2002년(年) 3월(月) 3일(日)
  6. (기자(記者)의 눈)이진영/KBS에서 밀려난 ‘고려(高麗)史’ 동아일보(東亞日報) 2004년(年) 8월(月) 20일(日)
  7.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參照).
  8.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參照).” . 2018년(年) 6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1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9. MBC ‘무신’ 결방(決放) 소식(消息)에 시청자(視聽者)들 뿔났다 Archived 2020년(年) 11월(月) 23일(日) - 웨이백 머신 뉴스웨이 최가람 기자(記者) 2012년(年) 3월(月) 7일(日) 작성(作成)
  10. 이어 '무신'도 결방(決放) 확정(確定) '초유(初有)의 사태(事態)' 스포츠조선 김표향 기자(記者) 2012년(年) 3월(月) 7일(日) 작성(作成)
  11. ‘무신’ 김정호 CP “시청률(視聽率) 아쉬움이 크다” , 스포츠동아, 2012-06-25
  12. MBC '무신', 28·29일(日) 결방(決放)..박태환(朴泰桓) 경기(競技) 본다 머니투데이 김미화(金美花) 기자(記者)2012년(年) 7월(月) 19일(日) 작성(作成)
  13. '런던 올림픽' 중계(中繼), "무한(無限)걸스, 나가수(나歌手)2, 무신 결방(決放) 확정(確定)" 프런티어타임스 이재훈 기자(記者) 2012년(年) 7월(月) 20일(日) 작성(作成)
  14. ‘닥터진(津)’, 오늘(5일(日)) 20분(分) 앞당겨 방송(放送) ‘무신(武臣)은 결방(決放)’ TV리포트 오민희 기자(記者)2012년(年) 8월(月) 5일(日) 작성(作成)
  15. ‘섹션’ 방송(放送) 코앞 1시간(時間) 늦은 편성(編成) “무신, 닥터진(津) 장담(壯談)못해” 뉴스엔 조연경 기자(記者) 2012년(年) 8월(月) 5일(日) 작성(作成)
  16. 무신 결방(決放) ‘차동민 이인종 출전(出戰)’ 태권도(跆拳道) 중계(中繼) Archived 2020년(年) 8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아츠뉴스 길미성 기자(記者) 2012년(年) 8월(月) 11일(日) 작성(作成)
  17. 오늘 '무한도전' '신사(紳士)의 품격(品格)' 결방(決放)없이 가는 걸로~ ” OSEN 이지영 기자(記者) 2012년(年) 8월(月) 11일(日) 작성(作成)
  18. 태안(泰安) 앞바다서 열린 고려시대(高麗時代) '타임캡슐' , 부산일보(釜山日報), 2011-10-06
  19.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장기(長期)돌에 비밀(祕密)이?!…독특한 장기(長期)돌 화제(話題)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티브이데일리, 2012년(年) 2월(月) 25일(日)
  20. 김홍취 역(驛) 탤런트 이승규 오토바이 사고사(事故死)
  21. 강대성, 함효주, 김형(金兄)은, 전영중…꿈 못피우고 교통사고(交通事故)로 떠난 이름들 , 스포츠조선, 2013-11-21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MBC 주말(週末) 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천(千) 번(番)의 입맞춤
(2011년(年) 8월(月) 20일(日) ~ 2012년(年) 2월(月) 5일(日))
무신
(2012년(年) 2월(月) 11일(日) ~ 2012년(年) 9월(月) 15일(日))
아들 녀석들
(2012년(年) 9월(月) 22일(日) ~ 2013년(年) 3월(月) 24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