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매들린 올브라이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매들린 올브라이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매들린 올브라이트
Madeleine Albright
1997년 당시 올브라이트의 공식 사진
1997년(年) 당시(當時) 올브라이트의 공식(公式) 사진(寫眞)
미국(美國)의 제(第)64대(代) 국무부(國務部) 장관(長官)
임기(任期) 1997년(年) 1월(月) 23일(日)~2001년(年) 1월(月) 20일(日)
전임(前任) 워런 크리스토퍼
후임(後任) 콜린 파월

미국(美國)의 제(第)20대(代) 유엔 대사(大使)
임기(任期) 1993년(年) 1월(月) 27일(日)~1997년(年) 1월(月) 21일(日)
전임(前任) 에드워드 J. 퍼킨스
후임(後任) 빌 리처드슨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937년(年) 5월(月) 15일(日) ( 1937-05-15 )
출생지(出生地)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사망일(死亡日) 2022년(年) 3월(月) 23일(日) ( 2022-03-23 ) (84세(歲))
사망지(死亡地) 미국(美國) 워싱턴 D. C.
학력(學歷) 웰즐리 대학교(大學校)
존스 홉킨스 대학교(大學校)
컬럼비아 대학교(大學校)
경력(經歷) 미국(美國) 민주당 고문(顧問)
정당(正當) 민주당(民主黨)
배우자(配偶者) 조지프 올브라이트(1959~1982, 이혼(離婚))
자녀(子女) 3명(名)
종교(宗敎) 로마 가톨릭교회 미국(美國) 성공회(聖公會)
서명(署名)

매들린 코벨 올브라이트 ( 영어(英語) : Madeleine Korbel Albright , 1937년(年) 5월(月) 15일(日) ~ 2022년(年) 3월(月) 23일(日) )는 미국(美國) 의 외교학자(外交學者), 외교관(外交官), 정치인(政治人)으로, 미국(美國) 최초(最初)의 여성(女性) 국무장관(國務長官)(64대(代))이었다. 2021년(年)에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副統領)이 취임(就任)하기 전(前)까지는 미국(美國) 여성(女性) 중(中) 가장 먼저 미(美) 행정부(行政府) 최고위직(最高位職)에 오른 입지전적(立志傳的)인 인물(人物)이다. [1] 여성(女性) 장관(長官)에게 붙이는 존칭(尊稱)인 ‘마담 세크리터리( Madam Secretary )’라고 불린 첫 인물(人物)이기도 하다. [2]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외교관(外交官)의 딸로 태어났으나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이 끝난 뒤 공산(公算) 쿠데타가 발생(發生)하자 1948년(年) 가족(家族)과 함께 미국(美國)으로 망명(亡命)했다. [3] 1993년(年) 빌 클린턴 1기(期)때 국제연합(國際聯合)(UN) 대사(大使)로 활동(活動)했고, 1997년(年)~2001년(年) 빌 클린턴 2기(期) 행정부(行政府)의 국무장관(國務長官)으로 재직(在職)했다. 7개(個) 국어(國語)를 구사(驅使)하며, [4] 외교전문가(外交專門家)로서 왕성(旺盛)한 활동(活動)을 했다.

2000년(年)에는 미국(美國)의 현직(現職) 장관(長官)으로는 처음으로 북한(北韓)을 방문(訪問)하기도 했으며 [5] 미(美) 정부(政府) 고위(高位) 관료(官僚) 중(中) 처음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大統領)을 만난 바 있다. [1] 그녀(그女)는 브로치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傳達)하는 ‘브로치 외교(外交)’로 유명(有名)했다. [1]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성장(成長) [ 편집(編輯) ]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에서 태어났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의 이름은 마리에 야나 쾨르벨로바 ( 체코어(語) : Marie Jana Korbelova )였다. 그의 부친(父親) 요제프 쾨르벨( Josef Korbel )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외교관(外交官) 이었다. 부친(父親)이 유고슬라비아 로 발령(發令)받아 베오그라드 에서 지냈으며, 체코슬로바키아가 나치 독일(獨逸) 의 침공(侵攻)을 받은 후(後) 부친(父親)은 영국(英國) 런던 에 들어선 망명(亡命) 정부(政府)의 관리(管理)로 활동(活動)하여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기간(期間) 중(中)에는 런던 에서 지냈다.

전쟁(戰爭) 이 끝난 후(後) 체코슬로바키아 로 귀국(歸國)했으나, 부친(父親)이 옛 정권(政權)의 인물(人物)이라는 이유(理由)로 공산정권(共産政權)으로부터 신변(身邊)에 위협(威脅)을 받게 되자 온 가족(家族)과 함께 1948년(年)에 미국(美國) 으로 망명(亡命)했다. [6] [7] 미국(美國)에서 이름을 매들린 코벨로 고쳤다. 부친(父親)은 공산주의(共産主義) 국가(國家) 에서 망명(亡命)한 인물(人物)로 미국(美國) 정부(政府)의 주선(周旋)으로 덴버 대학교(大學校) 에서 교수(敎授) 자리를 얻었으며, 그 곳에서 명교수(名敎授)로 활동(活動)했다. 부친(父親)의 제자(弟子) 중(中)에는 후(後)에 국무장관(國務長官)이 되는 콘돌리자 라이스 가 특히(特히) 유명(有名)하다.

외교(外交) 경력(經歷) [ 편집(編輯) ]

매들린은 웰즐리 대학교(大學校) 에서 정치학(政治學) 을 전공(專攻)했으며, 1957년(年)에 미국(美國) 으로 귀화(歸化)했다. 1959년(年) 언론(言論) 재벌(財閥) 집안 출신(出身)의 조(兆) 올브라이트와 결혼(結婚)하고 성(性)을 올브라이트로 바꿨다. 결혼(結婚)한 후(後) 딸 셋을 낳고 한동안 주부(主婦)로 지내다가, 학업(學業)을 다시 시작(始作)하여 컬럼비아 대학교(大學校) 에서 국제정치학(國際政治學) 석사(碩士)와 박사(博士) 학위(學位)를 받았다. 그 후(後) 민주당(民主黨) 의 여러 정치인(政治人)의 선거(選擧) 운동(運動)에 참여(參與)하고 외교(外交) 관련(關聯) 고문(顧問) 역할(役割)을 맡았다. 1976년(年)~1978년(年) 에드먼드 머스키 상원의원(上院議員)의 입법담당(立法擔當) 수석고문(首席顧問)을 지냈고, 1978년(年)~1981년(年) 지미 카터 행정부(行政府)의 백악관(白堊館) 안보보좌담당관(安保補佐擔當官)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밑에서 일했다.

조지타운 대학교(大學校) 에서 국제정치학(國際政治學) 교수(敎授)로 재직(在職)했으며, 특히(特히) 소련(蘇聯) 동유럽(東유럽) 관계(關係) 전문가(專門家)로 명성(名聲)을 떨쳤다. 1982년(年)에 이혼(離婚)했다.

1984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민주당의 제럴딘 페라로 부통령(副統領) 후보(候補)의 외교(外交) 고문(顧問)을 맡았고, 1988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는 민주당 마이클 듀카키스 대통령(大統領) 후보(候補)의 외교(外交) 고문(顧問)을 맡았다. 두 선거(選擧)에서 민주당은 모두 패배(敗北)했지만, 올브라이트는 민주당의 중요(重要)한 외교(外交) 전문가(專門家)로 떠오르게 되었다. 민주당 국제문제연구소(國際問題硏究所) 부소장(副所長)을 지내기도 했다.

1992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에서 빌 클린턴 후보(候補)와 인연(因緣)을 맺었으며, 다음해 빌 클린턴이 대통령(大統領)으로 취임(就任)한 후(後) 유엔 대사(大使)로 임명(任命)되었다. 빌 클린턴 행정부(行政府) 1기(期) 행정부(行政府) 4년(年) 동안 재직(在職)하며, 미국(美國)의 입장(立場)을 대변(代辯)하며 적극적(積極的)인 활동(活動)을 했으며, 보스니아 내전(內戰) , 아이티 문제(問題)에 대(對)해 강경(强勁)한 입장(立場)을 보였다. 그러나 르완다 내전(內戰) 이나 이라크 에 대(對)한 제재(制裁)에는 소극적(消極的)이었다.

국무장관(國務長官) 취임(就任) [ 편집(編輯) ]

푸틴 과의 만남 (2000년(年))

1996년(年) 말(末), 올브라이트는 빌 클린턴 2기(期) 행정부(行政府)의 국무장관(國務長官)으로 지명(指名)되어, 1997년(年) 초(初) 미국(美國) 최초(最初)의 여성(女性) 국무장관(國務長官)으로 취임(就任)했다. 또한 당시(當時)까지 미국(美國)에서 가장 높은 지위(地位)에 오른 여성(女性)이 되었다(단, 외국(外國) 출신(出身)이므로 대통령직(大統領職)을 승계(承繼)할 자격(資格)은 없었음). 국무장관(國務長官)으로 재직(在職)하면서도 국제(國際) 문제(問題)에 적극적(積極的)으로 관여(關與)했던 매들린은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NATO) 의 확대(擴大)를 주장(主張)했고, 자신(自身)의 조국(祖國)인 체코 와 공산정권(共産政權) 붕괴(崩壞) 후(後) 미국(美國) 과 긴밀(緊密)한 관계(關係)를 맺어 온 폴란드 , 그리고 헝가리 나토 가입(加入)을 주도(主導)했다.

나토 장교(將校)들과 함께 자리한(限) 올브라이트(1999)

보스니아 전쟁(戰爭)과 코소보 전쟁(戰爭) 에 군사력(軍事力)을 투입(投入)하는데 찬성(贊成)했으며, 중동(中東) 평화(平和) 협상(協商)을 중재(仲裁)하였다. 2000년(年) 말(末)에는 북한(北韓) 을 방문(訪問)하여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國防委員長)과 회담(會談)하였다. 이로써 그는 북한(北韓)을 방문(訪問)한 미국(美國)의 최고위급(最高位級) 인사(人士)가 되었다.

2001년(年) 초(初), 빌 클린턴 대통령(大統領) 퇴임(退任)과 함께 올브라이트도 국무장관직(國務長官職)에서 물러났다. 퇴임(退任) 후(後) 모국(母國) 체코 에서는 그의 체코 정계(政界) 진출(進出)을 환영(歡迎)하는 목소리도 있었으나, 실현(實現)되지는 않았다. 2008년(年) 대통령(大統領) 선거(選擧) 에서는 초기(初期)에는 힐러리 클린턴 을 지지(支持)했다. 버락 오바마 가 대통령(大統領)에 당선(當選)된 후(後)에는 대통령(大統領) 당선자(當選者)의 외교(外交) 관련(關聯) 업무(業務)를 도왔다.

유대인(유대人) 논란(論難) [ 편집(編輯) ]

매들린의 집안은 본래(本來) 체코슬로바키아의 유대인(유대人) 출신(出身)이었지만 매들린은 어린 시절(時節)부터 부모(父母)의 영향(影響)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敎會) 신자(信者)로 자랐으며, 결혼(結婚) 후(後)에는 남편(男便)의 신앙(信仰)에 따라 성공회(聖公會) (Episcopal)신자(信者)가 되었다. 부모(父母)는 매들린이 유대인(유대人) 이라는 사실(事實)을 알리지 않고 세상(世上)을 떠났으며, 그가 유대인(유대人) 집안 출신(出身)이라는 사실(事實)은 1996년(年) 말(末) 그가 국무장관(國務長官) 에 지명(指名)된 후(後) 체코 에서 그의 가계(家計)를 조사(調査)한 워싱턴 포스트 신문(新聞)에 의(依)해 뒤늦게 밝혀졌다. [8] 이로 인하여 그의 조부모(祖父母)와 여러 친척(親戚)들이 나치 독일(獨逸) 홀로코스트 로 희생(犧牲)되었다는 것도 밝혀져 충격(衝擊)을 주었다. [9] [10]

이에 대(對)해 오랫동안 이러한 사실(事實)을 숨긴 것이 아니냐는 의혹(疑惑)에 국무장관(國務長官) 지명(指名) 인준(認准)을 통과(通過)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憂慮)도 있었다. 그러나, 부모(父母)가 사실(事實)을 알리지 않고 미국(美國) 으로 망명(亡命)하였으며, 개인적(個人的)인 아픔이었기 때문에 상원(上院) 인준(認准)을 무사히(無事히) 통과(通過)하였다. 그 후(後) 올브라이트는 체코 에 가서 자신(自身)의 가계(家計)에 대(對)해 더욱 자세히(仔細히) 확인(確認)하였다.

사망(死亡) [ 편집(編輯) ]

2022년(年) 3월(月) 23일(日) 워싱턴 D. C. 에서 84세(歲)의 나이에 암(癌) 으로 사망(死亡)하였다. [11] 그녀(그女)의 사망소식(死亡消息)이 알려지자 미국(美國) 국무부(國務部)는 물론(勿論), 백악관(白堊館)도 조기(弔旗)를 게양(揭揚)했다. [2] 바이든 대통령(大統領)은 올브라이트 전(前) 장관(長官)의 부고(訃告) 소식(消息)을 듣고 그는 "역사(歷史)의 흐름을 바꾼 사람이자 관습(慣習)을 극복(克服)하고 장벽(障壁)을 부순 사람"이라고 회상(回想)했다. 4월(月) 27일(日)(현지시간(現地時間))에 미(美) 워싱턴DC 소재(所在) 국립(國立) 대성당(大聖堂)에서 치루어진 장례식(葬禮式)은 TV로 생중계(生中繼) 되었다. 조 바이든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은 장례식(葬禮式)에 참석(參席)해 추도사(追悼辭)를 했다. 현장(現場)에는 빌 클린턴 전(前) 대통령(大統領) 내외(內外), 오바마 전(前) 태통령(統領) 내외(內外) 등(等) 전(前)·현직(現職) 정부(政府) 관료(官僚)와 의원(議員) 1400명(名) 이상(以上)이 조문(弔問)했다. [1]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동아일보(東亞日報)] 올브라이트 장례식(葬禮式)서 눈물 훔친 바이든 “그가 곧 미국(美國)의 역사(歷史)” 2022.04.28
  2. [The JoongAng] '브로치 외교(外交)' 올브라이트의 유산(遺産)…장신구(裝身具) 메시지 사은품(謝恩品) 퀴즈 [뉴스원샷] 2022.026
  3. [네이버 지식백과(知識百科)] 매들린 올브라이트 [Madeleine Albright] (두산백과(百科) 두피(頭皮)디아, 두산백과(百科))
  4. "A Conversation with Madeleine Albright" . April 14,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4, 2022. Retrieved March 23, 2022.......English, Russian, and Czech , Albright spoke French, German, Polish , and Serbo-Croatian . She also understood spoken Slovak .
  5. [다음백과(百科)] 매들린 올브라이트.....6개(個) 국어(國語)를 구사(驅使)하는 어학실력(語學實力), 해박(該博)한 지식(知識)과 배짱으로 재임기간(在任期間) 동안 강(剛)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클린턴 정부(政府)의 국무장관(國務長官)이던 시절(時節), 북한(北韓) 비핵화(非核化) 정책(政策)을 주도(主導)하여 미국(美國)과 북한(北韓) 간(間) 고위급(高位級) 교류(交流)를 성사시켰고, 2000년(年) 10월(月)에는 미국(美國)의 현직(現職) 장관(長官)으로는 처음으로 북한(北韓)을 방문(訪問)하기도 했다.
  6. [네이버 지식백과(知識百科)] 매들린 올브라이트 [Madeleine Albright] (두산백과(百科) 두피(頭皮)디아, 두산백과(百科)). .......1997년(年) 1월(月) 23일(日) 여성(女性) 최초(最初)로 미국(美國) 국무장관(國務長官)에 취임(就任)하였다. 1937년(年)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외교관(外交官)의 딸 마리에 야나 코르벨로 태어났다. 1939년(年) 나치가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占領)하자 유대인(유대人)이었던 그녀(그女)의 가족(家族)은 영국(英國)으로 갔다가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이 끝난 뒤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갔으나, 소련(蘇聯)을 등에 업은 공산당(共産黨)의 쿠데타로 다시 망명(亡命)길에 올라 1948년(年) 미국(美國)에 정착(定着)하였다.
  7. [다음백과(百科)] 매들린 올브라이트 (Madeleine Albright). .....2살 때인 1939년(年) 나치 독일(獨逸)의 체코슬로바키아 점령(占領)으로 가족(家族)을 따라 영국(英國)으로 피신(避身)했다가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 후(後) 귀국(歸國)했으나 공산(公算) 쿠데타로 다시 망명(亡命)길에 올라 1948년(年) 미국(美國)에 정착(定着)한 이후(以後), 이름을 영어식(英語式) 이름인 매들린 코벨(Madeleine Korbel)로 바꾸었다.
  8. Michael Dobbs [Washington Post] Albright's Family Tragedy Comes to Light 1997.02.04. .....she says she never was aware of what happened to family members who stayed behind in Czechoslovakia: Research by The Washington Post shows that more than a dozen relatives, including three grandparents, were killed as Jewish victims of the Holocaust. In an interview last week, Albright, who was raised a Roman Catholic and now is an Episcopalian, said her father and mother never talked to her or her two siblings about the relatives' fate or their Jewish background.
  9. “Voices on Antisemitism interview with Madeleine K. Albright” .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07년(年) 4월(月) 12일(日). 2019년(年) 4월(月) 2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Lee, MJ (2012년(年) 4월(月) 24일(日)). “Albright memoir: Her secret past” . 《 Politico 》. 2018년(年) 8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8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이데일리] 미(美) 최초(最初) 여성(女性) 국무장관(國務長官)’ 매들린 올브라이트 암(癌)으로 별세(別世) 2022.03.24. ....미국(美國)에서 여성(女性)으로서는 최초(最初)로 수석(首席) 장관격(長官格)인 국무장관(國務長官) 자리에 올랐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前) 장관(長官)이 향년(享年) 84세(歲)의 나이로 지병(持病)인 암(癌)으로 별세(別世)했다. 23일(日)(현지시간(現地時間)) 뉴욕타임스(NYT) 등(等)에 따르면 올브라이트 전(前) 장관(長官)의 가족(家族)들은 이날 그가 사망(死亡)했다는 소식(消息)을 공식적(公式的)으로 알렸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전임(前任)
워런 크리스토퍼
제(第)64대(代) 미국(美國) 국무장관(國務長官)
1997년(年)~2001년(年)
후임(後任)
콜린 파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