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맞수(맞手)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맞수(맞手)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맞수(맞手)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4년(年) 2월(月) 28일(日) ~ 1994년(年) 3월(月) 1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월(月) · 화요일(火曜日) 밤 21시(時) 50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6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2부작(部作)
원작(原作) 박치문
기획(企劃) 박복만
연출(演出) 고석만
각본(脚本) 김지연
출연자(出演者) 유인촌 , 정보석 , 정준 , 이재룡(李在龍) 외(外)

맞수(맞手) 》는 MBC에서 1994년(年) 2월(月) 28일(日) 부터 1994년(年) 3월(月) 1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3.1절(節) 특집(特輯)드라마.

국내(國內) 최초(最初)의 본격(本格) 바둑 드라마로, 90년대(年代) 한국(韓國) 바둑계(界)의 4인방(人坊)으로 꼽힌 조훈현(曺薰鉉) , 서봉수 , 이창호 , 유창혁 중(中) 조훈현과 서봉수가 세계기전(世界棋戰) 응창기배(杯) 1회(回)와 2회(回) 우승(優勝)을 획득(獲得)하는 과정(過程)과 조훈현, 이창호 사제간(師弟間) 이야기, 부목판(不木板)에 얽힌 한·일(日) 바둑 백년(百年)의 역사(歷史)를 흥미(興味)있게 파헤친 작품(作品)이다. [1]

다만 드라마 마지막에 표시(標示)되듯 부목판(不木版) 얘기는 진실(眞實)과 허구(虛構)가 섞인 픽션 스토리다. 그런데 이 방송(放送) 1년(年) 후(後)인 1995년(年) 실제(實際) 김옥균(金玉均)이 쓰던 바둑판(바둑板)이 일본기원에서 한국기원(韓國棋院)으로 넘어오게 되니 묘(妙)하긴 하다. [1] [2]

이미 출판(出版)된 원작(原作)을 토대(土臺)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극화(劇化)한 것이 아니라 바둑전문기자(專門記者)인 박치문이 장편소설(長篇小說)로 출판(出版)도 하기 전(前) 드라마로 제작(製作)되어 화제(話題)가 되기도 했다. [2] [3]

줄거리 [ 편집(編輯) ]

1989년(年) 제(第)1회(回) 잉창치(응창기)배 세계대회(世界大會) 결승(決勝)에서 조훈현은 섭위평(?衛平, 녜웨이핑(Nieweiping))에게 1 대(對) 2로 밀려 위기(危機)를 맞지만, 윤서라는 여자(女子)로부터 ‘부목반(副木半)' 또는 '부목판(不木版)’이라고 불리는 매우 가볍고 낡은 신비(神祕)한 바둑판(바둑板)을 선물(膳物)로 받은 뒤 기적적(奇跡的)으로 역전승(逆轉勝)한다. 이후(以後) 승부(勝負)의 허망(虛妄)함을 느낀 조훈현은 부목반(副木半)의 비밀(祕密)에 집착(執着)하는데..

한편(한便), 조훈현은 자신(自身)의 내제자(弟子) 이창호가 자기(自己)를 꺾고 연(連)달아 타이틀을 차지하면서 세간(世間)의 이목(耳目)을 받자 시원섭섭한 복잡(複雜)한 감정(感情)을 느낀다. 이에 서봉수는 조훈현은 자신(自身)과 달리 패배(敗北)에 익숙하지 않은 인물(人物)이라며 더 아플거라고 말하지만, 그럼에도 극복(克服)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러는 와중(渦中) 인수(引受)는 부목반(副木半)의 비밀(祕密)을 좀 더 자세히(仔細히) 알기 위해 일본(日本) 측(側)과도 접촉(接觸)하고, 일본(日本) 측(側)은 부목반(副木半)이 일본(日本) 것이라고 생각해 일본(日本)의 혼(魂)을 찾아온다는 심정(心情)으로 거액(巨額)을 주고 사겠다고 하지만 거절당하자 일종(一種)의 내기를 제안(提案)한다. 그것은 1993년(年) 제(第)2회(回) 응창기배(杯)(응씨배(杯)) 결승(決勝)에 오른 서봉수와 오타케 히데오 중(中) 승자(勝者)가 되는 쪽에 배팅한 사람이 부목반(副木班)을 차지하자는 것. 당연히(當然히) 일본(日本) 측(側)은 오타케 히데오 승(勝)에 걸었고, 인수(引受)는 부목반(副木班)에 집착(執着)하는 조훈현이 걱정되기도 해서 몰래 거래(去來)를 성사시키고 윤서와 함께 결승(決勝) 마지막날인 5국(國) 당일(當日) 부목반(副木班)을 들고 가 일본(日本) 측(側)과 대국(對局)을 관람(觀覽)한다.

승부(勝負)가 진행(進行)되는 가운데, 부목반(副木班)을 관찰(觀察)하던 일본(日本) 측(側) 인사(人士)가 부목반(副木半) 속에 있던 편지(便紙)를 발견(發見)한다. 인수가(引受價) 내용(內容)을 보니 그것은 부목반(副木半)이 원래(元來) 조선인(朝鮮人) 것이었으나 이런저런 사정(事情)으로 우정(友情)을 쌓게 된 일본(日本) 측(側) 바둑 고수(高手) 가문(家門) 승려(僧侶)가 간직하게 되었고, 그것이 이어지다 19세기(世紀) 말(末) 김옥균(金玉均)에게 전(傳)해졌다는 내용(內容)이었다. 얼마 안가 김옥균(金玉均)이 암살당했기에 부목반(副木半)이 어떻게 한반도(韓半島)에 넘어오게 된 것인지는 불명확(不明確)하나, 이런 사정(事情)이 밝혀지자 일본(日本) 측(側) 인사(人士)도 이 내용(內容)이 사실(事實)이든 아니든 감동적(感動的)인 이야기긴 하다며 그래도 약속(約束)은 약속(約束)이라고 대국(對局)을 계속(繼續) 관전(觀戰)하지만, 결국(結局) 서봉수가 막판 대역전승(大逆轉勝)하며 제(第)2회(回) 응창기배(杯)를 우승(優勝)하자 부목반(副木班)을 포기(抛棄)하고 나가버린다.

출연진(出演陣)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박근애 기자(記者) (1994년(年) 2월(月) 2일(日)). “첫 바둑드라마'맞수(맞手)'실존인물(實存人物) 극화(劇化)” . 한겨레.  
  2. 오광수 기자(記者) (1994년(年) 1월(月) 19일(日)). “바둑드라마 첫 제작(製作)” . 경향신문(京鄕新聞).  
  3. 오광수 기자(記者) (1994년(年) 1월(月) 29일(日)). “바둑드라마「맞수(맞手)」4인방(人坊)"布石(포석(鋪石))완료(完了) " . 경향신문(京鄕新聞).  
문화방송(文化放送) 월화(月火)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