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망종(芒種)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망종(芒種)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황경(黃經)     절기(節氣)   양력(陽曆)
315° 입춘(立春) 2/4 ~ 5
330° 우수(優秀) 2/18 ~ 19
345° 경칩(驚蟄) 3/5 ~ 6
춘분(春分) 3/20 ~ 21
15° 청명(淸明) 4/4 ~ 5
30° 곡우(穀雨) 4/20 ~ 21
여름
45° 입하(立夏) 5/5 ~ 6
60° 소만(小滿) 5/21 ~ 22
75° 망종(芒種) 6/5 ~ 6
90° 하지 6/21 ~ 22
105° 소서(小暑) 7/7 ~ 8
120° 대서(大暑) 7/22 ~ 23
가을
135° 입추(立秋) 8/7 ~ 8
150° 처서(處暑) 8/23 ~ 24
165° 백로(白鷺) 9/7 ~ 8
180° 추분(秋分) 9/22 ~ 23
195° 한(韓)로 10/8 ~ 9
210° 상강(霜降) 10/23 ~ 24
겨울
225° 입동(立冬) 11/7 ~ 8
240° 소설(小說) 11/22 ~ 23
255° 대설(大雪) 12/7 ~ 8
270° 동지(同志) 12/21 ~ 22
285° 소한(小寒) 1/5 ~ 6
300° 대(對)한 1/20 ~ 21

망종(芒種) (芒種)은 24절기(節氣) 중(中) 하나로 벼나 보리 등(等) 수염(鬚髥)이 있는 곡식(穀食)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때라는 뜻이다. 태양(太陽) 황경(黃經)이 75도(度)가 되는 때이다. 양력(陽曆)으로는 6월(月) 6일(日) 전후(前後)다.

어원 [ 편집(編輯) ]

망종(芒種)(芒種)의 망(網)(芒)은 벼처럼 까끄라기가 있는 곡물(穀物)을, 종(種)(種)은 씨앗을 말한다. 까끄라기 곡식(穀食)을 뿌리기 적당(適當)한 계절(季節)이란 뜻이다. [1]

풍속(風俗) [ 편집(編輯) ]

예로부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亡種)이다" "망종(亡種)에는 햇보리를 먹을 수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보리베기·모내기로 몹시 바쁜 시절(時節)이다.

또한 제사(祭祀)나 기우제(祈雨祭)를 지내기도 했다.

[後漢書 卷85 東夷列傳 75,韓 ] [原文] ; 常以五月田竟 祭鬼神 晝夜酒會 群聚歌舞 舞이數十人相隨류地爲節 十月農功畢 亦復如之, (마한(馬韓))해마다 5월(月)에 농사일(農事일)을 마치고 귀신(鬼神)에 제사(祭祀)지내는데 밤낮으로 술자리를 베풀고 떼를 지어 노래하고 춤춘다 춤출 때에는 수십(數十) 명(名)이 줄을 서서 땅을 밟으며 장단을 맞춘다 10월(月)에 추수(秋收)를 마치고서도 이와 같이 한다

[晉書 卷 97 列傳 67 馬韓 ] [原文] ; 俗信鬼神 常以五月耕種畢 群聚歌舞以祭神 至十月農事畢 亦如之, 풍속(風俗)에 귀신(鬼神)을 믿어 해마다 오월(五月)에 씨뿌리기를 마치고 떼를 지어 노래하고 춤추는 것으로 귀신(鬼神)에게 제사(祭祀)지낸다 10월(月)에 이르러 농사일(農事일)을 마치고서도 이와 같이 한다

[高麗史 卷 50 志 4 曆 宣明曆 上 ] [原文] ; 芒種五月節 離六三 螳螂生 ?(격(格))始鳴 反舌無聲, 망종(芒種)(芒種)은 5월(月) 절기(節氣)이다 괘(卦)(卦)는 리(리)(離) 육(肉)이(육(六二)이다 초후(秒後)에 사마귀가 생겨난다 차후(此後)에 왜가리가 울기 시작(始作)한다 말(末)후에 반설(反舌)새가 울지않는다

[高麗史 卷 51 志 5 曆 授時曆 上] [原文] ; 五月 芒種五月節 夏至 五月中 螳螂生 ?(격(格))始鳴 反舌無聲 鹿角解 ?始鳴 半夏生, 망종(芒種)(芒種)은 5월(月)의 절기(節氣)(節氣)이며 하지(夏至)는 5월(月)의 중기(中期)(中期)이다 사마귀가 생겨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始作)한다 반설(反舌)새는 울지 않으며 사슴이 뿔을 간다 매미가 울며 반하(反下)가 나기 시작(始作) 한다

[ 漏籌通儀 (물시계(물時計))] 하지후(夏至後) 6일(日)이 하지이후(夏至以後)(夏至二候)이고 하지 전(前)6일(日)이 망종(亡種)삼후(芒種三候) 인데 그 주야(晝夜)의 각(各)분이 상등(上等)하고 상대(相對)하므로 제(第)36전(錢)(箭)을 함께쓴다 나머지 절후도(節候度) 다 이와 같다, (누주(淚珠)(漏籌)=물시계(물時計),24기(期)(氣)를 72후(後)(候)로 세분,金泳이 敎命을 받들어 저술(著述),[書雲觀誌])

[ 朝鮮王朝實錄(文宗朝) ] 예조(禮曹)에서 아뢰기를 “이제 농사철(農事철)을 당(當)하여 비가 때를 어기니 청(請)컨대 오는 5월(月) 초(初) 1일(日)에 기우제(祈雨祭)를 시행(施行)하소서”하니 승정원(承政院)에 전교(傳敎)하기를 “대저(大抵) 망종(芒種)(芒種) 이후(以後) 하지(夏至)(夏至) 이전(以前) 10일(日) 안에 비가 내리면 이것을 때맞은 비라 하는데 요 몇해에는 매양 4,5월(月) 사이에 비가 오지 않을 때 마다 기도(祈禱)를 행(行)하였다, 이제 비록 비가 내리지 않으나 어찌 이를 가뭄이라 할수 있 겠는가 아직 천천히 하는 것이 어떠한가 하였다 (문종실록(文宗實錄) 7 ; 19 가 원년(元年)4,갑오(甲午)26)

기타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상철 (2001년(年) 6월(月) 8일(日)). “그림으로 보는 24절기(節氣)”. 농민신문(農民新聞). N7면(面).  
  2.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천문학백과(天文學百科))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위키천문백과사전(天文百科事典)) 천문학적(天文學的)으로는 춘분(春分), 하지, 추분(秋分), 동지(冬至)만 의미(意味)가 있고 나머지 20개(個)에 대응(對應)하는 용어(用語)는 없다. 태양(太陽)의 적위(赤緯)가 황경(黃經)에 선형비례(線形比例)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節氣)에 따라 태양(太陽)의 남중고도(南中高度)가 일정하게 증가(增加)하거나 감소(減少)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節氣)가 계절(季節)을 구분(區分)하는 절대적(絶對的)인 기준(基準)은 아니지만, 4계절(季節)은 입춘(立春),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 등(等) 4립(立)의 날에서 시작(始作)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節氣)의 이름이 중국(中國) 주나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방(地方)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記憶)한다면 24절기(節氣)를 현대 동아시아(東아시아) 전역(全域)에 엄격(嚴格)하게 적용(適用)하는 것은 타당(妥當)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