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모이 (영화(映畫))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말모이
감독(監督) 엄유(奄有)나
각본(脚本) 엄유(奄有)나
제작(製作) 더 램프
출연(出演) 유해진, 윤계상, 김홍파, 우현, 김태훈, 김선영, 민진웅, 송영창, 허성태
촬영(撮影) 최영환
편집(編輯) 김상범, 정원준
음악(音樂) 조영욱
배급사(配給社) 롯데엔터테인먼트
개봉(開封)일 2019년(年) 1월(月) 9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2019년(年) 7월(月) 25일(日)
황금촬영상(黃金撮影賞) 시상식(施賞式)
시간(時間) 135분(分)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말모이 》는 엄유(奄有)나가 감독(監督)을 맡고, 유해진 , 윤계상 의 주연(主演)으로 2019년(年) 1월(月) 9일(日) 에 개봉(開封)된 한국(韓國) 영화(映畫)이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를 시대적(時代的) 배경(背景)으로 일제(日帝)에 의(依)해 우리말 사용(使用)이 금지(禁止)된 그 때,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우리말 사전(辭典)을 만들기 위(爲)해 헌신(獻身)하다 탄압당한 ‘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사건(事件) ’을 다룬다.

줄거리 [ 편집(編輯) ]

1940년대(年代)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의 경성(京城). 극장매표원(劇場賣票員)으로 일하던 판수( 유해진 )는 해고당한 뒤 일거리를 찾다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에서 허드렛일을 하게 된다. 까막눈 판수는 그곳에서 사전(辭典)을 만들기 위한 낱말(단어(單語))를 수집(蒐集)하고 있는 사람들의 열정(熱情)에 동화(同化)되기 시작(始作)한다. 친일파(親日派) 아버지에 대(對)한 반감(反感)으로 가득찬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대표(代表) 정환( 윤계상 )은 '말모이' 작업(作業)에 헌신(獻身)하지만, 일제(日帝)는 감시망(監視網)을 더욱 죄어온다. 과연(果然), '말모이' 작업(作業)을 완료(完了)할 수 있을까. [1]

출연(出演) [ 편집(編輯) ]

  • 유해진 : 김판수 역(驛) - 본작(本作)의 주인공(主人公) .
  • 윤계상 : 류정환 역(驛) - 본작(本作)의 서브 주인공(主人公) .
  • 김홍파 : 조갑윤 역(驛)
  • 우현 : 임동익 역(驛)
  • 김태훈 : 박훈 역(驛)
  • 김선영 : 구자영 역(驛)
  • 민진웅 : 민우철 역(驛)
  • 송영창 : 류(類)완택 역(驛) - 본작(本作)의 메인 빌런 준 최종(最終) 보스 .
  • 허성태 : 우에다 역(驛) - 본작(本作)의 진(陳) 최종(最終) 보스 .
  • 이성욱 : 장춘삼 역(驛)
  • 조현철 : 박봉두 역(役)
  • 조현도 : 김덕진 역(驛)
  • 박예나 : 김순희 역(驛)
  • 이정은 : 제주도(濟州道) 교사(敎師) 역(役) (우정출연(友情出演))
  • 최귀화 : 책방(冊房) 우체부(郵遞夫) 역(逆) (우정출연(友情出演))
  • 윤경호 : 안경점(眼鏡店) 사장(社長) 역(役) (우정출연(友情出演))
  • 유은미 : 중학생(中學生) 순희 역(驛) (우정출연(友情出演))
  • 예수정 : 조갑윤 부인(婦人) 역(役) (특별출연(特別出演))
  • 유재명 : 김두봉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 김동영 : 성인(成人) 덕진(德津) 역(驛) (특별출연(特別出演))
그외(外) 출연진(出演陣)
  • 송부건(送付件) : 가와모토 역(驛)
  • 이서환 : 이(李) 부장(部長) 역(役)
  • 이호철 : 기도부장(祈禱部長) 역(役)
  • 박경근: 간판부장(看板部長) 역(役)
  • 유순웅 : 함경도(咸鏡道) 교사(敎師) 역(役)
  • 백경윤: 황해도(黃海道) 교사(敎師) 역(役)
  • 이동용(移動用) : 경상도(慶尙道) 교사(敎師) 역(役)
  • 채동현 : 전라도(全羅道) 교사(敎師) 역(役)
  • 서영주 : 충청도(忠淸道) 교사(敎師) 역(役)
  • 김남훈 : 강원도(江原道) 교사(敎師) 역(役)
  • 정기섭 : 덕진(德津) 담임(擔任) 교사(敎師) 역(役)
  • 김도엽 : 남철(藍鐵) 역(驛)
  • 전진기 : 정무총감(政務總監) 역(驛)
  • 전병덕: 연맹이사(聯盟理事) 역(驛)
  • 이영호(李泳鎬): 해주야학(海州夜學) 교사(敎師) 1 역(驛)
  • 구(舊)민혁 : 해주야학(海州夜學) 교사(敎師) 2 역(驛)
  • 김문식: 판수집(蒐集) 우체부(郵遞夫) 역(逆)
  • 오희준 : 체신국 우체부(郵遞夫) 역(逆)
  • 장유(長幼) : 경성역 창고(倉庫) 직원(職員) 역(驛)
  • 조유신 : 전차(戰車) 일본인(日本人) 사내(社內) 1 역(驛)
  • 김대현 : 전차(戰車) 일본인(日本人) 사내(社內) 2 역(驛)
  • 이현걸 :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교도관(矯導官) 역(驛)
  • 권혁 : 경성역 일본남(日本南) 역(驛)
  • 강전영 : 보고 경찰(警察) 역(役)
  • 송형수 : 류(類)완택 비서(祕書) 역(役)
  • 이새로미 : 선술집 주인(主人) 역(役)
  • 김규백 : 판수패거리(牌거리) 평양(平壤) 역(驛)
  • 서문호 : 판수패거리(牌거리) 혜산(惠山) 역(驛)
  • 노영주 : 판수패거리(牌거리) 부여(扶餘) 역(驛)
  • 조승구 : 판수패거리(牌거리) 함흥(咸興) 역(驛)
  • 윤영균 : 판수패거리(牌거리) 안동(安東) 역(驛)
  • 김철무 : 판수패거리(牌거리) 강릉(江陵) 역(驛)
  • 오경민 : 판수패거리(牌거리) 온양 역(驛)
  • 이다일(日): 판수패거리(牌거리) 제주(濟州) 역(驛)
  • 최윤빈 : 판수패거리(牌거리) 부산(釜山) 역(驛)
  • 이동현: 판수패거리(牌거리) 의성(義城) 역(驛)
  • 조석인 : 판수패거리(牌거리) 고성(高聲) 역(驛)
  • 박원석 : 판수패거리(牌거리) 목포(木浦) 역(驛)
  • 차준서: 시옷 여학생(女學生) 역(役)
  • 구준우: 박길남 역(驛)
  • 이강우: 박길남 형(兄) 역(役)
  • 김태율: 민들레 학생(學生) 1 역(驛)
  • 조수빈: 민들레 학생(學生) 2 역(驛)
  • 조용진 : 덕진(德津) 친구(親舊) 1 역(驛)
  • 송지호: 징병(徵兵) 학생(學生) 1 역(驛)
  • 김세한: 징병(徵兵) 학생(學生) 2 역(驛)
  • 지원호: 징병(徵兵) 학생(學生) 3 역(驛)
  • 김민석(金民錫): 징병(徵兵) 학생(學生) 4 역(驛)
  • 윤준열: 징병(徵兵) 학생(學生) 5 역(驛)
  • 서영재: 복도(複道) 학생(學生) 역(役)
  • 정원(庭園): 인력거(人力車) 잡지 학생(學生) 역(役)
  • 박준희 : 사랑의 역사(歷史) 아이 1 역(驛)
  • 윤준상: 사랑의 역사(歷史) 아이 2 역(驛)
  • 고재원: 사랑의 역사(歷史) 아이 3 역(驛)
  • 유상재 : 북만주(北滿洲) 일본장교(日本將校) 역(役)
  • 이육헌 : 일본어(日本語) 간판(看板) 가게 사장(社長) 역(役)
  • 신재영: 모자(帽子)가게 주인(主人) 역(役)
  • 정임섭: 경성역 매표소(賣票所) 직원(職員) 역(驛)
  • 김동효: 경성역 인력거꾼(人力車꾼) 역(驛)
  • 강태수: 기차(汽車) 간식(間食)팔이 역(驛)
  • 김서윤: 김인옥 역(驛)
  • 윤준호: 경찰(警察) 간부(幹部) 역(役)
  • 김학충 : 헌병(憲兵) 간부(幹部) 역(役)
  • 오규택: 옆자리 신문(新聞) 승객(乘客) 역(驛)
  • 임수지: 옆자리 여승객(女乘客) 역(驛)
  • 박성용 : 포스터 일본장교(日本將校) 역(役)
  • 조성운: 책방(冊房) 아기손님 역(驛)
  • 김한빛: 전차(戰車) 기사(記事) 역(役)
  • 한대훈 : 창고(倉庫) 일본경찰(日本警察) 역(役)
  • 유용희: 자전거(自轉車) 상인(商人) 역(驛)
  • 강유미: 경성역 방송(放送) / 일본인(日本人) 군중(群衆) 녹음(錄音) 역(驛)
  • 명인호 : 병(病)정님 군인(軍人) 녹음(錄音) 역(驛)
  • 선승수(先勝數): 경찰(警察) 녹음(錄音) 역(驛)
  • 박영서: 동요(童謠) 반달(半달) 녹음(錄音) 역(驛)
  • 후지모토 신스케: 일본인(日本人) 군중(群衆) 녹음(錄音) 역(驛)
  • 요네다 사치코: 일본인(日本人) 군중(群衆) 녹음(錄音) 역(驛)
  • 카와카미(美) 에리코: 일본인(日本人) 군중(群衆) 녹음(錄音) 역(驛)
  • 김길범: 일본인(日本人) 군중(群衆) 녹음(錄音) 역(驛)
  • 가네코 신이치: 일본인(日本人) 군중(群衆) 녹음(錄音) 역(驛)

참고사항(參考事項) [ 편집(編輯) ]

영화정보(映畫情報) [ 편집(編輯) ]

  • 2018년(年) 12월(月) 18일(日) 롯데시네마 건대입구(建大入口)에서는 열린 <말모이>의 언론시사회(言論示唆會)에는 엄유(奄有)나 감독(監督)과 두 주연배우(主演俳優) 유해진, 윤계상이 참석(參席)했다. [2]
  • 2019년(年) 1월(月) 9일(日) (수(水)) 개봉(開封)된 말모이는 개봉(開封)일날 1077개(個) 스크린에서 4853회(回) 상영(上映)되며 12만(萬) 2,458명(名)의 관객(觀客)이 들었다. 13일(日)(일)까지 첫 주말(週末)까지 118만(萬) 관객(觀客)이 들었다. 최종(最終) 극장(劇場) 관객수(觀客數)는 280만(萬) 명(名)이다. [3]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사실(事實)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사건(事件)은 배경(背景)이다. 실제(實際) 사실(事實)과는 많이 다른데, 예(例)로 실제(實際)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사건(事件)으로 사망(死亡)한 사람은 2명(名)인데, 영화(映畫)에서는 1명(名)만 고문(顧問)으로 사망(死亡)했다.
  2. “KBS 스토리매거진” . 《“우리말을 모아모아” 영화(映畫) ‘말모이’》. 2019.12.20.  
  3. “영화진흥위원회(映畫振興委員會) 연도별(年度別)박스오피스” . 2019.3.10에 확인(確認)함 .  

수상(受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