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 국호(國號) 분쟁(紛爭)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마케도니아 국호(國號) 분쟁(紛爭) 1991년(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社會主義) 공화국(共和國) 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 이 독립(獨立)하면서 그리스 북부(北部)에 있는 지명(地名)과 같은 국명(國名)을 사용(使用)하자, 그리스 가 이의(異議)를 제기(提起)하고 나라 이름을 변경(變更)하라고 요구(要求)하여 발생(發生)한 분쟁(紛爭)이다. 이 분쟁(紛爭)은 1990년대(年代) 이후(以後) 유럽의 다른 분쟁(紛爭)들과 달리 전쟁(戰爭)까지 가지 않았고, 해결(解決) 과정(過程) 또한 평화롭게 끝났다. 이 분쟁(紛爭)은 1995년(年) 9월(月) 14일(日) 에 양국(兩國) 간(間)에 국경선(國境線) 승인(承認) 합의(合意) 문서(文書)에 조인(調印)하면서 끝났다.

그리스의 주장(主張) [ 편집(編輯) ]

그리스 는 " 마케도니아 "라는 나라 이름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 이 자국(自國)의 영토(領土)에 대(對)한 야욕(野慾)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主張)하며 지역(地域) 안정(安定)을 위해 현재(現在)의 국경선(國境線) 보전(保全)과 마케도니아 국명(國名) 변경(變更)을 주변국(周邊國)과 유럽 연합(聯合) 에 요구(要求)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이 알렉산드로스 3세(歲) 와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歲) 의 고대(古代) 마케도니아 왕국(王國) 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歷史的)인 근원(根源)을 내세우면서 그리스 북부(北部) 지역(地域)에 대(對)한 영유권(領有權)을 주장(主張)할 것을 심히(甚히) 우려(憂慮)하였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에 대(對)해 국명(國名) 변경(變更) 등(等)을 요구(要求)하면서 유럽 연합(聯合) 정상(頂上) 회담(會談)에서도 마케도니아가 국명(國名)을 변경(變更)하지 않으면 승인(承認)할 수 없다는 자세(姿勢)를 보였다. 그렇지만 이미 터키 , 키프로스 , 알바니아 와 영토(領土) 및 민족적(民族的)인 분쟁(紛爭)을 겪고 있는 상황(狀況)에서 마케도니아와의 분쟁(紛爭)까지 표면화(表面化)되는 것을 피(避)하고자, 그리스는 유럽 연합(聯合)과 주변국(周邊國)들에게 현재(現在)의 국경선(國境線)을 보장(保障)해 달라고 요청(要請)하였다.

마케도니아의 주장(主張)과 대응(對應) [ 편집(編輯) ]

그러나 그리스의 주장(主張)에 대(對)해 마케도니아 정부(政府)는 "마케도니아"라는 국명(國名)은 과거(過去) 수세기(數世紀) 동안 사용(使用)되어온 국호(國號)이고, 구(舊) 유고 연방(聯邦)에서도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이라는 고유(固有)의 국명(國名)을 사용(使用)하여 왔다는 이유(理由)로 그리스의 주장(主張)을 일축(一蹴)하고, 그리스의 요구(要求) 또한 거절(拒絶)하였다. 1993년(年) 4월(月) 마케도니아는 국호(國號) 분쟁(紛爭)을 의식하여 구(舊)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FYROM)이라는 이름으로 유엔 에 가입(加入)하였다.

그리스의 보복(報復) 조치(措置) [ 편집(編輯) ]

이렇게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이 자신(自身)들의 요구(要求)를 거부(拒否)하고, 보란듯이 유엔에도 가입(加入)하자 그리스는 1994년(年) 1월(月)에 마케도니아 측(側)에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의 국기(國紀) 문양(紋樣) 및 헌법(憲法) 조항(條項)을 삭제(削除)할 것을 요구(要求)했고, 이 요구(要求)에 불응(不應)하면, 국경(國境)을 봉쇄(封鎖)하겠다고 경고(警告)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이 그 요구(要求)에 응(應)하지 않자, 그리스는 경고(警告)를 실행(實行)에 옮겨 2월(月)에 테살로니키 항구(港口)를 폐쇄(閉鎖)하였다. 이로 인(因)해 마케도니아의 경제(經濟)는 극심(極甚)한 타격(打擊)을 입게 되었다. 내륙국인(內陸國人) 마케도니아는 그 동안 주로(主로) 그리스의 테살로니키를 통해 원유(原油)와 식량(食糧) 등(等)을 수입(輸入)하고 농산물(農産物), 철강(鐵鋼) 등(等)을 수출(輸出)해 왔기 때문이다. 수출(輸出)과 수입(輸入)이 모두 막히자 마케도니아의 경제(經濟)는 파탄(破綻)으로 치닫기 시작(始作)했다. 심지어(甚至於) 창고(倉庫)와 냉동(冷凍) 시설(施設)이 절대적(絶對的)으로 부족(不足)하여 주요(主要) 수출품(輸出品)인 양고기(羊고기)와 포도주(葡萄酒)를 대량(大量)으로 폐기(廢棄) 처분(處分)하는 사태(事態)도 벌어졌다.

EU의 개입(介入) [ 편집(編輯) ]

양국(兩國)의 분쟁(紛爭)이 본격적(本格的)으로 심화(深化)되자 유럽 연합(聯合) 은 그리스의 무역봉쇄(貿易封鎖) 조치(措置)를 1994년(年) 5월(月)에 유럽 사법(司法) 재판소(裁判所) 에 제소(提訴)하였다. 유럽 연합(聯合)은 그리스의 무역봉쇄(貿易封鎖) 조치(措置)는 불법(不法)이며 지역(地域) 안정(安定)을 해치는 중요(重要)한 사안(事案)으로 인식(認識)하였다. 이 시기(時期)는 보스니아 내전(內戰) 이 격화(激化)되고 있었고, 코소보 지역(地域)도 불안(不安)한 상황(狀況)에서 유럽 연합(聯合)으로서는 더 이상(以上)의 분쟁(紛爭)이 생기는 것을 원(願)치 않았다. 다행히(多幸히) 그리스는 유럽 연합(聯合) 가맹국(加盟國)으로서 비교적(比較的) 쉽게 조정(調整)을 진행(進行)할 수 있었다.

갈등(葛藤) 종결(終結) [ 편집(編輯) ]

러시아가 1994년(年)에 마케도니아와 국교(國交)를 수립(樹立)한 상황(狀況)에서 미국(美國)이 1995년(年) 9월(月) 13일(日)에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과 전면적(全面的) 외교(外交) 관계(關係)를 수립(樹立)하였다. 미국(美國)은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과 외교관계(外交關係)를 수립(樹立)하면서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간(間)에 분쟁(紛爭)을 막후(幕後)에서 해결(解決)을 모색(摸索)하였다. 그리스도 마케도니아보다 더 중요(重要)한 유럽 연합(聯合)과 관계(關係)가 악화(惡化)되고, 여론(輿論) 또한 마케도니아에 동정적(同情的)으로 흐르자, 이 분쟁(紛爭)이 자신(自身)들에게 유리할 것이 없다고 판단(判斷)했다.

그리스는 분쟁(紛爭) 예방(豫防) 차원(次元)에서 마케도니아에게 경제(經濟) 제재(制裁) 조치(措置)를 취(取)하여 협상(協商)을 유리하게 진행(進行)시켜 나갔고, 두 나라는 1995년(年) 9월(月) 14일(日) 그리스는 마케도니아와 외교(外交) 관계(關係) 정상화(正常化)와 경제(經濟) 제재(制裁) 해제(解除)를 규정(規定)한 합의서(合意書)에 서명(署名)하게 되었다.

프레스파(派) 협정(協定) [ 편집(編輯) ]

2018년(年) 6월(月) 17일(日)에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總理)와 북(北)마케도니아의 조란(鳥卵) 자(者)에프 총리(總理)가 프레스파(派) 협정(協定)이라고 부르는 역사적(歷史的)인 협정(協定)에 정식(正式) 서명(署名)했다. 이 협정(協定)은 북(北)마케도니아는 국호(國號)를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에서 북(北)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으로 변경(變更)하는 대신(代身)에 그리스는 북(北)마케도니아의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NATO) 가입(加入)에 동의(同意)한다는 내용(內容)을 담고 있다.

의의(意義) [ 편집(編輯) ]

이 사건(事件)의 의의(意義)는 발칸반도(半島) 에서 벌어졌던 여러 분쟁(紛爭) 중(中)에서 무력(武力) 충돌(衝突)없이 대화(對話)로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였다는 점(點)이다. 코소보 및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等)의 분쟁(紛爭) 과정(過程)에서 인종(人種) 말살(抹殺)과 같은 극단적(極端的)인 무력(武力) 충돌(衝突)이 계속(繼續)되었던 것에 비(比)하면 대화(對話)로 해결(解決)되었다는 점(點)에서 고무적(鼓舞的)인 사건(事件)이었다.

주요(主要) 일지(日誌) [ 편집(編輯) ]

  • 1991년(年) 9월(月) 11일(日) - 마케도니아, 유고 연방(聯邦)으로부터 독립(獨立). 그리스, 마케도니아 국명(國名) 사용(使用) 및 독립(獨立) 반대(反對).
  • 1992년(年) 6월(月) - 그리스, 유럽연합(聯合) 정상회담시(頂上會談視) 국명(國名) 변경(變更) 조건(條件)으로 마케도니아 승인(承認) 주장(主張).
  • 1992년(年) 8월(月) - 마케도니아, 국명(國名) 변경(變更) 불가(不可) 재천명(再闡明).
  • 1992년(年) 11월(月) - 그리스, 인접(隣接) 나라 및 유럽 연합(聯合)에 기존(旣存) 국경선(國境線) 보장(保障) 요구(要求).
  • 1993년(年) 4월(月) 11일(日) - 마케도니아, 구(舊)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共和國)으로 유엔에 가입(加入).
  • 1994년(年) 1월(月) -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對)해 국기(國旗) 문양(紋樣) 및 헌법(憲法) 조항(條項) 삭제(削除)하라고 요구(要求). 요구(要求) 불응(不應) 시(時)에 국경선(國境線) 폐쇄(閉鎖)를 경고(警告).
  • 1994년(年) 2월(月) -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對)해 살로니카 항구(港口) 봉쇄(封鎖)를 감행(敢行).
  • 1994년(年) 5월(月) 3일(日) - 유럽 연합(聯合) 집행위원회(執行委員會),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경제(經濟) 봉쇄(封鎖) 승인(承認) 거부(拒否) 결정(決定).
  • 1995년(年) 6월(月) 1일(日) - 그리스 의회(議會), 영해(領海) 확대(擴大) 허용(許容) 국제(國際) 해양(海洋) 협약(協約) 비준(批准).
  • 1995년(年) 9월(月) 13일(日) - 미국(美國), 마케도니아와 전면적(全面的) 외교(外交) 수립(樹立). (미국(美國)은 이미 마케도니아 정부(政府)를 승인(承認)하였으나, 그리스 입장(立場)을 고려(考慮)해 대사(大使) 임명(任命) 지연(遲延))
  • 1995년(年) 9월(月) 14일(日) - 그리스, 마케도니아 외교(外交) 관계(關係) 정상화(正常化)와 경제(經濟) 제재(制裁) 해제(解除) 합의서(合意書)에 서명(署名).
  • 1995년(年) 11월(月) 15일(日) - 마케도니아, 북대서양(北大西洋) 조약(條約) 기구(機構) (NATO)와 평화(平和)를 위한 동반자(同伴者) 관계(關係) (PfP) 프로그램 가맹(加盟) 조인(調印).
  • 2018년(年) 6월(月) 17일(日) - 그리스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總理)와 북(北)마케도니아 조란(鳥卵) 자(者)에프 총리(總理)가 프레스파(派) 협정(協定) 에 서명(署名).
  • 2019년(年) 2월(月) 12일(日) - 마케도니아 의 공식(公式) 국명(國名)이 북(北)마케도니아 로 변경(變更).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