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이 웨이 (2011년(年) 영화(映畫))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마이 웨이 (2011년(年) 영화(映畫))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마이 웨이
감독(監督) 강제규
각본(脚本) 김병인
나현
제작(製作) 디렉터스
출연(出演) 장동건
오(誤)다기리 조(兆)
판빙빙
배급사(配給社) CJ 엔터테인먼트
SK플래닛
개봉(開封)일
  • 2011년(年) 12월(月) 21일(日)  ( 2011-12-21 )
시간(時間) 137 분(分)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중국어(中國語), 러시아어(語)

" 마이 웨이 "( My Way )는 2011년(年)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액션 드라마 전쟁(戰爭) 영화(映畫) 다. 감독(監督)은 강제규 이며, 각본(脚本)은 김병인, 나현이 맡았다. 주요(主要) 등장(登場) 인물(人物)은 장동건 , 오(誤)다기리 조(兆) , 판빙빙 등(等)이다. 디렉터스 가 제작(製作)했으며, CJ 엔터테인먼트 SK플래닛 이 배급(配給)을 담당(擔當)했다.

이 영화(映畫)는 마라토너를 꿈꾸는 준식 (장동건)이(李) 제(第)2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에 일본군(日本軍)으로 징집(徵集)되면서, 몽골, 소련(蘇聯), 독일(獨逸)을 거쳐 프랑스 노르망디에 이르기까지 지구(地球) 반(半) 바퀴에 이르는 12,000 km 전장(戰場)을 가로지른 이야기를 담았다.

줄거리 [ 편집(編輯) ]

1938년(年) 경성(京城). 제(第)2의 손기정을 꿈꾸는 마라토너 김준식과 일본대표(日本代表) 마라토너 하세가와 타츠오는 날마다 서로를 못잡아먹어서 안달난 철천지 원수(怨讐)다. 둘의 사이는 준식의 아버지가 갖고 온 택배(宅配)(폭탄(爆彈))로 인(因)해 타츠오의 할아버지가 죽으면서, 그로인해 준식의 아버지가 오랫동안 고문생활(拷問生活)을 하게 되면서 한층(한層) 심(甚)해진다. 그러던 어느날, 두사람을 비롯한 조선인(朝鮮人)과 일본인(日本人)들은 마라톤 대결(對決)을 하게 되는데 분명히(分明히) 준식이 1등(等)으로 들어왔음에도 불구(不拘)하고 일본인(日本人) 심사대(審査臺)는 타츠오를 1등(等)이라고 발표(發表)해버린다.

이에 반발(反撥)한 조선인(朝鮮人)들이 심사대(審査臺)에 달려들어서 항의(抗議)하다가 순사(巡査)들에게 잡혀 끌려왔다. 그리고 법원(法院)의 처벌(處罰)로 인해 제(第)2차(次) 세계대전(世界大戰)에 일본군(日本軍)으로 강제(强制) 징집(徵集)됐고 1년후(年後), 일본군(日本軍) 대위(大尉)가 되어 나타난 타츠오와 재회(再會)하게 된다. 타츠오가 재회(再會)한 뒤 얼마 안있어 소련군(蘇聯軍)이 몰려오며 전쟁(戰爭)이 시작(始作)되는데 타츠오는 아군(我軍)이 몰살당하는 와중(渦中)에도 무조건적(無條件的)으로 돌격(突擊)하라고 지시(指示)하는 몰상식(沒常識)한 행각(行脚)을 벌였고 당연히(當然히) 소련군(蘇聯軍)에게 참패당(慘敗當)해 징집병(徵集兵)들은 국적(國籍)을 막론(莫論)하고 소련군(蘇聯軍)의 부하(部下)가 되고만다. 하지만 이런 와중(渦中)에도 그들은 서로를 팽렬하게 경계(警戒)한다.

평가(評價) [ 편집(編輯) ]

중구난방(衆口難防)이고 개연성(蓋然性)이 부족(不足)한 스토리와 부족(不足)한 인물묘사(人物描寫), 없어도 되는 내용(內容) 등(等)으로 평가(評價)가 좋지 않았다.

캐스팅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