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마르코복음 에서 넘어옴)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 (공동번역(共同飜譯) 개정판(改訂版)), 마르코 복음서(福音書) (로마 가톨릭), 마가복음 (개신교(改新敎))은 기독교(基督敎) 신약성경(新約聖經) 의 하나로 예수 의 행적(行跡)과 가르침을 담은 복음서(福音書) 이다.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 , 루가의 복음서(福音書) 와 함께 공관복음서(共觀福音書) 중(中) 한 권(卷)이다. 여기서 예수는 스스로 인자(人者) 라 칭(稱)한다.

대부분(大部分)의 학자(學者)들은 이 책(冊)의 집필(執筆) 연도(年度)를 서기(西紀) 70년(年)에 제(第)2성전(聖戰) 이 파괴(破壞)되기 직전(直前) 또는 직후(直後), 즉(卽) 서기 66-74년(年)으로 추정(推定)한다. 전통적(傳統的)으로는 사도 베드로 의 동반자(同伴者)인 복음사가(福音史家) 마르코 를 저자(著者)로 보나 현대(現代)에는 반박(反駁)되는 추세(趨勢)이다. 과거(過去)에는 다른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를 가장 중요히 여기고 본서(本書)를 가장 열등(劣等)히 여겼는데, 이는 다른 복음서(福音書)들을 짜집기하고 요약(要約)한 것으로 이해(理解)했기 때문이었다. [1]

19세기(世紀)부터는 모든 복음서(福音書) 중(中) 가장 이른 시기(時期)에 쓰여져 마태오와 루가의 출전(出戰)으로써의 지위(地位)를 획득(獲得)했다. 오늘날에도 대다수(大多數)의 학자(學者)들이 이러한 견해(見解)를 따른다. [2]

명칭(名稱) [ 편집(編輯) ]

내용(內容) [ 편집(編輯) ]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는 세례(洗禮) 요한 의 이야기로부터 시작(始作)되는 예수 의 생애(生涯)와 말씀을 담고 있다. 대부분(大部分)의 내용(內容)은 그의 마지막 주의(注意) 활동(活動)(11장(章)에서부터 16장(張)까지), 즉(卽) 예루살렘 여행(旅行)에 집중(集中)되어 있다.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는 다음과 같은 내용(內容)으로 이루어져 있고, 베드로의 고백(告白)을 기준(基準)으로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 침을 발라 눈먼 자(者)를 고치다 (8:22-26)
  • 베드로의 고백(告白)(8:27?30)
  • 사람의 아들 (인자) (8:31-33, 9:30-32, 10:33-34)
  • 따르고자 하는 자(者)는 십자가(十字架) 를 져야 한다 (8:34-37)
  • 사람의 아들의 다시 오심 (8:38-9:1)
  • 예수 의 변화(變化) [5] (9:2?13)
  • 제자(弟子)들의 귀신(鬼神) 쫓음 실패(失敗) (9:14-29)
  • 나중된 자(者)가 처음 된다 (9:33-37)
  • 우리를 반대(反對)하지 않는 사람은 우리를 지지(支持)하는 사람이다 (9:38?42)
  • 네 손이 죄(罪)를 짓거든 (9:43-49)
  • 유대 에 들어가심 ( 10:1 )
  • 이혼(離婚)에 대(對)한 가르침 (10:2?12)
  • 어린이들을 축복하심(祝福河心) (10:13-16)
  • 부자(富者)의 구원(舊怨) (10:17?31)
  • 예루살렘 으로 가는 길 ( 10:32 )
  • 야고보와 요한의 부탁(付託) (10:35?45)
  • 눈먼 바르티매우스 (바디매오)를 고침 (10:46?52)
  •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심, 종려나무(棕櫚나무) (11:1?11)
  • 무화과(無花果) 를 꾸짖으심 (11:12?14,20-24)
  • 성전(盛典) 청소(淸掃) (11:15?19,27-33)
  • 용서(容恕)에 대(對)한 기도(祈禱) (11:25-26)
  • 포도원(葡萄園) 비유(比喩) (12:1?12)
  • 카이사르 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12:13?17)
  • 죽은자를 살리심(審) (12:18-27)
  • 가장 큰 계명(誡命) (12:28?34)
  • 메시아 가 다윗의 자손(子孫)인가? (12:35-37)
  • 필사관(筆師館) (서기관(書記官))들을 꾸짖으심 (12:38-40)
  • 형사취수(兄死娶嫂) [6] 논쟁(論爭) (12:41-44)
  • 다가올 것에 대(對)한 예언(豫言) (13)
  • 예수를 죽이려는 가룟 유다 의 음모(陰謀) (14:1-2,10-11)
  • 예수에게 기름 부은 여자(女子) (14:3?9)
  • 최후(最後)의 만찬(晩餐) (14:12?26)
  • 베드로의 부인(夫人) (14:27-31,66-72)
  • 예수의 체포(逮捕) (14:32?52)
  • 대제사장(大祭司長)에게 끌려감 (14:53?65)
  • 필(弼)라투스(빌라도)에게 끌려감 (15:1?15)
  • 십자가(十字架) 에 매달리심(審) (15:16?41)
  • 아리마대아(大我) 사람 요셉 (15:42?47)
  • 빈 무덤 (16:1?8)
  • 긴 끝맺음 [7] 과 제자(弟子)들에게 나타나심
    • 세 계명(誡命) (16:14?18)
    • 하늘로 올라가심 (16:19)

이 복음서(福音書)의 기록자(記錄者)는 예수를 그리스도 , 사람의 아들 , 하나님의 아들 이라고 부른다.

저자(著者) [ 편집(編輯) ]

2세기(世紀) 초(初)의 파피아스 와 같은 이들에 의(依)하면 사도행전(使徒行傳) 에 나와있는 베드로 의 제자(弟子)였던 요한 마르코 가 썼다고 전(傳)해지지만, 정확(正確)한 저자(著者)는 알 수 없다. 파피아스의 글은 남아있지 않고, 케사리아(가이사랴)의 에우세비우스 (유세비우스)에 인용(引用)되어 있다. 이레니우스 , 오리겐, 테르툴리아누스(터툴리안) 등(等)은 이를 지지(支持)한다.

그러나, 마르코라는 이름은 당시(當時)에 흔했기 때문에 꼭 요한 마르코 [8] 가 아닐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요한 마르코는 예루살렘 출신(出身)으로 추정(推定)되나 예루살렘 지리(地理)를 잘못 언급(言及)한 부분(部分)(5:1, 7:31, 10:1)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알려지지 않은 익명(匿名)의 다른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9] 기록(記錄) 시기(時期)를 70년(年) 이후(以後)로 잡게 되면 요한 마르코가 기술(記述)했을 가능성(可能性)이 적어진다. 유세비우스 교회사(敎會史)에서 알 수 있는 것이 지금(只今) 자료(資料)보다 사실적(事實的)으로 가까울 수 있다.

서술시기(敍述時期) [ 편집(編輯) ]

예루살렘의 멸망(滅亡) 을 언급(言及)하는 부분(部分)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서기(書記) 70년(年) 이후(以後)에 쓰인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10] 하지만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 루가의 복음서(福音書) 보다는 먼저 쓰였다는 학자(學者)들이 많다. 또한 성서학자(聖書學者)들은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를 Q문서(文書) (예수 어록(語錄), 50- 60년(年) 경(頃)에 등장(登場))와 함께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의 집필자료(執筆資料)로 사용(使用)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 마태오는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를 그대로 베껴 쓰지 않고, 자신(自身)의 신학(神學) 적(的)인 관점(觀點)에 따라 내용(內容)을 축소(縮小)하거나 삭제(削除)하였다. [11] 그 증거(證據)로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에는 예수 께서 베드로 의 신앙고백(信仰告白)을 들었을 때, "내가 그리스도라는 사실(事實)을 아무에게도 말해서는 안 된다."고 주의(注意)를 주셨다고만 간단히(簡單히) 나와 있으나,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에서는 예수 께서 베드로의 신앙고백(信仰告白)을 들으셨을 때, "너는 베드로이다. 네 위에 교회(敎會)를 세우겠다."라면서 칭찬(稱讚)하셨다는 내용(內容)이 추가(追加)되어 있다.

후대(後代)의 편집가능성(編輯可能性) [ 편집(編輯) ]

짧은 끝맺음과 긴 끝맺음 [ 편집(編輯) ]

마르코의 비밀(祕密) 복음서(福音書) [ 편집(編輯)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에게 보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마르 사바 편지(便紙) (Mar Saba letter)가 필사(筆寫)되었으며, 1973년(年) 출판(出版)되었다. 이를 마르코의 비밀(祕密) 복음서(福音書)라고 부른다. 이는 두 단락(段落)으로 되어 있으며, 예수 가 살려낸 사람에 대(對)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12] 많은 클레멘스 를 연구(硏究)하는 학자(學者)들은 이를 진본(眞本)이라고 여기고 있으나, 일부(一部)는 최근(最近) 만들어진 가짜(假짜)라고 보기도 한다.

다른 복음서(福音書)와의 차이점(差異點) [ 편집(編輯) ]

  • 4대(大) 복음서(福音書) 가운데 길이가 가장 짧다. 또한 4대(代) 복음서(福音書) 가운데 가장 먼저 편찬(編纂)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A.D. 90년경(年頃)에 쓰인 가장 늦게 쓰인 복음서(福音書)라고 해석(解釋)하는 학자(學者)도 있다.
  •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 루가의 복음서(福音書)와는 달리 예수의 탄생(誕生) 이야기가 없다. 예수 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앙고백(信仰告白)(케리그마)으로 시작(始作)한다.
  • 마르코는 복음서(福音書) 첫 문장(文章)에서 '하나님의 아드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福音)의 시작(始作)'이라는 말을 한다.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부르는 저자(著者)의 선언(宣言)은 당시(當時)로서는 파격적(破格的)인 선언(宣言)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아들은 로마 제국(帝國) 의 황제(皇帝)를 가리키는 호칭(呼稱)이기 때문이다. [13]
  • 예수가 십자가(十字架) 에서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고통(苦痛)을 호소(呼訴)하는 내용(內容)이 나오는데, 이는 마르코의 공동체(共同體)가 박해(迫害)받는 순교자(殉敎者) 공동체(共同體)였기 때문으로 성서학자(聖書學者)들은 추정(推定)하고 있다. [14] 실제(實際) 루가의 복음서(福音書) 예수 는 영혼(靈魂)을 성부(聖父) 에게 맡기는 평안(平安)한 죽음을 맞지만,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의 예수는 성부(聲部)에게 버림받았다는 정신적(精神的) 고통(苦痛)을 호소(呼訴)한다.
  • 가장 먼저 나오는 기적(奇跡)은 귀신(鬼神)들린 자(者)를 고치는 것(1:21?28)이다.
  • 제자(弟子)들에 대(對)해서 상당히(相當히) 비판적(批判的)이다. 마태오의 복음서(福音書) 저자(著者)가 예수의 제자(弟子)들은 예수의 설명(說明)을 처음에는 깨닫지 못했지만, 나중에는 깨달았다면서 변호(辯護)하는 반면(反面), [15] ,마르코의 복음서(福音書) 저자(著者)는 제자(弟子)들을 예수의 설명(說明)을 끝까지 깨닫지 못한 어리석은 존재(存在)라고 비판(批判)한다. [16]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Leander 2013 , 167쪽.
  2. Edwards 2002 , 1?3쪽.
  3. 구(區) '성(性) 말구 복음(福音)'
  4. 한글성경(聖經)에는 비판(批判)이라고 번역(飜譯)되었으나, 원문(原文)에는 판단(判斷)이라고 나와 있다.
    《기독교사상(基督敎思想)》 (대한기독교서회(大韓基督敎敍懷)). 2008년(年) 5호월(胡越).   |제목(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5. 교회(敎會) 에서는 이 사건(事件)을 '주님변모주일(主님變貌週日)'로 기념(記念)한다.
  6. 형수(兄嫂)가 과부(寡婦)가 되었을 경우(境遇), 시동생(媤同生)이 대신(代身) 대(代)를 잇는 제도(制度)
  7. 진위(眞僞) 여부(與否)에 논란(論難)이 있다.
  8. 요한과 마르코는 동일인물(同一人物)을 가리키는 별개(別個)의 이름이다. 재미(在美) 교포(僑胞) 들이 영어(英語) 식(式) 이름과 한글 이름을 모두 쓰는 것처럼, 유대인(유대人) 들도 히브리 이름과 그리스 이름을 사용(使用)했는데, 요한은 히브리이름, 마르코는 그리스이름이다.
  9. 김득중 (1986년(年)). 《신약성서(新約聖書) 개론(槪論)》. 컨콜디아.  
  10. 정양모 외(外) 편저(編著). 《《마태오복음서(福音書)》》. 분도출판사.  
  11. 〈마태오 복음서(福音書) 해제(解除)〉. 《같은 책(冊)》. p.12-13쪽.  
  12. Robert Funk, ed. 《The Complete Gospels》. Polbridge press.  
  13. 정강길. 《《미래(未來)에서 온 기독교(基督敎)》》. 에클레시안.  
  14. 김득중. 《복음서(福音書) 신학(神學)》. 컨콜디아.  
  15. 마태오 16:6-12
  16. 마르코 8:15-21

관련(關聯) 서적(書籍) [ 편집(編輯) ]

  • 김규항 강독(講讀), 예수전 (2009), 돌베개. ISBN   89-7199-335-9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