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드 싱글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리드 싱글 ( 영어(英語) : Lead single ), 선행(先行) 싱글 (先行-)은 보통(普通) 가수(歌手)들이나 밴드가 정규(正規) 음반(音盤) 을 출시(出市)하기 전(前)에 가장 먼저 출시(出市)한 싱글로, 아직 출시(出市)되지 않은 앨범을 소비자(消費者)들이 구매(購買)하게 만드는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이 될 수 있다. 리드 싱글로 출시(出市)하게 될 수록곡(收錄曲)의 선택(選擇)에 따라 앨범의 상업적(商業的) 성과(成果)가 달라진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1970년대(年代) 대중음악(大衆音樂) 산업계(産業界)는 앨범이 수익(收益)의 주된 요인(要因)이였다. 당시(當時) 리드 싱글은 앨범이 나오기 전(前) 맛보기로 출시(出市)하고 홍보(弘報)하는 개념(槪念)으로 쓰였고 보통(普通) 앨범 출시(出市) 한 달 전(前)에 공개(公開)되었다. Rumours 의 " Go Your Own Way ", Some Girls 의 " Miss You ", Thriller 의 " The Girl Is Mine " 모두 거의 비슷한 방식(方式)을 보였다. 21세기(世紀) 들어서 앨범 중심(中心)의 가수(歌手)들에게는 흔한 광경(光景)이 되었다.

2000년대(年代) 들어서 앨범을 출시(出市)하기 한달 전(前)에 리드 싱글을 공개(公開)하는 것은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또 앨범 출시(出市) 직전(直前)이나 출시(出市)와 비슷한 시기(時期) 공개(公開)하는 두 번째(番째) 리드 싱글이라는 개념(槪念)도 생겼다. 어셔 의 5월(月) 29일(日) 출시(出市)된 정규(正規) 앨범 Here I Stand 는 무려(無慮) 세 달 전(前)에 리드 싱글 " Love in this Club "을 출시(出市)해 화제(話題)가 되었다. 두 번째(番째) 싱글 "Love in This Club, Pt. II "는 앨범 출시(出市) 한 달 전(前)에 공개(公開)되었다. 그러나 과거(過去)에도 이런 방식(方式)이 있긴했는데, 엘튼 존 은 앨범 Goodbye Yellow Brick Road 출시(出市) 세 달 전(前)에 리드 싱글 "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을 출시(出市)했었다. 밴드는 주로(主로) 앨범 출시(出市) 한 달 전(前)에 싱글을 공개(公開)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현재(現在)는 미국(美國)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國家)의 가수(歌手)들이 리드 싱글로 업(業) 템포 노래를 선택(選擇)한다. 업(業) 템포 노래를 선택(選擇)하는 이유(理由)는 대중(大衆)들의 관심(關心)을 쉽게 끌 수있어서인데, 차후(此後) 싱글은 템포가 느린 노래로 고르며 앨범의 다양성(多樣性)을 보여줄 수도 있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머라이어 캐리 같은 여자(女子) 가수(歌手)들은 리드 싱글로 발라드 노래를 선택(選擇)하고, 두 번째(番째) 싱글로 업(業) 템포 노래를 고르는 공식(公式)을 자주 지킨다. 이러한 공식(公式)으로 1980년대(年代) 헤비메탈 밴드들이 성공(成功)한 사례(事例)가 있다. 그러나 모든 가수(歌手)들이 리드 싱글로 업(業) 템포 노래를 선택(選擇)하는 것은 아니다.

하마(河馬)사키 아유미 , 아무로 나미에 , B'z 와 같은 일본(日本) 가수(歌手)들은 기록적(記錄的)인 첫 주(週) 판매량(販賣量)을 위해 앨범 출시(出市) 4~8주(週) 전(前) 싱글을 출시(出市)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일본(日本)은 싱글이 앨범에 비해 심(甚)하게 많은 경우(境遇)가 있는데, 더 많은 홍보(弘報)와 수익(收益)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美國)을 포함(包含)한 세계(世界) 음악시장(音樂市場)이 점점(漸漸) 쇠퇴(衰退)하면서 아이튠즈 와 같은 온라인 음악(音樂) 사이트를 통해 $0.99에서 $1.29에 이르는 값싼 가격(價格)에 싱글을 판매(販賣)하는 방식(方式)은 현재(現在) 음악계(音樂界)에서 인기(人氣)를 끌고 있다.

나라별(別) 사례(事例)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 편집(編輯) ]

2000년대(年代) 중반(中盤) 이전(以前)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음반(音盤) 시장(市場)은 싱글이 없고 정규(正規) 앨범만 있었는데, 이는 축음기(蓄音機) 음반(音盤) 시대(時代)에 SP EP 보다 LP 가 더 효율적(效率的)이라는 이유(理由)로 LP만을 생산(生産)했기 때문이다. [1] [2] [3] 이 때문에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음악(音樂) 산업(産業)에서는 타이틀 곡(曲) 이라는 독자적(獨自的)인 용어(用語)가 생겨났고, CD 음반(音盤) 시대(時代)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음악(音樂) 산업(産業)에서 곡(曲)의 구분(區分)은 타이틀 곡(曲)과 후속곡(後續曲)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원래(元來) 서양(西洋)에서 ‘타이틀 곡(曲)’은 음반명(音盤明)과 동명(同名)인 곡(曲)을 가리키는 개념(槪念)이다. [4]

그러나 2000년대(年代) 후반(後半)부터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음반(音盤) 시장(市場)에도 싱글이라는 개념(槪念)이 도입(導入)되고, EP 가 한국(韓國)에서 ‘미니 앨범’이라는 형태(形態)로 정착(定着)하면서 한국(韓國) 음반(音盤) 시장(市場)은 큰 변화(變化)를 겪게 되었다. 정규(正規) 음반(音盤) 은 감소(減少)하고, 싱글과 미니 앨범이 주(主)를 이루는 음반(音盤) 시장(市場)이 형성(形成)된 것이다. [5] 이후(以後)에는 한 곡(曲)을 싱글로 선공개한(先公開韓) 후(後) 다음에 나오는 앨범에 같이 수록(收錄)하는 방식(方式)도 사용(使用)되고 있다.

일본(日本) [ 편집(編輯) ]

일본(日本)의 경우(境遇), 정규(正規) 음반(音盤)을 출시(出市)하기 전(前)에 싱글들을 선행적(先行的)으로 출시(出市)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이며, 정규(正規) 음반(音盤) 출시(出市) 때 수록곡(收錄曲)들 중(中) 특별히(特別히) 하나를 리드곡(曲) ( 일본어(日本語) : リ?ド曲 )이라는 이름으로 강조(强調)하기도 한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노재명 (2019년(年) 3월(月) 14일(日)). “음반(音盤) 콘텐츠, 효과음(效果音)에서 게임까지” . 《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웹진》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2. 배연형 (2019년(年) 3월(月) 14일(日)). “시대(時代)가 변(變)하고 음반(音盤)도 변(變)하고” . 《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웹진》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세라 (2007년(年) 3월(月) 22일(日)). “[blog+] 싱글앨범이란 뭐지?”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4. 박혜민 (2019년(年) 1월(月) 5일(日)). ' 미니 앨범'은 서양(西洋)에선 낯선 영어(英語) ... EP로 써야 비슷한 의미(意味)”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양자영 (2013년(年) 4월(月) 7일(日)). “싱글앨범 입지(立地)가 가요계(歌謠界)에서 점점(漸漸) 커지고 있다”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