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로버트 F. 퍼치곳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로버트 F. 퍼치곳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로버트 프랜시스 퍼치곳
Robert Francis Furchgott
2008년 촬영
2008년(年) 촬영(撮影)
출생(出生) 1916년(年) 6월(月) 4일(日) ( 1916-06-04 )
미국(美國)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사망(死亡) 2009년(年) 5월(月) 19일(日) ( 2009-05-19 ) (92세(歲))
미국(美國) 워싱턴주(워싱턴州) 시애틀
국적(國籍) 미국(美國)
주요(主要) 업적(業績) 심혈관(心血管) 시스템에서 신경전달물질(神經傳達物質) 로서 기능하는 일산화(酸化) 질소(窒素) 에 관(關)한 연구(硏究)
수상(受賞) 가드너 국제상(國際賞) (1991년(年))
앨버트 래스커 기초(基礎) 의학(醫學) 연구상(硏究上) (1996년(年))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1998년(年))
분야(分野) 생화학(生化學)
소속(所屬) 코넬 대학교(大學校)
워싱턴 대학교(大學校) 세인트루이스
뉴욕 주립대학교(州立大學校) 남부(南部) 의료(醫療) 센터
박사(博士) 교수(敎授) 레노어 만델바움
마가렛 갤러거 로스

로버트 프랜시스 퍼치곳 ( 영어(英語) : Robert Francis Furchgott , 1916년(年) 6월(月) 4일(日) ~ 2009년(年) 5월(月) 19일(日) )는 미국(美國) 생화학(生化學) 자(者)이다. 1998년(年)에 포유류(哺乳類) 계(契)에서 일시적(一時的)인 세포(細胞) 신호(信號)로서의 일산화(酸化) 질소(窒素) 를 발견(發見)한 공로(功勞)로 루이스 이그나로 , 페리드 뮤라드 와 함께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을 수상(受賞)했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 1929~1933년(年): 오렌지버그 고등학교(高等學校) (졸업(卒業))
  • 1933~1934년(年):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大學校) 생물학과(生物學科)
  • 1934~1937년(年):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大學校) 생물학과(生物學科) (학사(學事))
  • 1937~1940년(年): 노스웨스턴 대학교(大學校) 대학원(大學院) 생화학과(生化學科) (박사(博士))
  • 1945~1949년(年): 맥길대학교(學校) 의괴대학원(疑怪大學院) 의학(醫學)과 (박사(博士))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Anon. (2009) "Obituary: Robert Furchgott," The Telegraph (online), May 26, 2009, see, [1] accessed 11 August 2015.
  • Raju, T N (2000), “The Nobel chronicles. 1998: Robert Francis Furchgott (b 1911), Louis J Ignarro (b 1941), and Ferid Murad (b 1936).”, 《 Lancet 》 (2000년(年) 7월(月) 22일(日)) 356 (9226), 346쪽, doi : 10.1016/s0140-6736(05)73635-7 , PMID   11071225  
  • Rabelink, A J (1998), “Nobel prize in Medicine and Physiology 1998 for the discovery of the role of nitric oxide as a signalling molecule”, 《Nederlands tijdschrift voor geneeskunde》 (1998년(年) 12월(月) 26일(日)) 142 (52), 2828?30쪽, PMID   10065255  
  • Laufs, U; Erdmann, E (1998), “Nitric oxide as a signal molecule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Nobel Prize for Medicine in 1998”, 《Dtsch. Med. Wochenschr.》 (1998년(年) 12월(月) 18일(日)) 123 (51?52), 1562?5쪽, doi : 10.1055/s-0029-1237297 , PMID   9893684  
  • Hansson, G K; Jornvall, H; Lindahl, S G (1998), “The Nobel Prize 1998 in physiology or medicine. Nitrogen oxide as a signal molecule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Ugeskrift for Læger》 (1998년(年) 12월(月) 21일(日)) 160 (52), 7571?8쪽, PMID   9889673  
  • Nielsen, T T; Sørensen, K E (1998), “Discovery of "endogenous nitroglycerin", NO, as cellular signal molecule”, 《Ugeskrift for Læger》 (1998년(年) 12월(月) 21일(日)) 160 (52), 7567쪽, PMID   9889670  
  • Mitka, M (1998), “1998 Nobel Prize winners are announced: three discoverers of nitric oxide activity”, 《 JAMA 》 (1998년(年) 11월(月) 18일(日)) 280 (19), 1648쪽, doi : 10.1001/jama.280.19.1648 , PMID   9831980  
  • Hansson, G K; Jornvall, H; Lindahl, S G (1998), “1998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Nitric oxide as a signal molecule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Lakartidningen》 (1998년(年) 10월(月) 21일(日)) 95 (43), 4703?8쪽, PMID   9821753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Robert Furchgott” . Telegraph . 2015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로버트 F. 퍼치곳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