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캐쳐 (음악(音樂) 그룹)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드림캐쳐
DREAMCATCHER


기본(基本) 정보(情報)
장르 댄스 팝 , 락(落) , 메탈
활동(活動) 시기(時期) 밍스: 2014년(年)~2016년(年)
드림캐쳐: 2017년(年)~
레이블 대한민국 소니 뮤직 (2021 ~ 현재(現在)) [1]
일본 포니 캐년 (2018 ~ 현재(現在))
소속사(所屬社) 대한민국 드림캐쳐 컴퍼니
웹사이트 공식(公式) 웹사이트
구성원(構成員)
지유
수아
시연(試演)
한동(棟)
유현
다미
가현(假現)

드림캐쳐 ( 영어(英語) : DREAMCATCHER ) [2]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7인조(人組) 걸 그룹 으로, 드림캐쳐 컴퍼니 소속(所屬)이다. 2014년(年) 밍스(MINX)로 데뷔하였다가, 2017년(年)에 드림캐쳐로 이름을 바꿔 재(再)데뷔하였다.

락(落) / 메탈 기반(基盤)의 음악(音樂)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며, 대한민국(大韓民國) 보다 해외(海外)에서의 인지도(認知度)가 유독(唯獨) 높은 그룹으로 유명(有名)하다. 팬덤 이름인 'InSomnia'(인(人)썸니아)는 'In'(안에)과 'somnia'(꿈들)의 합성어(合成語)로, 꿈 속에서도 영원히(永遠히) 함께 하자는 의미(意味)고, 보통(普通)은 줄여서 '썸냐'로 부른다.

활동(活動) [ 편집(編輯) ]

2014년(年) ~ 2016년(年) : 밍스 [ 편집(編輯) ]

2014년(年) 9월(月) 18일(日) , 엠카운트다운 에서 밍스 (MINX)라는 이름으로 데뷔한 후(後), 9월(月) 22일(日) 첫 디지털 싱글 《우리집에 왜 왔니》의 음원(音源)을 공개(公開)하였다.

2015년(年) 7월(月) 2일(日) , 첫 미니 음반(音盤) 《Love Shake》를 발매(發賣)하였으며, 타이틀 곡(曲)은 음반명(音盤名)과 같은 《Love Shake》이었다. 이는 밍스라는 이름으로 발매(發賣)한 마지막 음반(音盤)이 되었다.

2016년(年) 11월(月) 29일(日) , 그룹명(名)을 '드림캐쳐'로 변경(變更)하는 계획(計劃)이 발표(發表)되었다. 기존(旣存)의 말괄량이 콘셉트에서 신비(神祕)한 콘셉트로 변경(變更)하였고, 새 멤버 한동과 가현(假現)을 영입(迎入)하여 7인조(人組)로 재편(再編)하였다. [3] 밍스 활동(活動)을 드림캐쳐 활동(活動)과 엄격히(嚴格히) 구분(區分)하는 경우(境遇)도 있으나, 밍스가 드림캐쳐의 전신(前身)이라는 사실(事實) 자체(自體)에는 의문(疑問)의 여지(餘地)가 없기 때문에 밍스 관련(關聯) 사항(事項)은 이 문서(文書)에 통합(統合) 서술(敍述)되고 있다.

2017년(年) : 드림캐쳐로 재(再)데뷔, 《악몽(惡夢)》, 《Prequel》 [ 편집(編輯) ]

1월(月) 13일(日) , 드림캐쳐로서의 첫 싱글 음반(音盤) 《 악몽(惡夢) 》을 발매(發賣)했으며, 타이틀 곡(曲)은 'Chase Me'이다. 이 음반(音盤)에서 드림캐쳐 멤버들은 각각(各各) 7가지 악몽(惡夢)을 담당(擔當)했다. 멤버들이 가진 악몽(惡夢)의 컨셉은 '누군가에게 쫓기는 꿈: 지유', '누군가가 쳐다보는 듯한 꿈: 한동(棟)', '좁은 공간(空間)에 갇히는 꿈: 시연(試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꿈: 가현(假現)', '온몸을 움직일 수 없는 꿈: 수아', '낯선 곳을 헤매는 꿈: 유현(幽玄)', '상처(傷處)를 입는 꿈: 다미'이다.

4월(月) 5일(日) , 'GOOD NIGHT'을 타이틀 곡(曲)으로 하는 후속(後續) 싱글 《 악몽(惡夢) - Fall asleep in the mirror 》를 발매(發賣)하였다. 이 싱글은 멤버들의 캐릭터가 소개(紹介)된 전작(前作)에 이어, 악몽(惡夢) 시리즈의 본격적(本格的)인 스토리텔링이 진행(進行)되는 시작점(始作點)이다.

7월(月) 27일(日) , 첫 미니 음반(音盤) 《 Prequel 》로 컴백하였고, 타이틀 곡(曲)은 '날아올라 (Fly high)'이다. 앞선 두 싱글에서 악몽(惡夢)이 된 멤버들과 일명(一名) '드림헌터'의 이야기를 꺼내놓았다면, 이 음반(音盤)은 두 싱글 이전(以前)의 이야기를 하면서 '소녀(少女)들은 왜 악몽(惡夢)이 되었나'라는 그간(그間)의 의문(疑問)에 대(對)한 해답(解答)을 담은 해설서(解說書)의 역할(役割)을 한다. 이 음반(音盤)은 미국(美國) 아이튠즈 K-pop 앨범 차트에서 1위(位)에 올랐다.

2018년(年) : 《Full Moon》, 《악몽(惡夢)·Escape the ERA》, 《Alone in the City》 , 일본(日本) 데뷔 [ 편집(編輯) ]

1월(月) 12일(日) , 데뷔 1주년(周年) 기념(記念) 팬 송인(宋寅) 〈 Full Moon 〉을 공개(公開)하였다.

5월(月) 10일(日) , 2번째(番째) 미니 음반(音盤) 《 악몽(惡夢)·Escape the ERA 》로 컴백하였고 타이틀 곡(曲)은 'YOU AND I'이다. 이 음반(音盤)은 카메라를 통해 현실(現實)과 꿈의 모호(模糊)한 경계(警戒), 내면(內面)과 외면(外面)의 하나이면서도 둘인 듯한 매력적(魅力的)인 이야기들로 구성(構成)되었다. 이 음반(音盤)을 끝으로 앤티크(Antique) 시대(時代)의 악몽(惡夢) 시리즈의 스토리 텔링은 모두 마무리되었다.

9월(月) 20일(日) , 3번째(番째) 미니 음반(音盤) 《 Alone In The City 》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曲)은 ' What '으로, 이 음반(音盤)에서는 스트레스를 주제(主題)로 현대(現代)에서의 악몽(惡夢)을 다루고 있다. [4]

11월(月) 23일(日) , 일본(日本)에서 싱글 《What - Japanese ver.-》로 정식(正式) 데뷔하였다.

2019년(年) : 《하늘을 넘어》, 《The End of Nightmare》, 《Raid of Dream》 [ 편집(編輯) ]

1월(月) 16일(日) , 데뷔 2주년(周年) 기념(記念) 팬송인(宋寅) 〈 하늘을 넘어 〉를 공개(公開)하였다.

2월(月) 13일(日) , 소속사(所屬社)의 이름이 해피페이스 엔터테인먼트(Happyface Entertainment)에서 드림캐쳐 컴퍼니 로 변경(變更)되었다고 발표(發表)했다. [5]

2월(月) 13일(日), 4번째(番째) 미니 음반(音盤) 《 The End of Nightmare 》를 발매(發賣)하며 컴백하였다. 이 음반(音盤)은 데뷔부터 진행(進行)되었던 악몽(惡夢) 스토리 텔링을 마무리하는 음반(音盤)으로, 타이틀 곡(曲)은 'PIRI'이다.

3월(月) 13일(日) , 일본(日本)에서의 2번째(番째) 싱글《PIRI ~笛を吹け~ - Japanese ver.-》를 발매(發賣)하였다.

9월(月) 11일(日) , 일본(日本)에서의 첫 정규(正規) 음반(音盤) 《 The Beginning Of The End 》를 발매(發賣)하고, 이튿날 컴백 쇼케이스를 열었다.

9월(月) 18일(日) , 스페셜 미니 음반(音盤)《 Raid of Dream 》를 발매(發賣)하며 컴백하였다.

2020년(年) :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 》, 《 Dystopia: Lose Myself [ 편집(編輯) ]

2월(月) 18일(日) , 첫 정규(正規) 음반(音盤) 《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 》를 발매(發賣)하였다. 코로나19 범유행(汎流行) 으로 인해 멤버 한동(棟)을 제외(除外)한 6인(人) 체제(體制)로 활동(活動)했다.

8월(月) 17일(日) , 미니 음반(音盤) 《 Dystopia: Lose Myself 》를 발매(發賣)하였다. 이 활동(活動) 역시(亦是) 멤버 한동(棟)을 제외(除外)한 6인(人) 체제(體制)로 활동(活動)했다.

11월(月) 7일(日) , 온라인 콘서트를 통해서 약(約) 1년(年) 만에 멤버 한동(棟)을 포함(包含)한 완전체(完全體)로 활동(活動)하게 되었다.

2021년(年) : Dystopia: Road to Utopia 》, 《 Summer Holiday [ 편집(編輯) ]

1월(月) 26일(日) , 미니 음반(音盤) 《 Dystopia: Road to Utopia 》를 발매(發賣)하고 완전체(完全體)로 컴백했다.

7월(月) 30일(日) , 스페셜 미니 음반(音盤) 《 Summer Holiday 》를 발매(發賣)하고 컴백했다.

2022년(年) : Apocalypse : Save Us 》, 《 Apocalypse : Follow Us [ 편집(編輯) ]

4월(月) 12일(日) , 2번째(番째) 정규(正規) 음반(音盤) 《 Apocalypse : Save Us 》를 발매(發賣)하고 컴백했다. 4월(月) 20일(日) 쇼 챔피언 》에서 타이틀 곡(曲) 'MAISON'으로 음악방송(音樂放送) 1위(位)를 처음으로 수상(受賞)하였는데, 이날은 밍스 데뷔일로부터 2772일(日)째, 드림캐쳐 첫 앨범 발매일(發賣日)로부터 1924일(日)째 되는 날이었다. 당시(當時)까지 1위(位)를 경험(經驗)해 본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모든 걸 그룹 중(中)에서 최장(最長) 기간(期間)의 활동(活動)을 통해 달성(達成)한 것으로 기록(記錄)되었다.

10월(月) 11일(日) , 미니 음반(音盤) 《 Apocalypse : Follow Us 》를 발매(發賣)했으며, 타이틀 곡(曲)은 'VISION'이다.

11월(月) 16일(日) , 멤버 전원(全員)이 소속사(所屬社) 드림캐쳐 컴퍼니 와 재계약(再契約)을 완료(完了)했다고 발표(發表)했다. [6]

2023년(年) : 《Apocalypse : From us》 , 《VillainS》 [ 편집(編輯) ]

1월(月) 13일(日) , 6주년(周年) 기념곡(記念曲) 'REASON'의 뮤직비디오 를 공개(公開)했다.

5월(月) 24일(日) , 미니 음반(音盤) 《Apocalypse : From us》를 발매(發賣)했으며, 타이틀 곡(曲)은 'BONVOYAGE'다. [7]

11월(月) 22일(日) , 미니 음반(音盤) 《VillainS》를 발매(發賣)했으며, 타이틀 곡(曲)은 'OOTD'이다.

구성원(構成員) [ 편집(編輯) ]

이름 소개(紹介)
지유
수아
시연(試演)
한동(棟)
유현
다미
가현(假現)

음반(音盤) 목록(目錄) [ 편집(編輯) ]

정규(正規) 음반(音盤) [ 편집(編輯) ]

미니 음반(音盤) [ 편집(編輯) ]

싱글 음반(音盤) [ 편집(編輯) ]

  • 악몽(惡夢) 》 (2017년(年) 1월(月) 13일(日))
  • 악몽(惡夢) - Fall asleep in the mirror 》 (2017년(年) 4월(月) 5일(日))
  • What - Japanese ver.- 》 (2018년(年) 11월(月) 23일(日), 일본(日本))
  • 《PIRI ~笛を吹け~ -Japanese ver.-》 (2019년(年) 3월(月) 13일(日), 일본(日本))
  • 《Endless Night》 (2020년(年) 3월(月) 11일(日))
  • 《Eclipse》 (2021년(年) 3월(月) 24일(日))

디지털 싱글 [ 편집(編輯) ]

  • 〈우리집에 왜 왔니〉 (밍스, 2014년(年) 9월(月) 22일(日))
  • Full Moon 〉 (2018년(年) 1월(月) 12일(日))
  • 〈DJ에게〉 (2018년(年) 11월(月) 3일(日))
  • 하늘을 넘어 〉 (2019년(年) 1월(月) 16일(日))
  • 〈NO MORE〉 (2020년(年) 11월(月) 20일(日))
  • 〈Eclipse TV Size〉 (2020년(年) 12월(月) 25일(日))

음반(音盤) 외(外) 활동(活動) 목록(目錄) [ 편집(編輯) ]

TV 프로그램 [ 편집(編輯) ]

날짜 채널 프로그램 비고(備考)
2017년(年)
1월(月) 11일(日) KBS2 뮤비뱅크 스타더스트 첫 TV 방송(放送) 출연(出演)
1월(月) 18일(日) KBS2 뮤비뱅크 스타더스트
2월(月) 17일(日) TBS 팩트iN스타 지유ㆍ수아ㆍ시연(試演) 출연(出演)
2월(月) 26일(日) KBS1 열린음악회
4월(月) 18일(日) Arirang TV Arirang TV
4월(月) 22일(日) 국방(國防)TV 뮤직타임 락(落) 드림
5월(月) 1일(日) TBS 팩트iN스타
5월(月) 27일(日) KBS2 연예가(演藝街) 중계(中繼) 지유 출연(出演)
8월(月) 19일(日) 전주(全州)MBC JUMF 2017
9월(月) 8일(日) TBS 팩트iN스타
2018년(年)
1월(月) 12일(日) SBS Plus 머스트잇 - 혼자라도 괜찮아 한동(棟) 출연(出演)
1월(月) 15일(日) MBC 아이돌스타 육상(陸上) 선수권대회(選手權大會) 지유 리듬체조
1월(月) 16일(日) MBC 아이돌스타 육상(陸上) 선수권대회(選手權大會) 지유ㆍ유현(幽玄) 출연(出演)
1월(月) 26일(日) SBS Plus 머스트잇 - 혼자라도 괜찮아 수아ㆍ시연(試演)ㆍ유현(幽玄)ㆍ다미 400M 계주(繼走) 금메달(金메달)
1월(月) 30일(日) KBS1 평창동계(平昌冬季)올림픽 G-10 특별생방송(特別生放送) 하나된 열정(熱情) 하나된 세계(世界) 지유ㆍ유현(幽玄) 출연(出演)
5월(月) 23일(日) MBC every1 주간(週間) 아이돌 금주(今週)의 엄지돌
6월(月) 1일(日) TBS 팩트iN스타
9월(月) 25일(日)~26일(日) MBC 아이돌스타 육상(陸上) 선수권대회(選手權大會) 유현 60m 은메달(銀메달)
11월(月) 3일(日) KBS2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전설(傳說)을 노래하다 가요(歌謠)톱10 11월(月) 특집(特輯)
11월(月) 23일(日)~24일(日) OGN 게임 돌림픽
2019년(年)
4월(月) 7일(日) KBS2 불후(不朽)의 명곡(名曲) 전설(傳說)을 노래하다 故 이호준 편(便)
7월(月) 28일(日) KBS1 열린음악회 세계음악여행(世界音樂旅行)
10월(月) 20일(日) KBS1 열린음악회
2023년(年)
3월(月) 22일(日) 엠넷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즌10 지유, 수아 출연(出演)

수상(受賞) 목록(目錄) [ 편집(編輯) ]

가요(歌謠) 프로그램 1위(位)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수상(受賞) 내역(內譯) (총(銃) 4회(回))
2022년(年) (총(銃) 2회(回))
2023년(年) (총(銃) 2회(回))

기타(其他) 시상식(施賞式) [ 편집(編輯) ]

  • 2022년(年) 2022 K 글로벌 하트 드림 어워즈 K 글로벌 베스트 뮤직비디오상(賞)
  • 2023년(年) 30주년(周年) 한터뮤직 어워즈 2022 글로벌 아티스트상(上)
  • 2023년(年)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베스트 초이스상(上)

팬덤 [ 편집(編輯) ]

팬덤명(名) InSomnia(인(人)썸니아)와 공식(公式) 팬클럽 1기(期) InSomnia가 존재(存在)한다. 팬덤명(名)은 2018년(年) 3월(月) 10일(日) 열린 드림캐쳐의 대한민국(大韓民國) 첫 단독(單獨) 콘서트 'WELCOME TO THE DREAM'에서 공개(公開)되었다. 팬클럽 1기(期)는 2019년(年) 9월(月) 2일(日)부터 2019년(年) 10월(月) 2일(日)까지 멜론티켓에서 모집(募集)하였다.

공식적(公式的)으로는 In(안에)+Somnia(라틴어: 꿈들)의 합성어(合成語)로, 꿈속에서도 드림캐쳐와 팬들이 만나 행복(幸福)한 시간(時間)을 보내며 영원히(永遠히) 함께하자는 의미(意味)를 나타낸다고 한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유니버셜 뮤직 그룹 (2014 ~ 2016), 인터파크 (2017 ~ 2018), 지니뮤직(지니뮤직) (2018 ~ 2019), 카카오엔터테인먼트 (2020), 지니뮤직(지니뮤직) (2020 ~ 2021)
  2. ‘Dreamcatcher’는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의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에 따르면 ‘드림캐처’로 표기(表記)하여야 하나, 상표명(商標名)은 통상적(通常的)인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에 어긋나도 그대로 인정(認定)한다는 조항(條項)에 따라 공식(公式) 그룹명(名)을 ‘드림캐쳐’라고 표기(表記)한다.
  3. 이정현(李貞鉉) (2017년(年) 1월(月) 10일(日)). “드림캐쳐 "밍스 팬에게 죄송(罪悚)… '신인(新人)' 돌아간 듯"(인터뷰①)” . 이데일리. 2018년(年) 7월(月) 1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7월(月) 18일(日)에 확인(確認)함 .  
  4. 권현진 (2018년(年) 9월(月) 20일(日)). “드림캐쳐 "해외(海外) 다니며 쉴 틈 없이 활동(活動), 빠르게 컴백해 기뻐 " . 《News1》 . 2018년(年) 9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드림캐쳐 지유 "소속사(所屬社) 이름 해피페이스→드림캐쳐컴퍼니 변경(變更) " . 2019년(年) 2월(月) 13일(日).  
  6. “드림캐쳐, 現 소속사(所屬社)와 전원(全員) 재계약(再契約) 완료(完了)” . 2022년(年) 11월(月) 16일(日).  
  7. “드림캐쳐, 타이틀은 ‘BONVOYAGE’” . 2023년(年) 5월(月) 16일(日).  
  8. 사(社) 드림캐쳐 한자(漢字)이름
  9. [繁中字幕] 141105 Minx play - 自我介紹時間 SiYeon 篇
  10. 시연(試演) 한자(漢字)이름
  11. 한둥 중국어(中國語)
  12. 유현 한자(漢字)이름
  13. 유현 한자(漢字)이름
  14. 가현(假現) 한자(漢字)이름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