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둔지산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둔지산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경조오부도의 둔지산 (屯之山)

둔지산 (屯之山)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이태원동(梨泰院洞) 용산동 에 걸쳐있는 이다. 현재(現在) 용산기지(龍山基地) 내(內)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정상부(頂上部)의 높이는 약(約) 65m이고 그 외(外) 구릉지(丘陵地)의 높이는 약(約) 48m 정도(程度)이다.

지명(指名) [ 편집(編輯) ]

둔지(鈍智)(屯地)라는 명칭(名稱)의 유래(由來)에 대(對)한 다양한 가설(假說)이 존재(存在)하나, 정확히(正確히) 밝혀진 내용(內容)은 없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에 용산 일대(一帶)의 군량(軍糧)을 조달(調達)하기 위해 이 지역(地域)에 둔전(屯田) (屯田)에서 유래(由來)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는 둔지산 일대(一帶)에 둔전(屯田)이 없으나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는 두운(頭韻)지정기 의 내용(內容) [1] 과는 배치(配置)된다. 이외(以外)에도, 둔지의 뜻이 둔전(屯田)보다는 그 지형(地形)과 관련(關聯)이 있어 높지 않은 둔덕같은 산(産)을 의미한다는 가설(假說)과, [2] '둔'이 한자어(漢字語)가 아닌 고유어(固有語)로서 마을 에 대치(對峙)(代置)되는 뜻이라는 가설(假說)이 존재(存在)한다. [3]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강세황 . 《두운(頭韻)지정기》. 표암고(豹菴高) 4 . 出國都南門 折而稍東 不十里有屯地山 未有峯巒巖壑而有山之稱 無屯田之地而有屯地之號 是固無足較詰也 野徑紆回 麥?高低 有村數百家  
  2. 김태우; 김천수 (2022년(年) 2월(月)). “용산구(龍山區) 둔지산의 장소성(場所性) 소멸과정(消滅過程)과 복원(復元)에 대(對)한 시론(詩論)-남단(南端)의 위치(位置)에 대(對)한 재검토(再檢討)와 고증(考證)을 중심(中心)으로”. 《서울과 역사(歷史)》 (110): 171-173.  
  3. 김천수 (2017). 《용산기지(龍山基地) 내(內) 사라진 둔지미(鈍智美) 옛마을의 역사(歷史)를 찾아서》. 용산구청(龍山區廳). 38-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