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都市再開發) 또는 도시(都市) 재생(再生) (都市再生)은 신도시(新都市) · 신시가지(新市街地) 위주(爲主)의 도시(都市) 확장(擴張)에 따라 나타나는 기존(旣存) 시가지(市街地) 노후(老朽) 쇠락(衰落)으로 발생(發生)하는 도심공동화(都心空洞化) 를 방지(防止)하고 침체(沈滯)된 도시(都市) 경제(經濟)를 활성화(活性化) 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기능(機能)을 도입(導入)하고 창출(創出)함으로써 물리(物理) 환경적(環境的), 산업(産業) 경제적(經濟的), 사회(社會) 문화적(文化的)으로 재활성화(再活性化) 또는 부흥시키는 것이다. [1] 도시재개발(都市再開發)의 추진(推進)을 위해 재개발(再開發) 조합(組合)이 구성(構成)되어 승인(承認), 재개발(再開發) 매입비용(買入費用) 중재(仲裁), 건축(建築) 시공사(施工社) 선정(選定) 등(等)이 진행(進行)된다.

원인(原因) [ 편집(編輯) ]

도시개발(都市開發) 과정(過程)에서 늘어나는 주택(住宅) 수요(需要)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도시(新都市), 신시가지(新市街地)를 개발(開發)하게 되고, 반면(反面)에 구(舊) 시가지(市街地)는 특히(特히) 젊은 층(層)의 인구(人口) 유출(流出)로 정주인구(定住人口) 가 감소(減少)하고, 인구(人口)는 고령화(高齡化) 되어 상업(商業), 문화(文化), 교육(敎育), 복지(福祉) 등(等) 도시(都市) 기능(機能)이 약화(弱化)되는 등(等)으로 급격(急激)한 산업화(産業化) 에 따른 도시발달(都市發達)은 개발(開發)이 쉬운 도시(都市) 외곽지역(外郭地域)으로 기능(機能)이 팽창(膨脹)하게 되는데, 원도심(原都心) 중심(中心) 시가지(市街地) 를 중심(中心)으로 공동화(空洞化) 현상(現象) 이 심화(深化)된다.

도시(都市)의 공동화(空洞化) 및 도심부(都心部) 쇠퇴(衰退) 현상(現象)은 에너지 및 자원(資源)의 낭비(浪費), 교통혼잡(交通混雜), 공해(公害) , 구시가지(舊市街地) 기반시설(基盤施設) 노후화(老朽化) 및 상업기능(商業機能) 쇠퇴(衰退) 등(等) 환경적(環境的), 경제적(經濟的), 사회적(社會的) 문제(問題)를 일으킨다. 이를 극복(克服)하기 위한 일반적(一般的)인 도시(都市) 정비사업(整備事業)의 경우(境遇) 물리적(物理的) 환경정비(環境整備) 위주(爲主)의 사업(事業)을 우선(于先) 시행(施行)하게 되는데, 이는 이미 황폐화(荒廢化)된 구(舊) 시가지(市街地)를 회복(回復)시키는데에는 한계(限界)가 있다. [2]

범위(範圍) [ 편집(編輯) ]

도시재생(都市再生)의 범위(範圍) [1]

도시재생(都市再生)이란 물리적(物理的) 정비사업(整備事業)과 함께 적절(適切)한 프로그램 주입(注入)을 통해 도시(都市)를 부흥시키는 방법(方法)으로, 기존(旣存) 도시(都市)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物理的), 사회적(社會的), 경제적(經濟的) 문제(問題)를 치유(治癒)하기 위한 모든 행위(行爲)를 말하며,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 도시(都市) 재활성화(再活性化) 등(等)을 포괄(包括)하는 광의(廣義)의 개념(槪念)이다.

그 범위(範圍)는 도시(都市)의 매력(魅力) 창출(創出) 및 도시기능(都市機能) 강화(强化)를 포함(包含)하는 사업(事業)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즉(卽), 기존(旣存) 물리적(物理的) 환경정비(環境整備) 중심(中心)의 도시(都市) 정비사업(整備事業) 이 환경(環境) 개선(改善)이라는 최종(最終) 결과물(結果物)에 주목(注目)하였다면, 도시재생사업(都市再生事業)은 지속가능(持續可能) 한 도시(都市) 커뮤니티 를 보전(保全)하고 고양(高揚)하기 위한 과정적(過程的) 산물(産物)을 중시(重視)한다.

공간적(空間的) 범위(範圍) [ 편집(編輯) ]

  • 자치단체(自治團體) 의 도시(都市) 및 주거환경정비(住居環境整備) 기본계획상(基本計劃上) 정비예정구역(整備豫定區域)
  • 향후(向後), 도시쇠퇴현상(都市衰退現象)이 심화(深化)될 것으로 예상(豫想)되는 지역(地域) 내(內) 중심시가지(中心市街地) 및 기성시가지(旣成市街地)
  • 지방중소도시(地方中小都市)의 도심부(都心部)(대도시(大都市)나 수도권(首都圈) 도시(都市)와 달리, 도심(都心) 중핵공간(中核空間)이 대도시(大都市) 도심주변부(都心周邊部)의 특성(特性)을 나타냄)

내용적(內容的) 범위(範圍) [ 편집(編輯) ]

  • 물리(物理)·환경적(環境的)으로, 쇠퇴화(衰退化)가 진행(進行)되고 있는 지역(地域)을 대상(對象)으로 기성시가지(旣成市街地) 의 체계적(體系的)인 정비(整備)와 신개발지(新開發地) 의 계획적(計劃的) 개발(開發)이 이루어지도록 유도(誘導)할 수 있는 범위(範圍)
  • 생활(生活)·문화적(文化的)으로, 공공(公共), 민간(民間), 지역주민(地域住民) 등(等) 다양한 개발주체(開發主體)의 참여(參與)를 통해 지역(地域) 고유(固有)의 사회(社會)·문화적(文化的) 특성(特性)을 유도(誘導)할 수 있는 범위(範圍)
  • 경제적(經濟的)으로, 도시(都市)의 지역산업(地域産業)과 경제(經濟) 등(等) 종합적(綜合的)인 도시부흥(都市復興) 을 유도(誘導)할 수 있는 범위(範圍)

도시재생사업(都市再生事業) [ 편집(編輯) ]

도시재생사업(都市再生事業) 이란 기존(旣存)의 도시(都市) 및 주거환경정비사업(住居環境整備事業) 영역(領域)을 포함(包含)하되, 그간(그間) 물리적(物理的) 환경정비(環境整備) 위주(爲主)로 추진(推進)되어온 한계(限界)를 극복(克服)하고, 쇠퇴(衰退)한 도시지역(都市地域)의 노후화(老朽化)된 인프라 를 재정비(再整備)하여 공간(空間) 구조재편(構造再編) 및 신공간(空間) 창출(創出)을 도모(圖謀)함으로써 새로운 도시기능(都市機能)을 수행(遂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업(事業)이다. 도시재생(都市再生)의 범위(範圍)는 도시(都市) 내 물리(物理)?환경적(環境的), 생활(生活)?문화적(文化的), 경제적(經濟的)으로 쇠퇴화(衰退化)가 진행(進行)되고 있는 지역(地域)을 대상(對象)으로 한다. [3]

관련(關聯)된 사업(事業) [ 편집(編輯) ]

주택(住宅) 재건축(再建築) 사업(事業) [ 편집(編輯) ]

정비기반시설(整備基盤施設) ( 도로(道路) , 상하수도(上下水道) , 공원(公園) , 공용(共用) 주차장(駐車場) 등(等))은 양호(良好)하나 노후불량(老朽不良) 건축물(建築物) 이 밀집(密集)한 지역(地域)(주로(主로) 노후(老朽)한 아파트 )을 대상(對象)으로 기존(旣存) 주택(住宅) 철거(撤去) 후(後) 그 자리에 새로 공동주택(共同住宅) 을 건설(建設)하는 사업(事業)으로서 관리처분(管理處分) 방식(方式)으로 시행(施行)한다.

도시(都市) 환경(環境) 정비(整備) 사업(事業) [ 편집(編輯) ]

건축물(建築物) 기반시설(基盤施設) 이 노후화(老朽化)되었거나 부족(不足)하여 도시공간(都市空間)의 효율적(效率的)인 이용(利用)이 어렵다고 판단(判斷)되는 상업지역(商業地域) , 공업지역(工業地域) 을 대상(對象)으로 기존(旣存)이 노후(老朽) 건축물(建築物)을 철거(撤去)한 후(後) 그 대지(大地)위에 새로운 건축물(建築物)(상업(商業), 업무(業務), 주상복합(住商複合)) 및 기반시설(基盤施設) 을 설치(設置)하는 사업(事業)이다.

주택(住宅) 재개발(再開發) 사업(事業) [ 편집(編輯) ]

정비기반시설(整備基盤施設) (도로(道路), 상하수도(上下水道), 공원(公園), 공용주차장(共用駐車場) 등(等))이(李) 열악(劣惡)하고 노후(老後) 불량주택(不良住宅)이 밀집(密集)한 주거지역(住居地域)을 대상(對象)으로 기존(旣存)의 저층주택(底層住宅) 들을 철거(撤去)한 후(後) 그 자리에 새로 공동주택(共同住宅) 과 그 규모(規模)에 적합한 정비기반시설(整備基盤施設) 을 설치(設置)하는 사업(事業)으로서 관리처분방식(管理處分方式)으로 시행(施行)한다.

주거(住居) 환경(環境) 개선(改善) 사업(事業) [ 편집(編輯) ]

주거환경개선사업(住居環境改善事業) 은 사업성(事業性)이 낮아 장기간(長期間) 개발(開發)이 방치(放置)된 지역(地域)에서 주택공사(住宅公社) 등(等) 공공기관(公共機關) 이 정부(政府)의 각종지원(各種支援)(지구내(地區內) 국공유지(國公有地)의 사업시행자(事業施行者) 무상양여(無償讓與) , 공공시설(公共施設) 설치비(設置費) 재정부담(財政負擔) 등(等))을 받아 시행(施行)하는 사업(事業)이다.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에 따른 변화(變化) [ 편집(編輯) ]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이후(以後) 효율적(效率的)인 토지(土地) 이용(利用)이 이루어져 경제(經濟) 활동(活動)이 촉진(促進)되고, 도시(都市) 환경(環境)이 정비(整備)되면서 범죄(犯罪)나 비행(非行) 등(等) 사회적(社會的) 병리(病理) 현상(現象) 환경(環境) 오염(汚染) 에 따른 각종(各種) 병폐(病弊) 가 줄어든다. 또한 도로(道路)와 주차장(駐車場)이 넓어져 이용자(利用者)의 편익(便益)과 안전(安全)에 기여(寄與) 하고, 보행(步行) 공간(空間)과 도심(都心) 공원(公園) 등(等)이 확보(確保)되어 쾌적(快適)한 환경(環境)을 제공(提供)하며, 나아가 도시(都市) 미관(美觀)을 아름답게 한다. 그러나 소수(少數)의 사례(事例)로 재개발(再開發) 이 이루어지면서 세대(世代) 수(數)가 증가(增加)하여 지구(地球) 주변(周邊)의 도로(道路), 공원(公園), 학교(學校) 등(等) 공공시설(公共施設)에 대(對)한 부담(負擔)이 크게 늘어나는 경우(境遇)도 발생(發生)하며, 고층(高層) 건물(建物)이 지어지면서 경관(景觀)의 조화(調和)가 파괴(破壞)되고, 주변(周邊) 지역(地域) 사회(社會) 와 교류(交流)가 단절(斷絶)되거나, 교통(交通) 이 혼잡(混雜)해지는 경우(境遇)도 존재(存在)한다. 그러나 가장 시급(時急)한 문제(問題)는 기존(旣存)에 살던 주민(住民)이 철거민(撤去民)으로 전락하(轉落下) 재정착하지 못하고, 소수(少數)에게 개발(開發) 이익(利益)이 돌아가는 점(點)이다. [4]

바람직한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 편집(編輯) ]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은 많은 이해(理解) 관계(關係)를 발생(發生)시키기 때문에 재개발(再開發) 과정(過程)에서 충분(充分)한 토의(討議)와 의견(意見) 조정(調整)이 반드시 필요(必要)하다. 거주민(居住民), 지역(地域) 사회(社會) 단체(團體) , 관할행정(管轄行政) 기관(機關) 등(等)의 지역(地域) 사회(社會) 구성원(構成員)들이 참여(參與)하여 민주적(民主的)인 절차(節次)를 통해 재개발(再開發)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주민(住民)의 소득(所得) 수준(水準), 입지(立地) ,토지(土地) 소유(所有) 관계(關係) 등(等)의 상황(狀況)을 고려(考慮)하여 다양한 재개발(再開發)의 방법(方法)이 적용(適用)되어야 한다.

각국(各國)의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 사례(事例)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 편집(編輯) ]

문제점(問題點) [ 편집(編輯) ]

도시재정비촉진(都市再整備促進)을 위한 특별법(特別法) 에 따른 도시재개발(都市再開發) 관련(關聯) 사업(事業)은 개발이익(開發利益)의 과도(過度)한 사유화(私有化), 도시기반시설(都市基盤施設) 부족(不足)과 기형적(畸形的) 난개발(亂開發), 즐거움과 쾌적(快適)함을 주는 도시(都市) 어메니티 자원(自願) 의 상실(喪失), 저소득(低所得) 계층(階層)의 주거안정(住居安定) 훼손(毁損) 및 사회적(社會的) 통합(統合) 저해(沮害) 등(等)의 부작용(副作用)을 불러왔다.

그 결과(結果) 민간위주(民間爲主)의 재정비(再整備) 사업(事業) 은 노후(老後) 정도(程度)나 기능회복(機能回復)의 필요성(必要性)보다 수익성(收益性)이 기대(期待)되는 곳에서만 사업(事業)이 이루어짐으로서 소규모(小規模) 단위사업(單位事業)과 사업성(事業性)이 없는 노후(老後), 불량주거지(不良住居地)는 방치(放置)되고, 무분별(無分別)한 전면철거(全面撤去) 재개발(再開發)로 인한 장소성(場所性), 역사성(歷史性)의 상실(喪失), 지나친 수익성(收益性) 중심(中心) 개발(開發)과 공공참여(公共參與) 미비(未備)에 따른 공공성(公共性) 결여(缺如) 등(等)의 문제점(問題點)을 낳게되었다.

청계천(淸溪川)

청계천은 조선(朝鮮) 1411년(年)(1392~1910)에 홍수(洪水)를 막기 위해 건설(建設)되었다. 많은 주민(住民)들이 개울가에 살았다. 일본(日本) 정부(政府)는 교통(交通)과 위생(衛生) 문제(問題)를 줄이기 위(爲)해 1937년(年) 도로(道路)를 건설(建設)하여 하천(河川)을 부분적(部分的)으로 폐쇄(閉鎖)하였다. 1945년(年) 광복(光復) 후(後) 이 도시(都市)는 콘크리트 고가도로(高架道路)로 하천(河川)을 완전히(完全히) 폐쇄(閉鎖)했다. 방문객(訪問客)들을 더 잘 끌어들이기 위해, 그 도시(都市)는 12 킬로미터 길이의 산책로(散策路)를 따라 다양한 무료(無料) 전시(展示)와 행사(行事)를 제공(提供)한다. 2015년(年) 8월(月) 현재(現在) 1억(億) 9100만(萬) 명(名)이 넘는 방문객(訪問客)이 다녀갔다. [5]

방향(方向) [ 편집(編輯) ]

지역경제(地域經濟) , 지역(地域) 커뮤니티 활성화(活性化) 등(等)을 종합적(綜合的)으로 고려(考慮)한 경제(經濟), 사회(社會), 문화(文化), 복지(福祉) 등(等) 다양한 차원(次元)에서의 업무협의체(業務協議體) 구성(構成), 주민참여(住民參與) 할성화(成火)를 통한 민간(民間), 학계(學界), 정부(政府)가 함께하는 다양한 수준(水準)의 거버넌스 모델 개발(開發) 도시내부(都市內部)의 균형발전(均衡發展) 도심활성화(都心活性化) 차원(次元)에서 논의(論議)가 시작(始作)되었다. [6]

도시(都市)에 거주(居住)하고 있는 사회적(社會的) 약자(弱者) 의 능력(能力) 및 지불의사(支拂醫師) 에 부응(副應)하는 저비용(低費用)의 적절(適切)한 주택(住宅)(decent housing) 계속공급(繼續供給)으로 사회통합(社會統合) 적(敵) 주거공동체(住居共同體) 기술개발(技術開發) 및 커뮤니티 재생(再生) 낙후(落後)된 지역(地域)에 토지(土地) 및 도시공간(都市空間)의 이용효율성(利用效率性)을 높이기 위해 도시(都市)의 공간적(空間的) 범위(範圍)를 수평(水平), 수직적(垂直的)으로 확장(擴張) 입체화하고 다양한 기능(機能)을 체계적(體系的)이고 합리적(合理的)인 방식(方式)으로 융합(融合)시킨 입체(立體) 복합(複合) 시설(施設) (Mixed-use Complex) 설치(設置)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정책(政策) [ 편집(編輯) ]

2017년(年) 7월(月) 13일(日)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장관(長官) 김현미(金賢美))는 ?문재인(文在寅) 정부(政府) 국정운영(國政運營) 5개년(個年) 계획(計劃)?의 주요(主要) 국정과제(國政課題)인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의 추진(推進)을 위해 앞으로 한 달간(間) 지자체(地自體)와 전문가(專門家)들의 다양(多樣)한 의견(意見)을 수렴(收斂)하여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 선정(選定) 계획(計劃)’을 8월(月) 말(末) 확정(確定)할 계획(計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는 뉴타운 등(等) 기존(旣存) 사업(事業)이 대규모(大規模) 계획(計劃) 수립(樹立)에 초점(焦點)을 두어 실질적(實質的)인 사업(事業) 추진(推進)이 미흡(未洽)했고, 중앙정부(中央政府)가 주도(主導)하면서도 지원(支援)은 부족(不足)*하여 주민(住民)이 체감(體感)할 수 있는 성과(成果)가 미약(微弱)했다고 보고,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 을 새로이 추진(推進)키로 하였다.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 은 기존(旣存) 도시재생사업(都市再生事業) 의 단위(單位) 사업(事業) 규모(規模)를 줄여서 대규모(大規模) 철거(撤去) 없이 주민(住民)들이 원(願)하는 소규모(小規模) 생활밀착형(生活密着型) 시설(施設)을 설치(設置)하는 등(等) 지역(地域)이 주도(主導)하고 정부(政府)는 적극(積極) 지원(支援)하는 방식(方式)으로 추진(推進)된다. 특히(特히), 주민(住民)들이 재생효과(再生效果)를 빠르게 느낄 수 있도록 전체(全體) 사업(事業)의 절반(折半) 이상(以上)을 동네(洞네) 단위(單位)에서 주택(住宅)을 개량(改良)하고, 소규모(小規模) 생활편의시설(生活便宜施設)을 설치(設置)해주는 “우리 동네(洞네) 살리기 사업(事業)” 방식(方式)으로 추진(推進)되는 방안(方案)을 검토(檢討)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재인정부(文在寅政府)는 연(年) 평균(平均) 재정(財政) 2조(兆)원, 기금(基金) 5조(兆)원의 공적재원(公的財源) 및 연간(年間) 3조(兆)원 이상(以上)의 공기업(公企業) 투자(投資)를 유도(誘導)하여 재생지역(再生地域)에 집중(集中) 투자(投資)할 계획(計劃)이다. [7]

  • 문재인정부(文在寅政府)는 5년간(年間) 총(總) 50조(兆) 원을 공적(公的) 자금(資金)을 투입(投入)해 500곳의 옛 도심(都心)과 노후(老後) 주거지(住居地) 등(等)을 되살리는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 사업(事業)을 추진(推進)할 방침(方針)이다. 매년(每年) 투입(投入)될 10조(兆) 원은 주택도시보증공사(住宅都市保證公社)(HUG)의 주택도시기금(住宅都市基金) 5조(兆) 원, 공기업(公企業) 재원(財源) 3조(兆) 원, 국비(國費) 2조(兆) 원으로 충당(充當)한다. 여기에 민간자금(民間資金)이 별도(別途)로 투입(投入)된다. [8]
  • 한편(한便), 한국(韓國)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는 ‘ 8·2 부동산(不動産) 대책(對策) ’을 발표(發表)하면서 서울 등(等) 투기과열지역(投機過熱地域)은 집값 불안(不安)이 해소(解消)될 때까지 정부(政府)의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에서 배제(排除)시킨다고 밝힌 바 있다. [9]

영국(英國) [ 편집(編輯) ]

1980년대(年代) 산업구조(産業構造) 의 급격(急激)한 변화(變化)로 인한 경기침체(景氣沈滯) 도시쇠퇴(都市衰退) 등(等)의 문제(問題)에 대응(對應)하기 위해 재개발(再開發)을 등장시킨 것으로 꼽힌다.

일본(日本) [ 편집(編輯) ]

거품 경제(經濟) 에 의(依)해 붕괴(崩壞)된 뒤 침체(沈滯)된 국가(國家) 경제(經濟) 를 부동산(不動産) 개발(開發)을 통해 재생(再生)시키고, 일본(日本) 국제(國際) 경쟁력(競爭力) 을 강화(强化)하려는 의도(意圖)로 시작(始作)하고 있다. 그 외(外)에도 1960~70년대(年代) 당시(當時) 조성(造成)된 센리 뉴타운 , 다마 뉴타운 , 고호(顧護)쿠 뉴타운 , 고(高)조지 뉴타운 등(等) 오래된 신도시(新都市) 지역(地域)의 재건축(再建築)과 재개발(再開發)을 지자체(地自體) 중심(中心)으로 독려(督勵)하고 있어, 저출산(低出産) 고령화(高齡化) 및 수익성(收益性) 문제(問題),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開發)하는 것이 부재중(不在中)이어서 사업(事業)하기에는 여전히(如前히) 지지부진(遲遲不進)하고 있다.

중화권(中華圈) [ 편집(編輯) ]

홍콩 [ 편집(編輯) ]

홍콩은 국토(國土)의 면적(面積)이 협소(狹小)하는 특성상(特性上) 도시(都市) 재개발(再開發)이 필수적(必須的)으로 고착(固着)되어 있다. 그러나 췬완 신(新)시진 , 사틴 신(新)시진 등(等) 여러 신도시(新都市) 지역(地域)도 일본(日本)의 다마 뉴타운과 비슷하게 재개발(再開發)을 따로 해야 하는 주장(主張)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 편집(編輯) ]

중국(中國) 본토(本土)의 경우(境遇) 구시가지(舊市街地)가 많은 상하이시(市) , 샤먼시 , 광저우시 , 선양시 등지(等地)에서도 낡고 오래된 재래식(在來式) 가옥(家屋)을 현대적(現代的)이고 세련된 고층(高層) 맨션촌(村)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사업(事業)을 진행(進行)하고 있다.

미국(美國) [ 편집(編輯) ]

미국(美國)의 경우(境遇) 캘리포니아주(캘리포니아州) 등(等) 서부(西部) 지역(地域)에서는 산불(山불) 로 인해 마을은 물론(勿論) 도시(都市)까지 폐허(廢墟)로 덮어버릴 위기(危機)에 처(處)하거나 이미 폐허(廢墟)로 전락(轉落)한 상태(狀態)에 이르는 곳이 있어, 새로이 정주(定住)할 수 있는 재개발(再開發) 지역(地域)을 다각화(多角化)하려는 의도(意圖)가 있다. 또한 뉴욕 등(等) 오래된 콘크리트 건물(建物)들을 내진(耐震) 설계(設計)와 함께 새롭게 지어야 하고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처럼 문화유산(文化遺産) 으로 지정(指定)하자는 목소리가 있어, 문화재(文化財) 지정(指定) 및 재개발(再開發) 등(等)을 놓고 갈등(葛藤)을 빚고 있는 문제(問題)가 여전히(如前히) 남아 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도새재생사업단(再生事業團). “도시재생(都市再生) 이란” . 2010년(年) 6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 김(金), 세용(歲用) (2008년(年) 8월(月)). “건축(建築)”.  
  3. 경기주택도시공사(京畿住宅都市公社), 도시재생사업(都市再生事業), http://www.gico.or.kr/business/urban/urbanintro.do Archived 2017년(年) 11월(月) 7일(日) - 웨이백 머신
  4. 이우평 외(外), 2012년(年), 고등학교(高等學校) 한국지리(韓國地理), p136, 금성출판사
  5. Chung-un, Cho (2016년(年) 1월(月) 15일(日)). “[Weekender] Kore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영어(英語)) . 2020년(年) 5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6. 김(金), 창석 (2008년(年) 7월(月)). “건축(建築)”.  
  7. 도시재생사업기획단(都市再生事業企劃團), 지원정책(支援政策)과·기획총괄과 (2017년(年) 7월(月)). “지자체(地自體) 등(等) 의견수렴(意見收斂) 착수지역(着手地域) 주도(主導)로 사업(事業) 발굴(發掘), 선정(選定)…일자리 창출(創出)?부동산시장(不動産市場) 관리방안(管理方案)도 평가(評價)”.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보도자료(報道資料)》.  
  8. 주(週), 애진 (2017년(年) 7월(月)).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 7월내(月內) 초안(草案) 마련”. 《동아일보(東亞日報)》.  
  9. 전(前), 형진(荊榛) (2017년(年) 10월(月)). “[2017 국정감사(國政監査)] 김현미(金賢美) "도시재생(都市再生) 뉴딜사업(事業), 서울 포함(包含) 여부(與否) 검토(檢討)”. 《한경(韓經)헬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